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289B1 -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289B1
KR102581289B1 KR1020230020470A KR20230020470A KR102581289B1 KR 102581289 B1 KR102581289 B1 KR 102581289B1 KR 1020230020470 A KR1020230020470 A KR 1020230020470A KR 20230020470 A KR20230020470 A KR 20230020470A KR 102581289 B1 KR102581289 B1 KR 10258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tting object
cutting
contact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호준
Original Assignee
도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준 filed Critical 도호준
Priority to KR102023002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2Apparatus for holding meat or bones while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대상물인 육류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골절기에 배치되어 다양한 외형을 가지는 절단 대상물에 외면 형태에 관계없이 절단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어 절단 공정에서의 정확도를 높여 절단된 절단 대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절단 및 수거를 자동화할 수 있어 작업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Meat fixing jig for fracture machine}
본 발명은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대상물인 육류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골절기에 배치되어 다양한 외형을 가지는 절단 대상물에 외면 형태에 관계없이 절단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어 절단 공정에서의 정확도를 높여 절단된 절단 대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절단 및 수거를 자동화할 수 있어 작업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와 살코기가 혼합된 육류를 절단하는 절단기를 골절기라 하며, 이러한 골절기는 육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일 예로 육류가 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육류를 절단, 즉 슬라이싱 하는 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육류를 압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다수 개의 돌기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포크 형태로 구성되어 육류의 외면을 압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골절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포크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절단 대상물인 육류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육류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육류를 파지하면서 절단하는 경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작업자의 부주의는 단순히 작업자의 집중력 저하로 인한 문제 이외에도, 뼈가 포함된 고기는 대부분 냉동 상태로 운반 및 저장되기 때문에 냉동 상태의 육류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장시간 절단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파지한 부위의 감각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799호(2011.10.19.,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피골절물 거치부와, 상기 피골절물 거치부에 거치된 피골절물을 슬라이싱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골절물 거치부는 상기 피골절물이 올려지는 베이스 테이블, 상기 베이스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골절물에 꽃히어 상기 피골절물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 상기 포크를 상기 피골절물의 두께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피골절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포크에 의해 압지되록 하는 포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피골절물을 고정하는 포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커팅수단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피골절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피골절물을 압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포크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799호(2011.10.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뼈와 살코기가 포함된 육류 등과 같은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되, 절단 대상물을 커터측으로 일정한 속도 및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 대상물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할 수 있어 품질을 높이고,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사고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절단 대상물이 배치되고,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터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일측과 맞닿아 이를 가압하여 상기 커터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모듈;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모듈;
인가된 전워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푸쉬모듈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쉬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모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핀과,
일단은 상기 바디의 내벽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압핀에 맞닿아 상기 가압핀을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모듈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포트구동수단과,
상기 서포트구동수단과 동력전달체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 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외면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회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회전체는,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외면과 맞닿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는 상기 가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회전체는,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모듈은, 상기 서포트회전체가 상기 서포트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절단 대상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구동부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바디를 상기 커터측으로 이동시키는 바디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뼈와 살코기가 혼합된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되, 절단 과정에서 절단 대상물을 가압하는 푸쉬모듈을 통해 절단 과정에서 절단 대상물의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대상물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이를 지지하는 푸쉬모듈과 서포트모듈을 통해 절단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푸쉬모듈과 서포트모듈을 각각 구동부를 통해 동작시킴으로써 절단 대상물의 절단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절단 공정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푸쉬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푸쉬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서포트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서포트회전체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1)는, 상면에 절단 대상물이 배치되고,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터(12)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일측과 맞닿아 이를 가압하여 상기 커터(12)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모듈(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모듈(30)과, 인가된 전워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푸쉬모듈(2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쉬구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다리와 상기 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에는 커터(12)가 통과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12)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작업테이블(11)에 배치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한다.
상기 푸쉬모듈(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테이블(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절단 대상물을 상기 커터(12)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바디(2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211)의 외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핀(22)과, 일단은 상기 바디(21)의 내벽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압핀(22)에 맞닿아 상기 가압핀(22)을 상기 바디(2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1)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핀(22) 및 탄성체(23) 등이 배치되고, 바디(21)의 일측에는 배치된 가압핀(22)이 배치되는 출입공(2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바디(21)의 수용공간(21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213)가 배치된다.
상기 가압핀(2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211)에 형성된 출입공(212)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출입공(212)의 외측으로 출입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디(21)에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핀(22)의 길이 방향 단부, 즉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단부는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핀(22)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공(2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공(221)에는 상기 커버(213)에 결합된 고정핀(222)이 배치된다.
