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63B1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0263B1 KR102580263B1 KR1020220058449A KR20220058449A KR102580263B1 KR 102580263 B1 KR102580263 B1 KR 102580263B1 KR 1020220058449 A KR1020220058449 A KR 1020220058449A KR 20220058449 A KR20220058449 A KR 20220058449A KR 102580263 B1 KR102580263 B1 KR 1025802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uvb
- group
- photoaging
- fruit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51246 Photodermatos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8845 photoag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7630 Elaeagnus umbellata var parvifoli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168344 Elaeagnus umbellat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7313 Tilia cord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0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3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9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34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2274 Matrix Metalloprote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10000684 Matrix Metalloprote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3896 Myelo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90000235 Myeloperox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4000138900 Elaeagnus umbellata var. parv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01710128038 Hyaluronan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316 Oxido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854 Oxido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3601 Collagen alpha-1(I) cha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WSMYVTOQOOLQHP-UHFFFAOYSA-N Malondi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O WSMYVTOQOOLQ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8010029483 alpha 1 Chain Collagen Type I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6213 Collagen alpha-2(I) cha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1000875067 Homo sapiens Collagen alpha-2(I) ch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118019 malondialdehyde Drugs 0.000 description 5
- -1 maltose and sucros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JVJFIQYAHPMBBX-FNORWQNLSA-N (E)-4-hydroxynon-2-enal Chemical compound CCCCCC(O)\C=C\C=O JVJFIQYAHPMBBX-FNORWQNLSA-N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JVJFIQYAHPMBBX-UHFFFAOYSA-N HNE Natural products CCCCCC(O)C=CC=O JVJFIQYAHPMB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76 Poly(Adenosine diphosphate-ribose) polymeras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JPXMTWWFLBLUCD-UHFFFAOYSA-N nitro blue tetrazolium(2+) Chemical compound COC1=CC(C=2C=C(OC)C(=CC=2)[N+]=2N(N=C(N=2)C=2C=CC=CC=2)C=2C=CC(=CC=2)[N+]([O-])=O)=CC=C1[N+]1=NC(C=2C=CC=CC=2)=NN1C1=CC=C([N+]([O-])=O)C=C1 JPXMTWWFLBLUC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IANIJCPTPUNBA-QMMMGPOBSA-N (2s)-3-(4-hydroxyphenyl)-2-nitramido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N+](=O)N[C@H](C(=O)O)CC1=CC=C(O)C=C1 GIANIJCPTPUNBA-QMMMGPOBSA-N 0.000 description 3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3952 Caspase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397 Caspas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7995 Collagenase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50005238 Collagenas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0380 Matrix Metalloprotein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16113 Matrix Metalloprotein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15302 Matrix metalloproteinase-9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0412 Matrix metalloproteinase-9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2839 Ficus relig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8679 Skin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909 Tilia x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0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59 lipid per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YNJBWRMUSHSURL-UHFFFAOYSA-N trichl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l)(Cl)Cl YNJBWRMUSHSU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1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BUGGBMJDPOST-UHFFFAOYSA-N 2-thiobarbit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C(=O)NC(=S)N1 RVBUGGBMJDPO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XTIAFYTYOEQHV-UHFFFAOYSA-N 4-(4-amino-3-methoxyphenyl)-2-methoxyaniline;hydron;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1=C([NH3+])C(OC)=CC(C=2C=C(OC)C([NH3+])=CC=2)=C1 UXTIAFYTYOEQ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91 Acacia seneg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LZZYPRNAOMGNLH-UHFFFAOYSA-M Cetri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CCCCCCCCCCCCCC[N+](C)(C)C LZZYPRNAOMGNL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028 Epidermal thicke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696 Interleuk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3738 Interleuk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1 L-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69 L-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741 Metalloprote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6035 Metalloprot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57466 NF-kappa 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45 NF-kappa 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73 Pathologic Proces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641 Pigmenta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799 Skin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954 Skin wrink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8242 Transcription Factor AP-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118 Transcription factor JunD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2 apoptosis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87 cel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98 colorimetric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71 compound fluorescence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08 connecti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77 elastic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53 environment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175 epidermal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61 fibr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74 healthy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42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91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55 immunohisto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51 immunohist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64 immunohistochemi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8 intracellular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MGAPWLDMVPYIA-HIDZBRGKSA-N n'-amino-n-iminomethanimidamide Chemical compound N\N=C\N=N VMGAPWLDMVPYIA-HIDZBRGK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71 non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54 pathologic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612 pi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2 programmed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OLDJAUMGUJJKM-LSDHHAIUSA-N renifolin D Natural products CC(=C)[C@@H]1Cc2c(O)c(O)ccc2[C@H]1CC(=O)c3ccc(O)cc3O BOLDJAUMGUJJKM-LSDHHAI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32 sebaceous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8 secr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70 skin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2 skin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44 skin le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73 wrinkle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을 포함하는 UVB(ultraviolet B, 280∼320 nm)에 의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증대되고,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태양광선 노출로부터 야기되는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노화 억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선의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R)에 반복적이거나 장기간 노출 시 피부의 탄력 및 수분이 감소되고 주름이 형성되는 등 피부손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광노화(photoaging)라고 부른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ultraviolet A, 320∼400 nm), UVB(ultraviolet B, 280∼320 nm), UVC(ultraviolet C, 200∼280 nm)로 분류된다.
