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576B1 -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576B1
KR102583576B1 KR1020160093423A KR20160093423A KR102583576B1 KR 102583576 B1 KR102583576 B1 KR 102583576B1 KR 1020160093423 A KR1020160093423 A KR 1020160093423A KR 20160093423 A KR20160093423 A KR 20160093423A KR 102583576 B1 KR102583576 B1 KR 10258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water
tank
depth control
water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775A (ko
Inventor
김세은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2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towing tanks or model basins for desig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주행 길이를 가지면서, 예인전차 및 레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예인수조의 일부 구간에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수심조절부를 설치하여 심수(深水, Deep Water) 및 천수(淺水, Shallow Water)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심수 및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형 선박을 예인하여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예인전차가 물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예인수조; 및 상기 예인수조의 바닥면에 일부 구간에 구비되어 수심이 조절되도록 일정깊이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 설치되어 예인수조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심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System of towing tank able to water depth control}
본 발명은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주행 길이를 가지면서, 예인전차 및 레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예인수조의 일부 구간에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수심조절부를 설치하여 심수(深水, Deep Water) 및 천수(淺水, Shallow Water)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심수 및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선체의 강도와 적재능력, 선박의 소요 엔진마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선박의 흘수선(吃水線)과 선박의 하부의 선형(船形)이므로, 선박의 설계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런데, 선박의 항로인 해수 등의 물은 고차원의 자유도를 가지므로, 이를 고려한 선박의 설계는 방대한 연산 량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선박의 설계는 연산에 의한 수치적 방법 보다는, 해당 선박을 축소한 모형 선박을 건조한 다음, 수조 내에서 시험하고, 이를 상사(相似)법칙에 의해 확대함으로써 실선(實船)의 유체력을 예측하여 설계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모형 선박을 시험하기 위한 수조는 예인(曳引)수조(Towing Tank)와 회류수조로 대별된다. 예인수조는 움직임이 없는 유동 장에서 모형 선박을 예인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고, 회류수조는 모형 선박은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장의 흐름을 유도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예인수조 시험은 모형선박의 예인시의 저항을 측정하여 실선의 속도에 따른 소요 마력을 추정하도록 함으로써, 주로 선박의 엔진출력과 선형의 유효성 등 추진성능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이외에 선박의 조종운동시 선체와 타(舵)에 미치는 유체력을 계측하여 조종성능을 추정하며, 선수파 중에서 항주하는 선박의 운동성능과 해양구조물의 정지된 상태에서의 파도에 의한 운동성능을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그리고 회류수조 시험은 예인수조 시험에 비하여 시험의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정성적인 저항추진성능 평가와 국부적인 유동특성을 파악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예인수조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시험은 깊은 수심에서의 선박 성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예인수조의 깊이와 폭이 모형 선박의 크기에 비하여 적절한 수준이 되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예인수조의 횡단면적은 모형선 횡단면적의 200배 이상, 예인수조의 폭은 모형선 길이의 1.5배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하천 및 수로와 같은 천수상태에서 선박의 요구마력 증가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낮은 상태를 모사할 수 있도록 예인수조의 수심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예인수조의 물(수조수)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예인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모형시험의 준비가 그만큼 지연될 수밖에 없고, 외부로 배출한 물을 버리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낭비로 인한 비용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예인수조의 수심이 다시 깊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시 물을 채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운 상황이 반복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예인 수조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시험 시간이나 인력이 이중으로 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조의 물을 배출하면 내부 수압의 변화로 인하여 수조 측벽의 변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수조 측벽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예인전차 주행레일의 직진도, 수평도 및 레일간 간격 등이 변화하므로 예인전차의 정속성 유지에 큰 어려움을 주게 되므로 수조의 수위를 바꾸는 일은 극도로 회피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예인수조 및 모형 선박을 이용한 심수(深水, Deep Water)에서의 선박 성능에 주로 관심을 가지지만, 천수(淺水, Shallow Water)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하기를 요구받는다. 