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06B1 -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06B1
KR102579406B1 KR1020210024062A KR20210024062A KR102579406B1 KR 102579406 B1 KR102579406 B1 KR 102579406B1 KR 1020210024062 A KR1020210024062 A KR 1020210024062A KR 20210024062 A KR20210024062 A KR 20210024062A KR 102579406 B1 KR102579406 B1 KR 10257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unit
signal
electronic control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786A (ko
Inventor
박종규
김관호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21002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06B1/ko
Priority to US17/677,487 priority patent/US20220268879A1/en
Priority to CN202210168711.4A priority patent/CN114967895A/zh
Publication of KR2022012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01S7/0232Avoidance by frequency multipl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5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01S7/354Extracting wanted echo-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01S7/356Receivers involving particularities of FFT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1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는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전원부 및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실시예들은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된 전력 변환(Switched power conversion)은, 전자기 간섭(EMI)을 야기한다. 전력 변환이 다른 전자 기기들을 교란(Distrub)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 허용 간섭 레벨에 대한 소정의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간섭들은 주파수 간격(Frequency interval)에 대해서 측정된다. 허용 가능한 레벨로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해결책들 중 하나는,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른 해결책은, 스위칭 주파수의 주파수 변조를 통하여 넓은 주파수 간격에 걸쳐서 간섭의 에너지를 확산(Spread)시키는 것이다.
이렇듯,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EMI를 감소시키기 위해 클럭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프레딩 스펙트럼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럭은 EMI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가 기존 클록 신호에 고의적으로 랜덤한 지터(Jitter)를 인가하여 확산된 스펙트럼을 갖는 클럭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대상 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전원부 및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주파수 처리 단계,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객체정보 수신 단계 및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신호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센서의 동작 범위에서 거짓 타겟의 생성을 줄이고,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센서의 주파수 외부 영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스프레드 스펙트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전원 IC의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가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가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7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스프레드 스펙트럼 적용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이하,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부(110), 전원부(120) 및 제어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모든 전자 제품은 주파수 인증이 필수 요건이다. 제품이 발생하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줄여서 외부 영향성을 감소 시키는 방법으로 전원부(120) 기능을 가진 IC 들은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능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스프레드 스펙트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와 같이, 특정 주파수에 대한 노이즈가 높게 발생되면 신호 처리에 있어서 센서가 오감지할 수 있고, 고스트가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와 같이 높은 피크 타입 노이즈(Peak type Noise)를 갖는 특정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수행하면 특정 주파수의 파워는 도 2의 b와 같이 낮은 파워로 분산될 수 있다.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구동됨에 따라, 도 3과 같이 낮은 주파수 대역의 Amplitude 폭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 기능은 효과적인 주파수 퍼짐 효과를 제공하여 강한 주파수 발생 신호를 억제 하는 장점이 있으나 노이즈(Noise)에 민감한 센서 모듈에서 사용할 경우 센서의 동작 범위에서 거짓 타겟(Target)을 생성 하거나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를 상승하는 현상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제어 장치(10)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대상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장점을 센서의 감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센서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안테나부, 수신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는 1 이상의 송신 안테나와 1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며, 각 송수신 안테나는 1 이상의 방사 소자가 급전선로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어레이 안테나 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테나부는,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 및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며, 그 배열 순서 및 배열 간격 등에 따라 여러 형태의 안테나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송신부는 안테나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 중 1개로 스위칭(Switching)하여 스위칭 된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멀티 송신채널을 통해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부는, 스위칭 된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한 개의 송신채널 또는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멀티 송신채널에 대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발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진부는, 일 예로서, 전압 제어 발진기(VCO: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및 오실레이터(Oscill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객체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수신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 한 개로 스위칭하여 스위칭 된 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송신신호가 타깃에 의해 반사된 반사신호인 수신신호를 수신하거나 복수 개의 수신 안테나에 할당된 멀티 수신채널을 통해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부는, 스위칭 된 수신 안테나에 할당된 한 개의 수신채널을 통해 수신되거나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에 할당된 티 수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부(LNA: Low Noise Amplifier)와, 저잡음 증폭된 수신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Mixer)와, 믹싱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Amplifier)와, 증폭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부(ADC: Analog Digital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객체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레이더 신호 송신 모듈 및 객체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통해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동작 및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신호는 전술한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고, 수신한 수신신호를 기초로 FFT(Fast Fourier Transform) 및 측정치(Measurement) 등을 통해 객체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전술한 신호 수신 동작과 신호 처리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10)는 신호 수신 동작 및 신호 처리 동작 각각을 단위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는 단위 동작인 신호 수신 동작과 신호 처리 동작 각각 1회씩 수행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센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센서부(110) 및 제어부(13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레귤레이터(Ragulator)를 통해 각 소자에 따라 적합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소정의 주파수에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함으로써, 해당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지령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으나,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마다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조절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조절 주파수 싱크(Sync)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LDO(Low Drop Ou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마다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신호 처리 동작이 수행된 이후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신호 처리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신호 수신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전원 IC의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가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원 IC의 스프레드 스펙트럼 구동은 고정된 특정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한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 처리, 즉, 신호 처리 동작 동안 주파수를 조절하여 조절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첫 번째 신호 처리 동작 동안 FREQ SET0에서 FREQ SET1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것은 FREQ SET0에서 설정된 주파수가 FREQ SET1에 설정된 주파수로 조절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시일 뿐,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조절의 시기는 신호 처리 동작이 끝난 이후에 설정될 수 있다. 