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72B1 -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72B1
KR101956572B1 KR1020170044374A KR20170044374A KR101956572B1 KR 101956572 B1 KR101956572 B1 KR 101956572B1 KR 1020170044374 A KR1020170044374 A KR 1020170044374A KR 20170044374 A KR20170044374 A KR 20170044374A KR 101956572 B1 KR101956572 B1 KR 10195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composition
tripeptide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107A (ko
Inventor
강상문
이기영
신은진
차상주
Original Assignee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펩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로 이루어진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게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에 영향을 주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Anti-wrinkle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 peptides and fermented products}
본 발명은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로 이루어진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게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의 가장 큰 관심 분야 중 하나는 노화와 관련된 주름, 색소침착, 탄력감소, 피부건조화, 탈모, 모발의 윤기 부족 등이다. 피부는 노화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된다.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성분이 변화하게 되는데 그 중 세포외 기질의 70~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주름 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고, 피부결합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s),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라미닌(lamini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등은 산화되어 그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인성 피부로 변화되어 간다.
세포외 기질의 결합조직섬유에는 아교섬유(교원섬유, 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탄성섬유, elastic fiber)가 있으며, 이 중 피부결합조직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대부분 형성된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결합조직 내의 콜라겐 함량이 줄어드는데 이는 콜라겐 합성의 저하와 분해의 촉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콜라겐 생합성의 저하와 콜라겐 분해 촉진은 피부주름 형성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 과정은 전사 수준(Transcription level)과 해독 후 수준(Post-translation level)에 관여하는 많은 인자(Factor)들에 의해 조절을 받아 변화를 일으키며, 콜라겐 분해는 자외선 등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같은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들(Matrix metalloproteases; MMP)의 발현의 촉진으로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콜라겐 함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의 변형이 가속화되면서 피부는 주름이 많아지고 깊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고,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retinol)에 대한 피부주름 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는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살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레티놀은 주름 기능성 고시원료로 등재될 정도로 효과에 대해 검증이 된 원료이나 특유의 피부자극 문제,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제기가 되어 오고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고가의 제품군에서 활용이 되며 보편적 소재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피부노화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효능이 정확하게 검증된 원료를 이용한 신규 주름 개선 조성물 개발이 필요하며 효능의 검증은 분자생물학적 메카니즘으로 규명되고 인체 대상 임상시험으로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노화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세포 내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 발명을 통해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면서 특히 피부투과율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하는, 특정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효 콜라겐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바가 있다(한국특허 출원 제10-2016-0016522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행 특허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한 콜라겐 발효물과 전통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알려져 있어 많이 활용되어 온 4종의 펩타이드를 포함한 조성물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16522호에 개시된 내용은 모두 본 발명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기능성 원료들은 서로 다른 메카니즘을 통해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원료이며, 따라서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의 원료들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 효과가 더욱 증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게나제, MMP-1과 같은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또한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이 되어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 유래의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0 ng/ml-1000 μg/ml의 농도로 HaCat 세포 및 NIH3T3 세포에 해당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은 측정되지 않았으며 육안으로 세포의 형태를 확인하였을 때도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50℃ 온도에서도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일광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의약외품 및 화장품과 같은 장기간 저장이 요구되는 제품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임상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공인임상기관에 의뢰하여 본 특허의 조성물이 포함된 크림과 포함되지 않은 크림의 주름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크림에서 눈가 주름 개선 효능이 현저히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펩타이드-1”은 Gly-His-Lys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서, 피부재생능력이 뛰어나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고, 피부의 탄력을 강화하며, 피하지방층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막아주며, 항산화제와 함께 노화의 근본 원인이 되는 프리 래디컬의 생성을 막아준다. 또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생성을 증대시켜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트리펩타이드-1은 0.005 내지 0.5%(w/v)으로 포함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w/v),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w/v)로 포함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펩타이드-29”는 분자량의 크기가 300 이하인 크기가 작은 펩타이드로서 Hyp-Pro-Gly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져 있다. 