천수에서의 유체역학적인 성능을 이론적으로 또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추정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천수에서의 모형시험에 의존하게 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천수 수조는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수심을 조절하는 바닥이 설치되어 있는 해양수조가 있지만 그 길이가 짧고 전차 및 레일 정밀도가 저항추진, 조종시험을 할 수 있는 예인수조의 정밀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1152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충분한 주행 길이를 가지면서, 예인전차 및 레일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예인수조의 일부 구간에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수심조절부를 설치하여 심수(深水, Deep Water) 및 천수(淺水, Shallow Water)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심수 및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형 선박을 예인하여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예인전차가 물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예인수조; 및 상기 예인수조의 바닥면에 일부 구간에 구비되어 수심이 조절되도록 일정깊이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 설치되어 예인수조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심조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심조절부는, 상기 함몰부 바닥면에 둘 이상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 상기 가이드 홀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심조절판; 상기 지지바를 가이드홀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심조절판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심조절판 및 지지바 사이에는 부력구조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조체와 수심조절판 사이에는, 상기 수심조절판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미세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예인수조에 일측에 구비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권취되며, 상기 부력구조체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부력구조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지지바의 상승 및 하강에 간섭되지 않도록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풀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가 예인수조의 측면부 하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예인수조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가 예인수조의 측면부 하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예인수조의 내측벽면에 각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예인 수조 및 부력구조체는, 상기 부력구조체의 양측에 둘 이상의 가이드 암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부력구조체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 상기 가이드 암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의 끝단은 T 또는 F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가이드 암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복수의 롤러 또는 슬라이딩 패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의 끝단부 양측에는 상기 부력구조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예인수조에서 심수역 뿐만 아니라 천수역에서의 저항성능, 추진성능, 조종성능의 모형시험 수행 가능하여 천수역에서의 선박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천수에서 시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해역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의 파랑 중을 가상한 시험 수행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이 예인 수조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이 예인 수조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은, 모형 선박(310)을 예인하여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예인전차(320)가 물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예인수조(200)에 있어서, 상기 예인수조(200)의 수심을 달리하여 모형 선박(310)이 천수(淺水) 및 심수(深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속도 성능 및 조정성능 등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예인수조(200)의 바닥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심을 조절하여야 되며, 이를 위해 수심조절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심조절부(100)는, 상기 예인수조(200)의 바닥면에 일부 구간에 구비되어 수심이 조절되도록 일정깊이 함몰부(210)와, 상기 함몰부(2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심조절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심조절부(100)는, 상기 함몰부(210) 바닥면에 둘 이상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110)과, 상기 가이드 홀(110)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바(120)와, 상기 지지바(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심조절판(130)과, 상기 지지바(120)를 가이드홀(110)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40) 및 상기 수심조절판(130)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20)는 수심조절판(130)의 길이방향 즉, 예인수조(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구성되며, 폭방향으로는 안정적으로 수심조절판(130)을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클램프에 의해 지지바(1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심조절판(130) 및 지지바(120) 사이에는 부력구조체(1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중성부력보다 약간 가볍도록 상기 수심조절판(130)의 하부에 부력구조체(16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력구조체에 의한 부력이 수심조절 시스템의 자중보다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양성부력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구조체(160)와 수심조절판(130) 사이에는, 상기 수심조절판(130)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미세높이 조절부(170)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170)는, 풀-푸시(Push & Pull)방식의 볼트 또는 다단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수심조절부(100)에서 조절되지 못하는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150)는, 예인수조(200)에 일측에 구비되는 윈치(151)와, 상기 윈치(151)에 권취되며, 상기 부력구조체(160)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1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부력구조체(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152) 및 상기 지지바(120)의 상승 및 하강에 간섭되지 않도록 와이어(152)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풀리(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52)의 경우 부력구조체(16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예이며, 