그 중 UVB는 매우 유해한 광선으로 표피 손상에 관여하거나 건조, 피부 홍반, 색소침착, 표피 비후 등을 일으킨다. 또한 항산화 기전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피부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효소 등을 손상시킴으로써 염증반응과 피부암, 광노화를 심화시킨다.
반면, UVA는 UVB에 비해 단기간의 위력은 미미하지만 파장이 길어서 피부 깊숙이 침투해 피부의 진피를 손상시켜 피부를 검게 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 UVB 노출에 의해 생성이 유도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광노화의 원인 중 하나로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를 자극하여 DNA, 지질 및 단백질 등 생체분자에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을 통한 피부조직 손상을 일으킨다.
ROS는 표피 각질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자극으로 Ap-1(activator protein-1) 및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or B cells)의 전사인자를 활성화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도록 하여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조직을 구성하는 교원질과 탄력 섬유의 분해를 촉진하여 주름을 형성시킨다.
이렇듯, 자외선은 피부의 광노화를 촉진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로 UV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제품은 진피층까지 흡수되지 못하고 표피에만 작용하므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일시적이며, 체내에 있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지 못하여 활성 산소에 의한 노화 작용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식품을 통한 전신적인 피부 노화 억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경구용으로 체내에 투여할 수 있는 미용 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는 천연 식물 소재에 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천연물은 수백 년 동안 사용되어 오면서 안전성이나 효과 측면에서 입증된 물질들이 다수이므로,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인 소재이다. 특히나, 안전한 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오고 있어,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는 앞으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 연구를 통해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여러 천연물 소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은 특히 자외선 중 UVB(ultraviolet B, 280∼320 nm)에 의한 피부 광노화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 연구를 통해 피부 광노화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여러 천연물 소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보리수나무 열매가 탁월한 효능을 보였기에,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착즙, 용매추출, 여과, 농축 및 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착즙 후 여과 또는 농축 과정을 거쳐 분무건조하여 수득된 건조분말 상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5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50 내지 100℃, 80 내지 150℃, 80 내지 120℃, 또는 8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3 내지 9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 3 내지 7시간, 3 내지 6시간, 5 내지 9시간, 5 내지 8시간, 5 내지 7시간, 또는 5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수나무의 열매를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하고, 협착물이 제거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씨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착즙액을 수득한다. 수득한 착즙액은 120 메쉬(mesh) 이하 필터에 여과해 모은다. 착즙액의 여과액은 30 내지 80℃에서 농축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농축액을 70 내지 110℃에서 2 내지 10분 동안 살균 후, 다시 120 메쉬 이하의 필터에 여과한 농축액을 덱스트린과 교반하여 분무건조함으로써 건조분말 형태의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ultraviolet A, 320∼400 nm), UVB 및 UVC(ultraviolet C, 200∼280 n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UVB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착즙, 용매추출, 여과, 농축 및 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착즙 후 여과 또는 농축 과정을 거쳐 분무건조하여 수득된 건조분말 상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5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50 내지 100℃, 80 내지 150℃, 80 내지 120℃, 또는 8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3 내지 9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 3 내지 7시간, 3 내지 6시간, 5 내지 9시간, 5 내지 8시간, 5 내지 7시간, 또는 5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UVB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투여 대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1일 투여량(중량/대상체의 체중)은 50 내지 500 mg/kg, 50 내지 300 mg/kg, 100 내지 200 mg/kg, 100 내지 500 mg/kg, 100 내지 300 mg/kg, 또는 100 내지 200 mg/kg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0 mg/k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1일 투여량은 100 내지 4,000 mg, 100 내지 3,000 mg, 100 내지 2,000 mg, 100 내지 1,000 mg, 500 내지 4,000 mg, 500 내지 3,000 mg, 500 내지 2,000 mg, 500 내지 1,000 mg, 1,000 내지 4,000 mg, 1,000 내지 3,000 mg, 1,000 내지 2,000 mg, 예를 들어, 1,000 m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photoaging)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Has 1, 2, 3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COL1A1, 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피부 조직의 중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의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Nox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조직내 