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291B1 - 모듈형 다짐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다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291B1
KR102581291B1 KR1020210088231A KR20210088231A KR102581291B1 KR 102581291 B1 KR102581291 B1 KR 102581291B1 KR 1020210088231 A KR1020210088231 A KR 1020210088231A KR 20210088231 A KR20210088231 A KR 20210088231A KR 102581291 B1 KR102581291 B1 KR 10258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paction
modular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641A (ko
Inventor
이동은
이창용
박영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2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모듈형 다짐장치들을 서로 결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다짐장치{MODULAR COMPACTOR}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모듈형 다짐장치를 연결하여 다지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모듈형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다짐기는 주로 도로용 다짐 기계로, 롤러, 타이어 또는 플레이트에 진동 장치를 부착하여 다진다(진동식 롤러, 바이브레이팅 소일 콤팩터, 바이브로 래머, 임팩트 롤러 등).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거푸집이 설치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만들고자 하는 모양으로 짜인 틀로, 공사에 따라 거푸집 용 합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거푸집 내에는 콘크리트, 흙 등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재료들이 부어 넣어지고, 거푸집은 이 재료들이 정확한 위치 및 형상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흙건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담틀 공법도 거푸집을 이용한다. 담틀 공법은 다짐흙벽(Rammed earth wall)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안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이를 다짐하여 흙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담틀 공법은 거푸집의 반입, 설치, 정렬, 해체, 청소, 박리재 도포, 이동, 재설치의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노무집약적이다. 그 뿐만 아니라 담틀 공법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에 포설된 흙 재료를 고르게 하기 위해 평탄화 공정이 수행되고 다짐흙벽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다짐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평탄화 및 다짐 공정은 노무인력이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충격력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흙건축의 생산성 및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03년 09월 29일에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10-0536772호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흙 및 자갈과 같은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연결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모듈형 다짐장치를 연결하여 다지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모듈형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복수 개가 연결된 모듈형 다짐장치를 제어하여 개별적인 다짐 플레이트의 다짐 속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다짐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모듈형 다짐장치들을 서로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의 일 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의 단면은 쐐기형상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쐐기형상의 돌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다짐 플레이트를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하우징의 단면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 상기 모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짐 플레이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다짐 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을 가이드 하는 피스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부재의 축과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중심 축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각기둥 형상 또는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다.
다른 측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고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짐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면 및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의 하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는 복수의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절반이 끼워지고 대응되게 배치되는 그루브에 나머지 절반이 끼워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를 결속시키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및 연결부재는 내부에 나사산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은 내부에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동력부와 직접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2 기어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축의 타 단이 배치되는 보조 기어; 상기 피스톤 가이드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고 상기 다짐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제1축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제2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동력부의 원운동을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에 의하면, 흙 및 자갈과 같은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에 의하면, 연결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모듈형 다짐장치를 연결하여 다지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가 연결된 모듈형 다짐장치를 제어하여 개별적인 다짐 플레이트의 다짐 속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의 (a), (b), (c) 및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연결부재의 평면도, 연결부재의 단면도 및 결속부재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의 하우징 및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형 다짐장치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의 (a), (b), (c) 및 (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의 연결부재(220)의 사시도, 연결부재(220)의 평면도, 연결부재(220)의 단면도 및 결속부재(230)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의 투시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의 하우징(100) 및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모듈형 다짐장치(10)가 연결부(200)에 의해 연결된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10)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 구동부(300)에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400), 및 하우징(100)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의 일 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210), 그루브(210)에 끼워지는 연결부재(220), 및 연결부재(220)와 하우징(100)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210)의 단면은 쐐기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220)는 