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794B1 -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794B1
KR102582794B1 KR1020210166721A KR20210166721A KR102582794B1 KR 102582794 B1 KR102582794 B1 KR 102582794B1 KR 1020210166721 A KR1020210166721 A KR 1020210166721A KR 20210166721 A KR20210166721 A KR 20210166721A KR 102582794 B1 KR102582794 B1 KR 10258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duct
hybrid vehicle
voltage battery
flap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689A (ko
Inventor
권충호
모형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6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7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덕트에 플랩을 장착하고, 배기 덕트를 통과하는 유속에 따라 플랩이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한 장착 공간에서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전달되는 고주파를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 덕트를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함으로써, 배기 덕트 자체로도 흡음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EXHAUST DUCT FOR HIGH-VOLTAGE BATTERIES OF HYBRIDE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가 설치된 장착 공간 안에서 발생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플랩을 장착하고, 이 장착 공간에 설치된 팬의 구동으로 배기 덕트를 통과하는 유속에 비례하여 이 플랩이 개폐하게 구성함으로써, 플랩이 개방하는 시간과 개폐 정도를 최소화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구성하는 PRA (Power Relay Assembly)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와 플랩을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하여 이러한 고주파 소음을 한층 더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차(Hybrid Electric Vehicle)는 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을 장착하여 차량 속도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과 모터의 힘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효율을 높인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차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배터리 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로어 구성된 장착 공간(S)에 고전압 배터리(B)를 장착된다. 특히, 상기 장착 공간(S)에는 고전압 배터리(B)를 충·방전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방열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2380호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시스템에서 공랭 시 냉각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 덕트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시스템(또는 고전압 부품 등)을 공랭각할 때, 냉각 공기가 나가는 출구 덕트의 형상을 배출구(Extractor grill) 부위까지 적용하지 않고, 리어 필러 어셈블리의 선단 부위에 유입 홀을 형성하고, 후단 부위에 배출 홀을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덕트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리어 필러 어셈블리의 사이드 멤버에서 양산 적용중인 툴링 홀이나 도장용 홀을 이용하여 냉각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냉각성능 확보에 유리하며, 또한 사이드 멤버 형상으로 인해 외부에서 들어올 수 있는 먼지유입이나 수밀 문제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한편, 특히 덕트 형상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인라인 탑재시 작업성 향상 및 유동 압력저항을 줄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의 출구 덕트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872호
하이브리드 차량의 덕트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시스템을 냉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가 차량의 시트 또는 외부충격 등에 노출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덕트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시트 하부에 마련된 배터리시스템을 냉각시키도록 설치된 덕트를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부가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0962881호
하이브리드 차량의 통합 패키지 모듈용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각공기를 통합 패키지 모듈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와 통합 패키지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차량의 중량과 원가를 절감시키면서 실링성 및 장착성을 향상시키고, 통합 패키지 모듈의 내부에 덕트를 장착하여 배터리 모듈과 전자부품들 사이의 유량손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냉각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패키지 트레이의 통합 패키지 모듈과 인접한 상부면에 냉각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제1 흡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후방 패키지 트레이의 프론트 하부 후방 면에도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하는 제2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입구는 유입 덕트의 일단과 연통하도록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유입 덕트의 타단은 상기 통합 패키지 모듈의 케이스와 연통하도록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2380호 (공개일: 2009.06.17)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872호 (공개일: 2013.05.03) 한국등록특허 제10-0962881호 (등록일: 2010.06.01)
한편, 이처럼 하이브리드차에 장착되는 고전압 배터리(B)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PRA(Power Relay Assmebly)가 장착된다. 이에, 장착 공간(S)에서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방열 작용하게 설치된 기존의 배기 덕트(D)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장착 공간에서 발생한 열을 실내로 배출하게 구성함에 따라 장착 공간에서 발생한 소음도 그대로 하이브리드차 실내에 전달되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2) 특히, PRA에서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고주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고주파도 기존 배기 덕트를 통해 바로 하이브리드차 실내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3) 이때, 하이브리드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 사용량이 달라지고, 이에 장착 공간 안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발생도 달라지는데, 이렇게 다르게 발생하는 고주파가 그대로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전달된다.
