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08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08B1
KR102580508B1 KR1020210046551A KR20210046551A KR102580508B1 KR 102580508 B1 KR102580508 B1 KR 102580508B1 KR 1020210046551 A KR1020210046551 A KR 1020210046551A KR 20210046551 A KR20210046551 A KR 20210046551A KR 102580508 B1 KR102580508 B1 KR 10258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en
tube
type
catheter
proxim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64A (ko
Inventor
정순원
박준규
변대흥
김태훈
남충현
조원일
조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4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6Making parts for balloon catheter systems, e.g. shafts or distal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원은 내강형 근위 튜브(distal tube),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의 내부에 타측 말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내강형 금속 튜브(hypo tube), 및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내부에 제1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내부에 나머지인 제2 부분이 배치되는 관형 스타일렛을 포함하고,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타측 말단부는 상호 접합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와 미접합되는 것인,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원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이 수축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혈관 내에 가이드 와이어를 먼저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풍선 등 확장 가능한 물체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 전달한 후 상기 풍선을 확장 및 확장된 혈관을 지지할 수 있는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치료법은 고분자 튜브의 한쪽 끝에 스타일렛이 용접 결합된 금속 튜브를 열 접합으로 연결한 카테터를 이용한 것으로서, 환부가 깊숙한 곳일 경우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금속 튜브의 단단함을 유지할 수 없어 힘이 전달되지 않아 깊숙한 환부에는 카테터를 보내기 어려운 단점이 발견되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744005호는 카테터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금속관으로 구성되는 기초부 샤프트의 기 단부 내에 보강체를 마련함으로써, 기초부 샤프트에 내킹크성(꺾임 방지)이 부여된 카테터에 대한 것이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혈관의 내부에 들어가는 풍선 카테터의 말단까지 힘을 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내강형 근위 튜브(distal tube),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의 내부에 타측 말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내강형 금속 튜브(hypo tube), 및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내부에 제1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내부에 나머지인 제2 부분이 배치되는 관형 스타일렛을 포함하고,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타측 말단부는 상호 접합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와 미접합되는 것인, 카테터에 대한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는 접합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보다 타측 말단부에 가까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타측 말단부에 삽입되는 자유단(free end)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 내경을 고려하여,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 내경의 범위 내로 제한된 상태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은, 직경이 일정한 선형부, 상기 선형부의 양측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점점 가늘어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연장된 첨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부의 직경은 0.3 mm 내지 0.4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의 일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와 접합되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의 타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 사이의 접합과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및 상기 금속 튜브 사이의 접합은 열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은 Fe, Ni, C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종래의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풍선 확장 카테터는 고분자 튜브의 한쪽 끝에 스타일렛나 스카이브가 용접 결합되어 있는 금속 튜브를 열 용접함으로써 근위부는 부드럽게 만들고 원위부는 단단하게 하여 카테터 근위부의 풍선이 심혈관 등의 환부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이에 대해 좀 더 깊숙한 곳에 위치한 혈관 병변까지 치료하고자 하는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고분자 튜브 압출 기술이 발전하며 종래의 풍선 확장 카테터보다 더 얇은 풍선과 튜브를 사용해 프로파일이 점차 얇아지는 카테터들은 개발되었으나 금속 튜브의 프로파일은 생산 기술 특성상 더 얇고 가늘게 만들 수는 있으나 단단한 성능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금속 튜브와 근위 튜브를 열 접합하고, 상기 근위 튜브와 얇은 와이어 형태의 스타일렛을 열 접합함으로써, 폴리머 재질의 근위 튜브가 구현하지 못하는 단단하게 밀어주는 성능을 보강하였다.
또한,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금속 튜브와 스타일렛 사이의 용접 부위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금속 튜브와 근위 튜브간의 접합 부위에서 서로 밀고 밀리는 형상을 이완해주고, 상기 근위 튜브 끝에 달린 풍선은 좀 더 깊숙한 병변까지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카테터의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관형 스타일렛의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험 장치이다.