경피흡수가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각질층, 표피층, 모낭 등으로 고농도로 흡수가 가능함으로서 피부에 흡수되어 콜라겐을 생성하여 피부탄력 증가 및 주름개선 등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트리펩타이드-29는 0.005 내지 0.5%(w/v)으로 포함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w/v),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w/v)로 포함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헥사펩타이드-9”은 Gly-Pro-Gln-Gly-Pro-Gln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 피부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의 표피와 진피의 결합을 재생하고 피부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노화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헥사펩타이드-9은 0.005 내지 0.5%(w/v)으로 포함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w/v),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w/v)로 포함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아르기렐린(Argireline) 또는 아세틸헥사펩타이드-3으로도 알려진 물질로서 주름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보톡스와 유사한 기전으로 근육의 이완작용을 유발하여 주름에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0.005 내지 0.5%(w/v)으로 포함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w/v),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w/v)로 포함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된 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 연구를 통하여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할 경우 저분자화된 콜라겐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피부투과도 향상에 있어서는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특정 미생물로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할 경우에만 최적의 성능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지 100중량부에 107~1010cfu/㎖의 배양액으로 0.5~5중량부 접종시켜 35~39℃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8~109cfu/㎖의 배양액으로 0.5~2중량부 접종시켜 36~38℃에서 2~4일간 배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펩톤, 아세트산 나트륨 수화물, 황산 마그네슘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트윈 80, 시트르산 아암모늄, 인산 이칼륨 및 증류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의 콜라겐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배양 완료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유산균과 배양액을 분리함으로써 콜라겐 발효물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발효 콜라겐은 미생물로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함으로써 타 유산균 균주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콜라겐 저분자화가 매우 우수하여 콜라겐 발효에 가장 적합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발효 콜라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발효 콜라겐 제조에 사용되는 콜라겐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50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활용 미생물을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300,00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펩타이드는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어 매우 분자량이 작고, 상기 콜라겐 발효물도 미생물에 의한 발효로 인해 저분자화되어 피부 침투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높은 피부 침투율로 인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게나제를 억제하므로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안티에이징 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성물은 그것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정제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킨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알란토인, 메틸 파라벤, 이디티에이-2-소디움, 잔탄검, 디메티콘, 폴리 에틸렌 글라이콜-60 하이드로제네이트 카스톨 오일, 폴리 소르베이트 60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소프파티질세린, 소프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리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유리지치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주름개선 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피부 주름개선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된 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에 영향을 주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4종의 유산균 발효 배양액 내 콜라겐 분자량 패턴을 SDS-PAGE를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Lane 1: 발효 전 콜라겐, Lane 2: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로 발효한 콜라겐, Lane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으로 발효한 콜라겐, Lane 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발효한 콜라겐, Lane 5: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발효한 콜라겐, Lane 6: 단백질 크기 마커).
도 2는 유산균으로 발효한 콜라겐과 산 또는 염기 처리한 콜라겐의 분자량 패턴을 SDS-PAGE를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Lane 1: 산 처리 콜라겐, Lane 2: 염기 처리 콜라겐, Lane 3: 단백질 크기 마커, Lane 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발효한 콜라겐, Lane 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발효한 콜라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로 발효한 콜라겐과 산 또는 염기 처리한 콜라겐의의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콜라겐, 발효 콜라겐, 카페인의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MMP-1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열 안정성 및 광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NIH3T3 세포, HACAT 세포에서 MTT assay를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된 눈가 주름 개선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사진 자료이다(도 11a: 시험물질 처리, 도 11b: 대조물질 처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실시예 1>
콜라겐 발효 및 발효 산물 확인
고분자 콜라겐(Mw 100,000~300,000)을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을 이용, 발효 조건을 달리하여 발효 후 콜라겐의 분자량 확인을 통해 콜라겐 발효 효율이 가장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속을 찾기 위해 최소 배지 배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산균의 균종으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한국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되었다.
