KR102407774B1 - 분무형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분무형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774B1
KR102407774B1 KR1020200101012A KR20200101012A KR102407774B1 KR 102407774 B1 KR102407774 B1 KR 102407774B1 KR 1020200101012 A KR1020200101012 A KR 1020200101012A KR 20200101012 A KR20200101012 A KR 20200101012A KR 102407774 B1 KR102407774 B1 KR 10240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unting part
spray
internal space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555A (ko
Inventor
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너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너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너윈스
Priority to KR102020010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1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which is a gate valve
    • B05B11/3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형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수단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보다 아래 측에 위치하여 유체 분사 시에 노즐에 고여 있던 잔여 유체가 분사(누액)되는 일이 없어 미용 증진뿐만 아니라 유체의 절약 및 안전사고 예방도 겸비한 분무형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미용기기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상부에 구비된 제1장착부,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하부에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후방에 구비된 제3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에 구비되고,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수단, 그리고 상기 제3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장수단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무형 미용기기{BEAUTY TREATMENT DEVICE WITH SPRAY}
본 발명은 분무형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수단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보다 아래 측에 위치하여 유체 분사 시에 노즐에 고여 있던 잔여 유체가 분사(누액)되는 일이 없어 미용 증진뿐만 아니라 유체의 절약 및 안전사고 예방도 겸비한 분무형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에 묻힌 후에 얼굴 등의 피부에 문질러 바르기 때문에 피부에 균일한 농도로 발리지 못하고, 손에서 흡수되어 낭비되는 양이 상당하다.
그리하여 화장품이 피부에 균일한 농도로 발라지고 손에서 흡수되는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장치로 액상물질을 분무형태로 분사시키는 분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액상물질을 균일한 농도로 분사시키는 분사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56153호 "액체분사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액체가 유동하며 액체 분사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에서 횡단면이 점점 좁아지는 액체유로 및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액체분사구와 인접한 공기분사구가 전방에 형성된 공기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며, 후방에 상기 공기유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고, 분사용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액체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분사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수용탱크; 상기 액체유로의 내부에 일부가 노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액체분사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어 상기개폐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조절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압축공기를 이용해 액상물질을 미세입자형태로 만들어 피부에 균일한 농도로 분사시킨다.
상기 등록특허는 압축공기를 외부장치, 즉, 컴프레셔에서 제공받고 있어서,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는다. 다시 말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컴프레셔는 휴대하고 다닐 수 없기 때문에 컴프레셔가 구비된 장소에서만 분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컴프레셔와 분사장치는 공급관으로 연결되어서, 공급관의 길이를 벗어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고, 공급관이 신체에 걸려서 사용의 제약과 불편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액체수용탱크가 노즐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어, 누액의 가능성이 존재하여 항시 신선한 화장품의 분사가 요구되는 미용업계에서는 매우 큰 골칫거리로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체저장수단을 분사노즐보다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노즐에 고여 있던 유체가 분사되는 일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신선한 유체의 분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무형 미용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모든 구성들을 바디 내부로 내장시킴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분사량 및 분사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유체를 골고루 펴 바를 수 있는 분무형 미용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정의 경사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하나의 경사면으로 하여 구비되는 통공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분무형 미용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직관적인 형상의 버튼부재의 누름 동작에 의해 분사를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버튼부재가 손잡이의 경사부 상에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분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한 분무형 미용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미용기기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상부에 구비된 제1장착부,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하부에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후방에 구비된 제3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에 구비되고,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수단, 그리고 상기 제3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장수단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4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된 제5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장착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5장착부에는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노출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체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분사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중앙에 구비된 통공 및 상기 통공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상기 통공은 상기 손잡이에 의해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측면 시점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유체저장수단에 저장된 유체를 이동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동되고 상기 경사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유체저장수단을 분사노즐보다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노즐에 고여 있던 유체가 분사되는 일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신선한 유체의 분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바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모든 구성들을 바디 내부로 내장시킴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분사량 및 분사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유체를 골고루 펴 바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소정의 경사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하나의 경사면으로 하여 구비되는 통공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직관적인 형상의 버튼부재의 누름 동작에 의해 분사를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버튼부재가 손잡이의 경사부 상에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분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분무형 미용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분무형 미용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바디의 상면 상세도.