도 5 는 본원에 따른 카테터 및 종래의 카테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카테터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내강형 근위 튜브(100)(distal tube),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의 내부에 타측 말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내강형 금속 튜브(200)(hypo tube), 및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내부에 제1 부분(310)이 배치되고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나머지인 제2 부분(320)이 배치되는 관형 스타일렛(300)을 포함하고,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는 상호 접합되고, 상기 제1 부분(31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미접합되는 것인, 카테터에 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풍선 카테터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도뇨 카테터, 석션 카테터, 풍선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혈관 등에 삽입될 수 있는 카테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터가 풍선 카테터일 경우, 상기 카테터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타측 말단부의 내부 또는 타측 말단부와 연결된 풍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풍선의 확장을 통해 협소해진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의 모식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카테터의 모식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및 도 2 의 카테터에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가 접합된 부분은 A 이고,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은 B 이며,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은 C 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은 양측 말단부가 첨단형인 구조로서, 도 1 및 도 2 에서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과,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이 일측 또는 타측 말단부로만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 및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된 부분은 관형 스타일렛(300)의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또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배치"됨의 기재는,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통로 내면 또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 내면과 접촉할 수도 있고 이격되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본원에 따른 카테터의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과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또는 종래의 카테터의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과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같이, 관형 스타일렛(300)과 내강형 근위 튜브(100) 또는 내강형 금속 튜브(200)가 "접합"됨의 기재는, 관형 스타일렛(30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통로 내면 또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 내면과 물리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 또는 접착된 상태가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힌다.
예를 들어, 본원에 따른 카테터의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통로 내면과 접합되고,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은,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는 어느 한 부분이 접촉하고 결합된 상태이면서 동시에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는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상기 제1 부분(31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에 고정된 반면,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제1 부분(310)에 비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 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카테터와 종래의 카테터는 관형 스타일렛(300)과 내강형 금속 튜브(200) 사이의 접합 관계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에 따른 카테터와 종래의 카테터는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와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가 접합된 공통점을 가지나,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타측 말단부에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이 접합되되,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접합되지 않는 반면, 종래의 카테터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관형 스타일렛(300)이 접합되지 않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 또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와 접합된다.
종래의 카테터와 같이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 또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와 접합될 경우, 상기 카테터를 환부에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타측 말단부, 즉 환부를 향하는 카테터의 말단에 힘이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따른 카테터의 경우,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보다 타측 말단부와 인접하게 접합되었기 때문에, 환부를 향하는 카테터의 말단에 힘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310)에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는 접합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보다 타측 말단부에 가까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일측 말단부와 타측 말단부는, 도 1 을 기준으로 9시 방향이 타측이고, 3시 방향이 일측일 수 있다. 도 1 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타측은 혈관 등 환부와 근접한 방향이고, 상기 일측은 상기 카테터를 인력 또는 기계력으로 밀어넣기 위해 조작하는 부분과 근접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카테터의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타측 말단부, 즉 내강형 근위 튜브(100) 내에서 환부를 향해 접합된 부분일 수 있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일측 말단부를 거쳐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제1 부분(3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에 삽입되는 자유단(free end)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2 부분(320)의 길이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 내경을 고려하여,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자유단"은 다른 물체에 대해 고정되지 않은 말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유단과 반대로 다른 물체에 대해 고정된 말단부는 "고정단(fixed end)"라고 한다.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접합되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배치될 뿐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1 부분(310)의 말단은 고정단이고, 제2 부분(320)의 말단은 자유단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 내경의 범위 내로 제한된 상태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테터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킬 경우,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변형과 동시에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 역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접합된 제1 부분(310)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 내부에 배치되었을 뿐, 상기 제1 부분(310)과 달리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에 접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움직임에 제한이 없을 경우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서 벗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내부에 말려들어갈 경우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제2 부분(320)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통로 내경 범위 내로 제한된 상태에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카테터를 환부로 밀어넣을 때,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완충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테터가 환부를 향해 혈관을 통해 이동하는 중 혈전 등의 장애물에 의해 카테터의 이동이 제한될 경우, 카테터에 가해지는 힘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테터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에 의해 상기 근위 튜브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를 