즉, 객체를 감지할 때,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부(110)의 신호 수신 동작 및 신호 처리 동작에 더하여 전원부(120)의 주파수 조절 동작 세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의 전자 제어 장치는 동작 주기마다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센서의 외부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가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부(110)에서 산출한 객체정보를 기초로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될 주파수를 제어부(130)에서 조절하고, 해당 주파수를 전원부(120)로 전송하여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하고, 센서부(110)에 적용되어 수신신호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0)가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최초로 산출하게 되면, 전원부(120)는 조절된 주파수가 아닌 소정의 최초 주파수로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주파수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전원 IC에 고정되어 적용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이러한 최초 주파수를 적용하여 스프레드 스펙트럼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산출한 객체정보를 기초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절 대상 주파수 중 객체를 감지한 주파수를 제외할 수 있다. 객제정보는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의 피크 값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객체 감지 주파수에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적용하게 되면, 피크 값이 감소되므로 정확한 객체를 감지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객체를 감지한 주파수를 제외함으로써, 센서가 보다 정확한 객체 감지를 할 수 있도록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기 구동된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주파수에 더한 값을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기 구동된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주파수에 뺀 값을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제어부(130)는 특정 구간에서만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하도록하는 제어신호를 전원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FREQ SET0, FREQ SET2, FREQ SET4 등에서만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하도록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30)는 특정 구간에 구동되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원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주파수를 조절한다는 것은 소정의 주파수를 특정 중심값을 갖는 주파수로 이동한다거나, 소정의 주파수에 설정된 스프레드 범위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버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부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는 자차량에 탑재되어 자차량의 주행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자차량 제어에 도움을 제공하는 ADAS(Advance Driver Assistance Systems)일 수 있다.
여기서, ADAS는 다양한 종류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으며,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면, 긴급 제동 시스템(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 사각 감지(BSD: Blind Spot Detection) 시스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 시스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LCAS: Lane Change Assist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자차량은 원동기를 장착하여 그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서 철길이나 가설된 선에 의하지 아니하고 땅 위를 움직이도록 만든 차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차량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전기차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자차량의 제어하는 유인 자동차 및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개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장치(10)를 이용하는 전자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제어 방법은 센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주파수 처리 단계(S710),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객체정보 수신 단계(S720) 및 센서부(110)의 동작 주기마다 신호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 조절 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정보 수신 단계(S720)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 및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단계(S730)는 전술한 신호 처리 단계가 수행된 이후, 신호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단계(S730)는 전술한 신호 처리 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신호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단계(S730)는 동작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신호 처리된 주파수에 더한 값을 다음 신호 처리되는 주파수로 조절할 수 있다.
주파수 처리 단계(S710)는 소정의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통해 신호 처리하고, 주파수 조절 단계(S730)는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하거나, 주파수의 스프레드 범위를 변경하도록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7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제어 장치(10)는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S810) 및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 단계(S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는 수신신호를 기초로, FFT(Fast Fourier Transform) 및 측정치(Measurement) 등을 통해 객체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정보는 도 2와 같이, 도플러(Doppler), 거리(Range) 인덱스에서 파워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특정 주파수에서의 진폭(Amplitu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스프레드 스펙트럼 적용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제어 장치(10)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S910). 이에 따라, 센서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는 특정 주파수의 피크(Peak)의 절대 값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는 이전에 전자 제어 장치(10)에 의해 조절된 주파수가 없다면 최초 주파수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로부터 수신신호가 수신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수신신호가 수신 완료되기 전에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가 조절된 경우, 수신신호의 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산출되는 객체정보 역시 부정확하여 객체의 위치나 객체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로부터 수신신호가 수신 완료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수행했던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S920의 No).
수신신호가 수신이 완료된 경우(S920의 Yes), 전자 제어 장치(10)는 수신신호를 기초로 산출된 객체정보를 기초로 스프레드 스펙트럼에 적용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S930).
일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장치(10)는 센서에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기초로 산출한 객체정보를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신호를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920은 센서에서 수신신호의 수신 완료 여부일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단계(S930)는 신호 처리 단계(S820)가 수행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조절 단계(S930)는 신호 처리 단계(S820)가 수행되는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는 조절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다(S940).
