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63B1 -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63B1
KR102580263B1 KR1020220058449A KR20220058449A KR102580263B1 KR 102580263 B1 KR102580263 B1 KR 102580263B1 KR 1020220058449 A KR1020220058449 A KR 1020220058449A KR 20220058449 A KR20220058449 A KR 20220058449A KR 102580263 B1 KR102580263 B1 KR 10258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vb
group
photoaging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종
박석만
공룡
유영은
정효영
Original Assignee
(주)옥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천당 filed Critical (주)옥천당
Priority to KR102022005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63B1/ko
Priority to PCT/KR2023/005746 priority patent/WO20232193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skin photoaging comprising Elaeagnus umbellata fruit extract}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을 포함하는 UVB(ultraviolet B, 280∼320 nm)에 의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증대되고,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태양광선 노출로부터 야기되는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노화 억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선의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R)에 반복적이거나 장기간 노출 시 피부의 탄력 및 수분이 감소되고 주름이 형성되는 등 피부손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광노화(photoaging)라고 부른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ultraviolet A, 320∼400 nm), UVB(ultraviolet B, 280∼320 nm), UVC(ultraviolet C, 200∼280 nm)로 분류된다.
그 중 UVB는 매우 유해한 광선으로 표피 손상에 관여하거나 건조, 피부 홍반, 색소침착, 표피 비후 등을 일으킨다. 또한 항산화 기전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피부를 구성하는 지질, 단백질, 효소 등을 손상시킴으로써 염증반응과 피부암, 광노화를 심화시킨다.
반면, UVA는 UVB에 비해 단기간의 위력은 미미하지만 파장이 길어서 피부 깊숙이 침투해 피부의 진피를 손상시켜 피부를 검게 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 UVB 노출에 의해 생성이 유도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광노화의 원인 중 하나로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를 자극하여 DNA, 지질 및 단백질 등 생체분자에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을 통한 피부조직 손상을 일으킨다.
ROS는 표피 각질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자극으로 Ap-1(activator protein-1) 및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or B cells)의 전사인자를 활성화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도록 하여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조직을 구성하는 교원질과 탄력 섬유의 분해를 촉진하여 주름을 형성시킨다.
이렇듯, 자외선은 피부의 광노화를 촉진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로 UV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제품은 진피층까지 흡수되지 못하고 표피에만 작용하므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일시적이며, 체내에 있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지 못하여 활성 산소에 의한 노화 작용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식품을 통한 전신적인 피부 노화 억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경구용으로 체내에 투여할 수 있는 미용 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는 천연 식물 소재에 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천연물은 수백 년 동안 사용되어 오면서 안전성이나 효과 측면에서 입증된 물질들이 다수이므로,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인 소재이다. 특히나, 안전한 물질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오고 있어,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는 앞으로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 연구를 통해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여러 천연물 소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은 특히 자외선 중 UVB(ultraviolet B, 280∼320 nm)에 의한 피부 광노화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 연구를 통해 피부 광노화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여러 천연물 소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보리수나무 열매가 탁월한 효능을 보였기에,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착즙, 용매추출, 여과, 농축 및 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착즙 후 여과 또는 농축 과정을 거쳐 분무건조하여 수득된 건조분말 상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5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50 내지 100℃, 80 내지 150℃, 80 내지 120℃, 또는 8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3 내지 9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 3 내지 7시간, 3 내지 6시간, 5 내지 9시간, 5 내지 8시간, 5 내지 7시간, 또는 5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수나무의 열매를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하고, 협착물이 제거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씨를 제거하고 압착하여 착즙액을 수득한다. 수득한 착즙액은 120 메쉬(mesh) 이하 필터에 여과해 모은다. 