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00B1 -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00B1
KR102584000B1 KR1020210007123A KR20210007123A KR102584000B1 KR 102584000 B1 KR102584000 B1 KR 102584000B1 KR 1020210007123 A KR1020210007123 A KR 1020210007123A KR 20210007123 A KR20210007123 A KR 20210007123A KR 102584000 B1 KR102584000 B1 KR 10258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oil
composition
extrac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854A (ko
Inventor
김기연
황의재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KR102021000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조절 및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를 조절하는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의 유도체를 피부에 적용하여 근육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근육통의 예방 및 치료, 근육통증완화, 체형 교정 또는 근육 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름 개선 용도로 사용되었던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조절 및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를 조절하는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의 유도체가 근육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근육통의 예방 및 치료, 근육통증완화, 체형 교정 또는 근육 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의 기능성 화장품 및 피부외용제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Sport lotion composition comprising neurotransmitter regulating peptide}
본원발명은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체형 교정; 또는 근육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근육의 과사용과 근육의 불균형이다. 이는 잘못된 자세나 이를 보상하기 위한 움직임에 기인하다. 직업이 세분화되고 특화된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장시간 동안 반복적인 동작 또는 고정된 자세를 유지해야 할 경우가 많다. 전문 운동선수 또는 과도한 스포츠 활동에 따른 근육의 과사용은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근육의 장시간 수축 또는 근육의 과사용은 근육통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체형의 변형까지 유발 할 수 있다.
근육의 수축 기전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부터 시작된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하는 신경말단에 위치하는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와 시냅스 전막(presynaptic membrane)이 융합된 후 두 경계 간의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진행된다. SNARE 단백질은 3종의 단백질 복합체로서, 상기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 전막의 융합에 관여한다. 상기 3종의 단백질은 소포 단백질인 VAMP(synaptobrevin), 원형질막 결합단백질인 신택신(syntaxin) 1a, 및 SNAP-25이다.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 전막 간의 막 융합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방출 통로가 열리는 것은, 구체적으로 표적 막(target membrane)에 부착되어 있는 신택신 1a 단백질과 SNAP-25 단백질로 이루어진 2종의 단백질 복합체인 t-SNARE 및 소포(vesicle)에 부착되어 있는 v-SNARE의 상호 작용에 따른 결과이다.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 전막이 융합할 때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의 재배열이 일어난다. 생체막들은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서로 강하게 반발한다. 이들을 융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반발력보다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 SNARE 단백질이 이러한 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ARE 단백질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형성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포함하는 세포 외 방출작용(exocytosis)의 핵심 현상이다.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결합하여 신경전달에 의한 근육 수축이 일어난다.
이러한 기전을 활용한 것의 대표적인 예가 보톡스이다. 보톡스는 비마비성 방식으로 근육의 수축을 비가역적으로 제한한 것으로서, 미용 시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톡스는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SNARE 단백질을 비가역적으로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해당 신경 축삭에 비가역적 변형이 일어나고, 결국 근육의 수축이 제한된다. 보톡스에 의한 비가역적인 변형이 일어날 경우, 주변 신경 가지에 의한 보상작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보톡스의 적용 용량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보톡스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의료 전문가의 시술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보톡스와 유사하게 비마비성 방식으로 근육의 수축을 감소시키면서 부작용이 없는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근육 세포의 수축을 담당하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등과 같은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를 한시적으로 차단하여 주름 발생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분비를 제한하지 않고 아세틸콜린의 수용체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수용체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피부와 관련된 주름 개선을 위한 용도로만 활용되었을 뿐, 근육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근육통의 예방 및 치료, 근육통증완화, 체형 교정 또는 근육 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에는 적용한 사례가 없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10은 모두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나, 피부와 관련된 주름 개선을 위한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메틸설포닐메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의 통증 완화를 위한 조성물의 경우, 염증이나 통증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근육의 이완을 통해 스포츠의 기능적인 활성 또는 실질적인 근육의 이완에 대한 기전에 관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1은 메칠설포닐메탄 및 글루코사민이 포집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국소도포 제제 조성물로서 실질적으로 통증을 없애기 위한 조성물로서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2 내지 16은 신경전달 물질로서 