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732B1 -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732B1
KR102583732B1 KR1020180092234A KR20180092234A KR102583732B1 KR 102583732 B1 KR102583732 B1 KR 102583732B1 KR 1020180092234 A KR1020180092234 A KR 1020180092234A KR 20180092234 A KR20180092234 A KR 20180092234A KR 102583732 B1 KR102583732 B1 KR 10258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heave
bearings
sheaves
seg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462A (ko
Inventor
리 오스틴
알. 톨라이 데이비드
마 준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1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측-대-측 형태로 어레이되며 각각 베어링들 및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삽입된(interleaved) 외부 주행면 및 스페이서들을 포함한 시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시브의 베어링들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들 및 각각의 스페이서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은 내부 환형 표면을 협업하여 형성한다.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내부 환형 표면과 접하여 배치 가능한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UNITIZED SEGMENTED SHEAVE ASSEMBLY}
이하의 설명은 시브 어셈블리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아이들러 시브들은 요구된 수의 홈들로 기계 가공되는 하나의 큰 튜브 또는 봉으로부터 만들어져 왔다. 이들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들은 그 후 어느 하나의 측면 상에서 그것들로 밀어 넣어진 베어링들을 가지며 샤프트는 베어링들에 맞춰지며 승강구로 장착된다. 이들 태스크들은 필드에서 수행될 때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듀티 테이블들이 확대되고 시브들이 보다 작아지도록 요구됨에 따라, 적절한 수명 및 승차감을 갖고 아이들러 시브들로 베어링들을 맞추는 것이 점덤 더 어려워지고 있다.
베어링들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개개의 홈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들 경우들에서, 각각의 개개의 홈은 하나의 샤프트 상에서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들을 갖는다. 이것은 베어링들의 수를 증가시키며 베어링당 하중에서의 감소를 야기한다. 그것은 또한 샤프트 상에 높은 굽힘 응력을 생성하며 샤프트가 설치 프로세스 동안 통과해야 하는 시브들 사이에서의 베어링들 및 스페이서들 모두로 인해 필드에서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르면,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측-대-측 형태로 어레이되며 각각 베어링들 및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삽입된(interleaved) 외부 주행면 및 스페이서들을 포함한 시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시브의 베어링들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들 및 각각의 스페이서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은 협업하여 내부 환형 표면을 형성한다.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환형 표면과 접하여 배치 가능한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시브의 각각의 외부 주행면은 방사형 플랜지들의 세트에 의해 브래킷화(bracket)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시브는 베어링들의 세트 및 통합형 베어링들의 세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탄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 요소는 웨이브 스프링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시브의 베어링들의 외부 레이스들은 외부 주행면에 인접하며 그것과 통합형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들은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갭을 형성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관형 요소, 관형 케이지 및 중량 감소 홀들을 정의한 관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가 삽입 가능한 보어를 정의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사형 스페이서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슬리브 사이에 개재 가능하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사형 스페이서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승강기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기 시스템의 구성에 맞는 측-대-측 형태로 어레이된 복수의 시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시브는 세트 베어링들, 외부 주행면 및 상기 외부 주행면을 브래킷화는 방사형 플랜지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웨이브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또한 그 안에 갭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시브들 중 이웃하는 것들 사이에 삽입된(interleaved) 복수의 스페이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시브들의 각각의 것의 베어링들의 세트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들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의 