GSH(Glutathione)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GSH 환원 효소(reductase)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MMPs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와 이의 레플리카(Replica)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의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표면 미세주름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평균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염증세포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콜라겐 섬유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의 세포예정사(Apoptosis) 인자들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NT(Nitrotyrosi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4-H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caspase-3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PARP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photoaging)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Has 1, 2, 3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COL1A1, 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피부 조직의 중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의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Nox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조직내 GSH(Glutathione)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GSH 환원 효소(reductase)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MMPs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와 이의 레플리카(Replica)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의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표면 미세주름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평균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염증세포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콜라겐 섬유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의 세포예정사(Apoptosis) 인자들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NT(Nitrotyrosi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4-H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caspase-3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PARP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제조예 1: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제조
1-1. 씨 포함 추출액을 이용한 제조
보리수나무 열매를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하고, 열매를 분류하여 모았다.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에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열수를 넣고 10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액은 120 메쉬(mesh)의 필터에 여과한 다음, 65℃에서 농축하였으며, 얻은 농축액은 95℃에서 5분 동안 살균 후, 다시 120 메쉬의 필터에 여과하였다. 여과한 농축액을 모은 후, 덱스트린(dextrin)을 최종 수득하는 농축 건조분말 중량 대비 50 ~ 70%가 되도록 첨가 후 교반하였으며, 이를 분무건조하여 실시예 1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2. 씨 분리 추출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를 열수 추출하기에 앞서 씨분리기를 사용해 씨를 분리하였다.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2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3. 씨 포함 착즙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대신 탈수 및 유압 착즙기에 넣고 착즙하여 얻은 보리수나무 열매 착즙액으로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3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4. 씨 분리 착즙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씨를 분리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대신 탈수 및 유압 착즙기에 넣고 착즙하여 얻은 보리수나무 열매 착즙액으로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4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씨 분리 여부 | 추출액/착즙액 당도 | 농축온도 | 살균온도 | |
실시예 1 | 포함 | 1.50 Brix | 65℃ | 95℃ |
실시예 2 | 분리 | 1.82 Brix | 65℃ | 95℃ |
실시예 3 | 포함 | 6.76 Brix | 65℃ | 95℃ |
실시예 4 | 분리 | 6.90 Brix | 65℃ | 95℃ |
시험예 1: 건조분말의 성분 조성 및 비율 확인
HPLC 크로마토그램 패턴으로 성분 프로파일링(profiling)을 실시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해당하는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성분 조성 및 비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PLC/PDA(Photodiode Array Detector)로 C18 컬럼(4.6x250 mm, 5 um)을 30℃로 유지하며, 이동상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로 농도구배하여 분석하였다. 유량은 1.0 ml/min, 주입량은 10 ul로 하여 254 nm에서 검출하였고, 이때 추출물의 농도는 50 mg/ml이었다.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에서 분석된 크로마토그램 패턴이 차이를 보였고, 특히 씨가 포함된 실시예 1 및 3과 씨가 분리된 실시예 2 및 4의 패턴이 구분되었다. 씨가 포함된 실시예 1 및 3의 경우 33 min, 49 min, 61 min에서 특이적인 피크(peak)가 검출되었고, 씨를 분리한 실시예 2 및 4의 경우 47 min에서 주요 피크(major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이 서로 다른 시료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 설정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암컷, 6주령, SKH1-hr[hairless])를 7일간 순화 후, 피부에 이상 병변이 없고 체중이 일정한 개체를 군당 8마리씩 7개 군(총 56마리)으로 나누었다. 7개 군은 각각 정상군, UVB 노출군, 양성대조약물인 A.A 투여군(UVB 노출 및 L-Ascorbic acid 100 mg/kg 투여), 건조분말 투여군(UVB 노출 및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200 mg/kg 투여)으로 나누었다. 시료는 10 ml/kg의 부피(volume)로 하여 20 mg/ml의 농도로 녹였으며, 15주 동안 1일 1회씩 경구투여하였다.