도 4는 복수의 분무형 미용기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분사조절수단의 노브 상세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무형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수단(3)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보다 아래 측에 배치하여 유체 분사 시에 노즐에 고여 있던 잔여 유체가 분사(누액)되는 일이 없어 미용 증진뿐만 아니라 유체의 절약 및 안전사고 예방도 겸비한 분무형 미용기기(이하 미용기기로 간략하게 칭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상부에 구비된 제1장착부(E1),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하부에 구비된 제2장착부(E2)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후방에 구비된 제3장착부(E3)를 포함하는 바디(1)를 포함한다.
먼저 내부 공간 중 전방 상부의 의미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를 높이 방향에 대해 절반이 되는 지점보다 상부를 의미하고, 전방 하부는 높이 방향에 대해 절반이 되는 지점보다 하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방 상부에 구비된다고 함은 높이 방향에 대해 절반이 되는 지점보다 상부이기만 하면 만족하는 것이며, 제1장착부(E1)의 위치를 첨부된 도 2의 위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내부 공간 중 후방의 의미는 후술할 바디(1) 중앙에 구비되는 통공(10)을 기준으로 후방에 구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 공간 중 전방의 의미는 통공(10)을 기준으로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저장수단(3)은 분사노즐(2)보다 무조건적으로 아래에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장착부(E1)에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이 구비되고, 제2장착부(E2)에는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수단(3)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와는 다르게 유체저장수단(3)을 포함하여 분사노즐(2), 구동수단(4), 배터리 등 모든 구성이 바디(1)의 장착부 상에 구비되는 형태로써 바디(1)에 내장되어 있어, 보관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내장된 구성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는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장착부(E1)의 상부에 구비된 제4장착부(4) 및 상기 제1장착부(E1)와 상기 제2장착부(E2)의 사이에 구비된 제5장착부(E5)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5장착부(E5)에는 상기 바디(1)의 전면으로 노출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체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분사조절수단(21)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조절수단(21)은 상기 분사노즐(2)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인데, 유체저장수단(3) 내에 저장된 유체가 유로를 따라 분사노즐(2)로 이동할 때, 밸브 형식으로 유로 내에 이동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사조절수단(21) 대한 실시예로는 분사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등을 들 수 있고, 이 때 분사조절부재는 상기한 밸브의 플러그나 게이트에 해당한다.
그리고 노브를 사용자가 상기 분사조절수단(21)의 노브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유체가 분무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특징적인 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지면(211)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노브가 상기 바디(1)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확대도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접지면(211)은 'U'자 형상의 굴곡라인(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어 접지면(211)과 접지면(211) 사이에 변곡라인(212)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접지면(211) 및 접지면(211)과 접지면(211) 사이에 형성된 변곡라인(212)이 사용자의 손과 접지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노브의 옆면은 상기 노브와 접촉하는 손가락의 일정 부분을 접지면(211)과 변곡라인(212)이 둘러싸게 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에 따른 높은 접지력을 바탕으로 노브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3장착부(E3)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장수단(3)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분사노즐(2)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을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수단(4)에 의해서 유체가 분사노즐(2) 측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수단(4)은 펌프, 모터, 제어모듈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저장수단(3)이 구비되는 제2장착부(E2)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2장착부(E2)의 하부에 상기 유체저장수단(3)의 저장용기(33) 상부가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착부(E2)의 전면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잠금해제버튼(32)을 누름으로써 제2장착부(E2)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저장용기(33)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저장용기(33)의 목 부분이 제2장착부(E2) 상에 걸려 있으므로, 저장용기(33)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잠금해제버튼(32)을 누르고, 상기 저장용기(33)를 유체확인부(31) 측으로 빼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식의 잠금해제 방식에 대해서는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저장용기(33)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앰플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리고 유체확인부(31)는 바디(1)의 측면에 구비되는 빈 공간의 홀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홀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저장용기(33)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33)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제1장착부(E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4장착부(4)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터리는 후술할 구동수단(4)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특징적인 점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째로 배터리가 바디(1)의 전방과 후방에 걸쳐 구비된다는 점과 두 번째로 바디(1)의 내부 공간의 최상부에 위치한 제4장착부(E4)에 구비된다는 점이다.