각각의 것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은 협업하여 내부 환형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환형 표면과 접하여 배치 가능한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시브의 상기 베어링들의 외부 레이스들은 상기 외부 주행면에 인접하며 그것과 통합형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관형 요소, 관형 케이지 및 중량 감소 홀들을 정의한 관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가 삽입 가능한 보어를 정의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사형 스페이서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슬리브 사이에 개재 가능하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사형 스페이서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슬리브에 제 1 단부 나사를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된(interleaved) 측-대-측 형태로 상기 슬리브로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을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갭들을 형성하며 상기 슬리브로 샤프트를 슬라이딩시키는 상기 스페이서들을 갖고 상기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을 제 위치에 잠그기 위해 상기 슬리브에 제 2 단부 나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시브는 베어링들의 세트, 상기 베어링들의 세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웨이브 스프링, 주행면 및 상기 주행면을 브래킷화는 방사형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슬리브에 표면 처리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방사형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개시물로 간주되는, 내용은 명세서의 결론에 청구항들에서 특별하게 언급되고 뚜렷하게 주장된다. 본 개시의 앞서 말한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수반되는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기 시스템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일 부분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및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들 및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는, 각각이 그 자신의 세트의 베어링들을 갖는, 다수의 단일 시브 홈들을 포함하며, 이것은 통합 슬리브로 슬라이딩된다. 단부 나사들과 조합하여, 슬리브는 그것들을 제 위치에 잠금으로써 개개의 시브 홈들의 모두를 결집시킨다. 슬리브는 샤프트를 슬리브와의 슬립 핏 연결을 통해 그것에 이름으로써 승강기 시스템의 승강구에서 비교적 단순한 설치를 허용한다. 슬리브는 또한 굽힘 응력들을 다루기 위해 부가적인 지지대를 제공하며 주어진 발생률이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맞춤화될 수 있도록 임의의 수의 요구된 시브 홈들이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기 시스템(10)이 제공된다. 승강기 시스템(10)은 다층 빌딩(12)의 승강구(11)에 배치되며 승강칸(car)(13), 균형추(counterweight)(14), 로프(15) 및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는 빌딩(1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로프(15)는 승강칸(13)의 지붕으로부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를 통해 균형추(14)로 연장된다. 승강기 시스템(10)이 빌딩(12)의 일 층으로부터 또 다른 것으로 승강칸(13)을 이동시키기 위해 맞물리고,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의 회전 요소들은 회전하며 로프(15)가 빌딩(12)의 다양한 층들 사이에서 승강칸(13)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낮추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프(15)는 복수의 평평한 로프들(15)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평평한 로프(15)는 승강칸(13)의 지붕으로부터,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의 대응하는 시브를 통해 균형추(14)로 연장된다. 평평한 로프들(15)의 수는 다른 인자들 중에서, 승강칸(13)의 중량 및 국소적 요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의 대응하는 시브들의 수는, 다른 인자들 가운에, 승강칸(13)의 중량 및 국소적 요건들에 의해 유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는 시브들(30), 제 1 및 제 2 단부 나사들(41 및 42), 스페이서들(50) 및 슬리브(60)를 포함한다.
시브들(30)은 슬리브(60)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제 1 및 제 2 단부 나사들(41 및 42) 사이에 스페이서들(50)을 갖고 측-대-측 형태(301)로 서로 어레이된다. 시브들(30)의 각각은 제 1 및 제 2 베어링들(31 및 32)의 세트, 제 1 및 제 2 베어링들(31 및 32)의 세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탄성 요소(33), 외부 주행면(34) 및 외부 주행면(34)을 축방향으로 브래킷화는 제 1 및 제 2 방사형 플랜지들(35 및 36)의 세트를 포함한다. 시브들(30), 제 1 및 제 2 베어링들(31 및 32)의 세트 및 탄성 요소(33)는 부품들의 수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또는 통합형 구성요소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명료함 및 간결성을 위해, 전자의 경우에 관련될 것이다. 탄성 요소(33)는 웨이브 스프링으로서 또는 또 다른 적절한 탄성 피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50)은 이웃하는 시브들(30) 사이에 갭들(51)(대략, 예로서 약 2mm)을 형성하기 위해 이웃하는 시브들(30) 사이에서 삽입된(interleaved)다.