새로운 펩타이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이 근육 수죽에 작용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들을 활용하여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신경전달 물질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조성물은 피부와 관련된 주름 개선 등의 피부 개선의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1993호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31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28748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39962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2051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3842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65837호 ('특허문헌 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0142호 ('특허문헌 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12230호 ('특허문헌 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49122호 ('특허문헌 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3913호 ('특허문헌 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15052호 ('특허문헌 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2800호 ('특허문헌 13')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323187호 ('특허문헌 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4159호 ('특허문헌 15')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323187호 ('특허문헌 16')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육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근육통의 예방 및 치료, 근육통증완화, 체형 교정 또는 근육 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을 위한 비마비성 방식으로 근육의 수축을 감소시키면서 부작용이 없는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비마비성 방식으로 근육의 수축을 감소시키면서 부작용이 없는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의 혼합 조성물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근육 이완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 근골격계 질환 관리, 근육통의 예방 및 치료, 근육통증완화, 체형 교정 또는 근육 감소를 통한 미용 교정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펩타이드(Neurotransmitter Inhibitor Peptide, (NIP))를 포함하는 근육통증 완화 및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펩타이드는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는 결합부위에 결합하는 펩타이드인 DSBP(Docking System Block Peptide) 및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하는 펩타이드인 RBP(Receptor Block Pept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DSBP는 아세틸 헥사펩타이드-3,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 펜타펩타이드-18, 팔미토일 헥사펩타이드-18, 팔미도일 헥사펩타이드-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RBP는 펜타펩타이드-3, 트리펩타이드-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DSBP는 아세틸 헥사펩타이드-3이고, RBP는 펜타펩타이드-3일 수 있다.
상기 근육통증 완화 및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하기
1) 캠페롤(Kaempferol), 케르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루테올린(Luteolin), 델피니딘(Delphinidin), 시아니딘(Cyanidin), 부테인(Butein), 엘라지산(Ellagic acid), 헤스페리딘(Hesperidin), 당후박 추출물(Magnoliae Cortex), 섬쑥부쟁이 추출물, 아가리쿠스버섯 추출물, 복분자 생품 추출물, 디히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2) 아데노신(Adenosine), 토마티딘(Solanum Lycopersicum (Tomato) fruit extract), 카나비스 사티바 시드 오일(Cannabis Sativa seed oil)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미용 개선제;
3) 구연산 마그네슘(magnesium citrate), 아르니카 오일(Arnica oil), MSM, 글루코사민(Glucosamine), 토마티딘(Solanum Lycopersicum (Tomato) fruit extract) 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활동 개선제;
4) 리모넨, 알파-아이소메틸아이오논, 리날룰(오늘도봄), 벤질살리실레이트, 리날룰,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꽃비), 파촐리 오일(Patchouli oil), 프랭킨센스 오일(Frankincense) 및 샌들우드 오일(Sandalwood oil)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스트레스 완화제;
5) 진저오일(6), 코리안더 오일 (8), 코파이바 오일 (1), 쥬니퍼 베리 오일(1)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통증 완화제;
6) 길경 추출물, 데칸알, 디오스민, 페릴릴 알코올, 수베르산, 제라닉산, 오시멘, 유게놀, 이오논, 유칼리프톨, 국화추출물,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하이드란제놀의 유효성분, 3,5-디카페오일퀴닉에스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근력 개선제;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녹차추출물, 커피콩추출물, 지모뿌리추출물(보르피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체형 개선제;
8) 살리실산메틸, 멘톨, 캄파, 티몰, 캡사이신, 노닐산바닐아미드, 초산토코페롤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통감 부여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가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근육통증 완화 및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근육통증 완화는 근육에 대한 동통 완화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능 개선은 근활성도 증가, 근피로도 감소, 근길이 증가 또는 감소, 유연성 증가, 근력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W/O/W 에멀젼 형태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근육통증 완화 및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스프레이, 에센스, 오일, 패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크림은 크림과 세럼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며, 스프레이는 스프레이와 미스트를 포함하는 형태의 것이고, 패치는 패치, 피부 접착용 겔, 카타플라스마, 플라스마를 포함하는 형태의 것이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들 중 상충되지 않는 구성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펩타이드(Neurotransmitter Inhibitor Peptide, (NIP))를 포함하는 근육통증 완화 및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신경전달 