착즙액의 여과액은 30 내지 80℃에서 농축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농축액을 70 내지 110℃에서 2 내지 10분 동안 살균 후, 다시 120 메쉬 이하의 필터에 여과한 농축액을 덱스트린과 교반하여 분무건조함으로써 건조분말 형태의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ultraviolet A, 320∼400 nm), UVB 및 UVC(ultraviolet C, 200∼280 n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UVB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착즙, 용매추출, 여과, 농축 및 분무건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착즙 후 여과 또는 농축 과정을 거쳐 분무건조하여 수득된 건조분말 상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5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50 내지 100℃, 80 내지 150℃, 80 내지 120℃, 또는 8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은 3 내지 9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 3 내지 7시간, 3 내지 6시간, 5 내지 9시간, 5 내지 8시간, 5 내지 7시간, 또는 5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UVB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투여 대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1일 투여량(중량/대상체의 체중)은 50 내지 500 mg/kg, 50 내지 300 mg/kg, 100 내지 200 mg/kg, 100 내지 500 mg/kg, 100 내지 300 mg/kg, 또는 100 내지 200 mg/kg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0 mg/k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1일 투여량은 100 내지 4,000 mg, 100 내지 3,000 mg, 100 내지 2,000 mg, 100 내지 1,000 mg, 500 내지 4,000 mg, 500 내지 3,000 mg, 500 내지 2,000 mg, 500 내지 1,000 mg, 1,000 내지 4,000 mg, 1,000 내지 3,000 mg, 1,000 내지 2,000 mg, 예를 들어, 1,000 m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은 광노화로 인하여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photoaging)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Has 1, 2, 3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COL1A1, 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피부 조직의 중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의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Nox2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피부조직내 GSH(Glutathione)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GSH 환원 효소(reductase)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MMPs의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와 이의 레플리카(Replica)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레플리카의 주름의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의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표면 미세주름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상피 평균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염증세포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에서 측정된 진피 내 콜라겐 섬유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의 세포예정사(Apoptosis) 인자들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NT(Nitrotyrosi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4-HNE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caspase-3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등쪽 피부조직에서 측정된 Cleaved PARP 면역반응 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제조예 1: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제조
1-1. 씨 포함 추출액을 이용한 제조
보리수나무 열매를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하고, 열매를 분류하여 모았다.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에 5배 중량에 해당하는 열수를 넣고 10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액은 120 메쉬(mesh)의 필터에 여과한 다음, 65℃에서 농축하였으며, 얻은 농축액은 95℃에서 5분 동안 살균 후, 다시 120 메쉬의 필터에 여과하였다. 여과한 농축액을 모은 후, 덱스트린(dextrin)을 최종 수득하는 농축 건조분말 중량 대비 50 ~ 70%가 되도록 첨가 후 교반하였으며, 이를 분무건조하여 실시예 1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2. 씨 분리 추출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를 열수 추출하기에 앞서 씨분리기를 사용해 씨를 분리하였다.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2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3. 씨 포함 착즙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분류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대신 탈수 및 유압 착즙기에 넣고 착즙하여 얻은 보리수나무 열매 착즙액으로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3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1-4. 씨 분리 착즙액을 이용한 제조
제조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되, 씨를 분리한 보리수나무 열매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대신 탈수 및 유압 착즙기에 넣고 착즙하여 얻은 보리수나무 열매 착즙액으로 이후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4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씨 분리 여부 추출액/착즙액 당도 농축온도 살균온도
실시예 1 포함 1.50 Brix 65℃ 95℃
실시예 2 분리 1.82 Brix 65℃ 95℃
실시예 3 포함 6.76 Brix 65℃ 95℃
실시예 4 분리 6.90 Brix 65℃ 95℃
시험예 1: 건조분말의 성분 조성 및 비율 확인
HPLC 크로마토그램 패턴으로 성분 프로파일링(profiling)을 실시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해당하는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성분 조성 및 비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PLC/PDA(Photodiode Array Detector)로 C18 컬럼(4.6x250 mm, 5 um)을 30℃로 유지하며, 이동상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로 농도구배하여 분석하였다. 유량은 1.0 ml/min, 주입량은 10 ul로 하여 254 nm에서 검출하였고, 이때 추출물의 농도는 50 mg/ml이었다.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에서 분석된 크로마토그램 패턴이 차이를 보였고, 특히 씨가 포함된 실시예 1 및 3과 씨가 분리된 실시예 2 및 4의 패턴이 구분되었다. 씨가 포함된 실시예 1 및 3의 경우 33 min, 49 min, 61 min에서 특이적인 피크(peak)가 검출되었고, 씨를 분리한 실시예 2 및 4의 경우 47 min에서 주요 피크(major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이 서로 다른 시료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 설정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암컷, 6주령, SKH1-hr[hairless])를 7일간 순화 후, 피부에 이상 병변이 없고 체중이 일정한 개체를 군당 8마리씩 7개 군(총 56마리)으로 나누었다. 7개 군은 각각 정상군, UVB 노출군, 양성대조약물인 A.A 투여군(UVB 노출 및 L-Ascorbic acid 100 mg/kg 투여), 건조분말 투여군(UVB 노출 및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200 mg/kg 투여)으로 나누었다. 시료는 10 ml/kg의 부피(volume)로 하여 20 mg/ml의 농도로 녹였으며, 15주 동안 1일 1회씩 경구투여하였다.