각각의 제 1 베어링(31)은 내부 레이스(310), 외부 레이스(311) 및 내부 레이스(310)에 대하여 외부 레이스(311)의 회전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 레이스(310) 및 외부 레이스(311) 사이에 개재된 회전 베어링 요소(312)를 포함한다. 내부 레이스(310)는 내부 부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레이스(311)는 외부 주행면(34)에 인접하며 그것과 통합하여 형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2 베어링(32)은 내부 레이스(320), 외부 레이스(321) 및 내부 레이스(320)에 대하여 외부 레이스(321)의 회전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해 내부 레이스(320) 및 외부 레이스(321) 사이에 개재된 회전 베어링 요소(322)를 포함한다. 내부 레이스(320)는 내부 부분(324)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레이스(321)는 외부 주행면(34)과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시브(30)의 제 1 및 제 2 베어링들(31 및 32)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들(310, 321) 및 각각의 스페이서(50)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52)은 내부 환형 표면(3050)을 협업하여 형성한다. 슬리브(60)는 내부 환형 표면(3050)과 접하여 배치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도 5 내지 도 7를 부가적으로 참조하면, 슬리브(60)는 관형 요소(601)(도 5 참조), 관형 케이지(602)(도 6 참조) 및 중량 감소 홀들(604)을 정의한 관형 요소(603)(도 7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요소(601)는 병렬 개방 단부들 및 병렬 개방 단부들 사이에 연장된 원통형 측벽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 피처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케이지(602)는 서로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분리되며 반대의 축방향 링들 사이에서 축방향 치수가 연장되지만 도 5의 관형 요소(601)보다 적게 점증적으로 무게를 주는 바들의 관형 어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요소(603)는 도 5의 관형 요소(601)와 유사할 수 있지만 또한 관형 요소(603)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량 감소 홀들(604)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슬리브(60)는 그것의 중심 세로 축을 따라 보어(61)를 정의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 기계(16)(도 1 참조)의 샤프트(62)는 이러한 보어(61)로 및 그것을 통해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및 도 8을 참조하면, 방사형 스페이서(801)는 샤프트(62) 및 슬리브(60) 사이에 방사상으로 개재 가능할 수 있다. 방사형 스페이서(801)는 탄성중합체 또는 또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여기에서 설명된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20)와 같은,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슬리브에 고정되는 제 1 세트 나사를 갖고 축방향으로 및 방사상으로 제 위치에 잠기는 단부 스페이서를 설치하며 조임에 의해 위치 결정을 보장하는 단계(블록 901) 및 그 후 슬리브에 안티-프렛팅(anti-fretting) 화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블록 90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방법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시브를 슬리브로 슬라이딩시키고 제 1 단부 나사로 슬리브의 길이 아래로 제 1 시브를 푸시하는 단계(블록 903),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스페이서를 슬리브로 슬라이딩시키며 제 1 시브로 슬리브의 길이 아래로 제 1 스페이서를 푸시하는 단계(블록 904) 및 미리 정의된 수들의 각각이 도달될 때까지 부가적인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의 슬라이딩 및 푸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블록 905)를 포함한다. 이때, 방법은 슬리브에 고정되는 제 2 세트 나사를 갖고 축방향으로 및 방사상으로 제 위치에 잠기는 단부 스페이서를 설치하며 조임에 의해 위치 결정을 보장하는 단계(블록 906)를 포함하며, 이때 제 1 및 제 2 단부 나사들의 구조적 건전성은 제 1 및 제 2 단부 나사들이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의 중량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어셈블리를 수직으로 기울임으로써 검증된다(블록 907). 다음으로, 부가적인 안티-프렛팅 화합물은 슬리브의 반대 단부들에 및 샤프트에 도포되며(블록 908) 샤프트는 샤프트 및 슬리브 사이에 개재된 방사형 스페이서를 갖거나 또는 그것 없이 슬리브로 삽입된다(블록 909).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는 종래의 아이들러 및 편향기 시브들에 비교될 때 여러 개의 주요 이득들을 제공한다. 이것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상당히 증가된 베어링 수명, 베어링 ID들을 보호하며 설치 시간들을 감소시키는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 설치될 홈들의 수에 대한 이용 가능한 맞춤화(예로서, 단지 4개의 홈들만이 5개의 홈들을 가진 기계를 이용하는 많은 설비들에서 요구된다), 시브 및 베어링 통합(즉, 베어링 외부 표면은 베어링을 시브로 밀어넣기 위한 요구를 제거하는 서스펜션 부재 접촉 표면이다)을 포함하며, 구성요소들은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금속성일 수 있고(예로서, 슬리브, 로드 베어링 표면, 스페이서들 등), 개개의 회전 시브들은 벨트들에 걸친 보다 양호한 장력 균등화를 허용하며 증가된 굽힘 응력 지지대가 제공된다.