부력구조체(15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수심조절판(13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와이어(152)가 예인수조(200)의 측면부 하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예인수조(200)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 파이프(154)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와이어(152)로 인하여 예인수조(200)의 하부 측벽의 평활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인수조(200)의 바닥부, 예인수조(200)의 측벽하부 내부 및 예인수조(200)의 측벽 외부에서 지상의 윈치(151)까지 상기한 풀리(153) 및 와이어(152)를 구동에 간섭 없이 연결하여 줌으로서 원활하게 수심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가이드 파이프(15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수조(200)의 내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예인수조(200)의 내측벽면에 각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파이프(154a)를 직립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152)를 가이드 파이프(154a)로 인출하여 윈치(151)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인 수조(200) 및 부력구조체(160)는, 상기 부력구조체(160)의 양측에 둘 이상의 가이드 암(16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예인 수조(200)의 내측면 양측에 상기 부력구조체(16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 상기 가이드 암(161)을 안내하는 안내홈(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암(161)의 끝단은 T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220)은 가이드 암(161)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복수의 롤러(162)가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암(161)의 상승 및 하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암(210)의 끝단부 양측에는 상기 부력구조체(16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1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암(2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작용 외에 수심조절판(130)이 수중에 떠 있을 때 상기한 고정부(140) 외에 상기 클램프(163)에 의해 2중으로 수심조절판(13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암(210)은 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클램프(163) 및 슬라이딩 패드(164)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암(1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 및 클램프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즉, 도면의 'A'부분과 같이 가이드 암(161)의 형상을 'F'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홈(220)과 가이드 함(161)이 접하는 부분에 슬라이딩 패드(164)를 설치되며, 외측에는 클램프(163)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부분과 같이 가이드 암(161)의 형상을 'F'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단부가 일측이 안내홈(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양단부 중 일측단에는 클램프(163)를, 타측단 및 안내홈(210) 각각에 슬라이딩 패드(164)를 개재하고, 외측에는 클램프(163)를 개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A, B부분과 같이 가이드 암(161)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가이드 암(161)이 안내홈(210)에 끼어서 수심조절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의 'C'부분과 같이 가이드 암(161)의 전단부 양측단 각각에 클램프(163) 및 슬라이딩 패드(164)를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따.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A, B, C와 같이 가이드 암(161), 클램프(163) 및 슬라이딩 패드(164)를 다양한 구조로 구성하여 수심조절부(100)의 상승 및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은 예인수조(200) 바닥의 일부 구간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시험 중 바닥에 미치는 힘에 의하여 수심변화에 기인하는 오차를 억제하기 위해 정해진 높이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닥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예인수조(200)의 바닥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심조절부(100)의 수심조절판(130)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되며,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50)의 윈치(151)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윈치(15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152)를 풀거나 감아서 상기 부력구조체(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수심조절부(100)는 수심의 높낮이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킬 때 상기 구동부(150)를 가동시켜 수심을 조절하게 되지만, 미세하게 수심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미세높이 조절부(170)를 통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높이 조절부(170)를 통하여 비교적 작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심조절판(130)의 수평레벨을 수면을 기준으로 미세 조절을 하고, 이후에 상기 윈치(151)를 통하여 수심조절부(10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두 가지 방법을 통하여 예인수조(20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시험자의 편의 또는 시험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의 경우 천수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천수에서의 속도성능,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게 때문에 수심이 낮은 근해역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의 파랑 중을 가상한 시험 수행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수심조절부 110 : 가이드 홀
120 : 지지바 130 : 수심조절판
140 : 고정부 150 : 구동부
151 : 윈치 152 : 화이어
153 : 풀리 154 : 가이드 파이프
160 : 부력구조체 161 : 가이드 암
162 : 롤러 163 : 클램프
164 : 슬라이딩 패드 170 : 미세높이 조절부
210 : 예인수조 210 : 함몰부
220 : 안내홈 310 : 모형 선박
320 : 예인전차

Claims (10)

  1. 모형 선박(310)을 예인하여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예인전차(320)가 물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예인수조(200); 및
    상기 예인수조(200)의 바닥면에 일부 구간에 구비되어 수심이 조절되도록 일정깊이 함몰부(210)와, 상기 함몰부(210)에 설치되어 예인수조(200)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심조절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심조절부(100)는,