피부 광노화는 UV 크로스링크 시스템(UV Crosslinker system)에 마우스를 넣고 0.18 J/cm2의 UVB를 주 3회씩 15주간 조사하여 유발하였으며, 정상군에도 또한 동일한 환경 스트레스만을 가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 UV 크로스링크 시스템에 넣되 UVB를 조사하지 않고 방치하였다.
시험예 2: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보습 효과
2-1.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UVB에 의해 손실된 피부의 수분 함량이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 투여 시 어느 정도 줄어드는지 보기 위해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쥐를 희생시킨 후, 직경 6 mm로 등쪽 피부 샘플을 취하여 자동 수분 함량 분석기를 활용해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함량 (%/6 mm-diameter skin)
정상군 38.10±3.93
UVB 노출군 13.19±1.08
UVB + A.A 24.09±2.49
UVB + 실시예1 22.92±1.99
UVB + 실시예2 25.01±2.77
UVB + 실시예3 22.41±2.01
UVB + 실시예4 30.38±3.65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단위 면적당 피부 조직의 수분 함량이 정상군 대비 57.73%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73.77%, 89.61%, 69.90%, 130.33%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수분 함량 증가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2-2.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 발현 측정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습 관련 유전자(Has 1, Has 2, Has 3, COL1A1, COL1A2)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여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보습 효과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의 확인은 실시간(realtime) RT-PCR 기법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HAS(Hyaluronic acid synthase)는 피부 조직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Has 1, 2, 3 mRNA는 HAS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다.
COL1A는 피부 조직내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COL1A1, COL1A2 mRNA는 COL1A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다.
마우스를 희생시켜 등쪽 피부에서 조직을 취한 후, 상기 조직에 Trizol 시약을 사용해 mRNA를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mRNA는 CFX96TM Real-Time system을 활용해 정량하였다. 정량한 mRNA를 키트(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활용해 cDNA로 재조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ABI Step One plus Sequence Detection System을 사용해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발현량은 털이 없는 8마리 마우스에 대한 평균±편차로 표시하였고, β-액틴 mRNA에 대한 상대 발현량을 기준으로 기록하였다.
Has 1 Has 2 Has 3 COL1A1 COL1A2
정상군 0.99±0.05 1.00±0.06 1.00±0.06 1.01±0.07 1.01±0.08
UVB 노출군 1.02±0.15 1.03±0.14 1.01±0.09 1.04±0.09 1.04±0.11
UVB + A.A 1.84±0.15 2.00±0.25 1.70±0.17 2.21±0.41 2.76±0.21
UVB + 실시예1 1.98±0.16 2.21±0.19 2.07±0.14 2.50±0.35 2.91±0.38
UVB + 실시예2 2.08±0.30 2.15±0.28 2.03±0.27 2.51±0.36 2.29±0.63
UVB + 실시예3 1.97±0.15 2.19±0.30 2.06±0.27 2.50±0.38 2.89±0.51
UVB + 실시예4 2.19±0.28 2.46±0.45 2.24±0.29 2.74±0.38 3.14±0.49
표 3,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HAS 1, 2, 3의 mRNA 발현이 정상군 대비 각각 3.03%, 3.00%, 1.0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HAS 1의 mRNA 발현은 각각 94.12%, 103.92%, 93.14%, 114.71%로 증가하였고, HAS 2의 mRNA 발현은 각각 114.56%, 108.74%, 112.62%, 138.83%로 증가하였으며, HAS 3의 mRNA 발현은 각각 104.95%, 100.99%, 103.96%, 121.78%로 증가하였다.
