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84B1 -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84B1
KR102584084B1 KR1020210009443A KR20210009443A KR102584084B1 KR 102584084 B1 KR102584084 B1 KR 102584084B1 KR 1020210009443 A KR1020210009443 A KR 1020210009443A KR 20210009443 A KR20210009443 A KR 20210009443A KR 102584084 B1 KR102584084 B1 KR 10258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lecithin
extract
solu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891A (ko
Inventor
옥민
김정욱
이성은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오케이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21000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COMPOSITION HAV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OR ANTI-BACTERIAL ACTIVITY COMPRISING GARLIC AND LECITHI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증류수 대신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이 보다 향상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인경작물로 예로부터 식용 및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감소 등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약 60% 정도의 수분, 28% 탄수화물(주로 fructan), 2.3% 유기황화합물, 2% 단백질(주로 allinase), 1.2% 유기아미노산(주로 arginine), 1.5% 섬유소, 0.15% 지방, 소량의 피친산(Phytic acid, 0.08%), 사포닌(0.07%), 그리고 시토스테롤(0.0015%)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B1, B2, C 등의 비타민류와 칼슘, 칼륨, 구리, 아연, 게르마늄, 철, 마그네슘, 망간, 인, 황, 셀레늄 등의 무기물도 미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마늘 추출물은 증류수나 저급 알코올 등의 추출용매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통해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늘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식물 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다양한 약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늘 추출물의 경우, 마늘에 포함된 다양한 약리효과와 그 효능을 충분히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472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마늘의 다양한 약리 효과 및 마늘의 효능성분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수득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이 종래 증류수를 사용한 마늘 추출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동시에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갖는 마늘 레시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레시틴 수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레시틴 수용액은 대두, 해바라기 또는 달걀로부터 유래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들의 수소첨가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레시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알리나제, 알린, 알리신, 및 아호엔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한 추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하기 (i) 및 (ii)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 일례로, (i)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값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1배 이상이며, (ii)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흡광도 값(234 nm 기준)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3배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들면, (i) 마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ii) 레시틴과 물을 혼합한 후 1 내지 1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레시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마늘 재료 및 상기 레시틴 수용액을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0 내지 30분간 침적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재료는 마늘 분쇄물, 마늘 착즙액, 마늘 착즙 잔사, 및 마늘 건조분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마늘 분쇄물은 탈피한 생마늘의 끝부분을 제거한 후 분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추출 단계는, 마늘 분쇄물 및 레시틴 수용액을 1 : 1.5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0 내지 75℃로 가온한 후 3 내지 20분간 침적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늘 추출물 제조시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함에 따라, 마늘에 포함된 고유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보다 개선함과 동시에 마늘이 지닌 고유의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유의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및/또는 항균 효능이 요구되는 의약품, 화장품,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능 효능 평가)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5 및 6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능 효능 평가)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항염증 평가)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5 및 6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항염증 평가)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 활성(paper disc) 결과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 및 4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 활성(paper disc) 결과 사진이다.
도 8 및 9는 실시예 1 및 5-6에서 제조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항균 활성(paper disc) 결과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B)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A)에 포함된 알린(alliin) 함량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B)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A)에 포함된 아호엔(ajoene) 함량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임의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고자 사용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마늘에 추출용매로서 레시틴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 정제과정을 추가로 적용하여 얻은 것; 그리고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 자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가공물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마늘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마늘 레시틴 추출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은,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수득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레시틴은 마늘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용출을 보다 상승시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레시틴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 공정은 단회일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소정 시간동안 침적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i) 마늘 재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ii) 레시틴과 물을 혼합한 후 1 내지 1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레시틴 수용액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iii) 상기 마늘 재료 및 상기 레시틴 수용액을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0 내지 30분간 침적하여 추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을 각 공정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마늘 재료 준비단계
마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마늘의 분쇄물, 마늘 착즙액, 마늘 착즙의 잔사, 및 마늘 건조분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마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피한 생마늘의 끝부분을 제거한 후 분쇄된 마늘 분쇄물일 수 있다.
제2 단계: 레시틴 수용액 제조단계
본 발명에서는 마늘 추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추출용매로서 소정의 레시틴 용액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증류수 또는 저급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는 종래기술과 구별된다.
상기 레시틴 수용액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레시틴(lecithin) 또는 인지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레시틴 수용액은 0.5% 내지 10%의 농도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의 농도일 수 있다.