피부 광노화는 UV 크로스링크 시스템(UV Crosslinker system)에 마우스를 넣고 0.18 J/cm2의 UVB를 주 3회씩 15주간 조사하여 유발하였으며, 정상군에도 또한 동일한 환경 스트레스만을 가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 UV 크로스링크 시스템에 넣되 UVB를 조사하지 않고 방치하였다.
시험예 2: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보습 효과
2-1.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UVB에 의해 손실된 피부의 수분 함량이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 투여 시 어느 정도 줄어드는지 보기 위해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쥐를 희생시킨 후, 직경 6 mm로 등쪽 피부 샘플을 취하여 자동 수분 함량 분석기를 활용해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군 | 피부 수분 함량 (%/6 mm-diameter skin) |
정상군 | 38.10±3.93 |
UVB 노출군 | 13.19±1.08 |
UVB + A.A | 24.09±2.49 |
UVB + 실시예1 | 22.92±1.99 |
UVB + 실시예2 | 25.01±2.77 |
UVB + 실시예3 | 22.41±2.01 |
UVB + 실시예4 | 30.38±3.65 |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단위 면적당 피부 조직의 수분 함량이 정상군 대비 57.73%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73.77%, 89.61%, 69.90%, 130.33%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수분 함량 증가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2-2.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 발현 측정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습 관련 유전자(Has 1, Has 2, Has 3, COL1A1, COL1A2)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여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보습 효과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의 확인은 실시간(realtime) RT-PCR 기법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HAS(Hyaluronic acid synthase)는 피부 조직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Has 1, 2, 3 mRNA는 HAS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다.
COL1A는 피부 조직내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COL1A1, COL1A2 mRNA는 COL1A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다.
마우스를 희생시켜 등쪽 피부에서 조직을 취한 후, 상기 조직에 Trizol 시약을 사용해 mRNA를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mRNA는 CFX96TM Real-Time system을 활용해 정량하였다. 정량한 mRNA를 키트(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활용해 cDNA로 재조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ABI Step One plus Sequence Detection System을 사용해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발현량은 털이 없는 8마리 마우스에 대한 평균±편차로 표시하였고, β-액틴 mRNA에 대한 상대 발현량을 기준으로 기록하였다.
군 | Has 1 | Has 2 | Has 3 | COL1A1 | COL1A2 |
정상군 | 0.99±0.05 | 1.00±0.06 | 1.00±0.06 | 1.01±0.07 | 1.01±0.08 |
UVB 노출군 | 1.02±0.15 | 1.03±0.14 | 1.01±0.09 | 1.04±0.09 | 1.04±0.11 |
UVB + A.A | 1.84±0.15 | 2.00±0.25 | 1.70±0.17 | 2.21±0.41 | 2.76±0.21 |
UVB + 실시예1 | 1.98±0.16 | 2.21±0.19 | 2.07±0.14 | 2.50±0.35 | 2.91±0.38 |
UVB + 실시예2 | 2.08±0.30 | 2.15±0.28 | 2.03±0.27 | 2.51±0.36 | 2.29±0.63 |
UVB + 실시예3 | 1.97±0.15 | 2.19±0.30 | 2.06±0.27 | 2.50±0.38 | 2.89±0.51 |
UVB + 실시예4 | 2.19±0.28 | 2.46±0.45 | 2.24±0.29 | 2.74±0.38 | 3.14±0.49 |
표 3,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HAS 1, 2, 3의 mRNA 발현이 정상군 대비 각각 3.03%, 3.00%, 1.0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HAS 1의 mRNA 발현은 각각 94.12%, 103.92%, 93.14%, 114.71%로 증가하였고, HAS 2의 mRNA 발현은 각각 114.56%, 108.74%, 112.62%, 138.83%로 증가하였으며, HAS 3의 mRNA 발현은 각각 104.95%, 100.99%, 103.96%, 121.78%로 증가하였다.
표 3, 도 2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COL1A1, COL1A2의 mRNA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각각 2.97%, 2.97%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COL1A1의 mRNA 발현은 각각 140.38%, 141.35%, 140.38%, 163.46%로 증가하였고, COL1A2의 mRNA 발현은 각각 179.81%, 120.19%, 177.88%, 201.92%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 mRNA 발현량의 증가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3: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과도한 염증반응 억제 효과 검증
3-1. 피부 부종성 - 단위 면적당 피부 중량의 변화 확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UVB에 의해 초래된 피부 부종을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어느 정도 억제하는지를 보기 위해 단위 면적당 피부 조직 중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펀치를 사용해 6 mm 직경의 피부 조직을 취했으며, 취한 조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단위 면적당 피부조직의 중량이 정상군 대비 84.31%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 29.10%, 34.49%, 28.59, 43.52%로 중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부종성 완화 효과를 보였다.