표 3, 도 2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COL1A1, COL1A2의 mRNA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각각 2.97%, 2.97%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COL1A1의 mRNA 발현은 각각 140.38%, 141.35%, 140.38%, 163.46%로 증가하였고, COL1A2의 mRNA 발현은 각각 179.81%, 120.19%, 177.88%, 201.92%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보습 관련 유전자 mRNA 발현량의 증가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3: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과도한 염증반응 억제 효과 검증
3-1. 피부 부종성 - 단위 면적당 피부 중량의 변화 확인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UVB에 의해 초래된 피부 부종을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어느 정도 억제하는지를 보기 위해 단위 면적당 피부 조직 중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펀치를 사용해 6 mm 직경의 피부 조직을 취했으며, 취한 조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단위 면적당 피부조직의 중량이 정상군 대비 84.31%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 29.10%, 34.49%, 28.59, 43.52%로 중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부종성 완화 효과를 보였다.
3-2. 피부 조직 내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변화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발생 시 피부 조직내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1β, IL-10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의 측정은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 조직을 취하여 균질화한 후, ELISA 키트(kit)를 활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다.
IL-1β
(pg/100 mg of protein)
IL-10
(pg/100 mg of protein)
정상군 23.13±7.09 446.75±101.86
UVB 노출군 75.25±11.63 130.00±21.43
UVB + A.A 41.94±11.33 221.88±36.85
UVB + 실시예1 41.18±11.05 252.63±37.69
UVB + 실시예2 37.88±11.98 251.50±25.61
UVB + 실시예3 41.37±12.55 252.38±33.32
UVB + 실시예4 34.10±10.05 282.25±39.05
표 4 및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IL-1β의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225.2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5.28%, 49.66%, 45.02%, 54.68%로 감소되었다.
표 4 및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IL-10의 발현량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70.90%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70.68%, 94.33%, 93.46%, 94.14%로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3-3. 피부 조직 내 염증 유도 바이오마커 변화
피부 광노화가 발생하게 되면, 피부 조직내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호중구(중성호성 백혈구)의 염증부위로의 이주를 유발하며, 이때 호중구에서는 독성 활성 산소 및 MPO와 같은 세포독성 효소를 방출해 주변 조직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Nox 효소들은 세포 손상에 의해 증가된 염증 매개물질에 반응해 내인성 ROS의 방출을 주관하며, 특히 Nox 효소들 중 Nox2는 탐식작용 및 다양한 ROS에 의한 다양한 병적 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발생 시 나타나는 염증 유도 바이오마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 음이온 측정은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분석(nitroblue tetrazolium(NBT) assay)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는데,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피부 조직을 취하여 1.15% KCl 용액에 균질화한 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NBT 시약과 균질화한 피부 조직을 같이 주입하고, 37℃에서 인큐베이팅(incubating)하였다. 인큐베이팅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2 M KOH와 DMSO를 주입하여 포르마잔(formazan)을 녹이고, 60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는 MPO 키네틱-컬러메트릭 분석(kinetic-colorimetric assay)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피부 조직을 0.5%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가 함유된 50 mM의 K2HPO4 버퍼(buffer)에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0 μl의 샘플을 0.167 mg/ml의 o-디아니시딘 중염산염(o-dianisidine dihydrochloride)과 0.05%의 H2O2가 포함된 200 μl의 0.05 M K2HPO4 버퍼(pH 6.0)에 넣어 혼합한 후, 5분 뒤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활용해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PO의 활성은 호중구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과 비교하였고, Nox2 mRNA 발현은 상기 시험예 2-2에 제시된 실시간 RT-PCR 기법을 활용해 수행하였다.
Superoxide anion
(NBT 환원/OD 600 nm)
Myeloperoxidase
(호중구 수 X 105/mg)
Nox2 mRNA
정상군 0.36±0.10 1.12±0.22 1±0.06
UVB 노출군 1.36±0.25 16±2.72 3.11±0.56
UVB + A.A 0.78±0.13 7.46±1.38 1.83±0.12
UVB + 실시예1 0.76±0.07 6.1±1.17 1.69±0.25
UVB + 실시예2 0.72±0.07 5.77±1.11 1.67±0.17
UVB + 실시예3 0.76±0.09 6.11±1.27 1.71±0.19
UVB + 실시예4 0.6±0.09 3.82±1.46 1.44±0.20
표 5 및 도 3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과산화물 음이온의 생성량이 정상군 대비 277.78%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4.12%, 47.06%, 44.12%, 55.88%로 감소하였다.
