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12B1 -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 Google Patents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12B1
KR102584212B1 KR1020210119901A KR20210119901A KR102584212B1 KR 102584212 B1 KR102584212 B1 KR 102584212B1 KR 1020210119901 A KR1020210119901 A KR 1020210119901A KR 20210119901 A KR20210119901 A KR 20210119901A KR 102584212 B1 KR102584212 B1 KR 10258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coil
pin support
bobbin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866A (ko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12B1/ko
Priority to CN202222024483.1U priority patent/CN218274207U/zh
Publication of KR2023003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제1 몸체부는,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코일 권선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제2 연결핀 지지부는 각각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을 인출시키는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고, 제1 기판 안착부 및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제1 기판 안착부는,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제2 기판 안착부는,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다.

Description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BOBBIN,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TRANSFORM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빈 및 변압 장치와 관련된다.
변압 장치(Transfomer)는 전기의 전압을 해당 전기 제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소형화 되고 박막화 되는 것이 추세인 바, 이러한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변압 장치도 소형화 및 박막화되고 있다. 또한, 변압 장치에는 코일이 권선되는데, 코일의 권선 시 이웃하는 변압 장치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1481호(2008.04.0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권선이 용이한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는 각각, 상기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을 인출시키는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상기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절곡되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와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단을 잇는 제3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단을 잇는 제4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권선 회전 반경은,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상기 제3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에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은, 상기 보빈의 최하단면 보다 높이가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은, 상기 보빈의 높이 방향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에 권취되는 코일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종단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 보다 높이가 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결합 돌기의 상단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미세 안착 돌기;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수직 방향 결합 시 상기 미세 안착 돌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결합 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미세 안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제1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제2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권선 회전 반경은,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는,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몸체부가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을 인출시키는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상기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제조 방법은,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의 양측에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제2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제1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 각각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몸체부가 회전 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가 코일 인출 장치를 마주보도록 상기 수평한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부를 상기 회전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 장치 및 상기 코일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에 제1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보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 장치 및 상기 코일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에 제2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된 제1 코일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에 연결된 제2 코일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를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함으로써, 코일 권선 시 이웃하는 변압 장치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코일을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연결핀 부재와 제2 연결핀 부재가 코일 인출 장치를 마주보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한 후 코일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솔더링 작업 후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를 절곡함에 따라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가 손상되거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의 길이가 균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기판 안착부 및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 높이를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의 종단 보다 높이가 높으면서 보빈의 최하단면 보다 높이가 높도록 마련함으로써, 변압 장치가 기판에 실장될 때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분해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저면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에서 제1 몸체부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제1 몸체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제1 몸체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의 분해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에서 보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변압 장치(100)는 제1 몸체부(102), 제2 몸체부(104), 및 코어 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재(106)는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빈(101)은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는 코일이 권취되는 부분으로 변압 장치의 보빈(Bobbin)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2)에는 제1 코일(50)이 권선된다. 제1 몸체부(102)는 코일 권선부(111),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몸체부(102)에 제1 코일(50)을 권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코일 권선부(111)는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 사이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제2 연결핀 지지부(115)를 연결하며 마련된다. 제1 베이스부(121)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이 제2 몸체부(104)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제1 몸체부(102)의 상면과 제2 몸체부(104)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이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과 단차가 있게 마련됨에 따라, 제1 코일(50)이 권선되는 영역(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영역)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코일 권선부(111)에서 제1 코일(50)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영역까지 용이하게 권선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권선 몸체부(123)는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주면에는 제1 코일(50)이 권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는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관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에 제1 코일(50)을 권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권선 몸체부(123)의 내측에는 코어 삽입홀(129)이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에는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몸체부(102)의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은 도 1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베이스부(121)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코어 삽입홀(129)은 제1 몸체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도 1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커버부(125)는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125)는 제1 베이스부(12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부(125)는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부(125)가 제1 권선 몸체부(123)의 하단에서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측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1 권선 몸체부(123)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1 코일(50)은 제1 커버부(125)에 의해 하부로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커버부(125)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 사이에서 권선될 수 있게 된다.