상기 총 4종의 유산균 균주를 선택 배지에 순수 배양하여 각 균주의 균수가 108~109cfu/㎖ 정도 되는 배양액을 1중량% 함량으로 접종하고, 37℃의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진행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배지로는 펩톤 5g, 아세트산 나트륨 3 수화물 2.5g, 황산 마그네슘 7 수화물 0.5㎖, 황산 망간 4 수화물 0.5㎖, 트윈 80 5㎖, 시트르산 이암모늄(diammonium citrate) 1g, 인산 이칼륨(dipotassium phosphate) 1g 및 증류수 480㎖로 구성된 최소 배지에 15g의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배양액을 4,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유산균과 배양액을 분리한 후 분리된 배양액을 SDS-PAGE를 활용하여 콜라겐의 저분자화를 확인하였으며, 도 1에 그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레인 1 내지 6은 각각 발효 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발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num) 발효,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발효 및 단백질 크기 마커(protein size marker)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총 4종의 유산균 균주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로 발효했을 때 저분자화가 많이 진행되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로 발효했을 때 저분자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콜라겐 발효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발효와 산, 염기 처리를 통한 콜라겐 전분자화의 비교
실시예 1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한 발효 배양액과 산 처리(1M HCl로 콜라겐에 1시간 처리한 후 pH 6.5로 중화) 및 염기 처리(1M NaOH로 콜라겐에 1시간 처리한 후 pH 6.5로 중화)를 통해 획득한 콜라겐의 비교를 위해 4종의 샘플에 대해 SDS-PAGE를 진행하여 확인하였으며, 도 2에 그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레인 1 내지 5는 각각 산 처리, 염기 처리, 단백질 크기 마커(protein size marker),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발효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SDS-PAGE를 통해 확인한 결과 산 처리, 염기 처리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 콜라겐 역시 콜라겐의 저분자화에 효과가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발효 배양액 내 콜라겐이 가장 균질하게 저분자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발효 콜라겐의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효과 확인
실시예 1에서 얻은 발효 콜라겐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생체외(In vitro)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시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시험 방법]
1.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콜라겐 및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 염기 처리된 콜라겐을 인산 완충액에 녹여 준비한다(100, 50, 25ppm).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을 같은 농도로 준비한다.
2. 48well에서 용매(DMSO)를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 범위로 희석하여 상기 테스트 샘플을 300㎕/48well씩 준비한다.
3. 15㎖ 글래스 튜브를 준비하고, 하기 표 1과 같은 순서로 용액을 분주한다.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1
4. 25mM 시트르산을 400㎕/tube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
5. 에틸아세테이트를 1.5㎖/tube 첨가하고, 볼텍싱(vortexing)한 후 10분간 방치한다.
6. 상등액을 취하여 황산나트륨 150mg/ep-tube에 옮기고, 볼텍싱 후 원심분리(10,000rpm, 3분)한다.
7. 상등액 300㎕/ep-tube를 취하여 석영 96well 플레이트에 옮긴 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시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전 콜라겐이나 산 처리 및 염기 처리 콜라겐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발효 시 콜라게나아제 활성의 저해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발효 콜라겐의 피부 투과도 향상 확인
발효 콜라겐의 피부 투과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인체의 표피 층(Epidermis)을 대상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피부 투과도 실험 방법]
1.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의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에 인산 완충용액을 6.5㎖ 채우고, 각질층이 위로 향하도록 도너 챔버(donor chamber)와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 사이에 인체 사체의 피부(cadaver)를 고정시킨다. 사용한 커대버(cadaver)로는 한스바이오메드(주)의 epidermis skin을 활용하였다.