또한, 표 5 및 도 3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PO의 활성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1,328.57%의 증가를 보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61.88%, 63.94%, 61.81%, 76.13%로 감소하였다.
또한, 표 5 및 도 3f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Nox2 mRNA 발현량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211.00% 증가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5.66%, 46.30%, 45.02%, 53.70%로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4: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항산화 효과 검증
4-1. 피부조직 내 GSH 함량 및 GSH 환원 효소 mRNA의 변화
UVB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는 피부 조직내 내인성 항산화제인 GSH (Glutathione)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함께, 내인성 항산화 효소인 GSH 환원 효소(reductase)의 감소로 피부에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을 투여하여 GSH의 함량 변화 및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GSH 함량은 형광 분석(fluorescence assay)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피부조직을 5 mM EDTA가 포함된 100 mM의 NaH2PO4 용액에 균질화한 후, 균질화된 샘플을 30%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에 처리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형광분광광도계(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여러 농도의 GSH 표준물질로 적정하였다.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은 상기 시험예 2-2에서 수행한 실시간 RT-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GSH (μM/mg of protein) GSH 환원 효소 (mRNA)
정상군 1.55±0.36 1.00±0.05
UVB 노출군 0.31±0.10 0.34±0.07
UVB + A.A 0.60±0.11 0.62±0.10
UVB + 실시예1 0.75±0.13 0.72±0.12
UVB + 실시예2 0.72±0.10 0.70±0.07
UVB + 실시예3 0.74±0.11 0.72±0.10
UVB + 실시예4 0.83±0.12 0.82±0.06
표 6 및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피부조직 내 GSH 함량이 정상군 대비 79.76%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141.94%, 132.26%, 138.71%, 167.74%로 증가하였다.
또한, 표 6 및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GSH 환원 효소 mRNA의 발현은 UVB 노출군에서는 정상군 대비 65.58%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111.76%, 105.88%, 111.76%, 141.18%로 증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4-2. 피부조직 내 지질 과산화의 변화
UVB 노출은 피부 광노화와 함께 생체내 과도한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키며, 이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축적을 야기하고, 이렇게 축적된 과산화지질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피부조직 및 세포에 여러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 투여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변화를 보기 위해 TBARS 측정법을 수행하여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희생시킨 쥐에서 취한 피부조직을 균질화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은 버리고 상층액을 취한후, 티오바르비탈산(thiobarbituric acid)을 상층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100℃에서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광도계 리더(microplate spectrophotometer reader)를 활용하여 535 및 572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말론알데히드 (nM/mg of protein)
정상군 0.42±0.12
UVB 노출군 1.91±0.16
UVB + A.A 1.29±0.19
UVB + 실시예1 1.15±0.08
UVB + 실시예2 1.09±0.15
UVB + 실시예3 1.17±0.12
UVB + 실시예4 0.86±0.16
표 7 및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MDA 함량이 정상군 대비 260.24%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39.79%, 42.93%, 38.74%, 54.97%로 감소되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5: MMPs 발현 측정
UVB에 의한 피부광노화로 활소산소종(ROS)이 생성되고 이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함께 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s)의 활성을 유도한다. MMPs의 활성화는 피부의 진피 내 결합조직의 분해를 촉진하며, 이는 노화 촉진 및 주름을 발생시킨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MMPs의 활성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하여, 실시간 RT-PCR을 수행하여 MMPs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은 상기 시험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MMP-1 MMP-9 MMP-13
정상군 1.00±0.05 1.02±0.06 1.00±0.04
UVB노출군 3.23±0.39 2.97±0.15 4.51±0.90
UVB + A.A 1.95±0.16 1.77±0.25 2.46±0.39
UVB + 실시예1 1.91±0.16 1.72±0.12 2.27±0.19
UVB + 실시예2 1.87±0.23 1.70±0.14 2.25±0.19
UVB + 실시예3 1.93±0.24 1.76±0.33 2.38±0.36
UVB + 실시예4 1.55±0.27 1.46±0.24 1.85±0.31
표 8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MMPs mRNA의 발현량이 정상군 대비 각각 MMP-1, MMP-9, 및 MMP-13에서 222.60%, 190.35%, 351.6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MMP-1의 발현량은 각각 40.87%, 42.11%, 40.25%, 52.01% 감소하였으며, MMP-9의 발현량은 각각 42.09%, 42.76%, 40.74%, 50.84% 감소하였으며, MMP-13의 발현량은 각각 49.67%, 50.11%, 47.23%, 58.98%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을 투여한 군이 아스코르브산 및 다른 실시예의 건조분말을 투여한 군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6: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주름 억제 효과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리수열매 추출물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보기 위해 쥐의 등쪽 피부 표면 및 본을 뜬 레플리카(Replica)를 활용하여 등쪽 피부의 형태적 관찰과 함께 주름의 평균 길이 및 깊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쥐를 마취시킨 후, 쥐의 등쪽 피부 표면에 키트(Repliflo Cartridge Kit)를 사용하여 레플리카를 얻었으며, 쥐를 희생시키기 전에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해 등쪽의 사진을 촬영했다. 주름의 길이 및 깊이는 레플리카를 스탠드에 올려 놓고 광학 광원을 사용해 고정된 강도의 빛으로 비추어 주름 그림자를 생성 후, CCD 카메라로 촬영해 이미지를 만들었으며, 이를 피부화상분석기(Skin-Visiometer)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정상군 대비 주름이 눈에 띄게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주름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더욱 정확히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을 뜬 레플리카를 통해 주름의 길이 및 깊이를 측정하였다.