제1 연장부(127)는 제1 커버부(125)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21), 제1 권선 몸체부(123), 제1 커버부(125), 및 제1 연장부(127)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장부(127)는 제1 커버부(125)의 양측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연장부(127)가 제1 커버부(125)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장부(127)는 제1 커버부(125)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의 일측에 마련된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핀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부(121)의 일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외측 단부(외측을 향하는 단부)에는 제1 코일(50)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핀 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부재(13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연결핀 지지돌기(113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부재(131)는 하부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핀 부재(131)는 제1 연결핀 부재(131)의 단부가 제1 연결핀 지지돌기(113a)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핀 부재(131)는 그 종단이 권선 장치(미도시)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선 장치(미도시)가 변압 장치(100)의 코일을 권선할 때 이웃하는 변압 장치(10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길이(L1)는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길이(L2)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는 제1 몸체부(102)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연결되는 제1 코일(50)과 제2 몸체부(104)에 권선되는 제2 코일(60)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양측 단부에는 제1 기판 안착부(133)가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판 안착부(133)의 단부는 기판(미도시)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판 안착부(133)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기판(미도시) 상에 안착되는 변압 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기판 안착부(133)는 특정 영역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몸체부(102)에는 테두리 격벽(119)이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 격벽(119)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의 타측에 마련된다. 즉, 제2 연결핀 지지부(115)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반대되는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의 타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15)는 제1 베이스부(121)의 상면보다 높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단부에는 제2 코일(60)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핀 부재(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핀 부재(139)는 하부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핀 부재(139)는 제2 연결핀 부재(139)의 단부가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핀 부재(139)는 그 종단이 권선 장치(미도시)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선 장치(미도시)가 변압 장치(100)의 코일을 권선할 때 이웃하는 변압 장치(10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양측 단부에는 제2 기판 안착부(135)가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 안착부(135)의 단부는 기판(미도시)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기판 안착부(135)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기판(미도시) 상에 안착되는 변압 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기판 안착부(135)는 특정 영역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보빈(101)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면(P)(즉, 제2-2 연장부(147-2)의 하면)을 기준으로 보면,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종단 높이는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 높이가 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종단은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종단 높이는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종단 높이는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의 종단 보다는 낮으면서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의 종단 높이는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 높이가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의 종단은 보빈(101)의 높이 방향에서 제1 코일(50) 및 제2 코일(60)이 권취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의 종단 높이는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종단 보다 높이가 높으면서 보빈(101)의 최하단면(P) 보다도 높이가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 장치(100)가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때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가 형성됨으로써, 변압 장치(100)가 기판(미도시) 상에 안착될 때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몸체부(102)의 각 모서리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2)의 제1 베이스부(121) 및 제1 커버부(125)의 폭(W1)은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 및 제1 커버부(125)의 폭(W1)은 제1 몸체부(102)의 높이(H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몸체부(104)에는 제2 코일(60)이 권선된다. 제2 몸체부(104)의 내측에는 제1 몸체부(102)의 코일 권선부(1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149)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제2 몸체부(104)의 높이 방향으로 제2 몸체부(104)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홀(149)은 제2 몸체부(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2)가 제2 몸체부(104)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2)를 내리게 되면, 코일 권선부(111)가 수용홀(149)에 삽입되어 수용되게 된다. 즉,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 경우, 코일 권선부(111)는 제2 몸체부(104)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형태가 된다. 그로 인해, 제1 코일(50)이 제2 몸체부(104)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게 된다.