2. 도너 챔버(Donor chamber)에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발효 콜라겐과 일반 콜라겐(즉, 발효 전 콜라겐)의 농도가 1mg/㎖인 수용액, 양성 대조군으로 카페인 1mg/㎖ 농도의 수용액을 준비하여 담지한다.
3.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35±1℃로 온도를 유지하고 계속해서 자석교반 한다.
4. 0.5, 1, 3, 5, 8, 12 및 24시간 후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 내 각각의 시료를 샘플링 포트(sampling port)에서 채취한다.
5. 시간 별 샘플 내 콜라겐, 카페인의 함량은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피부 투과량, 피부 투과도를 구하고, 비교군과 대조군을 비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 비교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전 콜라겐은 큰 분자량으로 피부 침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발효 콜라겐은 시간에 비례하여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의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와 도너 챔버(donor chamber) 사이의 커대버(cadaver)를 통과하여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에서 발견되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이용하여 발효된 콜라겐은 콜라겐의 피부 흡수를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주름 기능성 원료들의 조합 선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과 피부 투과도를 확인한 콜라겐 발효물(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발효 콜라겐)과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펩타이드들과의 조합을 통한 우수한 항-주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5-1. 실험물질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콜라겐 발효물과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을 조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고체상 합성법 (Solid phase synthesis)에 따라 합성하여 제조하였다. 각각의 펩타이드 분자량은 순서대로 370, 285, 583, 889이다.
5-2. 주름 개선용 복합 조성물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콜라겐 발효물과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의 농도를 조절하여 총 20종의 조합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조합 내 성분들의 조성비는 하기 표 2와 같다.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8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로 물에 용해하였으며(w/v), 콜라겐 발효물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로 물에 첨가하여(v/v)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2
< 실시예 6>
조성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주름 개선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표 2에 열거한 조합의 조성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생체 외(In vitro)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제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시험 방법은,
(1) 콜라겐을 인산 완충액에 녹여 준비한다(100ppm).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데노신을 같은 농도로 준비한다.
(2) 상기 표 2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시험물질, 100mM Tris-cl buffer, 100mM CaCl2, 0.25mg/ml 및 콜라게나제가 포함된 mixture를 준비하고 반응시킨다.
(2) 25mM 시트르산을 400㎕/tube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
(3) 이후 에틸아세테이트를 1.5㎖/tube 첨가하고, 볼텍싱(vortexing)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황산나트륨 150mg/ep-tube에 옮기고, 볼텍싱 후 원심분리(10,000rpm, 3분)한다.
(4) 상등액 300㎕/ep-tube를 취하여 석영 96well 플레이트에 옮긴 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 하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조합에서 대조군인 아데노신에 비해 우수한 콜라게나제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3
< 실시예 7>
MMP -1(Matrix Metalloproteinase -1) 생성 저해 실험
Matrix methaloprotease-1(MMP-1, collagenase) 생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콜라겐을 보호하여 피부조직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시켜 탄력과 피부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원료에 대한 MMP-1 생성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을 갖는 원료는 주름을 개선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위한 화장품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 할 수가 있다. 이에, 상기 실시예 6에서 우수한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7종의 조합(조합 2, 7~10, 12, 17)을 선택하여 MMP-1 생성 저해능 시험을 진행 하였다.