본 개시는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상세하게 제공되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는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은 임의의 수의 변화들, 변경들, 대체들 또는 등가 장치들을 통합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지만, 이것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와 부합한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대표적인 실시예(들)가 단지 설명된 대표적인 양상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앞서 말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으며, 단지 수반되는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unitized segmented sheave assembly)에 있어서,
    측-대-측 형태(side-to-side formation)로 어레이되며 각각 베어링들 및 외부 주행면(running surface)을 포함하는 시브들;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삽입된(interleaved) 스페이서(spacer)들;
    내부 환형 표면을 협업하여(cooperatively) 형성하는 각각의 시브의 베어링들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race)들 및 각각의 스페이서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 및
    상기 내부 환형 표면과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시브의 각각의 외부 주행면은 방사형 플랜지들의 세트에 의해 브래킷화(bracket)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들은 통합형 베어링들(integral bearing)의 세트 또는 별개의 베어링들의 세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시브는 통합형 베어링들의 세트 및 베어링들의 세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탄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을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시브의 베어링들의 외부 레이스들은 상기 외부 주행면에 인접하며 그것과 통합형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관형 요소, 관형 케이지 및 중량 감소 홀(weight reduction hole)들을 정의한 관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가 삽입 가능한 보어(bore)를 정의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개재 가능한 방사형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스페이서는 탄성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1. 승강기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시스템의 구성에 맞는 측-대-측 형태로 어레이된 복수의 시브들로서,
    각각의 시브는 세트 베어링, 외부 주행면 및 상기 외부 주행면을 브래킷화는 방사형 플랜지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웨이브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시브들;
    복수의 스페이서들로서, 그 안에 갭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시브들 중 이웃하는 것들 사이에 인터리빙되고,
    상기 복수의 시브들의 각각의 것의 상기 베어링들의 세트의 각각의 내부 레이스들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의 각각의 것의 각각의 내부 부분들은 협업하여 내부 환형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 및
    상기 내부 환형 표면과 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각의 시브의 상기 베어링들의 외부 레이스들은 상기 외부 주행면에 인접한 것 및 일체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관형 요소, 관형 케이지 및 중량 감소 홀들을 정의한 관형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가 삽입 가능한 보어를 정의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개재 가능한 방사형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스페이서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17.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리브에 제 1 단부 나사를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된 측-대-측 형태로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을 상기 슬리브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이웃하는 시브들 사이에 갭들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들을 갖고 상기 시브들 및 스페이서들을 제 위치에 잠그기 위해 제 2 단부 나사를 상기 슬리브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샤프트를 상기 슬리브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각각의 시브는:
    베어링들의 세트;
    상기 베어링들의 세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웨이브 스프링;
    주행면; 및
    상기 주행면을 브래킷화는 방사형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표면 처리물(surface treatment)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방사형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180092234A 2017-08-08 2018-08-08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KR102583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2538P 2017-08-08 2017-08-08
US62/542,538 2017-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462A KR20190016462A (ko) 2019-02-18
KR102583732B1 true KR102583732B1 (ko) 2023-10-04

Family

ID=6317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34A KR102583732B1 (ko) 2017-08-08 2018-08-08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2202B2 (ko)
EP (2) EP3480156B1 (ko)
KR (1) KR102583732B1 (ko)
CN (1) CN109384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87353U (zh) * 2016-06-07 2016-11-16 浙江五洲新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钢带绳轮组件单元化结构
US10766746B2 (en) * 2018-08-17 2020-09-08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 liner and traction sheave
US11261062B2 (en) * 2019-05-03 2022-03-01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sheave unit
US11879535B2 (en) * 2022-04-12 2024-0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for pulley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014A (en) * 1938-06-30 1942-05-12 Dunlop Tire & Rubber Goods Apparatus for tensioning cord
US2426967A (en) * 1944-04-17 1947-09-02 Ace Machinery Ltd Friction braking device for hoisting apparatus
