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972B1 -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972B1
KR102581972B1 KR1020230089207A KR20230089207A KR102581972B1 KR 102581972 B1 KR102581972 B1 KR 102581972B1 KR 1020230089207 A KR1020230089207 A KR 1020230089207A KR 20230089207 A KR20230089207 A KR 20230089207A KR 102581972 B1 KR102581972 B1 KR 10258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emperature
extrac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상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은 단순히 인삼을 장기(長期)간 보관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공정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성분들이 생성된다. 즉, 홍삼제조과정에서는 진세노사이드의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구조의 변화로 화학적인 성분이 변화되어 유익한 특수 성분이 생기게 되는데, 홍삼에는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서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만의 특수 성분인 말톨(Maltol)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비롯한 8종의 특수성분이 들어 있으며, 이중 말톨(Maltol)은 노화억제기능을 갖고,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3)는 암세포증식억제 및 항종양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상기 홍삼은 그 품질에 따라 고급 홍삼인 천삼과 지삼 그리고 보통 홍삼인 양삼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수삼을 증기를 이용하여 찔 때 동체균열이나 백피, 내공 내벽 등의 발생 여부에 따라 분류되므로 증삼 기술에 의해 홍삼의 품질과 가격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홍삼의 제조공정의 경우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세척과정을 거친 후 이를 증삼기 내에 넣고, 수증기를 사용하여 94~100, 특히 96 정도로 증삼하고 건조시켜 제조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흑삼은 사포닌을 구성하고 있는 면역 증진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인삼이나 홍삼에 비해 3~4배 이상 높아 면역력을 기르고 원기 회복과 자양강장에 놀라운 효능을 가진 삼으로서 최근 홍삼과 함께 흑삼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고가로 판매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상황이다.
인삼(수삼, 백삼, 홍삼 및 흑삼)은 그 자체로도 섭취하지만 점점 다양한 형태로 인삼주, 인삼김치와 같이 각종 음식에 배합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건강기능식품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인삼가공식품은 58%를 차지하고 있다. 인삼의 유효성분(사포닌)을 증가시키는 기술(홍삼, 흑삼등)을 통해서 새로운 건강식품을 개발하여 국내외 거대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것은 경제적,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내 건강기능식품시장에서도 홍삼음료의 매출과 제품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국내시장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특허문헌 1’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홍삼음료에 대한 수요 역시 많아지고 있다.
음료는 갈증을 해소하고 피로회복, 기호 충족 등의 목적을 위해 음용하는 액체의 총칭이다. 녹차, 홍차, 커피 등의 기호음료, 사이다, 콜라 등의 탄산음료, 천연과즙 등의 과실음료, 맥주, 청주 등의 알코올음료 등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매일 섭취하더라도 몸의 기운이나 간 등에 무리가 없으면서, 홍삼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데일리 홍삼음료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92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의 쓴맛을 완화시켜 맛과 풍미가 우수하여 거부감 없이 섭취가 가능하며, 영양성분 공급이 우수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홍삼추출액은,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은,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식물혼합농축액은,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혼합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상기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혼합한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를 첨가한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홍삼의 쓴맛을 완화시켜 맛과 풍미가 우수하여 거부감 없이 섭취가 가능하며, 영양성분 공급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홍삼추출액 33-35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4-26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3-4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8-1.2 중량부 및 정제수 36-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추출액은,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홍삼추출액은 2단계의 저온 추출 및 1단계의 고온 추출을 통한 3단계 추출로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높다. 일반적인 추출(예로 고온 추출)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함량이 0.2-0.3 g/g인 것에 반해, 상기 3단계 추출을 통해 제조되는 홍삼추출액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함량은 0.6-0.7 g/g로 현저히 높다. 나아가서는 고온 추출 시 매실농축액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한 쓴맛을 잡아주어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은,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은 영지버섯을 저온숙성, 열풍건조와 분쇄 후 볶은 후 추출하여 제조함으로써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높은 영양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식물혼합농축액은,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식물혼합농축액은 각 원료에 따라 별도의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각 성분들을 어울리도록 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농축은 55-65℃의 온도에서 60-70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추출액을 혼합하여 농축하는 것이 추출액들의 풍미가 잘 어우러지고, 깊고 부드러우면서 품질이 우수한 농축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조성물은 전체 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매농축액 0.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매농축액은,
산사나무열매 및 꾸지뽕열매를 세척하여 준비하고, 세척한 산사나무열매 및 꾸지뽕열매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열매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한 열매혼합물을 38-4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열매혼합물을 180-22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열매혼합물을 28-3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열매혼합물 28-32 중량부, 설탕 58-62 중량부 및 물 8-12 중량부를 혼합한 후, 28-32℃의 온도에서 12-16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열매농축액을 포함하여 맛과 풍미를 향상시켜 기호성이 더욱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혼합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상기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혼합한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를 첨가한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홍삼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물혼합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혼합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상기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혼합한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조된 홍삼추출액, 영지버섯추출농축액 및 식물혼합농축액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온도범위 및 회전속도를 통해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여 고르게 분산된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할 때 열매농축액 0.5-1.5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열매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산사나무열매 및 꾸지뽕열매를 세척하여 준비하고, 세척한 산사나무열매 및 꾸지뽕열매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열매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한 열매혼합물을 38-4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열매혼합물을 180-22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열매혼합물을 28-3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열매혼합물 28-32 중량부, 설탕 58-62 중량부 및 물 8-12 중량부를 혼합한 후, 28-32℃의 온도에서 12-16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를 첨가한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20-4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1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후 더욱 고온으로 가열하고 더욱 높은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각 성분들이 고르게 분포하고, 프락토올리고당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여과하여 혹여나 있을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음료 조성물의 제조-1