그루브(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쐐기형상의 돌출요소(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요소(221, 222)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돌출요소(221, 222)가 합쳐져 연결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루브(210)는 하우징(100)의 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그루브(210)는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의 외부 측면의 중앙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들(210)은, 하우징(100)의 상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의 하부의 각각의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 홈(201)은 연결부재(220)의 내부와 그루브(2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연결부재(220) 내부의 나사산 홈(201)과 그루브(210)의 일 측에 배치된 나사산 홈(201)은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00)의 나사산 홈(201)은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00)는 복수 개의 모듈형 다짐장치들(10)을 서로 결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모듈형 다짐장치(10)와 다른 하나의 모듈형 다짐장치(10)가 있을 때, 이 둘의 모듈형 다짐장치(10)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루브(210)에 연결부재(220)를 끼워 맞춤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 때에, 결속부재(230)는 나사산 홈(201)에 삽입되어 연결부재(220)와 하우징(100)이 합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0)에서 다짐 플레이트(400)를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다짐 플레이트(400)의 면적은 하우징(100)의 단면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듈형 다짐장치(10)를 연결시킬 때에,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면적을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310), 모터부재(310)에 연결되고 다짐 플레이트(40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20), 및 다짐 플레이트(400)에 연결된 피스톤(326)을 가이드 하는 피스톤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부재(310)의 축과 다짐 플레이트(400)의 중심 축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부재(310)는 동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동력부라고 말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320)는 복수 개의 기어, 축 및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어부라고 말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고 도 1 내지 도 5b를 다시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310), 동력부(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동력부(3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320), 기어부(320)에 연결되고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400), 및 동력부(310)에 연결되어 동력부(310)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동력부(31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짐 플레이트(400)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상부 측면 및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의 하부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하우징(100)의 상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고,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의 하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는 복수의 그루브(210), 그루브(210)에 절반이 끼워지고 대응되게 배치되는 그루브(210)에 나머지 절반이 끼워지는 연결부재(220), 및 하우징(100)과 연결부재(220)를 결속시키고, 하우징(100)과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파트를 의미하고, 그 형상 및 기능 또한 동일하다 할 수 있다.
모듈형 다짐장치(10)는 전원케이블(P) 및 모듈케이블(M)을 구비하고, 전원케이블(P)은 모듈형 다짐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하며, 모듈케이블(M)은 사용자가 컴퓨터와 같은 컨트롤러로 신호를 제어부(500)에 전파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구성품이다.
하우징(100)은 사각기둥 형상 또는 육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방부(110)와 후방부(120)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다. 하우징(100)은 제1 챔버(101), 제2 챔버(102) 및 제3 챔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101)에는 제어부(500)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챔버(102)에는 동력부(31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3 챔버(103)에는 기어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동력부(310)에 연결되고, 동력부(310)는 기어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0),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 및 연결부재(220)는 내부에 나사산 홈(201)을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130)은 내부에 피스톤(326)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26)의 하단에는 다짐 플레이트(400)가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320)는, 동력부(310)와 직접 연결된 제1 기어(321), 제1 기어(321)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 기어(322), 제2 기어(322)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축(323), 제2 기어(322)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축(323)의 타 단이 배치되는 보조 기어(325), 피스톤 가이드(330)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고 다짐 플레이트(400)에 연결되는 피스톤(326), 및 제1축(323)과 피스톤(326)을 연결하는 제2 축(32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320)는 동력부(310)의 원운동을 다짐 플레이트(4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짐 플레이트(400)가 수직으로 운동하면서 다짐 플레이트(400)의 하단에 있는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질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에 의하면, 흙 및 자갈과 같은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에 의하면, 연결부(200)를 사용하여 복수의 모듈형 다짐장치(10)를 연결하여 다지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다짐장치(10)에 의하면, 복수 개가 연결된 모듈형 다짐장치(10)를 제어하여 개별적인 다짐 플레이트(400)의 다짐 속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모듈형 다짐장치 100: 하우징
110: 전방부 120: 후방부
101: 제1 챔버 102: 제2 챔버
103: 제3 챔버 130: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200: 연결부 210: 그루브
220: 연결부재 221: 제1 돌출요소
222: 제2 돌출요소 230: 결속부재
201: 나사산 홈 300: 구동부
310: 모터부재, 동력부 320: 동력전달부재, 기어부
330: 피스톤 가이드 400: 다짐 플레이트
321: 제1 기어 322: 제2 기어
323: 제1 축 324: 제2 축
325: 보조기어 326: 피스톤
500: 제어부 P: 전원케이블
M: 모듈케이블

Claims (11)

  1.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모듈형 다짐장치들을 서로 결속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의 일 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형 다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단면은 쐐기형상이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쐐기형상의 돌출요소를 포함하는,
    모듈형 다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모듈형 다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다짐 플레이트를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하우징의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모듈형 다짐장치.