먼저 첫 번째 특징과 관련하여,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고 전방과 후방에 모두에 걸쳐 배터리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특징과 관련하여 내부 공간의 최상부에 배치됨으로써 배터리의 교환 시에 상부 측 커버만 손쉽게 분리하여 배터리를 교체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서, 최하부에 배치될 때 보다 공간을 보다 더 콤팩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바디(1)는 중앙에 구비된 통공(10) 및 상기 통공(10)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17)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통공(10)은 상기 손잡이(17)에 의해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측면 시점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데,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통공(10)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폭 점증구간(W)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10)의 상부의 폭은 손가락 하나 정도가 들어갈 만한 폭을 갖게 되는 것인데, 파지 시에 통공(10) 상부의 협소한 폭과 미용기기의 자중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조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통공(10) 하부로 갈수록 광대해지는 폭으로 인해 버튼부재(4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통공(10)의 밑면을 반대편 손으로 파지를 함으로써 양 손 파지를 수행하는 등 이를 통한 효과는 다양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바디(1)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0)이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도록 경사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각은 소정의 경사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1
를 갖게 되는데, 4<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2
<5을 만족하는 경사각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3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상협하광에 따른 효과와 더불어 콤팩트한 공간의 확보를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4)은 상기 유체저장수단(3)에 저장된 유체를 이동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동되고 상기 경사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재(41)를 포함하는데, 소정의 압력을 획득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펌프라면 어떤 것이든 채용가능 할 것이며, 상기 구동수단(4)은 자명하게도 상기한 펌프와 연동된 모터를 포함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재(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되, 상기 경사면의 가운데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협하광 구조의 통공(10)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손가락의 제어반경이 확보되는 최초의 지점에 해당하는 곳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반경이라 함은 버튼부재(41)의 누름 동작 시에 손가락의 마디가 구부러지게 되어 마디가 구부러지는 만큼 전방에 소정의 공간을 더 확보할 필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버튼부재(41)의 제어에 필요한 반경을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버튼부재(41)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 측에 PCB 기판(42)과 접촉하게 되면서 구동수단(4)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버튼부재(41)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 상에 PCB 기판(42)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41)는 상기 버튼부재(41)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버튼안내부(411)를 확인할 수 있는데, 특징적인 점은 유체 분사를 단발성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쉬스위치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41)를 누르고 있으면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분사가 이루어지며, 유체 분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스위치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41)를 하단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버튼부재(41)에 손을 떼더라도 연속적으로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바디(1)는 상기 바디(1)의 전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바디(1)의 바깥 방향으로 각이 진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디(1)를 기준으로 좌우대칭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절곡부(11)를 포함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라운드 처리되는 방식과는 달리 상기 바디(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수직한 옆면에 평행한 가상의 선과 제1절곡부(11) 또는 제1상부절곡면(S1)이 소정의 각도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4
를 형성하면서 절곡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절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할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5
와 동일하게 형성시킬 경우에는 복수의 미용기기의 보관 시에 각도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6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7
를 이루고 있는 절곡부에 해당하는 제1절곡부(11)와 제2절곡부(12)를 접촉시켜 보관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미용기기(제1미용기기(B1), 제2미용기기(B2), 제3미용기기(B3), 제4미용기기(B4))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키면서 제1절곡부(11)와 제2절곡부(12)를 서로 맞닿게 하여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특히 미용을 업으로 하는 미용샵 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를 복수로 구비할 시에 그 효과가 부각될 수 있으며, 특히 바디(1) 전면부의 길이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8
과 손잡이(17) 사이의 거리
Figure 112020084726733-pat00009
의 비율은 제3절곡부(13) 또는 제3상부절곡면(S3)이 중심기선과 이루는 각도
Figure 112020084726733-pat00010
에 의해 결정되는데,
Figure 112020084726733-pat00011
,
Figure 112020084726733-pat00012
및 서로 마주보는 제3절곡부(13)가 만들어내는 이격공간은 손가락 2개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Figure 112020084726733-pat00013
을 한정할 수 있겠다.