    상기 함몰부(210) 바닥면에 둘 이상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110);
    상기 가이드 홀(110)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바(120);
    상기 지지바(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심조절판(130);
    상기 지지바(120)를 가이드홀(110)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40); 및
    상기 수심조절판(130)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심조절판(130) 및 지지바(120) 사이에는 부력구조체(16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부력구조체(160)와 수심조절판(130) 사이에는,
    상기 수심조절판(130)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미세높이 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
    예인수조(200)에 일측에 구비되는 윈치(151);
    상기 윈치(151)에 권취되며, 상기 부력구조체(160)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1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부력구조체(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와이어(152); 및
    상기 지지바(120)의 상승 및 하강에 간섭되지 않도록 와이어(152)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풀리(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와이어(152)가 예인수조(200)의 측면부 하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예인수조(200)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 파이프(1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와이어(152)가 예인수조(200)의 측면부 하부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예인수조(200)의 내측벽면에 각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파이프(154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 수조(200) 및 부력구조체(160)는,
    상기 부력구조체(160)의 양측에 둘 이상의 가이드 암(16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예인 수조(200)의 내측면 양측에 상기 부력구조체(16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 상기 가이드 암(161)을 안내하는 안내홈(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161)의 끝단은 T 또는 F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220)은 가이드 암(161)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복수의 롤러(162) 또는 슬라이딩 패드(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161)의 끝단부 양측에는 상기 부력구조체(16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1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KR1020160093423A 2016-07-22 2016-07-22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KR10258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23A KR102583576B1 (ko) 2016-07-22 2016-07-22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23A KR102583576B1 (ko) 2016-07-22 2016-07-22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75A KR20180010775A (ko) 2018-01-31
KR102583576B1 true KR102583576B1 (ko) 2023-09-26

Family

ID=6108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23A KR102583576B1 (ko) 2016-07-22 2016-07-22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5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180A (ja) * 2001-03-19 2002-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動床プールの可動床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913A (ja) * 1997-10-28 1999-05-21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KR100977270B1 (ko) * 2008-04-24 2010-08-23 주식회사 지유 이동형 낙하충격 시험장치
KR20110115225A (ko) 2010-04-15 2011-10-21 한국해양연구원 예인수조 수심조절 장치
KR101347347B1 (ko) * 2012-04-13 2014-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형시험 수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180A (ja) * 2001-03-19 2002-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動床プールの可動床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75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4736B2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SE457523B (sv) Flytande konstruktion foer havsteknikaendamaal
NL1011312C1 (nl) Drijvende offshore-constructie, alsmede drijfelement.
DK2374708T3 (en) Resistance reducing devices to the moon pool
KR20100047123A (ko) 문풀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JP2006105834A (ja) 水質測定装置
KR102583576B1 (ko)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
KR20170104204A (ko) 예인수조의 예인 시험장치
KR101335249B1 (ko) 부유지지체 및 이를 갖는 파이프라인 부설선
CN109178225B (zh) 一种半潜式海洋工程平台拉杆式出坞方法
RU2352493C1 (ru) Опытовый бассейн для испытаний моделей суд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о льдах
NL2016759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ITLI20040004U1 (it) S.h.s.b.d. self sheating-hydraulic-sampling-bottom-device dispositivo di campionamento fondali autoinguainante idraulico.
KR102486115B1 (ko) 예인수조 수심조절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심 조절부의 승강 보정장치
KR101665477B1 (ko) 해양 플랜트의 히브 모션 댐핑 장치
NO339679B1 (no) Beskyttet moonpool
KR101607874B1 (ko) 모형 시험 수조
KR20110115225A (ko) 예인수조 수심조절 장치
RU2669251C1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водной среды на ходу судна (варианты)
KR101607875B1 (ko) 선박
KR102450502B1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종방향 경사시험 방법
KR102252154B1 (ko) 부유식 선박 계류장
CN109398618A (zh) 一种应用于波浪能剖面浮标的钢缆单双向控制装置及浮标平台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