레시틴 수용액에 포함되는 레시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천연에서 유래한 천연 레시틴이나 인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레시틴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대두, 해바라기 또는 달걀로부터 유래된 레시틴,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hosphatidylglycerol),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hosphatidylinositol), 또는 이들의 수소첨가생성물(예를 들면,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 콩유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단계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증류수에 레시틴 분말을 첨가한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해 레시틴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초음파 처리는 레시틴과 증류수를 균질화하여 충분히 분산 및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초음파 파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연속순환식 초음파분산기(Ultrasonic Liquid 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조건 하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온에서 10 내지 70%의 진폭(amplitude) 조건으로 1 내지 15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진폭 조건에서 2 내지 5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제3 단계: 마늘 레시틴 추출단계
상기 제3단계는, 전술한 제2 단계에서 제조된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단계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제1 단계에서 준비된 마늘 분쇄물과 제2 단계에서 제조된 레시틴 수용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침적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마늘 분쇄물과 레시틴 수용액의 혼합 비율은 마늘에 포함된 효능 성분의 추출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마늘 분쇄물과 레시틴 수용액은 1 : 1.5 내지 5.0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 1.5 내지 3.0 중량비일 수 있다.
이어서, 혼합된 마늘 분쇄물과 레시틴 수용액의 혼합물은 소정의 온도로 가온한 후 일정 시간 침적시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조건 내에서 적절히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 마늘에 포함된 효능 성분의 추출효율을 고려하여, 추출온도는 35℃ 내지 80℃, 구체적으로 40 내지 75℃일 수 있다. 또한 추출시간은 0 내지 30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 내지 20분일 수 있다.
제4 단계: 여과 및 마늘 재료 제거단계
필요에 따라, 상기 제3 단계에서 수득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거즈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마늘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수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증류수나 정제수 대신에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저급 알코올용매를 사용한 레시틴 알코올 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분획 등의 공정을 더 거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분획 용매는 전술한 추출 용매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제방법의 예를 들면,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순상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Normal phase adsorption chromatography),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법 (ion exchange chromatography),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추가 정제방법을 수행하는 각각 농도구배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하거나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건조 공정을 통하여 분말 상태로 고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천연 물질에서 유래된 물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마늘 자체에 포함된 효능 성분의 추출 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알리나제, 알린, 알리신, 및 아호엔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한 추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늘 레시틴 추출물에 포함된 알린의 함량은, 증류수 추출용매를 사용한 마늘 추출물(레시틴 비포함)에 포함된 알린 함량 대비 1.3배 이상 증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3 내지 1.5배 범위로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에 포함된 아호엔의 함량은, 증류수 추출용매를 사용한 마늘 추출물(레시틴 비포함)에 포함된 아호엔 함량 대비 3.4배 이상 증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4 내지 3.9배 범위로 증대될 수 있다(하기 표 5 및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한 마늘 추출물 보다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동시에 발휘하므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하기 (i) 내지 (iii)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i) 내지 (iii)의 물성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L) 값은, 레시틴을 비(非)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DW) 값보다 높을 수 있다. 일례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값(EDAL)은 레시틴을 비(非)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DW)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1배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또한 (ii)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흡광도 값(ABSL, 234 nm 파장 기준)은, 레시틴을 비(非)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흡광도 값(ABSDW)보다 높을 수 있다. 일례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흡광도 값(ABSL)은 레시틴을 비(非)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3배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아울러 (iii)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술한 균주 모두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이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 이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약학, 식품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천연 물질에서 유래된 물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한 마늘 추출물 보다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면역 활성이나 재생 기능을 증대시켜 항염증, 관절개선, 항알러지, 피부 재생, 항산화, 항균 등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유효성분으로서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형태 및 목적, 피부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늘 레시틴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보조제 및 담체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팩, 미용액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등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거나 바디샤워,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미스트, 파운데이션, 세안제, 미스트 등 안면 또는 전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항산화, 염증억제, 항균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개선용 약학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하기 염증성 질환의 개선(증상의 경감), 치료, 그러한 질환의 발병 억제 또는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염증성 질환"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알러지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 또는 자가면역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염증 반응이 일으키는 병리적 증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염증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등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내에서 유효성분으로서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따라 그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 졸 등의 경구제, 외용제, 좌제, 주사용제 등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체중, 연골의 손상 정도, 질환의 진행 정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여기서, '식품'이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첨가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건강 기능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특정 성분을 원료로 사용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및 가공된 식품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능성 식품'은 식품 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내에서 유효성분으로서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혹은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마늘 레시틴 추출물 이외에, 당 분야에서 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정제, 과립제, 환제, 액상제제, 시럽, 또는 음료 형태로 이용되거나, 각종 식품류,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일 수 있다.