물질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조성물은 피부와 관련된 주름 개선 등의 피부 개선의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으나, 본원발명에 따른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펩타이드(Neurotransmitter Inhibitor Peptide, (NIP))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근육의 불필요한 수축으로 오는 통증 및 기능제한에 대한 문제를 매우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압력 동통 임계값 (Pressure pain threshold) (n=5)]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에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피로도 분석 (n=5)]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발등굽힘의 관절 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길항근의 이완을 통한 주동근의 근력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장딴지근의 압력 동통 임계값 (Pressure pain threshold) (n=5)] 측정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물체를 쥘 때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손목굽힘의 능동관절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물체를 쥘 때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1kg의 아령을 들고 손목 폄 시,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손목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또한, 모든 수치 범위는 명확하게 제외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양 끝의 값과 그 사이의 모든 중간 값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도 14에서 AP-8은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이고, PP-3은 펜타펩타이드-3이며, Control은 대조군이고, Mixed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Pre는 처리 전이고, Post는 처리 후이며, 15min-follow는 처리 후 15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실험은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기전 중에서 신경전달물질이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Docking system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Acetyl hexapeptide-8)이 근육의 뻣뻣함을 개선하고, 유연성을 증진시키며, 근피로의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서 Pressure algometer를 활용한 압통 임계값과,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분석하고, 초음파를 통해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여 근길이의 증가 및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시그마-알드리치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적용 근육 부위의 피부 위에 도포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압력 동통 임계값 (Pressure pain threshold)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장딴지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이때 압통계를 이용하여 장딴지근에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통증이 발현되는 압력의 시점을 측정하였을 때,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도포한 경우 압력의 통증 역치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근육통이 있거나 근육의 뻣뻣함이 있는 대상자는 통증 역치값이 감소되어 있는데, 압력의 역치값이 증가할수록 근육통의 개선을 나타낸다. 이는 근육의 이완과 근육의 뻣뻣함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값이며 더불어 근육통의 원인인 근육의 뭉침에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위등세모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근전도를 통해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를 3kg의 아령을 90도 각도로 어깨의 굽힘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어깨의 굽힘 동작시에 위등세모근의 활성도가 감소된 것은 위등세모근의 근육톤의 감소를 의미하며,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 감소는 위등세모근의 뭉침 및 불필요한 근육의 과사용을 막아주는 효능을 본 실험의 예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위등세모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피로도 분석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위등세모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근전도를 통해 위등세모근의 근피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근피로는 위등세모근의 최대근력의 60%를 유지한 상태로 30초 동안 근전도를 측정하여 근피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도포한 경우 근피로도에 대한 취약성이 개선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에서는 이를 도포 전(Pre)과 도포 후(Post)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근육의 피로도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근피로가 쉽게 발생할수록 근육의 지구력은 떨어지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근수축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근육통 및 근피로도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장딴지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 초음파를 통해서 근육의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였다. Pennation angle이 클수록 근육의 길이가 짧고 뻣뻣함을 의미하고, 감소하면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유연해짐을 의미한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도포하였을 때, 장딴지근의 pennation angle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근육이 유연해짐을 확인하였다. 도포 후 15분 이후에도 이러한 효과는 계속 관측이 되었다. 이는 스트레칭이 필요한 근육 부위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 및 유연성의 증가시키는 효과를 초음파를 통해 검증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발등굽힘의 관절 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장딴지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의 근육의 길이와 유연함이 증가할수록 발목관절의 발등굽힘의 관절가동범위는 증가하게 된다. 관절 자체의 문제가 아닐 경우에 근육의 길이와 유연성은 관절가동범위에 중요한 요소이다. 