홍삼추출액 34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3.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1 중량부 및 정제수 36.5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의 온도로 가열하고 300 rpm의 회전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에 프락토올리고당 25 중량부를 첨가한 후, 98℃의 온도로 가열하고 500 rpm의 회전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혼합물을 여과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음료 조성물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혼합물로 열매농축액을 1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음료 조성물의 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맛, 풍미,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3점 나쁘다, 5점 보통이다, 7점 좋다, 9점 매우 좋음으로 나타나는 9점 기호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풍미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2 8.2 8.3 8.2
실시예 2 8.5 8.5 8.5 8.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기호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홍삼추출액 32-36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3-27 중량부, 영지버섯추출농축액 2-5 중량부, 식물혼합농축액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35-3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은,
    홍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53-5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1차 여과액을 얻고, 1차 고형물은 다시 물과 혼합하되 1차 고형물과 물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63-6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2차 여과액을 얻고, 2차 고형물은 매실농축액과 혼합하되 2차 고형물과 매실농축액의 혼합비율이 1:9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91-9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3차 추출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3차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액, 상기 2차 여과액 및 상기 3차 여과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영지버섯추출농축액은,
    영지버섯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영지버섯을 1-5℃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영지버섯을 48-52℃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영지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지버섯분말을 170-19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은 영지버섯분말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58-62℃의 온도로 냉각한 후 5-7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2차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식물혼합농축액은,
    대추 3-7 중량부, 작약 2-6 중량부, 천궁 2-6 중량부, 쑥 1-5 중량부, 황기 2-6 중량부, 메밀 3-7 중량부, 우엉 2-6 중량부, 결명자 2-6 중량부 및 구기자 3-7 중량부를 혼합한 대추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73-77℃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대추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흑마늘 3-7 중량부, 히비스커스 3-7 중량부, 어성초 3-7 중량부, 여주 3-7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 및 산수유 3-7 중량부를 혼합한 흑마늘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88-9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마늘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마카 3-7 중량부, 둥굴레 3-7 중량부, 도라지 3-7 중량부, 노니 3-7 중량부, 귀리 3-7 중량부, 계피 3-7 중량부 및 감초 3-7 중량부를 혼합한 마카혼합물 8-12 중량부 및 물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68-72℃의 온도에서 14-1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카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추혼합추출액, 상기 흑마늘혼합추출액 및 상기 마카혼합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9207A 2023-07-10 2023-07-10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258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207A KR102581972B1 (ko) 2023-07-10 2023-07-10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207A KR102581972B1 (ko) 2023-07-10 2023-07-10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72B1 true KR102581972B1 (ko) 2023-09-22

Family

ID=8819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207A KR102581972B1 (ko) 2023-07-10 2023-07-10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79272A (ko) 2014-12-26 2016-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27875B1 (ko) * 2016-04-04 2018-02-12 함양군 황칠나무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20210029444A (ko) * 2019-09-06 2021-03-16 농업회사법인 (주)케이앤바이오 발효 산양산삼 고함유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1614A (ko) * 2020-01-14 2021-07-22 (재)남해마늘연구소 흑마늘홍삼 음료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혼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7888A (ko) * 2020-12-18 2022-06-27 유한회사 해오담 농업회사법인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79272A (ko) 2014-12-26 2016-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27875B1 (ko) * 2016-04-04 2018-02-12 함양군 황칠나무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20210029444A (ko) * 2019-09-06 2021-03-16 농업회사법인 (주)케이앤바이오 발효 산양산삼 고함유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1614A (ko) * 2020-01-14 2021-07-22 (재)남해마늘연구소 흑마늘홍삼 음료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혼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7888A (ko) * 2020-12-18 2022-06-27 유한회사 해오담 농업회사법인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4818B (zh) 一种野生蓝莓复合果汁及其制备方法
KR101808648B1 (ko) 블루베리 열매와 유색현미를 이용한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0277349B1 (ko) 호화된 쌀가루를 이용한 밥알없는 식혜의 제조방법
CN114350468A (zh) 一种龙眼核发酵酿制酒的制作方法
KR102581972B1 (ko) 홍삼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2100447B1 (ko) 혼합 비지 청국장을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소스의 제조방법
CN104789436A (zh) 一种玫瑰花果红醋及其制备方法
CN104323381A (zh) 一种清热利肺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122126B1 (ko) 아로니아와 홍삼엑기스가 첨가된 비비큐 소스
KR20130005201A (ko) 보리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보리고추장
CN105533347A (zh) 一种红树莓甜菊叶复合饮料的制作方法
CN110885734A (zh) 一种可增强免疫力的米酒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503289B1 (ko) 인삼 전분과 도라지 분말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CN105104934A (zh) 一种山楂酸甜紫薯淀粉
KR19990024065A (ko) 무발효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852486B1 (ko) 우슬 함유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우슬 함유 음료
KR102511754B1 (ko) 볶은 수수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1371701A (zh) 保健茶冰糖
WO2019214692A1 (zh) 一种有机富硒黑米啤酒及其制备方法
CN111040922A (zh) 一种紫薯醋的制作方法
KR101741593B1 (ko) 고구마청국장 제조방법
KR102548785B1 (ko) 산양삼 및 산양도라지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 조성물
KR102289114B1 (ko) 올리브 잎을 이용한 올리브 스프의 제조방법
KR102398058B1 (ko) 새싹삼 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