물론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 및 제2상부절곡면(S1)(S2)의 형태가 아래로 갈수록 바깥방향으로 뻗쳐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효과를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바깥으로 나가는 방향으로 뻗치게 구성시키는 게 아니라 평평하게 구성시켜 제1 및 제2절곡부(11)(12)와의 접촉은 물론 제1 및 제2상부절곡면(S1)(S2)끼리도 맞닿게 하여 더욱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디(1)의 후방에도 마찬가지로 손잡이(17)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손잡이(17)의 전방 측 양 모서리 부분에 바깥 방향으로 각이 진 두 쌍의 제2 및 제3절곡부(12)(13)를 포함하고, 손잡이(17)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손잡이(17)의 후방 측에 해당하는 양 모서리 부분에 안쪽 방향으로 각이 진 세 쌍의 제4, 제5 및 제6절곡부(14)(15)(16)를 포함한다.
이들은 종래의 라운드 처리되는 형식과는 달리 각각 소정의 각을 갖게 됨으로써 라운드 처리에 비하여 데스그립(death grip)이 발생하는 확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그리고 특히 제2절곡부(12)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절곡부(11)와 대응되게 각도를 형성시켜 콤팩트한 보관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각각의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상부절곡면(S1)(S2)(S3)(S4)(S5)(S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기의 사용 시 모서리 부분과 모서리 부분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뾰족한 꼭지점에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뾰족한 꼭지점을 각이 지게 처리한 부분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상부절곡면(S1)(S2)(S3)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콤팩트한 보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의 상면은 상기 바디(1)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턱부(NS)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턱부(NS)의 특징적인 점은 상기 단턱부(NS)에 의해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게 되는바 바디(1)의 상면의 폭이나 길이보다 넓거나 긴 물체에 의해 상기 바디(1)의 상면 측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충돌이 상기 바디(1)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상기 단턱부(NS)와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또는 상기 단턱부(NS)와 1차로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한 후 2차적으로 바디(1)의 상면과의 충돌이 발생)
이에 따라 해당 충격이 바디(1)의 바깥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갖게 될 수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소정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바디(1)에 내장된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제4, 제5 및 제6절곡부(14)(15)(16)는 최소 3 ~ 4개 정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3개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7)를 움켜쥐기 힘든바 손잡이(17) 본연의 용도를 발휘하기 힘들어지고, 4개를 초과하여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데스그립 방지 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7)의 하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체저장수단(3)의 저장용기(3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구비함에 따라 앞서 언급한 유체확인부(31)를 밀폐시키게 되어 저장용기(33) 노출에 따른 저장용기(3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어 저장용기(33)의 교체 시에도 보호커버 구비에 따른 불편이 수반되지 않는다.