3-2. 피부 조직 내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변화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발생 시 피부 조직내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1β, IL-10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의 측정은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 조직을 취하여 균질화한 후, ELISA 키트(kit)를 활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다.
군 | IL-1β (pg/100 mg of protein) |
IL-10 (pg/100 mg of protein) |
정상군 | 23.13±7.09 | 446.75±101.86 |
UVB 노출군 | 75.25±11.63 | 130.00±21.43 |
UVB + A.A | 41.94±11.33 | 221.88±36.85 |
UVB + 실시예1 | 41.18±11.05 | 252.63±37.69 |
UVB + 실시예2 | 37.88±11.98 | 251.50±25.61 |
UVB + 실시예3 | 41.37±12.55 | 252.38±33.32 |
UVB + 실시예4 | 34.10±10.05 | 282.25±39.05 |
표 4 및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IL-1β의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225.2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5.28%, 49.66%, 45.02%, 54.68%로 감소되었다.
표 4 및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IL-10의 발현량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70.90%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70.68%, 94.33%, 93.46%, 94.14%로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3-3. 피부 조직 내 염증 유도 바이오마커 변화
피부 광노화가 발생하게 되면, 피부 조직내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호중구(중성호성 백혈구)의 염증부위로의 이주를 유발하며, 이때 호중구에서는 독성 활성 산소 및 MPO와 같은 세포독성 효소를 방출해 주변 조직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Nox 효소들은 세포 손상에 의해 증가된 염증 매개물질에 반응해 내인성 ROS의 방출을 주관하며, 특히 Nox 효소들 중 Nox2는 탐식작용 및 다양한 ROS에 의한 다양한 병적 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발생 시 나타나는 염증 유도 바이오마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 음이온 측정은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분석(nitroblue tetrazolium(NBT) assay)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는데,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 조직을 취하여 1.15% KCl 용액에 균질화한 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NBT 시약과 균질화한 피부 조직을 같이 주입하고, 37℃에서 인큐베이팅(incubating)하였다. 인큐베이팅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2 M KOH와 DMSO를 주입하여 포르마잔(formazan)을 녹이고, 60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는 MPO 키네틱-컬러메트릭 분석(kinetic-colorimetric assay)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피부 조직을 0.5%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가 함유된 50 mM의 K2HPO4 버퍼(buffer)에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0 μl의 샘플을 0.167 mg/ml의 o-디아니시딘 중염산염(o-dianisidine dihydrochloride)과 0.05%의 H2O2가 포함된 200 μl의 0.05 M K2HPO4 버퍼(pH 6.0)에 넣어 혼합한 후, 5분 뒤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활용해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PO의 활성은 호중구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과 비교하였고, Nox2 mRNA 발현은 상기 시험예 2-2에 제시된 실시간 RT-PCR 기법을 활용해 수행하였다.
군 | Superoxide anion (NBT 환원/OD 600 nm) |
Myeloperoxidase (호중구 수 X 105/mg) |
Nox2 mRNA |
정상군 | 0.36±0.10 | 1.12±0.22 | 1±0.06 |
UVB 노출군 | 1.36±0.25 | 16±2.72 | 3.11±0.56 |
UVB + A.A | 0.78±0.13 | 7.46±1.38 | 1.83±0.12 |
UVB + 실시예1 | 0.76±0.07 | 6.1±1.17 | 1.69±0.25 |
UVB + 실시예2 | 0.72±0.07 | 5.77±1.11 | 1.67±0.17 |
UVB + 실시예3 | 0.76±0.09 | 6.11±1.27 | 1.71±0.19 |
UVB + 실시예4 | 0.6±0.09 | 3.82±1.46 | 1.44±0.20 |
표 5 및 도 3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과산화물 음이온의 생성량이 정상군 대비 277.78%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4.12%, 47.06%, 44.12%, 55.88%로 감소하였다.
또한, 표 5 및 도 3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PO의 활성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1,328.57%의 증가를 보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61.88%, 63.94%, 61.81%, 76.13%로 감소하였다.