도 6b 및 6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에 의해 늘어난 주름의 길이(length)와 깊이(depth)가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노화를 억제시킴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7: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의 조직학적 평가
7-1. 조직병리학적 평가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조직을 절제 및 블록을 제작하여 조직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등쪽 피부를 절제하여 10% 포르말린(formalin)에 담근 뒤, 고정이 되면 꺼내어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블록에 도 7a와 같이 H&E 염색(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및 MT(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한 후, 조직을 관찰하였다. (EP = Epithelium; DE = Dermis; CM = Cutaneous muscle; SE = Sebaceous gland; AC = Adipocyte; Th = Thickness, Arrows indicated microfolds formed)
상피 표면
미세주름 수
(folds/mm of
epidermis)
상피 평균 두께
(μm/epidermis)
조직 내 침윤
염증세포수
(cells/mm2 of
dermis)
진피 내 콜라겐
섬유 비율
(%/mm2 of dermis)
정상군 4.00±1.31 23.99±3.11 36.25±10.17 31.01±5.93
UVB노출군 16.50±2.14 194.08±28.03 359.50±60.35 79.75±9.30
UVB + A.A 10.75±1.04 107.00±10.66 190.13±19.07 54.58±7.41
UVB + 실시예1 8.63±1.30 77.95±12.14 131.00±23.05 47.46±8.87
UVB + 실시예2 7.63±0.74 73.85±12.13 115.00±17.20 45.30±7.91
UVB + 실시예3 8.75±1.16 78.85±14.08 139.25±45.06 47.81±8.96
UVB + 실시예4 6.13±0.83 59.82±16.80 77.50±18.23 38.75±7.48
표 9 및 도 7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상피 표면의 미세주름 수가 정상군 대비 312.50%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의 미세주름 수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7.70%, 53.15%, 46.97%, 62.85%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상피의 평균 두께가 정상군 대비 708.86%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59.84%, 61.95%, 59.37%, 69.18%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피부 조직내 침윤 염증세포의 수가 정상군 대비 891.72%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63.56%, 68.01%, 61.27%, 78.44% 감소하였다.