[실시예 1~6: 마늘 레시틴 추출물 제조]
[실시예 1]
영천 마늘 30g의 껍질을 벗기고, 끝부분을 제거한 후 믹서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대두 레시틴 분말 2.5g과 증류수 47.5g를 혼합한 후, 초음파(Ultrasonic Liquid Processor, QSONICA, USA) 파쇄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30% 진폭에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5% 농도의 레시틴 수용액 50g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늘 분쇄물과 레시틴 수용액을 혼합한 후 65℃까지 가열하였으며, 이후 5분간 침적시켜 추출하였다. 이어서 거즈로 마늘 분쇄물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레시틴 수용액의 농도를 5% 대신 1%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2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레시틴 수용액의 농도를 5% 대신 3%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레시틴 수용액의 농도를 5% 대신 1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추출시간을 5분 대신 30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5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추출시간을 5분 대신 0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추출용매로서 레시틴 수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능 평가(1)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별 항산화능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항산화 기능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 내지 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1%, 3%, 및 5% 레시틴 용액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방산화효소활성을 저해하는 0.05% BHT(2,6-di-tert-butyl-4-methylphenol)을 사용하였다. 각 샘플 0.5 ml와 4.0×10-4 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 2.5 ml를 혼합한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샘플과 대조군의 흡광도 차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EDA(%)=(대조군 흡광도 - 샘플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 레시틴 용액(각 용액별 농도: 1%, 3%, 5%) 대비 우수한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용매로 5% 레시틴 수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능 평가(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항산화 기능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 5 및 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증류수 및 5% 레시틴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방산화효소활성을 저해하는 0.05% BHT(2,6-di-tert-butyl-4-methylphenol)을 사용하였다. 각 샘플 0.5 ml와 4.0×10-4 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 2.5 ml를 혼합한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샘플과 대조군의 흡광도 차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EDA(%)=(대조군 흡광도 - 샘플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5~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 레시틴 용액 대비 우수한 항산화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시간이 5분으로 조절된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염증 효능 평가(1)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별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생성시 유발되는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율(Lipoxygenase inhibition activity) 실험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 내지 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1%, 3%, 및 5% 레시틴 용액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방산화효소활성을 저해하는 0.05% 인도메타신(Indomethacin, IDM)을 사용하였다. 각 샘플 100 ㎕에 보레이트 버퍼(Borate Buffer) 1ml를 첨가한 후, 기질 리놀렌산 2ml을 첨가하고, 효소 리폭시게나아제(지방산화효소)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2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 레시틴 용액(각 용액별 농도: 1%, 3%, 5%) 대비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용매로 5% 레시틴 수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염증 효능 평가(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생성시 유발되는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율(Lipoxygenase inhibition activity) 실험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 5 및 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증류수 및 5% 레시틴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방산화효소활성을 저해하는 0.05% 인도메타신(Indomethacin, IDM)을 사용하였다. 각 샘플 100 ㎕에 보레이트 버퍼(Borate Buffer) 1ml를 첨가한 후, 기질 리놀렌산 2ml을 첨가하고, 효소 리폭시게나아제(지방산화효소)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2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5~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 5% 레시틴 용액 대비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시간이 5분 및 30분으로 조절된 실시예 1 및 4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대비 적어도 5배 이상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항균 효능 평가(1)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감염 균주에 대하여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assay)을 실시하였다.