특히 이는 저장용기(33)가 해당 업계에서 유리 재질의 앰플 형태로 양산/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한 보호커버 구비에 따른 효과는 더욱 부각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측(또는 일단)은 좌측(또는 좌측 단부)으로, 타 측(또는 타단)은 우측(또는 우측 단부)으로 정의하여 서술하기로 하고, 도 6a 및 b의 각각의 좌측 확대도는 위에서 바라본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하며, 우측 확대도는 측단면 시점의 개략적인 설명도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는 상부 덮개(L10b)와,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 덮개부(L1)와, 하부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되, 중앙에 결착공을 구비하는 측벽(L20a)을 포함하는 개폐수단(L2)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폐수단(L2)부터 설명하면, 개폐수단(L2)은 덮개부(L1)와의 결합/해제를 위해 잠금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개폐수단(L2)에 내장되고, 상기 측벽(L20a)의 상단 일 측으로 노출된 버튼부에 연동되어 상기 결착공에 삽입되는 버튼블록(L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버튼블록(L21)은 버튼블록(L21)의 하단에 구비되고, 일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갖는 액추에이터(L21b)가 후술할 해제블록(L22)과 접촉되어 있어, 버튼블록(L21)의 버튼부(L21a)를 사용자가 누르면 버튼블록(L21)이 해제블록(L22)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밀릴 수 있게 되고, 버튼부(L21a)를 떼면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 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해제블록(L22)은 액추에이터(L21b)의 형상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고 상단이 상기 액추에이터(L21b)의 하단에 접하는 슬로프를 구비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로킹부와 잠금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해제부는 전술한 액추에이터(L21b)와 해제블록(L22)을 포함하며, 후술하겠지만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잠금수단의 해제부는 상기 해제블록(L22)이 이동하는 가동면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된 푸시블록(L25)을 포함하는데, 여기서의 가동면은 베이스 상단(L20c)과 베이스 하단(L20b)의 경계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푸시블록(L25)은 버튼블록(L21)의 하강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버튼블록(L21)의 상승에 의해 해제블록(L22)이 다시 타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동면의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블록(L22)이 가동면 상에서 푸시블록(L25)에 의해 이동되기 위해서는 일단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블록(L22)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1스프링(L24)이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잠금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 구비되고, 후술할 로킹부와, 결합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부는 일단 측의 상단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핀(L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은 일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고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L25)의 하강에 의해 타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타 측으로 이동하여 후술할 진입홈(L1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물론 이 경우에는 버튼블록(L21)은 상부로 상승하고, 이에 해제블록(L22)이 타 측으로 이동하는 결합과정의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타 측에 내장되어 상기 잠금핀(L26)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로킹핀(L261)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로킹핀(L261)은 후술할 로킹홈(L111)에 삽입됨으로써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측면이란 도 6을 뚫고 나오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술할 타 측면은 도 6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물론 이 때 도 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는 전방 및 후방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푸시블록(L25)이 다시 상승하게 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해제 과정에서 제일 먼저 상기한 로킹핀(L261)이 로킹홈(L111)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잠금핀(L26)의 일 측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의 외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구비됨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L26)의 일단 외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2스프링(L262)이 구비되고, 상기 로킹핀(L261)의 타 측면 내면에 구비되는 복귀수단으로써 제3스프링(L263)이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으면 버튼블록(L21)이 하강하면서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하고, 해제블록(L22)이 일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베이스 하단(L20b)에 내장되어 있던 푸시블록(L25)이 상승하면서 로킹핀(L26)이 로킹홈(L111)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핀(L26)이 진입홉(L11)을 빠져나오게 되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부(L21a)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측부 덮개(L10a)를 베이스에 접촉시킨 후 누르고 있던 버튼부(L21a)를 떼면 되는데, 물론 이 경우에는 해제되는 경우와 각 구성들이 반대로 이동되면서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L1)는 상기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 덮개(L10a)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측부 덮개(L10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자명하게도, 상부 덮개(L10b)의 타단에 구비되는 회동수단과 회동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수단에 대해서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회동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그 다음으로 상기 측부 덮개(L10a)는 하단에 로킹부를 포함하는데, 전술하였듯이 상기 로킹부는 잠금부의 잠금핀(L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 측으로 개구된 진입홈(L11) 및 상기한 로킹핀(L2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진입홈(L1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L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명하게도 이러한 진입홈(L11)과 로킹홈(L111)은 각각 상기 잠금핀(L26)과 로킹핀(L26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부와 잠금부가 결합/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는 유체확인부(31)를 상기 측부 덮개(L10a)가 밀폐시키게 되고, 상기 측부 덮개(L10a)의 반대편에는 상기 버튼부(L21a)가 상기 바디(1)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버튼부(L21a)를 눌러 측부 덮개(L10a)를 개방시킴으로써 유체의 잔량 확인 및 저장용기(33)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1 : 제1장착부 E2 : 제2장착부
E3 : 제3장착부 E4 : 제4장착부
E5 : 제5장착부
1 : 바디 2 : 분사노즐
3 : 유체저장수단 4 : 구동수단

Claims (4)

  1.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상부에 구비된 제1장착부, 상기 내부 공간 중 전방 하부에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후방에 구비된 제3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제1장착부에 구비되고,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제2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수단; 및
    상기 제3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장수단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4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사이에 구비된 제5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장착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제5장착부에는 상기 바디의 전면으로 노출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체의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분사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미용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중앙에 구비된 통공 및 상기 통공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상기 통공은 상기 손잡이에 의해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측면 시점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미용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유체저장수단에 저장된 유체를 이동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동되고 상기 경사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미용기기.