능동적으로 발등굽힘 동작으로 수행하였을 때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을 때,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장딴지근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근육이 유연해짐을 관절가동범위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길항근의 이완을 통한 주동근의 근력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장딴지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발등굽힘의 근육이 충분한 힘을 내기 위해서는 길항근인 장딴지근의 이완이 되어야 발등굽힘에 앞톱니근의 동원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장딴지근의 스트레칭에 대한 효과로 발등굽힘의 근력증가가 일어나게 된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장딴지근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스트레칭의 효과로 인해 발등굽힘의 근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근육의 스트레칭에 대한 효과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도포하는 것이 대체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험은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기전 중에서 신경전달물질이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Docking system을 저해하는 방법 이외에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아세틸콜린 receptor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방법도 있다. 아세틸콜린에 아세틸콜린 receptor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펜타펩타이드-3 (pentapeptide-3)이 근육의 유연성을 증진시키며, 근활성도의 감소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및 초음파를 통해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여 근길이의 증가 및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2에서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적용 근육 부위의 피부 위에 도포하였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장딴지근의 압력 동통 임계값 (Pressure pain threshold) (n=5) 측정 결과이다.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위등세모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 압통계를 이용하여 장딴지근에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통증이 발현되는 압력의 시점을 측정하였을 때, 펜타펩타이드-3을 도포한 경우 압력의 통증 역치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근육통이 있거나 근육의 뻣뻣함이 있는 대상자는 통증 역치값이 감소되어 있는데, 압력의 역치값이 증가할수록 근육통의 개선을 나타낸다. 이는 근육의 이완과 근육의 뻣뻣함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값이며 더불어 근육통의 원인인 근육의 뭉침에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물체를 쥘 때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손목폄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근전도를 통해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500g의 무게를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활성도가 감소된 것은 손목폄근의 근육톤의 감소를 의미하며, 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는 손목폄근의 뭉침 및 불필요한 근육의 과사용을 막아주는 효능을 본 실험의 예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손목굽힘의 능동관절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손목폄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손목폄근과 손가락폄근의 근육의 길이와 유연함이 증가할수록 손목관절의 손목굽힘의 관절가동범위는 증가하게 된다. 관절 자체의 문제가 아닐 경우에 근육의 길이와 유연성은 관절가동범위에 중요한 요소이다. 능동적으로 손목굽힘 동작으로 수행하였을 때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을 때, 펜타펩타이드-3을 손목폄근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근육이 유연해짐을 관절가동범위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장딴지근의 피부 위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 초음파를 통해서 근육의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였다. Pennation angle이 클수록 근육의 길이가 짧고 뻣뻣함을 의미하고, 감소하면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유연해짐을 의미한다. 펜타펩타이드-3을 도포하였을 때, 장딴지근의 pennation angle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펜타펩타이드-3을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근육이 유연해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스트레칭이 필요한 근육 부위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 및 유연성의 증가시키는 효과를 초음파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시예 3>
본 실험은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기전 중에서 신경전달물질이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Docking system을 저해하는 방법과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아세틸콜린 receptor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였을 때 개별로 신경전달물질이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Docking system을 저해하는 방법과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아세틸콜린 receptor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방법에 대한 효능에 대한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세틸콜린에 아세틸콜린 receptor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펜타펩타이드-3 (pentapeptide-3)과 SNARE의 형성을 저해하여 Docking system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Acetyl hexapeptide-8), 이 두가지의 복합물이 근육의 유연성을 증진시키며, 근활성도의 감소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및 초음파를 통해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여 근길이의 증가 및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로 희석하여 적용 근육 부위의 피부 위에 도포하였고,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로 희석하여 적용 근육 부위의 피부 위에 도포하였고,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2.5%농도와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0.625%농도를 혼합하여 적용 근육 부위의 피부 위에 도포하였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물체를 쥘 때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2.5%농도와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0.625%농도를 혼합물과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 그리고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 용액을 각각 손목 폄근에 도포하였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도포 전, 도포 후, 도포 후 15분 후에 각각 근전도를 통해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500g의 무게를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활성도가 감소된 것은 손목폄근의 근육톤의 감소를 의미하며, 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는 손목폄근의 뭉침 및 불필요한 근육의 과사용을 막아주는 효능을 본 실험의 예로 확인할 수 있다. 