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실시예 1~4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후, 균주가 도말된 배지 위에 상기 디스크를 무 균 조작 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2일간 배양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항균력 평가는 디스크 주 변에 생긴 균의 성장 억제 영역, 즉 클리어존(clear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대상 세균 및 진균 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를 국내 미생물 기탁기관(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 한국미생물보존센타, 농업유 전자자원센터)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균주들 중 세균류는 TSB(tryptic soy broth)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진균류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류를 1/1000 비율로 희석하여 플레이트의 고체 배지상에 평판 도말하였으며, 진균류는 1/100 비율로 희석하였다. 상기 디스크를 배열하고 2일 경과 후 성장 억제환(생육저지대)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6 - 7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단위: mm)
황색포도상구균
(S.aureus)
녹농균
(P.aeruginosa)
대장균
(E.coli)
칸디다 알비칸스
(C.albicans)
실시예 1(마늘 레시틴 추출물: 5%) 1.6 1.5 1.6 4.0
실시예 2(마늘 레시틴 추출물: 1%) 1.5 1.5 1.5 4.0
실시예 3(마늘 레시틴 추출물: 3%) 1.4 1.5 1.5 4.0
실시예 4(마늘 레시틴 추출물: 10%) 1.2 1.5 1.5 4.0
비교예 1마늘 추출물 0 1.1 1.0 1.0
1% 레시틴 용액 0 0 0 0
3% 레시틴 용액 0 0 0 0
[병원균] E.Coli : 10-3 / P.aeruginosa : 10-3 / S.aureus : 10-3/ C.albicans : 10-2
[실험 조건] 세균류: TSA, 37도, 1일 배양 / 진균류 : PDA, 25도, 3일 배양
[점적량] Paper disc 당 각 70㎕ 점적
실험 결과, 실시예 1~4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추출용매로 5% 레시틴 수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균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균류보다 진균류에서 항균 활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균 효능 평가(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감염 균주에 대하여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assay)을 실시하였다. 이때 시험 방법은 전술한 실험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8 - 9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단위: mm)
황색포도상구균
(S.aureus)
녹농균
(P.aeruginosa)
대장균
(E.coli)
칸디다 알비칸스
(C.albicans)
실시예 1(마늘 레시틴 추출물: 5분) 1.7 1.7 1.6 2.8
실시예 5(마늘 레시틴 추출물: 30분) 1.3 1.2 1.2 2.0
실시예 6(마늘 레시틴 추출물: 0분) 0 1.3 1.3 1.4
비교예 1(마늘 증류수 추출물) 0 1.1 1.0 1.0
1% 레시틴 용액 0 0 0 0
3% 레시틴 용액 0 0 0 0
[병원균] E.Coli : 10-3 / P.aeruginosa : 10-3 / S.aureus : 10-3/ C.albicans : 10-2
[실험 조건] 세균류: TSA, 37도, 1일 배양 / 진균류 : PDA, 25도, 3일 배양
[점적량] Paper disc 당 각 50㎕ 점적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5-6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추출시간이 5분으로 조절된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균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세균류보다 진균류에서 항균 활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알린 함량 평가
마늘 레시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 중 알린(alliin)의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각 샘플 40 mg을 취한 후 물(HPLC grade)에 용해시켜 시험원액 40 mg/mL (40,000 ppm)를 제조한 후, 이를 초음파 진탕기로 20분간 녹이고 0.45 ㎛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표준용액으로는 표준물질인 알린(CAS NO. 556-27-4) 1mg을 물에 용해시켜 1mg/mL가 되도록 녹인 후 희석하여(31.25, 15.625, 3.906, 1.953 ppm) 표준원액으로 하고, 이를 초음파 진탕기로 20분간 녹이고 0.45 ㎛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시험용액과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 그래피(HPLC)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HPLC의 조건 및 이동상 조건은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또한 HPLC의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항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조건
기기 Agilent 1260 Infinity II Quat Pump (CA, USA)DAD WR detector (CA, USA)
컬럼 INNO C18 Column (25 cm ×4.6 mm, 5㎛)
컬럼오븐온도 Room temperature
주입량 10 ㎕
이동상 Gradient 조건 (A, water : B, CAN)
유속 1.0 mL/min
검출기 파장 UV 210 nm
이동상 조건 용매
시간 (분) A (%) B (%)
0 100 0
5 100 0
10 50 50
20 0 100
25 0 100
30 100 0
35 100 0
함량 (mg/g FD) 함량 (mg/g DW)
실시예 1
(마늘 레시틴 추출물: 5%, 5분)
0.101±0.031 0.012±0.004
비교예 1
(마늘 추출물)
0.077±0.031 0.008±0.003
* 표준물질(alliin)의 Retention time(분): 4.8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B)은 추출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A) 대비 적어도 1.3배 이상의 알린 함량이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하기 도 10 참조).