즉, 상기 가압핀(22)은 상기 출입공(212)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탄성체(23)에 의해 탄성지지 되면서 절단 대상물의 일측에 맞닿는데, 이때 맞닿은 절단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가압핀(22)이 수용공간(211)측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바디(21)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하는 가압핀(22)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요입공(221)에 고정핀(222)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222)은 상기 커버(213)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핀(222)과 커버(213)의 결합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22)의 외면에 결합용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13)에는 내주면에 결합용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22)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용 나사산이 맞물려 결합하는 결합공(21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23)는 상기 바디(21)의 수용공간(211)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가압핀(22)의 단부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커버(213)에 맞닿아 상기 가압핀(22)을 바디(2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핀(22)이 절단 대상물에 맞닿을 때 절단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 압축되거나 복귀되면서 가압핀(22)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바디(21)에는 절단 대상물과 상기 가압핀(22)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막(24)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가압막(24)은 상기 바디(21)의 일단에 배치되며 형상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일면은 상기 바디(21)에 배치된 가압핀(22)의 일측 단부가 맞닿고 타면은 절단 대상물에 맞닿는다.
이러한 가압막(24)은 상기 가압핀(22)이 절단 대상물과 점접촉 형태로 맞닿아 이를 가압할 때 가압하는 힘이 절단 대상물로 전달되지 못하여 절단 대상물의 위치 변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가압막(24)은 상기 바디(21)의 일측에 배치되며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가압핀(22)의 이동에 의해 가압 또는 복귀된다. 이러한 가압막(24)은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바디(21)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물재로 이루어져 일정 횟수 사용 이후 교체하거나 세척 및 살균 처리 후 재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과 맞닿아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31)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포트구동수단(32)과,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과 동력전달체(321)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 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외면이 상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회전체(3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1)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서포트회전체(3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 개의 노출공(311)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1)는 도면 중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1개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절단 대상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가 복수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노출공(311)의 위치가 각각의 케이스(31)에서 상호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위치, 보다 정확하게는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각각의 노출공(311)에 배치된 서포트회전체(33)가 회전할 때 절단 대상물로 전달되는 회전력의 위치가 절단 대상물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구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력을 후술하는 서포트회전체(33)로 공급한다.
이러한 서포트구동수단(32)의 일 예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하면서 회전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상기 케이스(3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과 동력전달체(321)를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체(321)는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 받아 이를 서포트회전체(33)로 전달하는 것으로, 엔드리스 타입의 벨트, 와이어,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외면이 상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절단 대상물의 타측과 직접 맞닿는데, 여기서 상기 서포트회전체(33)의 외면은 절단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직선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절단 대상물과 접촉하는 4개의 면을 갖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면을 잇는 모서리는 완만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포트회전체(33)가 서포트구동수단(32)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때 모서리부위가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외면과 맞닿는 마찰부(331)와, 상기 마찰부(331)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동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331)는 상기 서포트회전체(33)에서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면으로써 맞닿은 절단 대상물을 지지하고, 절단 대상물의 절단이 진행된 이후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에 의해 서포트회전체(33)가 회전할 때 마찰부(331)가 맞닿은 절단 대상물을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즉, 마찰부(331)는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는 절단 대상물을 지지하고, 절단이 진행된 이후 서포트구동수단(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절단된 분체(分體)를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331)에는 맞닿은 절단 대상물과 마찰력을 높이면서도 절단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찰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부(331)는 상기 가동부(332)에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절단 대상물과 여러 위치에서 맞닿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배출을 위한 회전력이 전달되는 위치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여 배출시 에러 발생을 최소화한다.
상기 가동부(332)는 상기 마찰부(331)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상기 케이스(3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절단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가 다양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서포트모듈(30)은 절단 대상물의 타측과 맞닿아 이를 지지하고, 절단이 진행되어 절단된 분체를 베이스프레임(10)에서 배출하여 절단 속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의 동작과 후술하는 푸쉬구동부(40)의 바디구동장치(41)를 연동하여 각각의 동작속도가 절단 대상물의 이동, 절단 및 배출에 대응하도록 하여 절단 대상물의 절단, 이동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쉬구동부(40)는 상기 푸쉬모듈(20)은 상기 작업테이블(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푸쉬구동부(40)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바디(21)를 상기 커터(12)측으로 이동시키는 바디구동장치(4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바디(2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42)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2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레일(4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럭(43)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구동장치(41)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출입하는 로드를 포함한 공지의 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로드가 바디(21)의 일측에 결합된 커버(213)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레일(42)은 상기 작업테이블(11)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럭(43)은 상기 바디(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4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구동장치(41)의 