혼합형의 경우 가장 큰 근활성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펜타펩타이드-3 순으로 감소효과를 보였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1kg의 아령을 들고 손목 폄 시, 손목폄근의 근전도로 측정한 근활성도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2.5%농도와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0.625%농도를 혼합물과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 그리고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 용액을 각각 손목 폄근에 도포하였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도포 전, 도포 후, 도포 후 15분 후에 각각 근전도를 통해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1kg의 아령을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손으로 쥐고 정해진 위치까지 손목 폄을 수행하였을 때, 손목폄근의 활성도가 감소된 것은 손목폄근의 근육톤의 감소를 의미하며, 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는 손목폄근의 뭉침 및 불필요한 근육의 과사용을 막아주는 효능을 본 실험의 예로 확인할 수 있다. 혼합형의 경우 가장 큰 근활성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펜타펩타이드-3 순으로 감소효과를 보였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손목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2.5%농도와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0.625%농도를 혼합물과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 그리고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 용액을 각각 손목 폄근에 도포하였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도포 전, 도포 후, 도포 후 15분 후에 수동적 손목관절 굽힘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손목폄근과 손가락폄근의 근육의 길이와 유연함이 증가할수록 손목관절의 손목굽힘의 관절가동범위는 증가하게 된다. 관절 자체의 문제가 아닐 경우에 근육의 길이와 유연성은 관절가동범위에 중요한 요소이다. 혼합형의 경우 가장 큰 관절가동범위의 증가를 보였으며, 펜타펩타이드-3,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순으로 감소효과를 보였다.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초음파로 측정한 장딴지근의 근섬유 각도 분석: 근길이 증가 (n=5) 측정 결과이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2.5%농도와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0.625%농도를 혼합물과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500ppm농도의 용액을 5%농도 그리고 펜타펩타이드-3의 2000ppm농도의 용액을 1.25%농도 용액을 각각 손목 폄근에 도포하였고 대조군으로 알로에 95%용액을 도포하였다. 도포 전, 도포 후, 도포 후 15분 후에 초음파를 통해서 근육의 Pennation angle을 측정하였다. Pennation angle이 클수록 근육의 길이가 짧고 뻣뻣함을 의미하고, 감소하면 근육의 길이가 증가하고 유연해짐을 의미한다. Pennation angle의 감소는 스트레칭이 필요한 근육 부위에 도포하였을 경우 근육의 길이 및 유연성의 증가시키는 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경우 pennation angle의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으며, 혼합형, 펜타펩타이드-3, 순으로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상으로 본원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원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Claims (12)

  1. 삭제
  2.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는 결합부위에 결합하는 펩타이드인 DSBP(Docking System Block Peptide) 및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하는 펩타이드인 RBP(Receptor Block Pept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DSBP는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이고, RBP는 펜타펩타이드-3이며,
    상기 운동기능 개선은 근활성도 감소, 관절가동범위 증가를 포함하는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1) 캠페롤(Kaempferol), 케르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루테올린(Luteolin), 델피니딘(Delphinidin), 시아니딘(Cyanidin), 부테인(Butein), 엘라지산(Ellagic acid), 헤스페리딘(Hesperidin), 당후박 추출물(Magnoliae Cortex), 섬쑥부쟁이 추출물, 아가리쿠스버섯 추출물, 복분자 생품 추출물, 디히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신경전달물질 억제제;
    2) 아데노신(Adenosine), 토마티딘(Solanum Lycopersicum (Tomato) fruit extract), 카나비스 사티바 시드 오일(Cannabis Sativa seed oil)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미용 개선제;
    3) 구연산 마그네슘(magnesium citrate), 아르니카 오일(Arnica oil), MSM, 글루코사민(Glucosamine), 토마티딘(Solanum Lycopersicum (Tomato) fruit extract) 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활동 개선제;
    4) 리모넨, 알파-아이소메틸아이오논, 리날룰(오늘도봄), 벤질살리실레이트, 리날룰,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꽃비), 파촐리 오일(Patchouli oil), 프랭킨센스 오일(Frankincense) 및 샌들우드 오일(Sandalwood oil)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스트레스 완화제;
    5) 진저오일(6), 코리안더 오일 (8), 코파이바 오일 (1), 쥬니퍼 베리 오일(1)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통증 완화제;
    6) 길경 추출물, 데칸알, 디오스민, 페릴릴 알코올, 수베르산, 제라닉산, 오시멘, 유게놀, 이오논, 유칼리프톨, 국화추출물,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하이드란제놀의 유효성분, 3,5-디카페오일퀴닉에스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근력 개선제;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녹차추출물, 커피콩추출물, 지모뿌리추출물(보르피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체형 개선제;
    8) 살리실산메틸, 멘톨, 캄파, 티몰, 캡사이신, 노닐산바닐아미드, 초산토코페롤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통감 부여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가되는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W/O/W 에멀젼 형태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
  8. 제2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9. 제2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10. 제2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센스.