제2 몸체부(104)는 각 모서리 부분이 일정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코일(60)을 제2 몸체부(104)에 권선할 때 보다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게 된다. 제2 몸체부(104)는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는 코일 권선부(111)가 수용홀(149)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베이스부(121)와 대응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21)는 제2 베이스부(141)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베이스부(141)가 제1 베이스부(121)의 외측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하면에 안착되면, 제2 베이스부(141)는 제1 베이스부(121)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은 제1 베이스부(1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은 제1 베이스부(121)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에는 제1 몸체부(10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51)가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2)에는 결합 돌기(15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153)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홀(153)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홀(153)은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홀(153)은 결합 돌기(151)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돌기(151)의 상단 양측에는 미세 안착 돌기(151a)가 마련될 수 있다. 미세 안착 돌기(151a)는 결합 돌기(151)의 상단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결합 홀(153)의 테두리에는 미세 안착 돌기(151a)가 안착되는 미세 안착 홈(153a)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 결합 돌기(151)가 결합 홀(153)로 삽입되면서 미세 안착 돌기(151a)가 미세 안착 홈(153a)에 안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는 각각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되,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몸체부(104)는 제1 몸체부(102)에 비하여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02)는 제2 몸체부(104)에 비하여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결합 돌기(151)의 미세 안착 돌기(151a)가 가지는 탄성으로 결합 홀(153)을 지나면서 미세 안착 홈(153a)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 돌기(151)와 결합 홀(153)은 끼움 결합되듯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몸체부(104)가 제1 몸체부(102)에 비하여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2 몸체부(104)가 가지는 탄성으로 인해 결합 돌기(151)와 결합 홀(153)이 끼움 결합되어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부(102)에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가 모두 형성되는데,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제2 연결핀 부재(139)에 제1 코일(50) 및 제2 코일(60)을 연결할 때 솔더링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 몸체부(102)가 제2 몸체부(104)에 비하여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솔더링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보다 강인한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몸체부(102)에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를 모두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결합 돌기(151)가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에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돌기(151)는 제2 베이스부(141)의 상면에서 제2 연결핀 지지부(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결합 홀(153)은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51)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그와 대응하여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 각각 결합 홀(153)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결합 홀(153)이 형성되는 경우, 결합 홀(153)은 코일 권선부(111)에 권선된 제1 코일(50)이 제1 연결핀 부재(131)와 바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코일 권선부(111)에 권선된 제1 코일(50)은 결합 홀(153)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와 제1 연결핀 부재(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는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주면에는 제2 코일(60)이 권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는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관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에 제2 코일(60)을 권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권선 몸체부(143)의 내측에는 코일 권선부(1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홀(14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45)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커버부(145)는 제2 베이스부(14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145)는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커버부(145)가 제2 권선 몸체부(143)의 하단에서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측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2 권선 몸체부(143)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2 코일(60)은 제2 커버부(145)에 의해 하부로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커버부(145)와 제2 베이스부(141)의 하면 사이에서 권선될 수 있게 된다.
제1 코일 권선부(111)가 수용홀(149)에 삽입되어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가 제2 몸체부(104)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제2 커버부(145)는 제1 커버부(125)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 제1 커버부(125)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145)의 상면은 제1 커버부(125)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45)의 하면은 제1 커버부(125)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47)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141), 제2 권선 몸체부(143), 제2 커버부(145), 및 제2 연장부(147)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147)는 제2-1 연장부(147-1) 및 제2-2 연장부(1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장부(147-1)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1 연장부(147-1)는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1 연장부(147-1)는 제1 연장부(127)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2 연장부(147-2)는 제2-1 연장부(147-1)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연장부(147)가 제2 커버부(145)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연장부(147)는 제2 커버부(145)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102)의 코일 권선부(111)가 제2 몸체부(104)의 수용홀(149)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코일 권선부(111)와 제2 몸체부(104)의 높이가 동일(즉, 코일 권선부(111)의 상면 및 하면이 제2 몸체부(104)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함에 따라, 변압 장치(10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몸체부(104)의 제2 베이스부(141) 및 제2 커버부(145)의 폭(W2)은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1) 및 제2 커버부(145)의 폭(W2)은 제2 몸체부(104)의 높이(H2)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몸체부(102)의 제1 베이스부(121) 및 제1 커버부(125)의 폭(W1)과 제2 몸체부(104)의 제2 베이스부(141) 및 제2 커버부(145)의 폭(W2)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 부재(106)는 변압 장치(100)의 자심으로 사용된다. 