또한, 표 5 및 도 3f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Nox2 mRNA 발현량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211.00% 증가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5.66%, 46.30%, 45.02%, 53.70%로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4: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항산화 효과 검증
4-1. 피부조직 내 GSH 함량 및 GSH 환원 효소 mRNA의 변화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는 피부 조직내 내인성 항산화제인 GSH (Glutathione)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함께, 내인성 항산화 효소인 GSH 환원 효소(reductase)의 감소로 피부에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을 투여하여 GSH의 함량 변화 및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GSH 함량은 형광 분석(fluorescence assay)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피부조직을 5 mM EDTA가 포함된 100 mM의 NaH2PO4 용액에 균질화한 후, 균질화된 샘플을 30%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에 처리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형광분광광도계(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여러 농도의 GSH 표준물질로 적정하였다.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은 상기 시험예 2-2에서 수행한 실시간 RT-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군 | GSH (μM/mg of protein) | GSH 환원 효소 (mRNA) |
정상군 | 1.55±0.36 | 1.00±0.05 |
UVB 노출군 | 0.31±0.10 | 0.34±0.07 |
UVB + A.A | 0.60±0.11 | 0.62±0.10 |
UVB + 실시예1 | 0.75±0.13 | 0.72±0.12 |
UVB + 실시예2 | 0.72±0.10 | 0.70±0.07 |
UVB + 실시예3 | 0.74±0.11 | 0.72±0.10 |
UVB + 실시예4 | 0.83±0.12 | 0.82±0.06 |
표 6 및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피부조직 내 GSH 함량이 정상군 대비 79.76%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141.94%, 132.26%, 138.71%, 167.74%로 증가하였다.
또한, 표 6 및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65.58%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111.76%, 105.88%, 111.76%, 141.18%로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4-2. 피부조직 내 지질 과산화의 변화
UVB 노출은 피부 광노화와 함께 생체내 과도한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키며, 이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축적을 야기하고, 이렇게 축적된 과산화지질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피부조직 및 세포에 여러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 투여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변화를 보기 위해 TBARS 측정법을 수행하여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희생시킨 쥐에서 취한 피부조직을 균질화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은 버리고 상층액을 취한후, 티오바르비탈산(thiobarbituric acid)을 상층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100℃에서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광도계 리더(microplate spectrophotometer reader)를 활용하여 535 및 572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군 | 말론알데히드 (nM/mg of protein) |
정상군 | 0.42±0.12 |
UVB 노출군 | 1.91±0.16 |
UVB + A.A | 1.29±0.19 |
UVB + 실시예1 | 1.15±0.08 |
UVB + 실시예2 | 1.09±0.15 |
UVB + 실시예3 | 1.17±0.12 |
UVB + 실시예4 | 0.86±0.16 |
표 7 및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MDA 함량이 정상군 대비 260.24%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39.79%, 42.93%, 38.74%, 54.97%로 감소되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5: MMPs 발현 측정
UVB에 의한 피부광노화로 활소산소종(ROS)이 생성되고 이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함께 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s)의 활성을 유도한다. MMPs의 활성화는 피부의 진피 내 결합조직의 분해를 촉진하며, 이는 노화 촉진 및 주름을 발생시킨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MMPs의 활성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하여, 실시간 RT-PCR을 수행하여 MMPs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은 상기 시험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군 | MMP-1 | MMP-9 | MMP-13 |
정상군 | 1.00±0.05 | 1.02±0.06 | 1.00±0.04 |
UVB노출군 | 3.23±0.39 | 2.97±0.15 | 4.51±0.90 |
UVB + A.A | 1.95±0.16 | 1.77±0.25 | 2.46±0.39 |
UVB + 실시예1 | 1.91±0.16 | 1.72±0.12 | 2.27±0.19 |
UVB + 실시예2 | 1.87±0.23 | 1.70±0.14 | 2.25±0.19 |
UVB + 실시예3 | 1.93±0.24 | 1.76±0.33 | 2.38±0.36 |
UVB + 실시예4 | 1.55±0.27 | 1.46±0.24 | 1.85±0.31 |
표 8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MMPs mRNA의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각각 MMP-1, MMP-9, 및 MMP-13에서 222.60%, 190.35%, 351.6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MMP-1의 발현량은 각각 40.87%, 42.11%, 40.25%, 52.01% 감소하였으며, MMP-9의 발현량은 각각 42.09%, 42.76%, 40.74%, 50.84% 감소하였으며, MMP-13의 발현량은 각각 49.67%, 50.11%, 47.23%, 58.98%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을 투여한 군이 아스코르브산 및 다른 실시예의 건조분말을 투여한 군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6: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주름 억제 효과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리수열매 추출물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보기 위해 쥐의 등쪽 피부 표면 및 본을 뜬 레플리카(Replica)를 활용하여 등쪽 피부의 형태적 관찰과 함께 주름의 평균 길이 및 깊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쥐를 마취시킨 후, 쥐의 등쪽 피부 표면에 키트(Repliflo Cartridge Kit)를 사용하여 레플리카를 얻었으며, 쥐를 희생시키기 전에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해 등쪽의 사진을 촬영했다. 주름의 길이 및 깊이는 레플리카를 스탠드에 올려 놓고 광학 광원을 사용해 고정된 강도의 빛으로 비추어 주름 그림자를 생성 후, CCD 카메라로 촬영해 이미지를 만들었으며, 이를 피부화상분석기(Skin-Visiometer)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정상군 대비 주름이 눈에 띄게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주름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더욱 정확히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을 뜬 레플리카를 통해 주름의 길이 및 깊이를 측정하였다.