구동시 바디(21)가 이동레일(4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푸쉬모듈(20)은 상기 바디구동장치(41)를 구동하여 바디(21)를 커터(12)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바디(21)에 구비된 가압핀(22)과 가압막(24)이 절단 대상물에 맞닿아 이를 동시에 이동시켜 커터(12)에 의해 절단 대상물이 절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푸쉬모듈(20)은 상기 바디구동장치(41)의 구동, 정지 및 로드의 이동속도 등을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절단 대상물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바디구동장치(41)의 구동, 정지 및 로드의 이동속도 등은 상기 서포트모듈(30)의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되도록 하여 절단 대상물의 이동 및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터(12)에서 커팅, 즉 슬라이싱된 절단 대상물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센서(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커터(12)에 의해 커팅된 절단 대상물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하여 절단된 절단 대상물의 중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커터에 의해 절단된 절단 대상물은 커터와 서포트모듈과의 간격과 절단 대상물의 높이에 의해 커팅된 단위 객체의 중량을 특정할 수 있고, 커팅된 단위 객체의 중량이 특정되는 경우 커팅된 단위 객체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일정한 중량 또는 개수로 포장하여 제공하는 후속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카운팅센서(50)가 구비되어 상기 커터(12)의 동작 또는 상기 푸쉬모듈(20)의 이동 거리 또는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절단 대상물의 절단 동작 및 절단 횟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팅센서(50)는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은 빛을 이용하여 푸쉬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의 동작, 즉 서포트구동수단(32)으로 공급되는 전원 또는 신호를 감지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10 : 베이스프레임
20 : 푸쉬모듈
21 : 바디 22 : 가압핀
23 : 탄성체 24 : 가압막
30 : 서포트모듈
31 : 케이스 32 : 서포트구동수단
33 : 서포트회전체
40 : 푸쉬구동부
41 : 바디구동장치 42 : 이동레일
43 : 이동블럭
50 : 카운팅 센서

Claims (5)

  1. 상면에 절단 대상물이 배치되고, 상기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커터(12)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일측과 맞닿아 이를 가압하여 상기 커터(12)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모듈(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모듈(30);
    인가된 전워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푸쉬모듈(2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쉬구동부(40);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모듈(20)은,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바디(2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211)의 외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핀(22)과,
    일단은 상기 바디(21)의 내벽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가압핀(22)에 맞닿아 상기 가압핀(22)을 상기 바디(2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3)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모듈(30)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31)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포트구동수단(32)과,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과 동력전달체(321)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 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외면이 상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의 타측을 지지하는 서포트회전체(33)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절단 대상물과 접촉하는 4개의 면을 갖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면을 잇는 모서리는 완만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회전체(33)가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때 모서리부위가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절단 대상물과 맞닿는 외면과 맞닿는 마찰부(331)와,
    상기 마찰부(331)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동부(332)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331)는 상기 가동부(332)에서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회전체(33)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모듈(30)은,
    상기 서포트회전체(33)가 상기 서포트구동수단(32)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터(12)에 의해 절단된 절단 대상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구동부(40)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바디(21)를 상기 커터(12)측으로 이동시키는 바디구동장치(4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바디(2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42)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21)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레일(4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럭(4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KR1020230020470A 2023-02-16 2023-02-16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KR10258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470A KR102581289B1 (ko) 2023-02-16 2023-02-16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470A KR102581289B1 (ko) 2023-02-16 2023-02-16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289B1 true KR102581289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470A KR102581289B1 (ko) 2023-02-16 2023-02-16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2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86Y1 (ko) * 1995-07-24 1999-03-20 김총원 육절기의 냉동육 압지장치
JP2006281423A (ja) * 2005-04-05 2006-10-19 Yunite:Kk 突条部切断具及び突条部切断方法
KR101076799B1 (ko) 2011-03-24 2011-10-25 박형렬 슬라이스 골절기
KR20170001252A (ko) * 2015-06-26 2017-01-04 김명룡 냉동육 절단장치
KR20220116850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원재엔지니어링 갈비 및 족 절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86Y1 (ko) * 1995-07-24 1999-03-20 김총원 육절기의 냉동육 압지장치
JP2006281423A (ja) * 2005-04-05 2006-10-19 Yunite:Kk 突条部切断具及び突条部切断方法
KR101076799B1 (ko) 2011-03-24 2011-10-25 박형렬 슬라이스 골절기
KR20170001252A (ko) * 2015-06-26 2017-01-04 김명룡 냉동육 절단장치
KR20220116850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원재엔지니어링 갈비 및 족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9B1 (ko) 야채절단장치
KR101691337B1 (ko) 꼬치 제조 장치
US20180077963A1 (en) Automatic machine for strawberry de-calyx and cutting in pieces
JP4768643B2 (ja) ハム原木等のスライス装置
KR102581289B1 (ko) 골절기용 육류 고정지그
CN108941726A (zh) 一种全自动机械闸式剪板机
KR200492015Y1 (ko) 식품 절단기
KR101367107B1 (ko) 빵 절단장치
KR20190012656A (ko) 봉재 절단 장치
EP0260946A2 (en) A loaf slicing machine
JP5988194B2 (ja) 固形物切断装置
KR101473098B1 (ko) 배추 절단기
CN218538723U (zh) 一种珍珠棉加工裁断机的上料装置
KR20160125932A (ko) 폼 블록의 자투리부분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JP2006078469A (ja) トレー自動盛付装置
GB2049550A (en) Slic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slicing a number of food products
KR101399435B1 (ko) 섬유 절단 장치
CN111070249B (zh) 一种中药饮片斜片切制装置
CN209831741U (zh) 一种长圆柱形工件的加工装置
KR200355001Y1 (ko) 골절기를 이용한 냉동식품 자동 절단장치
KR102486578B1 (ko) 골절기를 이용한 냉동식품 절단장치
CN215976596U (zh) 一种断布机的方便校准裁剪装置
KR20190109228A (ko) 옵셋 인쇄용 블랑켓 재단기
CN218927924U (zh) 一种小型自动化切片机
CN219190438U (zh) 一种裁断机用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