사람 진피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st(HDF)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디쉬에는 7종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레티놀을 1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뒤, 배지를 채취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Human,biotrak,ELISA kit (GE healthcare RPN2610)을 통해 MMP-1의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MMP-1의 발현양이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인 레티놀에 비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험군 내에서도 조성물 내 기능성 원료성분의 조합 및 조성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이러한 결과로부터 피부에 MMP-1생성을 유발하는 UV가 요인으로 적용되었을 때, 단일 원료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다양한 조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결과를 나타내어 MMP-1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주름을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실시예 8>
세포 내 콜라겐 생성능 평가
MMP-1 저해능 시험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4종의 조합(조합 7, 8, 10, 17)에 대해 세포 내 collagen 생성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사람 진피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st(HDF) 세포는 Medium 106 (cascade biologics, M-106-500) 에 1X LSGS(Low Serum Growth Supplement, cascade biologics S-003-10)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1X 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디쉬에는 4종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TGF를 10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뒤, 배지를 채취하여 Procollagen Type I C-peptide(이하 PIP) EIA kit (takara MK101) 을 통해 Collagen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4종의 실험군을 농도별로 처리한 뒤 collagen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콜라겐의 양이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인 TGF에 비해 콜라겐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험군 내에서도 조성물 내 기능성 원료성분의 조합 및 조성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이러한 결과로부터 피부에서의 collagen 생성을, 단일 원료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다양한 조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결과를 나타내어 collagen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실시예 9>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실험
본 발명의 주름 개선 조성물의 열 및 광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름 개선 조성물이 10 mg/mL이 되도록 조성물을 50 mM Tris-HCl(pH 8.0) 완충용액에 용해하여 유리 바이알에 분주하여 넣은 후 50 ℃ 에서 7, 14, 21, 28, 35, 42 및 60일 보관하며 열에 의한 조성물 내 펩타이드 성분의 손실을 측정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일광 조건에서 안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도 7 및 8). 열에 의한 펩타이드 손실을 측정하고 일광 조건에서 안정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60일까지 단지 10% 미만의 펩타이드 손실을 나타내어 열 및 보관기간에 있어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10>
세포독성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각질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평가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CAT세포와 3T3세포를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4 X 104 cells/24well의 세포수가 되도록 seeding 한 후 24 h 동안 37 ℃, 5% CO2조건으로 항온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 후 배양 후 합성 tranexamic acid dipeptide를 농도별(1mg ~ 1ug/mL)로 처리하여 24 h 동안 항온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0.5% in DPBS를 배양배지와 1:9(v/v)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2 h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을 DMSO에 녹여 ELI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측정하였다.
도 9 및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 세포, 섬유아세포의 일종인 NIH3T3 세포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처리한 조성물에 의한 세포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들의 현미경적인 관찰에서도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주름 개선 조성물은 피부 관련 세포에 독성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본 주름 개선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여도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 실시예 10>
임상시험
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임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공인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조성물이 처방된 화장품 제형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vitro 에서 피부 주름개선 효능이 높았던 상기 표 2의 조합 8 화장료 조성물을 선정하여 하기 표 6 에서 제시한 크림의 조성에 화장료 조성물을 넣은 크림을 제조하였으며(하기 제조예 참고) 만 30~50세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제품은 안면 부위에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눈가 주름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센터 내부 지침서(SOP)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참고 문헌을 참조하여 수행하였다.
주름 측정은 PRIMOS(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Skin)를 이용하여 눈가 부위를 측정하였고, 시험 부위에 대한 정확한 재현성을 위해 기존 측정부위와 새로운 측정부위가 동일할 수 있도록 overlay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RIMOS는 미세주름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에서 만들어진 미세한 줄무늬(fringe fraction)가 피부에 투영된다. 투영된 영상은 3차원 profile 정보로 나타나며 필터과정을 통해 PRIMOS프로그램(GFM, Germany)으로 분석하였다. PRIMOS 분석 변수로는 Ra와 R3z를 선정하였다.