(4) 한편, 기존 배기 덕트는, [도 4]와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장착 공간 내부의 방열을 위해 배기 작용에는 효과가 있으나, 고주파 흡음에는 전혀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배기 덕트에 플랩을 장착하고, 배기 덕트를 통과하는 유속에 따라 플랩이 개폐되는 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한 장착 공간에서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전달되는 고주파를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 덕트를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함으로써, 배기 덕트 자체로도 흡음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는, 하이브리드차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장착 공간(S)에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기를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배출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10)에서; 배기 덕트(10)에는, 입구 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이 입구 부분을 항상 막는 플랩(11)이 구성되되, 상기 플랩(11)은 장착 공간(S)에 설치되어 방열을 위해 동작하는 팬이 구동할 때 방출하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비례하여 열리게 구성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의 PRA(Power Relay Assembly)(2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 덕트(10)는,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배기 덕트의 입구 부분에 플랩을 장착하고, 이 플랩이 배기 덕트를 통해 배출하는 유체의 유속에 비례하여 개폐하는 양이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장착 공간 안에서 배기 덕트를 통해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전달되는 고주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2) 즉, 상기 유체의 유속이 약해 플랩이 닫혀 있을 때는 고주파가 플랩을 통과해야 하므로 그만큼 적은 양의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전달되게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 또한, 이처럼 플랩이 유속에 비례하여 개폐하게 되므로, 고전압 배터리의 사용량이나 충·방전할 때 장착 공간에서 배출하는 유체의 유속에 낮을 때는 고주파를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한편, 상기 배기 덕트는 플랩을 포함하여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함으로써, 배기 덕트 자체에서도 고주파를 흡음하게 하여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는 패널을 보여주는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된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된 위치를 보여주는 하이브리드차의 후방 시트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공간에서 방열을 위해 설치하는 종래 배기 덕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가 장착된 장착 공간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PET 펠트로 제작된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플랩이 개방되기 전 상태를, (b)는 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8]은 종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배기 덕트(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덕트(실시예)에 대해 운전석의 오른쪽에서 차속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검출한 값(a)과, 차속에 따른 특정 주파수에서 소음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b)를 각각 보여준다.
[도 9]는 종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배기 덕트(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덕트(실시예)에 대해 뒷좌석 중간에서 차속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검출한 값(a)과, 차속에 따른 특정 주파수에서 소음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b)를 각각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배기 덕트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10)에는, [도 5] 내지 [도 9]와 같이, 입구 부분에 플랩(11)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플랩(11)은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공간(S)에서 배기 덕트(10)를 통해 빠져나가는 유체의 유속에 비례하여 개폐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장착 공간(S)에 설치되어 전원을 전환할 때 사용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2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 덕트(10)와 플랩(11)은 각각,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구성함으로써, 장착 공간(S) 안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음하여 흡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S'는 하이브리드차의 바닥 하부에 형성되어 고전압 배터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각각 나타낸다.
가. 배기 덕트
배기 덕트(10)는, [도 5]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공간(S)과 하이브리드차 실내를 연결하여 장착 공간(S) 안에서 발생한 열기 등을 강제로 배출하여 방열 작용과 냉각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덕트이다.
여기서, 상기 장착 공간(S)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전압 배터리 이외에도, 장착 공간(S)의 내기를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배출하게 하는 팬, 고전압 배터리 전원을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20) 등이 추가로 구성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배기 덕트(10)는, [도 7]과 같이, 장착 공간(S) 안에 설치된 팬이 구동함에 따라 장착 공간(S) 안의 내기가 이 배기 덕트(10)를 통해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 덕트(10)는, [도 6]과 같이,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착 공간(S)에서 배기 덕트(10)로 유체를 배출할 때 흡음 작용, 특히 PDA(2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에 대해 흡음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단층 PET 펠트는 하드 PET 펠트로 구성하고, 이층 PET 펠트는 하드 PET 펠트와 소프트 PET 펠트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배기 덕트(10)에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입구 부분에 플랩(11)이 장착된다.
나. 플랩
플랩(11)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배기 덕트(10)의 입구 부분을 마감한다. 이때, 상기 플랩(11)은 상부가 상기 배기 덕트(1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진 상태에서 배기 덕트(10)의 입구 부분을 마감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플랩(11)은 배기 덕트(1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하게 구성함으로써, 장착 공간(S) 안에 설치된 팬이 구동하여 배기 덕트(10)를 통해 유체의 유속이 발생했을 때 이 유속에 비례하여 개폐하는 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플랩(11)은 항상 닫힌 상태로 있게 되어 장착 공간(S) 안에서 발생한 소음, 특히, PRA(2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배기 덕트(10)를 통해 배기 작용이 이루어질 때는 배기할 대의 유체 유속에 비례하여 개방하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항상 개폐된 상태에 있던 기존 배기 덕트와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고주파를 최소화해서 흡음 효과를 높일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랩(11)은 유체의 유속에 비례하여 개폐하게 할 때, 유속에 의해 개폐 정도가 제어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을 바탕으로 모터 등을 통해 강제로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랩(11)은 상술한 배기 덕트(10)와 마찬가지로,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라한 펠트에 관해서는 배기 덕트(1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기 덕트에 플랩을 장착하고 배기 덕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에 비례하여 플랩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에서 사용하는 PRA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기 덕트와 플랩을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고주파에 대한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덕트(실시예)와 기존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배기 덕트(비교예)에 대해 차속에 따른 주파수 변화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차속에 따른 소음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는 아래의 [도 8] 및 [도 9]와 같이, 여기서, [도 8]은 자동차의 운전석 오른쪽에서 측정한 결과이고, [도 9]는 뒷좌석의 중앙 부분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위는 비교예에 대해 차속에 따른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를, 실시예에 대해 차속에 따른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는 7.3㎑대역(폭 600㎐)에서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해 차속에 대한 흡음 성능을, 8.7㎑대역(폭 600㎐)에서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해 차속에 대한 흡음 성능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에서 검은 선은 비교예의 흡음 성능을, 붉은 선은 실시예의 흡음 성능을 각각 보여준다.