코어 부재(106)는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6-1)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되고, 제2 코어 부재(106-2)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코어 부재(106-1)는 제1 코어 몸체(106-1a), 제1 코어 돌기부(106-1b), 및 제1 측면 돌기부(106-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6-1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6-1a)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1b)는 제1 코어 몸체(106-1a)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1b)는 코어 삽입홀(129)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코어 돌기부(106-1b)는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측면 돌기부(106-1c)는 제1 코어 몸체(106-1a)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어 몸체(106-1a)가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에 안착되는 경우, 제1 측면 돌기부(106-1c)는 제2 몸체부(104)의 양측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부재(106-2)는 제2 코어 몸체(106-2a), 제2 코어 돌기부(106-2b), 및 제2 측면 돌기부(106-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6-2a)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6-2a)는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6-2b)는 제2 코어 몸체(106-2a)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6-2b)는 코어 삽입홀(129)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코어 돌기부(106-2b)는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측면 돌기부(106-2c)는 제2 코어 몸체(106-2a)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코어 몸체(106-2a)가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하측에 안착되는 경우, 제2 측면 돌기부(106-2c)는 제2 몸체부(104)의 양측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가 EE 형태로 이루어져 그 일부가 각각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는 그 이외에도 EI 형, EVD 형, EED 형, EP 형, EEH 형 등 다양한 형태의 코어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코어 부재(106)는 그 형태에 따라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보빈(101)이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빈(101)은 제1 몸체부(102)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보빈(101)은 제2 몸체부(104) 없이 양측에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를 구비한 제1 몸체부(102)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저면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각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부(102)의 제1 베이스부(121) 및 제1 커버부(125)의 폭(W1)이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게 마련되며, 제2 몸체부(104)의 제2 베이스부(141) 및 제2 커버부(145)의 폭(W2)이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게 마련됨으로써, 권선 장치(미도시)가 보빈(101)의 내측에서 제2 코일(60)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 회전 반경을 확보할 수 있어 제2 코일(60)을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권선 회전 반경은 도 10 및 도 11에서 후술하는 회전 장치(70)에 의해 보빈(101)이 회전할 때, 코일 인출 장치(80)의 단부에 의해 그려지는 가상의 원을 의미할 수 있다. 권선 회전 반경은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의 내측 또는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내측에 형성되면서, 제2 몸체부(104)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각각 수직하게 절곡되어 마련됨으로써, 권선 장치(미도시)가 변압 장치(100)의 코일을 권선할 때 이웃하는 변압 장치(10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변압 장치(100)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서 각각 권선 회전 반경을 벗어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가 권선 장치(미도시)에 의한 코일 권선 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에서 제1 몸체부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판 안착부(133)는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A1)을 기준으로 제1 라인(A1)의 외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서 코일 권선부(111)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A2)을 기준으로 제2 라인(A2)의 외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일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일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코일 권선부(111)의 일측단을 잇는 제3 라인(A3)을 기준으로 제3 라인(A3)의 외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핀 지지부(113)의 타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의 타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코일 권선부(111)의 타측단을 잇는 제4 라인(A4)을 기준으로 제4 라인(A4)의 외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제1 몸체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제1 몸체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권선 장치는 회전 장치(70) 및 코일 인출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70)의 회전 축은 제1 몸체부(102)의 코어 삽입홀(129)에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장치(70)는 코일을 제1 몸체부(102)에 권선시킬 때, 제1 몸체부(10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일 인출 장치(80)는 제1 몸체부(102)에 권선시킬 코일을 인출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코일 인출 장치(80)에서 인출된 코일(즉, 제1 코일)은 제1 연결핀 부재(131)에 연결되고, 제1 몸체부(102)가 회전하면서 코일 권선부(111)에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는 코일 인출 장치(80) 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코일 인출 장치(80) 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2)에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코일 인출 장치(80)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핀 부재(131), 제2 연결핀 부재(139),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코일 인출 장치(80)와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핀 부재(131), 제2 연결핀 부재(139), 제1 기판 안착부(133), 및 제2 기판 안착부(135)는 코일 인출 장치(80)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권선 회전 반경 내에서 코일을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102)에 제1 코일을 권선한 경우, 제1 몸체부(102)에 제2 몸체부(10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2 몸체부(104)에 코일(즉, 제2 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코일 인출 장치(80)에서 인출된 코일은 제2 연결핀 부재(139)에 연결되고, 제2 몸체부(104)가 회전하면서 제2 몸체부(104)에 권선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코일 권선부(111)의 양측에 제1 연결핀 지지부(113) 및 제2 연결핀 지지부(115)가 형성된 제1 몸체부(102)를 준비하고, 제2 몸체부(104)를 준비한다(도 12의 (a)).