US3279762A (en) 1964-03-11 1966-10-18 Otis Elevator Co Noise abating and traction improving elevator sheave
US3332665A (en) * 1966-04-28 1967-07-25 Otis Elevator Co Segmental elevator sheave arrangement
CA915945A (en) * 1970-04-14 1972-12-05 Deh. Eastcott Peter Fastening of treads to drive wheel of friction mine hoist
CA1040553A (en) 1976-02-13 1978-10-17 Peter D. Eastcott Two or three rope friction hoist having a wheel for each rope
FR2405472A1 (fr) * 1977-10-04 1979-05-04 Simon Francois Moufle peson
EP0009058B1 (fr) * 1978-09-25 1983-02-16 Plumettaz Sa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nacelle d'entretien des façades
CN1064662A (zh) * 1991-03-13 1992-09-23 李穆然 多绳提升调绳悬挂装置
JPH05278974A (ja) 1992-03-31 1993-10-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従動綱車
AUPP212298A0 (en) * 1998-03-04 1998-03-26 Otis Elevator Company Rotatable hitch for securing a lift sheave to a frame element
US6601828B2 (en) 2001-01-31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 machin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US6405833B1 (en) * 2000-01-06 2002-06-18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rope sheave assembly with separate shoulder and flange surfaces having varying friction properties
EP1620345A2 (en) * 2003-06-18 2006-02-01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Sheave for elevator
BRPI0520808B1 (pt) 2005-12-28 2018-02-14 Otis Elevator Company Roldana de elevador, sistema de elevador, e, método para fazer uma roldana para utilização em um sistema de elevador
US7614611B1 (en) 2008-07-10 2009-11-10 Stewart Walton Sheave and sheave system
CN102596787B (zh) * 2009-11-13 2014-11-12 奥的斯电梯公司 承载架和电梯机器组件
KR20130118371A (ko) * 2011-01-21 2013-10-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벨트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ITTO20110240A1 (it) 2011-03-18 2012-09-19 Thiha Win Bozzello
CN202220024U (zh) 2011-08-31 2012-05-16 山东奔速电梯有限公司 电梯专用轴承式绳轮
CN202785204U (zh) 2012-08-01 2013-03-13 贵阳高原矿山机械有限公司 落地式多绳摩擦提升机天轮装置
CN203095371U (zh) 2012-12-30 2013-07-31 中信重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多绳摩擦式提升机的天轮装置
CN103171946B (zh) 2013-03-08 2015-05-06 宁波谷达机电有限公司 电梯导向轮组件及其调节方法
CN106573761B (zh) 2014-07-31 2020-01-31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滑轮
CN204124992U (zh) 2014-10-15 2015-01-28 德森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可调曳引轮
EP3056461B1 (en) * 2015-02-12 2017-09-06 Kone Corporation Arrangement and elevator
US9428370B1 (en) 2015-02-13 2016-08-30 Stewart Walton Sheave and sheave system
DE202015103087U1 (de) 2015-06-12 2016-09-19 Schwartz Gmbh Umlenkrolle
CN105438939B (zh) 2015-12-31 2017-08-11 朗格尔电梯有限公司 一种曳引轮
CN105438938B (zh) 2015-12-31 2017-08-11 朗格尔电梯有限公司 一种户外电梯的曳引结构
CN205527167U (zh) 2016-04-29 2016-08-31 江苏飞耐科技有限公司 一种铸铁耐磨绳轮
CN205739918U (zh) 2016-06-17 2016-11-30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新型涨绳轮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513A1 (en) 2022-09-14
US10822202B2 (en) 2020-11-03
US20190047826A1 (en) 2019-02-14
CN109384123B (zh) 2020-12-11
EP3480156A1 (en) 2019-05-08
EP3480156B1 (en) 2022-06-01
CN109384123A (zh) 2019-02-26
KR20190016462A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732B1 (ko) 일체형 세그먼트화된 시브 어셈블리
EP2188541B1 (de) Verfahren und lager zur lagerung von drehbaren geräten, insbesondere eines medizinischen scanners
DE102018105560B4 (de) Dichtungsanordnung eines Radlagers
DE102014104862A1 (de) Wälzlageranordnung und Windkraftanlage
US9273728B2 (en) Rolling bearing having rings with stepped surfaces opposite to the raceways
EP0595519A1 (en) Spring loaded bearing retainer
JP7170408B2 (ja) 自動調心ころ軸受
CN112460148B (zh) 滚动轴承及其安装方法
DE102008015135A1 (de) Lagerbereich einer Unwuchtwelle
DE112013006878T5 (de) Rollenlageranordnung, die insbesondere bei einem Elektromotor verwendet wird, und Verfahren zum Verbauen der Rollenlageranordnung mit einer Komponente, die die Lageranordnung stützt
US20220373022A1 (en) Rolling Bearing
US11286977B2 (en) Stacked thrust tapered dissimilar series roller bearing
US10422386B2 (en) Bearing lock, bear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EP1346784B1 (de) Führungsrolle für eine Stranggiessanlage
US20180087568A1 (en) Axial bearing arrangement
DE102010061920B3 (de) Lageranordnung
DE102018101870B4 (de) Stützlager
LU102171B1 (de) Kreiselpumpe
DE2057031A1 (de) Spulenträgerlagerung für Hochleistungs-Schnellverseilmaschinen
DE102015218633B4 (de) Wälzlager mit Lagerkäfig
DE112013006875T5 (de) Rollenlageranordnung, die insbesondere bei einem Elektromotor verwendet wird, und Verfahren zum Verbauen der Rollenlageranordnung mit einer Komponente, die die Lageranordnung stützt
JP2003120679A (ja) ピンタイプころ軸受
DE102004019530A1 (de) Hochtouriges Lager zur Lagerung des Spinnrotors einer Rotorspinnmaschine
CN117189784A (zh) 一种调心轴承保持架及调心轴承
DE102010050945A1 (de) Zylinderrollenl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