도 6b 및 6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에 의해 늘어난 주름의 길이(length)와 깊이(depth)가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노화를 억제시킴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7: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조직학적 평가
7-1. 조직병리학적 평가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조직을 절제 및 블록을 제작하여 조직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등쪽 피부를 절제하여 10% 포르말린(formalin)에 담근 뒤, 고정이 되면 꺼내어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블록에 도 7a와 같이 H&E 염색(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및 MT(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한 후, 조직을 관찰하였다. (EP = Epithelium; DE = Dermis; CM = Cutaneous muscle; SE = Sebaceous gland; AC = Adipocyte; Th = Thickness, Arrows indicated microfolds formed)
군 | 상피 표면 미세주름 수 (folds/mm of epidermis) |
상피 평균 두께 (μm/epidermis) |
조직 내 침윤 염증세포수 (cells/mm2 of dermis) |
진피 내 콜라겐 섬유 비율 (%/mm2 of dermis) |
정상군 | 4.00±1.31 | 23.99±3.11 | 36.25±10.17 | 31.01±5.93 |
UVB노출군 | 16.50±2.14 | 194.08±28.03 | 359.50±60.35 | 79.75±9.30 |
UVB + A.A | 10.75±1.04 | 107.00±10.66 | 190.13±19.07 | 54.58±7.41 |
UVB + 실시예1 | 8.63±1.30 | 77.95±12.14 | 131.00±23.05 | 47.46±8.87 |
UVB + 실시예2 | 7.63±0.74 | 73.85±12.13 | 115.00±17.20 | 45.30±7.91 |
UVB + 실시예3 | 8.75±1.16 | 78.85±14.08 | 139.25±45.06 | 47.81±8.96 |
UVB + 실시예4 | 6.13±0.83 | 59.82±16.80 | 77.50±18.23 | 38.75±7.48 |
표 9 및 도 7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상피 표면의 미세주름 수가 정상군 대비 312.50%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의 미세주름 수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7.70%, 53.15%, 46.97%, 62.85%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상피의 평균 두께가 정상군 대비 708.86%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59.84%, 61.95%, 59.37%, 69.18%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피부 조직내 침윤 염증세포의 수가 정상군 대비 891.72%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63.56%, 68.01%, 61.27%, 78.44%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진피 내 비정상 콜라겐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정상군 대비 157.17%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0.49%, 43.20%, 40.05%, 51.41%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광노화에 의한 피부 조직 손상이 억제됨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7-2. 면역조직화학적 평가
UVB는 피부 각질세포에 현저한 세포예정사(apoptosis)를 유발하여 피부의 방어 체계 파괴와 함께 피부 광노화를 촉진시킨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세포예정사 억제와 피부 광노화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분석(Immunohistochemistry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
피부 조직의 내인성 과산화 효소의 활성을 차단하기 위해 메탄올과 0.3% H2O2에 30분 동안 둔 후,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기 위해 horse serum에 1시간 두었다.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 NT(Nitrotyrosine), 4-HNE의 1차 항체를 처리 후, 2차 항체 및 아비딘-비오틴-과산화효소 복합체(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를 처리하고, 버퍼(0.01 M phosphate buffer)에 씻긴 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도 8a와 같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군 | Epidermal immunoreactive cells (cells/100 epithelial cells) | |||
Nitrotyrosine | 4-HNE | Cleaved capase-3 | Cleaved PARP | |
정상군 | 5.75±2.71 | 17.75±3.45 | 4.25±2.25 | 4.00±1.85 |
UVB 노출군 | 69.50±6.57 | 74.75±6.50 | 40.75±4.27 | 77.75±7.21 |
UVB + A.A | 44.25±5.90 | 38.75±5.65 | 21.25±2.82 | 49.50±4.63 |
UVB + 실시예1 | 31.00±6.68 | 28.00±6.41 | 12.25±1.98 | 37.50±3.82 |
UVB + 실시예2 | 28.45±7.59 | 27.50±4.99 | 11.50±1.51 | 28.00±3.70 |
UVB + 실시예3 | 31.25±8.55 | 28.50±5.42 | 12.75±1.83 | 38.25±5.06 |
UVB + 실시예4 | 23.00±4.90 | 21.50±5.21 | 8.00±1.51 | 15.00±4.90 |
표 10 및 도 8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NT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1,108.7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55.40%, 59.06%, 55.04%, 66.91%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4-HNE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321.13%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62.54%, 63.21%, 61.87%, 71.24%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Cleaved caspase-3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858.82%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69.94%, 71.78%, 68.71%, 80.37%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Cleaved PARP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1,843.75%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51.77%, 63.99%, 50.80%, 80.71%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내 산화스트레스 및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조직 손상이 억제됨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laims (12)