그 결과,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주파수 전체 대역에 대해 흡음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는 PRA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고주파 대역에서 비교예보다 흡음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0: 배기 덕트
11: 플랩

Claims (2)

  1. 하이브리드차의 바닥 하부에 형성된 장착 공간(S)에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기를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배출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10)에서,
    배기 덕트(10)에는,
    입구 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이 입구 부분을 항상 막는 플랩(11)이 구성되되, 상기 플랩(11)은 장착 공간(S)에 설치되어 방열을 위해 동작하는 팬이 구동할 때 방출하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비례하여 열리게 구성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의 PRA(Power Relay Assembly)(2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하이브리드차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10).
  2. 제1항에서,
    상기 배기 덕트(10)는,
    단층 또는 이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펠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10).
KR1020210166721A 2021-11-29 2021-11-29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KR10258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21A KR102582794B1 (ko) 2021-11-29 2021-11-29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721A KR102582794B1 (ko) 2021-11-29 2021-11-29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89A KR20230079689A (ko) 2023-06-07
KR102582794B1 true KR102582794B1 (ko) 2023-09-26

Family

ID=8676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721A KR102582794B1 (ko) 2021-11-29 2021-11-29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580A (ja) 2006-08-21 2008-02-28 Denso Corp ドア開度固定構造
JP2013544700A (ja) 2010-10-29 2013-12-19 ヴァレオ、オートモーティブ、エアー、コンディショニング、フーペイ、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動車両の暖房、換気、および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380A (ko)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배터리시스템의 출구덕트
KR100962881B1 (ko) 2008-06-02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통합 패키지 모듈용 덕트구조
KR101154735B1 (ko) * 2010-09-17 2012-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배기 덕트 구조
KR20130044872A (ko) 2011-10-25 2013-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덕트보호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580A (ja) 2006-08-21 2008-02-28 Denso Corp ドア開度固定構造
JP2013544700A (ja) 2010-10-29 2013-12-19 ヴァレオ、オートモーティブ、エアー、コンディショニング、フーペイ、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電動車両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動車両の暖房、換気、および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89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782B2 (ja) 車両のエンジンカプセル化構造物
JP4361438B2 (ja) 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JP5362629B2 (ja) 発熱体冷却装置
JP2017013638A (ja) エンジンコンパートメントの冷却制御構造
KR101673761B1 (ko) 가상 엔진 사운드 출력 기능을 갖는 차량의 에어로파츠
US6030286A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a plurality of sub blades
US10337394B2 (en) Blower for vehicle
KR102531082B1 (ko) 차량용 가상 사운드 발생시스템
CN201941578U (zh) 客车及其后置发动机车顶散热通风装置
EP3078528B1 (en) Structure of intercooler cover integrated into fan shroud for turbocharged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60273424A1 (en) Mounting structure of variable valve for dual exhaust system
KR20150130013A (ko) 엔진 룸 쿨링 시스템
KR101518931B1 (ko)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KR102582794B1 (ko) 하이브리드차의 고전압 배터리용 배기 덕트
CN107053998A (zh) 空调机组
KR20210056795A (ko) 휠하우스 구조
KR10259938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시스템 냉각 구조
KR20110062079A (ko) 차량 엔진룸 공기저항안정화장치
CN114194024A (zh) 车辆进气辅助系统及车辆
JP2007170241A (ja) エンジンカバー構造
KR20120094755A (ko) 자동차용 언더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18553B1 (ko) 차량용 공력장치
KR101916045B1 (ko) 엔진 룸 쿨링 시스템
KR101534928B1 (ko) 전동식 슈퍼차저
CN209671108U (zh) 一种用于具有脉冲气流管路上的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