표 9 및 도 7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는 진피 내 비정상 콜라겐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정상군 대비 157.17%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UVB 노출군 대비 각각 40.49%, 43.20%, 40.05%, 51.41%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광노화에 의한 피부 조직 손상이 억제됨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7-2. 면역조직화학적 평가
UVB는 피부 각질세포에 현저한 세포예정사(apoptosis)를 유발하여 피부의 방어 체계 파괴와 함께 피부 광노화를 촉진시킨다. 이에 보리수나무 열매 건조분말이 세포예정사 억제와 피부 광노화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분석(Immunohistochemistry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
피부 조직의 내인성 과산화 효소의 활성을 차단하기 위해 메탄올과 0.3% H2O2에 30분 동안 둔 후,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기 위해 horse serum에 1시간 두었다.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 NT(Nitrotyrosine), 4-HNE의 1차 항체를 처리 후, 2차 항체 및 아비딘-비오틴-과산화효소 복합체(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를 처리하고, 버퍼(0.01 M phosphate buffer)에 씻긴 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도 8a와 같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Epidermal immunoreactive cells (cells/100 epithelial cells)
Nitrotyrosine 4-HNE Cleaved capase-3 Cleaved PARP
정상군 5.75±2.71 17.75±3.45 4.25±2.25 4.00±1.85
UVB 노출군 69.50±6.57 74.75±6.50 40.75±4.27 77.75±7.21
UVB + A.A 44.25±5.90 38.75±5.65 21.25±2.82 49.50±4.63
UVB + 실시예1 31.00±6.68 28.00±6.41 12.25±1.98 37.50±3.82
UVB + 실시예2 28.45±7.59 27.50±4.99 11.50±1.51 28.00±3.70
UVB + 실시예3 31.25±8.55 28.50±5.42 12.75±1.83 38.25±5.06
UVB + 실시예4 23.00±4.90 21.50±5.21 8.00±1.51 15.00±4.90
표 10 및 도 8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NT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1,108.79%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55.40%, 59.06%, 55.04%, 66.91%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4-HNE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321.13%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62.54%, 63.21%, 61.87%, 71.24%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Cleaved caspase-3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858.82%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69.94%, 71.78%, 68.71%, 80.37% 감소하였다.
표 10 및 도 8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UVB 노출군에서 표피내 Cleaved PARP 면역반응세포 수는 정상군 대비 1,843.75%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의 건조분말 투여군에서는 각각 51.77%, 63.99%, 50.80%, 80.71%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건조분말 투여군이 A.A 및 실시예 1 내지 3의 건조분말 투여군 대비 피부 내 산화스트레스 및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조직 손상이 억제됨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Claims (12)

  1.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의 착즙액 또는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인,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광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7.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열매의 착즙액 또는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건조, 염증, 부종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광노화(photoaging)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는 씨를 제거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UVA, UVB 및 U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20058449A 2022-05-12 2022-05-12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2022-05-12 2022-05-12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3/005746 WO2023219308A1 (ko) 2022-05-12 2023-04-27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2022-05-12 2022-05-12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63B1 true KR102580263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449A KR102580263B1 (ko) 2022-05-12 2022-05-12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0263B1 (ko)
WO (1) WO20232193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3B1 (ko) * 2006-06-21 2007-11-2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2935A (ko) * 2016-05-24 2017-12-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36369A (ko) * 2018-07-23 2021-04-02 라이코드 리미티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코펜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3B1 (ko) * 2006-06-21 2007-11-2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2935A (ko) * 2016-05-24 2017-12-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36369A (ko) * 2018-07-23 2021-04-02 라이코드 리미티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코펜 조성물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rkins-Veazie et al., LYCOPENE AND TOTAL PHENOL CONTENT OF AUTUMN OLIVE(Elaeagnus umbellata) SELECTIONS. Abstracts of the ASHS Southern Region 65th Annual Meeting. 2005, pp. 883-884 1부.* *
Stahl et al., Lycopene-rich products and dietary photoprotection. Photochem. Photobiol. Sci., 2006, Vol. 5, pp. 238-24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308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97B1 (ko) 테아세아 식물로부터의 생물활성 조성물 및 이들의 생산방법 및 용도
EP3452176B1 (en) Saxifraga extracts for cosmetic or therapeutic use on the skin
CA2566905A1 (fr) Association d'extraits vegetaux a base de groseille maquereau, d'orchidee noire et de tulipe noire et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l'association de ces extraits vegetaux
Chen et al. Photoprotection of maqui berry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photodamage in vitro and in vivo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7138652A1 (ja) メラニン分解抑制剤
US10973755B2 (en) Method for treating skin aging and photodamage by using Camellia sinensis callus extract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EP3288575B1 (fr) Complexe protéomélanique bioassimilable, préparation et utilisations
KR102580263B1 (ko) 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27701B1 (ko)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20140052127A (ko) 효소분해 사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R3066916B1 (fr) Complexe vegetal a base de seve de bouleau et d'un extrait aqueux de chaga et applications en cosmetique
KR101361848B1 (ko)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8498B1 (ko) 플로로글루시놀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모낭 손상 또는 모낭줄기세포 손상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2441B1 (ko)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02373A (ko) 산뽕나무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KR20100102439A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101864203B1 (ko)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6767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