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는 제1 기판 안착부(133)가 형성되고,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는 제2 기판 안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핀 지지부(113)에 형성되는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지지부(115)에 형성되는 제2 연결핀 부재(139)는 제1 몸체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몸체부(102)에서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를 하부로 절곡시킨다(도 12의 (b)). 즉, 제1 몸체부(102)가 회전 장치(70)에 장착되었을 때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코일 인출 장치(80)를 마주보도록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를 절곡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제1 몸체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것을 하부로 절곡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를 처음부터 하부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몸체부(102)를 회전 장치(70)에 장착하고, 회전 장치(70) 및 코일 인출 장치(80)를 이용하여 제1 몸체부(102)에 제1 코일(50)을 권선한다(도 12의 (c)). 이때, 코일 인출 장치(80)에서 인출되는 제1 코일(50)은 제1 연결핀 부재(131)에 연결되고, 제1 몸체부(102)가 회전하면서 코일 권선부(111)에 권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코일(50)이 권선된 제1 몸체부(102)에 제2 몸체부(104)를 결합시킨다(도 12의 (d)). 이때, 제1 몸체부(102)의 하부에 제2 몸체부(10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하여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수직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의 결합은 제1 몸체부(102)가 회전 장치(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02)가 회전 장치(70)에 장착되고, 제1 코일(50)을 제1 몸체부(102)에 권선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2)와 제2 몸체부(104)를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 장치(70) 및 코일 인출 장치(80)를 이용하여 제2 몸체부(104)에 제2 코일(60)을 권선한다(도 12의 (e)). 이때, 코일 인출 장치(80)에서 인출되는 제2 코일(60)은 제2 연결핀 부재(139)에 연결되고, 제2 몸체부(104)가 회전하면서 제2 몸체부(104)에 권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102)가 회전 장치(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코일(50)을 제1 몸체부(102)에 권선한 후, 제2 몸체부(104)를 제1 몸체부(102)와 결합시키고 제2 코일(60)을 제2 몸체부(104)에 권선함으로써, 변압 장치(100)의 코일 권선 작업을 간소화 하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연결핀 부재(131)에 연결된 제1 코일(50)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에 연결된 제2 코일(60)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한다(도 12의 (f)). 그 후, 제1 코어 부재(106-1) 및 제2 코어 부재(106-2)가 각각 제1 몸체부(102) 및 제2 몸체부(104)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코일 인출 장치(80)를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코일(50, 60)이 권선된 후, 코일(50, 60)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솔더링 작업에 의해 손상되거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연결핀 부재(131) 및 제2 연결핀 부재(139)의 길이가 균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에는 코일을 보빈에 권선하고 솔더링 작업을 수행한 후 연결핀 부재를 절곡하였는데, 솔더링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즉, 연결핀 부재에 열이 가해진 상태에서) 연결핀 부재를 절곡하기 때문에, 연결핀 부재가 손상되거나 연결핀 부재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핀 부재(131)와 제2 연결핀 부재(139)가 코일 인출 장치(80)를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코일(50, 60)이 권선된 후, 코일(50, 60)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변압 장치
101 : 보빈
102 : 제1 몸체부
104 : 제2 몸체부
106 : 코어 부재
106-1 : 제1 코어 부재
106-1a : 제1 코어 몸체
106-1b : 제1 코어 돌기부
106-1c : 제1 측면 돌기부
106-2 : 제2 코어 부재
106-2a : 제2 코어 몸체
106-2b : 제2 코어 돌기부
106-2c : 제2 측면 돌기부
111 : 코일 권선부
113 : 제1 연결핀 지지부
113a : 제1 연결핀 지지 돌기
115 : 제2 연결핀 지지부
119 : 테두리 격벽
121 : 제1 베이스부
123 : 제1 권선 몸체부
125 : 제1 커버부
127 : 제1 연장부
129 : 코어 삽입홀
131 : 제1 연결핀 부재
133 : 제1 기판 안착부
135 : 제2 기판 안착부
139 : 제2 연결핀 부재
141 : 제2 베이스부
143 : 제2 권선 몸체부
145 : 제2 커버부
147 : 제2 연장부
147-1 : 제2-1 연장부
147-2 : 제2-2 연장부
149 : 수용홀
151 : 결합 돌기
151a : 미세 안착 돌기
153 : 결합 홀
153a : 미세 안착 홈

Claims (14)

  1.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는 각각, 상기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을 인출시키는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상기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는, 보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되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와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보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단을 잇는 제3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단을 잇는 제4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는, 보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권선 회전 반경은,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상기 제3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에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은,
    상기 보빈의 최하단면 보다 높이가 높도록 마련되는, 보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은,
    상기 보빈의 높이 방향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에 권취되는 코일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보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종단 높이는,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종단 보다 높이가 낮도록 마련되는, 보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을 더 포함하는, 보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결합 돌기의 상단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미세 안착 돌기;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수직 방향 결합 시 상기 미세 안착 돌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결합 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미세 안착 홈을 더 포함하는, 보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제1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는 제2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되는, 보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권선 회전 반경은,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보빈.