[실험예 8] 아호엔 함량 평가
마늘 레시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 중 아호엔(ajoene)의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샘플로는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과,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각 샘플 40 mg을 취한 후 70%의 아세토니트릴(HPLC grade)에 용해시켜 시험원액 40 mg/mL (40,000 ppm)를 제조한 후, 이를 초음파 진탕기로 20분간 녹이고 0.45 ㎛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표준용액으로는 표준물질인 아호엔(CAS NO. 92285-01-3) 1mg을 70%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0.6mg/mL가 되도록 녹인 후 희석하여(75, 37.5, 18.850, 9.375, 4.688 ppm) 표준원액으로 하고, 이를 초음파 진탕기로 20분간 녹이고 0.45 ㎛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시험용액과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 그래피(HPLC)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HPLC의 조건은 전술한 표 3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이동상 조건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HPLC의 실험 결과는 하기 표 7 및 도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동상 조건 용매
시간 (분) A (%) B (%)
0 100 0
5 100 0
10 60 40
20 60 40
25 0 100
30 100 0
35 100 0
함량 (mg/g FD) 함량 (mg/g DW)
실시예 1
(마늘 레시틴 추출물: 5%, 5분)
0.939±0.016 0.111±0.002
비교예 1
(마늘 추출물)
0.269±0.016 0.029±0.004
* 표준물질(ajoene)의 Retention time(분): 29.5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늘 레시틴 추출물(B)은 추출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마늘 추출물(A) 대비 적어도 3.4배 이상의 아호엔 함량이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하기 도 11 참조).
전술한 결과를 통해, 종래 증류수 대신 소정의 레시틴 수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할 경우, 마늘에 포함된 알린, 아호엔 등의 유효성분의 용출을 보다 상승시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개선된 항산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효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의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수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10%인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수용액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들의 수소첨가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레시틴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알리나제, 알린, 알리신, 및 아호엔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한 추출 수율이 향상된 항균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레시틴 추출물은, 하기 (i) 및 (ii)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을 만족하는 항균용 조성물:
    (i)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값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1배 이상이며,
    (ii)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평가에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흡광도 값(234 nm 기준)은 레시틴을 비포함하는 마늘 추출물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3배 이상임.
  8.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의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10.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 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칸디다 알비칸스균 (Candida albicans) 중 적어도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마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레시틴과 물을 혼합한 후 1 내지 1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레시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 재료 및 상기 레시틴 수용액을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0 내지 30분간 침적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재료는 마늘 분쇄물, 마늘 착즙액, 마늘 착즙 잔사, 및 마늘 건조분말 중 어느 하나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분쇄물은 탈피한 생마늘의 끝부분을 제거한 후 분쇄된 것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마늘 분쇄물 및 레시틴 수용액을 1 : 1.5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40 내지 75℃로 가온한 후 3 내지 20분간 침적하여 추출하는 것인, 마늘 레시틴 추출물의 제조방법.
  15.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피부의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6. 마늘 재료 및 레시틴 수용액이 1 : 1.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5 내지 80℃로 가온한 후 침적하여 추출된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의 염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09443A 2021-01-22 2021-01-2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8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43A KR102584084B1 (ko) 2021-01-22 2021-01-2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43A KR102584084B1 (ko) 2021-01-22 2021-01-2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91A KR20220106891A (ko) 2022-08-01
KR102584084B1 true KR102584084B1 (ko) 2023-10-05

Family

ID=8284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43A KR102584084B1 (ko) 2021-01-22 2021-01-22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747A (ko) * 2016-09-26 2018-04-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화제 및 초음파를 이용한 강황으로부터 고함량의 커큐민 추출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yungae Jun 외.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Korean J Food Preser. 2013, Vol. 20(1), pp. 134-139*
Sung In Kim 외. 만성세균성전립선염 흰쥐 모델에서 마늘 추출물의 염증 예방 및 항균, 항염 효과.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9, Vol. 50(6), pp. 602-6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91A (ko)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248B1 (ko) 대나무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21617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2678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0431076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KR102369924B1 (ko) 섬초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584084B1 (ko) 마늘 레시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060102621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020069379A (ko) 수용성 키토산과 목향추출물로 구성된 천연 셀 전달체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795B1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70059221A (ko) 복분자딸기의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100054772A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JP5311364B2 (ja) 抗炎症用組成物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051103A (ja) 抗酸化組成物
JP4076119B2 (ja)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