  11. 제2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일.
  12. 제2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
KR1020210007123A 2021-01-19 2021-01-19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KR10258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123A KR102584000B1 (ko) 2021-01-19 2021-01-19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123A KR102584000B1 (ko) 2021-01-19 2021-01-19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854A KR20220104854A (ko) 2022-07-26
KR102584000B1 true KR102584000B1 (ko) 2023-10-06

Family

ID=826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123A KR102584000B1 (ko) 2021-01-19 2021-01-19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09B1 (ko) 2002-09-06 2008-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520690B1 (ko) 2003-03-25 2005-10-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30142A (ko) 2004-10-05 2006-04-10 황양수 펩타이드 성분들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0664998B1 (ko) 2005-05-04 2007-01-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활근 이완활성을 지닌 신경성 펩타이드
CA2634824A1 (en) 2005-12-23 2007-06-28 Nicolas Fasel Synthetic peptides for use as inhibitors of neurotransmitter secretion and as inducers of muscle relaxation
US8946166B2 (en) 2009-07-24 2015-02-03 Lipotec, S.A. Peptide-bas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which inhibit muscle contraction
US10035820B2 (en) 2012-04-13 2018-07-3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Compounds which inhibit neuronal exocytosis
KR101747411B1 (ko) 2015-04-13 201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의 신경세포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KR20170113913A (ko) 2016-03-29 2017-10-13 주식회사 플렉스파워에이더블유에스 메칠설포닐메탄 및 글루코사민이 포집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국소도포 제제 조성물
KR20170139962A (ko)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패치
KR102607079B1 (ko) 2016-09-09 2023-1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세포 투과성이 향상된 신경전달물질 조절 펩타이드
KR101865837B1 (ko) 2016-12-29 2018-06-08 (주)보노톡스 즉각적으로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갖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6572B1 (ko) 2017-04-05 2019-06-24 에이앤펩주식회사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12230B1 (ko) 2017-09-27 2018-10-26 주식회사 펠리즈코스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139472B1 (ko) 2018-10-31 2020-07-30 에이앤펩주식회사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169116B1 (ko) * 2019-02-22 2020-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전달물질 분비 억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854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anpää et al. Capsaicin for neuropathic pain: linking traditional medicine and molecular biology
AU2010201162A1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FR2887886B1 (fr) Polymere cationique neutralise, composition le comprenant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KR20190122854A (ko)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EP2363135B1 (en) Anti-jellyfish compositions
KR102584000B1 (ko)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WO2017048804A1 (en) Skin care compositions
KR20200040719A (ko) 효능 지속시간이 연장된 보툴리눔 독소 조성물
US11110051B2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n-acetyl glucosamine
EP318984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oleanolic acid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JP4838772B2 (ja) 肩こり・五十肩・各種関節痛等の改善を目的とした塗布剤
WO2023046730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mit cannabidiol und einem extrakt aus zingiber
US6583184B1 (en) Compositions having comfrey and methods for reducing retinoid-induced skin irritation
US20160101141A1 (en) Topical Treatment of Sports Related Injuries
Gupta et al. Itraconazole pulse therapy is effective in dermatophyte onychomycosis of the toenail: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KR20170007859A (ko) 근육긴장병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보툴리눔 독소
Borakhade et al. Treatment of indralupta with local jalaukavacharan and application of gunjabeeja lepa: a case report.
CN104127720B (zh) 中药制备肩周炎贴膏的用途
KR101548254B1 (ko) 유황, 명반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7197535A1 (de) Erzeugnis zum therapieren und vorbeugen von burnout-syndromen der kopfhaut und der haut
Bujalska-Zadrożny et al. Antinociceptive activity of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novel and potent anticonvulsive compound, CY-PROLL-SS, in animal neuropathic pain models
Poudel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neem seed extract compared with clotrimazole in tinea corporis/crur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upriya et al. Combined Effectiveness of Bhavitanimba Taila Nasya followed by Bhringarajadi Lehya in Premature Graying-A Case Study
Banović et al. Topical therapy in veterinary dermatology.
CA2552442A1 (en) Compositions and delivery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wrinkles, fine lines and hyperhid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