환부에 밀어 넣기 위해서는 상기 카테터가 상기 장애물을 통과 또는 우회하면서 카테터가 훼손되지 않도록 힘을 가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은, 직경이 일정한 선형부, 상기 선형부의 양측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점점 가늘어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연장된 첨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일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타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접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관형 스타일렛(300)의 타측 첨단부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와 접합되고, 일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종래의 카테터는 관형 스타일렛(300)의 타측 첨단부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 첨단부가 내강형 금속 튜브(200)와 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부의 직경은 0.3 mm 내지 0.4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타일렛의 모식도로서, 선형부의 두께가 0.33 mm 이고, 첨단부의 두께가 0.1 mm 일 때의 관형 스타일렛(300)을 표현한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은 직경이 일정한 선형부로부터 양쪽이 가늘어져 뾰족한 모양을 갖는 가시와 같은 모양을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타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의 타측 말단부와 접합된 것일 수 있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의 일측 말단부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의 타측 말단부 내부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 사이의 접합과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상기 금속 튜브 사이의 접합은 열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테터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관형 스타일렛(300) 사이의 접합과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금속 튜브 사이의 접합이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경우 접착제가 혈관 내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나사 체결 등의 기계적 체결의 경우 접합 과정 중 나사 등이 풀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 사이의 접합과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 및 상기 금속 튜브 사이의 접합은 열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200)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300)은 Fe, Ni, C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100)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ASTM F2394-07, ISO 25539-1, 및 ISO 15539 를 참고하여 제작된 카테터 시뮬레이션 테스트 설비에서 항온수조의 온도를 37±2℃ 로 설정하고 대퇴동맥-대동맥-좌우심혈관을 구현한 실리콘 시뮬레이터를 수조안에 담가 열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PCI(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시술을 하는 상황을 구현하여 실제 Guiding catheter 내부를 통과하여 좌/우심혈관에 입구에서부터 병변까지 진입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200 mm/min의 속도로 180 mm 만큼 본원에 따른 카테터(도 1) 및 종래의 카테터(도 2)를 병변까지 진입시킴으로써, 진입에 필요한 힘을 비교하였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험 장치이고, 도 5 는 본원에 따른 카테터 및 종래의 카테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4 의 (a) 는 카테터 시뮬레이션 설비이고, (b) 는 실리콘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카테터는 종래의 카테터에 비해 더 적은 힘을 가하여도 혈관 내의 깊숙한 곳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내강형 근위 튜브
200 : 내강형 금속 튜브
300 : 관형 스타일렛
310 : 제 1 부분
320 : 제 2 부분

Claims (10)

  1. 카테터에 있어서,
    내강형 근위 튜브(distal tube);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의 내부에 타측 말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내강형 금속 튜브(hypo tube); 및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내부에 제1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내부에 나머지인 제2 부분이 배치되는 관형 스타일렛;
    을 포함하고,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타측 말단부는 상호 접합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와 미접합되는 것이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은, 직경이 일정한 선형부, 상기 선형부의 양측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점점 가늘어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연장된 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의 일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와 접합되고, 상기 관형 스타일렛의 타측 첨단부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인,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통로 내면에 접합되는 접합부는,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일측 말단부보다 타측 말단부에 가까운 부분인,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타측 말단부에 삽입되는 자유단(free end)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 내경을 고려하여,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인, 카테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의 휨 변형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의 통로 내경의 범위 내로 제한된 상태로 이동 또는 변형되는 것인, 카테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의 직경은 0.3 mm 내지 0.4 mm 인, 카테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 사이의 접합과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 및 상기 금속 튜브 사이의 접합은 열에 의한 것인, 카테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강형 금속 튜브 및 상기 관형 스타일렛은 Fe, Ni, C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카테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강형 근위 튜브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를 포함하는 것인, 카테터.
KR1020210046551A 2021-04-09 2021-04-09 카테터 KR10258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51A KR102580508B1 (ko) 2021-04-09 2021-04-09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51A KR102580508B1 (ko) 2021-04-09 2021-04-09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64A KR20220140264A (ko) 2022-10-18
KR102580508B1 true KR102580508B1 (ko) 2023-09-20

Family

ID=8380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51A KR102580508B1 (ko) 2021-04-09 2021-04-09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01659A (zh) * 2004-08-11 2007-07-18 株式会社钟化 导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64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5388B2 (ja) 柔軟なバンパー先端を有する拡張カテーテル
US10589073B2 (en) Rapid exchange catheters having a sealed guidewire lume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061614B2 (ja) カテーテル
EP2213325B1 (en) Catheter
US9211389B2 (en) Offset soft tip with proposed tooling
US20070106260A1 (en) Catheter
JP2005512694A (ja) バルーンとカテーテルとの改善された結合部を備えるカテーテル
JP4914281B2 (ja) カテーテル
JP2006326226A5 (ko)
JP2011206175A (ja) ガイドワイヤ
JP4833039B2 (ja) カテーテル
KR102580508B1 (ko) 카테터
JP200316452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10276033A1 (en) Wire guid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2143381A (ja)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JP2002253678A (ja) 医療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4914282B2 (ja) 押圧性を備えたカテーテル
WO2016114207A1 (ja) カテーテル
US6403011B1 (en) Method of tip forming with more improved tapered and lower tip entry profile
JP5814530B2 (ja) 医療用カテーテル
JP2004065796A (ja) ガイドワイヤ
JP2011010787A (ja) カテーテル
JPH11244385A (ja) 医療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64119A (ja) 押圧性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4767867B2 (ja) 改良されたバルーン−カテーテル接着を有する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