Ra(Arithmetic roughness average)는 PRIMOS로 측정된 주름의 거칠기 단면 peak에 대한 산술 평균값으로 Ra값이 작아질수록 피부 주름의 깊이가 낮아져 주름이 개선됨을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
R3z(Base roughness depth)는 R3z1부터 R3z5까지 5가지의 단일 거칠기 깊이에 대한 산술 평균으로 나타낸다. 단일 거칠기 깊이는 거칠기 단면의 단일 평가 거리(Ir)에서 세번째로 높은 단면 peak과 세번째로 깊은 곡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R3z의 값이 작아질수록 피부의 주름 깊이가 낮아짐을 의미하며 주름 개선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두 군 간의 눈가 주름 변화 분석 결과, 표 4, 5 및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군(도 11a)은 대조군(도 11b)과 비교하여 Ra, R3z에서 제품 사용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4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5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6
< 제조예 >
주름 개선 조성물이 함유된 크림 타입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각각의 성분들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기재된 비율에 따라 첨가하였으며, “주름 조성물”은 상기 표 2에 기재된 각각의 구성성분 비율에 따라 크림 타입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Figure 112017033488020-pat0000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에 영향을 주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7)

  1.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첨가 및 발효하여 프란츠 확산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실험 24시간 경과 기준)가 0.05mg/㎖ 이상인 저분자화된 콜라겐 발효물이고,
    상기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는 펩톤, 아세트산 나트륨 수화물, 황산 마그네슘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트윈 80, 시트르산 아암모늄, 인산 이칼륨, 증류수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8는 각각 0.005 내지 0.05%(w/v)으로 포함되며,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1 내지 10%(v/v)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107~1010cfu/㎖의 균수로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 접종한 후, 발효하여 저분자화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활성 및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콜라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를 첨가 및 발효하여 프란츠 확산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실험 24시간 경과 기준)가 0.05mg/㎖ 이상인 저분자화된 콜라겐 발효물이고,
    상기 콜라겐이 혼합된 배지는 펩톤, 아세트산 나트륨 수화물, 황산 마그네슘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트윈 80, 시트르산 아암모늄, 인산 이칼륨, 증류수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트리펩타이드-1, 트리펩타이드-29, 헥사펩타이드-9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8는 각각 0.005 내지 0.05%(w/v)으로 포함되며, 상기 콜라겐 발효물은 1 내지 10%(v/v)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70044374A 2017-04-05 2017-04-05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5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74A KR101956572B1 (ko) 2017-04-05 2017-04-05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74A KR101956572B1 (ko) 2017-04-05 2017-04-05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07A KR20180113107A (ko) 2018-10-15
KR101956572B1 true KR101956572B1 (ko) 2019-06-24

Family

ID=6386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374A KR101956572B1 (ko) 2017-04-05 2017-04-05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72B1 (ko) * 2018-10-31 2020-07-30 에이앤펩주식회사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343112B1 (ko) * 2020-01-28 2021-12-28 신형석 기능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캘러스 추출물 및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CN114081852A (zh) * 2020-08-25 2022-02-25 Isp投资有限公司 改善皮肤外观的组合物和方法
KR102584000B1 (ko) 2021-01-19 2023-10-06 김기연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스포츠 로션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03B1 (ko) * 2011-01-06 2013-04-15 샘표식품 주식회사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20081454A (ko) * 2011-01-11 2012-07-19 박성우 발효 콜라겐의 제조방법
JP6326601B2 (ja) * 2013-03-13 2018-05-23 アンティー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皮膚更新のためのペプチド及び前記ペプチドを使用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07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572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7916A (ko)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39472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101948828B1 (ko) 기능성 펩타이드, 성장인자 및 귤속 과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JP6482930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16612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4306A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170078259A (ko)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4258298B (zh) 包含竹叶百合提取物的组合物
KR20160020246A (ko) 디하이드로코리달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04696B1 (ko) 1-모노에이코사펜타에노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03107B1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70121193A (ko) 청주 순미주 농축물 및 청주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함유하는 피부 보호 또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56246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60019765A (ko) 다이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TW202402316A (zh) 關山櫻花萃取物於提升皮膚狀況及提升基礎代謝率上的用途
KR20200064319A (ko) 느릅나무 및 산수유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CN117562824A (zh) 用于抗皮肤衰老的化妆品组合物和面霜以及面膜液
KR20170076418A (ko) 딕탐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1A (ko) 옥시페우세다닌 수화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14736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