-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의 착즙액 또는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인, 식품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의 착즙액 또는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광노화(photoaging)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 2022-05-12 | 2022-05-12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CT/KR2023/005746 WO2023219308A1 (ko) | 2022-05-12 | 2023-04-27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 2022-05-12 | 2022-05-12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0263B1 true KR102580263B1 (ko) | 2023-09-20 |
Family
ID=8819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 2022-05-12 | 2022-05-12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0263B1 (ko) |
WO (1) | WO2023219308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0893B1 (ko) * | 2006-06-21 | 2007-11-29 |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
KR20170132935A (ko) * | 2016-05-24 | 2017-12-05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210036369A (ko) * | 2018-07-23 | 2021-04-02 | 라이코드 리미티드 |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코펜 조성물 및 방법 |
-
2022
- 2022-05-12 KR KR1020220058449A patent/KR1025802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4-27 WO PCT/KR2023/005746 patent/WO2023219308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0893B1 (ko) * | 2006-06-21 | 2007-11-29 |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
KR20170132935A (ko) * | 2016-05-24 | 2017-12-05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210036369A (ko) * | 2018-07-23 | 2021-04-02 | 라이코드 리미티드 |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코펜 조성물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Perkins-Veazie et al., LYCOPENE AND TOTAL PHENOL CONTENT OF AUTUMN OLIVE(Elaeagnus umbellata) SELECTIONS. Abstracts of the ASHS Southern Region 65th Annual Meeting. 2005, pp. 883-884 1부.* * |
Stahl et al., Lycopene-rich products and dietary photoprotection. Photochem. Photobiol. Sci., 2006, Vol. 5, pp. 238-242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19308A1 (ko) | 2023-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4697B1 (ko) | 테아세아 식물로부터의 생물활성 조성물 및 이들의 생산방법 및 용도 | |
EP3452176B1 (en) | Saxifraga extracts for cosmetic or therapeutic use on the skin | |
CA2566905A1 (fr) | Association d'extraits vegetaux a base de groseille maquereau, d'orchidee noire et de tulipe noire et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l'association de ces extraits vegetaux | |
Chen et al. | Photoprotection of maqui berry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photodamage in vitro and in vivo | |
KR102063686B1 (ko) |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WO2017138652A1 (ja) | メラニン分解抑制剤 | |
US10973755B2 (en) | Method for treating skin aging and photodamage by using Camellia sinensis callus extract | |
KR101904215B1 (ko) |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 |
EP3288575B1 (fr) | Complexe protéomélanique bioassimilable, préparation et utilisations | |
KR102580263B1 (ko)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10109568A (ko) |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227701B1 (ko) |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13293A (ko) |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 |
KR20140052127A (ko) | 효소분해 사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FR3066916B1 (fr) | Complexe vegetal a base de seve de bouleau et d'un extrait aqueux de chaga et applications en cosmetique | |
KR101361848B1 (ko) |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98498B1 (ko) | 플로로글루시놀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모낭 손상 또는 모낭줄기세포 손상 억제용 조성물 | |
KR20150089234A (ko) |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22441B1 (ko) |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220102373A (ko) | 산뽕나무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 |
KR20100102439A (ko) |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100954984B1 (ko)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 |
KR101864203B1 (ko) |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06767B1 (ko) |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
KR102067698B1 (ko) |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