  6.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모듈형 다짐장치들을 서로 결속하며,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재;
    상기 모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짐 플레이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다짐 플레이트에 연결된 피스톤을 가이드 하는 피스톤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재의 축과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중심 축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모듈형 다짐장치.
  7.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된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모듈형 다짐장치들을 서로 결속하며,
    상기 하우징은 사각기둥 형상 또는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한,
    모듈형 다짐장치.
  8.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고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짐속도가 조절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면 및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의 하부 측면 상에 4개가 배치되는 복수의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절반이 끼워지고 대응되게 배치되는 그루브에 나머지 절반이 끼워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를 결속시키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형 다짐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및 연결부재는 내부에 나사산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은 내부에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 가이드를 포함하는,
    모듈형 다짐장치.
  11. 축조물재료 또는 지면을 다지는 모듈형 다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고 다짐기능을 수행하는 다짐 플레이트; 및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짐속도가 조절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동력부와 직접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축;
    상기 제2 기어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축의 타 단이 배치되는 보조 기어;
    상기 피스톤 가이드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고 상기 다짐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제1축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제2 축;
    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의 원운동을 상기 다짐 플레이트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모듈형 다짐장치.
KR1020210088231A 2021-07-06 2021-07-06 모듈형 다짐장치 KR10258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31A KR102581291B1 (ko) 2021-07-06 2021-07-06 모듈형 다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31A KR102581291B1 (ko) 2021-07-06 2021-07-06 모듈형 다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41A KR20230007641A (ko) 2023-01-13
KR102581291B1 true KR102581291B1 (ko) 2023-09-22

Family

ID=8489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31A KR102581291B1 (ko) 2021-07-06 2021-07-06 모듈형 다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2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6932A (ja) * 2005-06-24 2008-12-25 ワツカー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個別に調節可能な振動起振機を備えた振動プレート
JP2009500156A (ja) * 2005-07-01 2009-01-08 ワツカー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振動プレートシステム
CN108086098A (zh) * 2017-09-20 2018-05-29 方灼 一种市政工程道路夯实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6932A (ja) * 2005-06-24 2008-12-25 ワツカー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個別に調節可能な振動起振機を備えた振動プレート
JP2009500156A (ja) * 2005-07-01 2009-01-08 ワツカー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振動プレートシステム
CN108086098A (zh) * 2017-09-20 2018-05-29 方灼 一种市政工程道路夯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41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7710B (zh) 一种装配整体式扶壁式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159832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EA009835B1 (ru) Машина для трамбовки блоков
US20090049762A1 (en) Building Core Slipform
KR102581291B1 (ko) 모듈형 다짐장치
DE102005054087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ertigteilbauelementen und Fertigteilbauelement
CN111980197B (zh) 装配式剪力墙安装工艺
JP2015504123A (ja) 杭打ち装置及び杭材アセンブリの取り付け施工方法
CN110605779B (zh) 一种钢筋混凝土预制结构件成型模具
KR102104932B1 (ko) 프리캐스트 모듈러 시스템 옹벽
EP0174923A1 (en) Concrete slab extruder with shear-action coring members
DE19941302C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m Boden versenkten Tragsäulen
CN107558484A (zh) 匹配应力梯度的变刚度劲性复合桩系统
KR102398981B1 (ko) 자율주행 시공 장치
KR102309914B1 (ko) 축조물 자동 시공 및 인상 장치
KR102619755B1 (ko) 조립식 건설 요소를 또 다른 건설 요소에 장착하는 방법 및 연결 배열체
KR102558646B1 (ko) 모듈형 철골 및 이를 포함하는 축조물 시공 장치
EP1587656A2 (de) Klappschalung
CN113818313B (zh) 一种市政道路施工方法
CN220013284U (zh) 一种混凝土压实装置
CN214116186U (zh) 一种机场混凝土道面施工行夯振动器
CN209837093U (zh) 一种高路基加筋土挡墙
JP6378873B2 (ja) 人工地盤及び人工地盤の構築工法
DE3814885C2 (ko)
CN110565619B (zh) 一种土木工程用地基夯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