  12.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일부가 상기 코어 삽입홀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1 연결핀 지지부;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제2 연결핀 부재가 형성되는 제2 연결핀 지지부;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몸체부가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코일을 인출시키는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각각, 보빈이 회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 인출 장치와 마주보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는, 변압 장치.
  13. 내측에 코어 삽입홀이 마련되는 코일 권선부의 양측에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제2 연결핀 지지부가 형성된 제1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 각각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제1 연결핀 부재 및 제2 연결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몸체부가 회전 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가 코일 인출 장치를 마주보도록 상기 수평한 제1 연결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핀 부재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부를 상기 회전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 장치 및 상기 코일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몸체부에 제1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기판 상에 안착되는 제2 기판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일단을 잇는 제1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기판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핀 지지부에서 상기 코일 권선부의 타단을 잇는 제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는, 보빈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코일이 권선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 장치 및 상기 코일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에 제2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결핀 부재에 연결된 제1 코일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결핀 부재에 연결된 제2 코일에 솔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빈의 제조 방법.
KR1020210119901A 2021-09-08 2021-09-08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KR10258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01A KR102584212B1 (ko) 2021-09-08 2021-09-08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CN202222024483.1U CN218274207U (zh) 2021-09-08 2022-08-02 骨架及变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01A KR102584212B1 (ko) 2021-09-08 2021-09-08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866A KR20230036866A (ko) 2023-03-15
KR102584212B1 true KR102584212B1 (ko) 2023-10-05

Family

ID=8476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01A KR102584212B1 (ko) 2021-09-08 2021-09-08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4212B1 (ko)
CN (1) CN21827420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033A (ja) 2011-05-09 2012-11-29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13115378A (ja) 2011-11-30 2013-06-10 Tdk Corp 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5493A1 (ja) 2005-08-01 2007-02-08 Tamura Corporation トランスの製造方法およびトランス
KR102023252B1 (ko) * 2017-02-10 2019-09-19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보빈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및 와인딩 방법
KR102145856B1 (ko) * 2018-11-27 2020-08-19 주식회사 필룩스 변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033A (ja) 2011-05-09 2012-11-29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13115378A (ja) 2011-11-30 2013-06-10 Tdk Corp 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274207U (zh) 2023-01-10
KR20230036866A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6436B (zh) 变压器及具备该变压器的平板显示器装置
CN103680860B (zh) 变压器
CN100585756C (zh) 用于电子元件的支座和带有所述支座的组件
CN102376434A (zh) 变压器及具备该变压器的平板显示器装置
EP0415643B1 (en) Terminal assembly for linear magnetic component bobbin
US6559749B1 (en) Coil former
KR102584212B1 (ko) 보빈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변압 장치
JP4837485B2 (ja)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KR102697747B1 (ko)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US20140266553A1 (en) Bobbin and magnetic mechanism using the same
KR102601486B1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KR102143868B1 (ko)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53310B1 (ko)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 코일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KR10114133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091510A (ja) 非接触給電装置
JP2011091136A (ja) コイル
KR20240025572A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JP6641236B2 (ja) コイル部品
KR102702176B1 (ko) 투인원 트랜스포머 및 이를 위한 보빈
JP5059050B2 (ja) 巻線枠および巻線部品
CN210489433U (zh) 可自动化绕线的骨架及变压器
KR102718595B1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CN214101074U (zh) 一种步进电机
CN216353733U (zh) 一种变压器骨架和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