KR1020200101012A 2020-08-12 2020-08-12 분무형 미용기기 KR10240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12A KR102407774B1 (ko) 2020-08-12 2020-08-12 분무형 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12A KR102407774B1 (ko) 2020-08-12 2020-08-12 분무형 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55A KR20220020555A (ko) 2022-02-21
KR102407774B1 true KR102407774B1 (ko) 2022-06-10

Family

ID=8047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12A KR102407774B1 (ko) 2020-08-12 2020-08-12 분무형 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69B1 (ko) 2009-11-25 2010-04-28 (주)크린파워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KR101001573B1 (ko) * 2010-01-07 2010-12-21 김새롬 이·미용용 중화제 분사기
KR101626204B1 (ko) 2014-07-25 2016-05-31 박청진 약액 분무장치
US20170320078A1 (en) * 2016-05-09 2017-11-09 The Sherwin-Williams Company Spra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69B1 (ko) 2009-11-25 2010-04-28 (주)크린파워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기
KR101001573B1 (ko) * 2010-01-07 2010-12-21 김새롬 이·미용용 중화제 분사기
KR101626204B1 (ko) 2014-07-25 2016-05-31 박청진 약액 분무장치
US20170320078A1 (en) * 2016-05-09 2017-11-09 The Sherwin-Williams Company Spr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55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0841C (en) Nasal sprayer with folding actuator
CA1091198A (en) Manualy operative atomizer
US20120006857A1 (en) Pumping device of fluid container and press button
CA1052330A (en) Cap for atomizer
KR102407774B1 (ko) 분무형 미용기기
CA2245045C (en) A manually-operated liquid discharge container having a finger knob
KR100737537B1 (ko) 어린아이에게 안전한 방아쇠 구동 액체 분사기 및 그 작동방법
CN1827231A (zh) 一种喷枪
KR200222263Y1 (ko) 에어로졸 분사장치
JP4460380B2 (ja) 操作補助部材および該操作補助部材を備えた噴射装置
KR101289701B1 (ko) 휴대용 가스 토치
EP0096402A1 (de) Auslöserbetätigbare Ausgabehaube für einen unter Innendruck stehenden Behälter
EP3130406A1 (en) Automatic trigger-lock safety mechanism
JP2012062090A (ja) スプレー容器のノズル安全装置
CN2907914Y (zh) 一种喷枪
DK1254072T3 (da) Håndholdt pumpesprayapparat
JP3442583B2 (ja) 噴霧器
KR20030022162A (ko) 캡이 부착된 에어로졸 용기
JP4951229B2 (ja) エアゾール装置
US20120091167A1 (en) Apparatus and trigger mechanism for discharging aerosol containers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2651071B1 (ko) 분사 세기 조절이 가능한 듀얼 스프레이 헤드
JP5841058B2 (ja) 噴射装置
JP4408875B2 (ja) エアゾール装置
JP3958497B2 (ja) トリガ式液体噴出器
KR102200266B1 (ko) 분무기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