여기서 제어부(130)에 의해 조절된 주파수 수치만을 전원부(120)로 전송하여 전원부(120)가 조절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고, 제어부(130)가 조절된 주파수 싱크(Sync)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부(120)로 전송함으로써 조절된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동할 수 있고, 제어부(130)가 별도의 주파수 조절 모듈(미도시됨)을 통해 조절된 주파수를 전원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센서의 동작 범위에서 거짓 타겟의 생성을 줄이고,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센서의 주파수 외부 영향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자 제어 장치 110: 센서부
120: 전원부 130: 제어부

Claims (17)

  1.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동작 및 상기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처리 동작을 단위 동작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을 구동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를 조절하되,
    상기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상기 전원부에서 신호처리된 상기 소정의 주파수에 더한 값을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객체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레이더 신호 모듈; 및
    객체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산출한 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절 대상 주파수 중 상기 객체를 감지한 주파수를 제외하는 전자 제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하거나, 상기 주파수의 스프레드 범위를 변경하도록 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
  10.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부가 소정의 주파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주파수 처리 단계;
    상기 센서부가 객체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객체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객체정보 수신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상기 전원부에서 신호 처리되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 조절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객체를 감지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객체정보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동작을 단위 동작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 처리 단계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을 구동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주파수 조절 단계는,
    상기 수신신호 처리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를 조절하되,
    상기 센서부의 동작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상기 전원부에서 신호처리된 상기 소정의 주파수에 더한 값을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전자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절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산출한 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절 단계는,
    조절 대상 주파수 중 상기 객체를 감지한 주파수를 제외하는 전자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절 단계는,
    상기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하거나, 상기 주파수의 스프레드 범위를 변경하도록 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방법.
KR1020210024062A 2021-02-23 2021-02-23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7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62A KR10257940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7/677,487 US20220268879A1 (en) 2021-02-23 2022-02-22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CN202210168711.4A CN114967895A (zh) 2021-02-23 2022-02-23 电子控制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62A KR10257940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786A KR20220120786A (ko) 2022-08-31
KR102579406B1 true KR102579406B1 (ko) 2023-09-19

Family

ID=8290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62A KR10257940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8879A1 (ko)
KR (1) KR102579406B1 (ko)
CN (1) CN1149678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634A (ja) * 2006-02-01 2007-08-16 Toshiba Corp レーダ送受信装置
US20120229323A1 (en) 2011-03-09 2012-09-13 Denso Corporation Radar system and power-supply device incorporated in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2645B2 (ja) * 2009-01-27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ーダ装置、及び障害物検知方法
US8040117B2 (en) * 2009-05-15 2011-10-18 Flextronics Ap, Llc Closed loop negative feedback system with low frequency modulated gain
US9013346B2 (en) * 2009-07-01 2015-04-21 Saab Ab Radar system comprising a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US9223009B1 (en) * 2011-12-19 2015-12-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mitigation using an auxiliary receiver
KR102144667B1 (ko) * 2013-07-18 2020-08-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KR20160056621A (ko) * 2014-11-12 2016-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6827853B2 (ja) * 2017-03-09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給電システム
KR102371668B1 (ko) * 2018-02-06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의 emi를 감소시키는 집적 회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90117932A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의 전원 노이즈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634A (ja) * 2006-02-01 2007-08-16 Toshiba Corp レーダ送受信装置
US20120229323A1 (en) 2011-03-09 2012-09-13 Denso Corporation Radar system and power-supply device incorporated i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8879A1 (en) 2022-08-25
CN114967895A (zh) 2022-08-30
KR20220120786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745B2 (en) On-vehicle radar device and on-vehicle radar device control system
US11029405B2 (en) FMCW vehicle radar system
US9720074B2 (en) Circuitry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 frequency modulated radar transmitter signal, a radar transceiver circuit and a radar system
EP4099056A1 (en) A vehicle radar system arranged for interference reduction
US6384768B1 (en) FM pulse Doppler radar apparatus
WO2018180584A1 (ja) レーダ装置
JP2014513272A (ja) 車両用運転者支援デバイスおよびレーダデバイスの動作方法
CN103091672A (zh) 具有不同工作模式的雷达装置
US20180113206A1 (en) Time synchronization of spatially separated radars
CN111190170A (zh) 一种探测方法、装置以及系统
US20220291330A1 (en) Method for Evaluating Parameter of Interfering Signal and Detection Apparatus
JP2007139691A (ja) 車載用パルスレーダ装置
KR102579406B1 (ko)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JP4314262B2 (ja) 車載用レーダ装置
KR101419733B1 (ko) 레이더 및 그의 신호처리방법
US9797992B2 (en) FMCW radar apparatus
KR20200056976A (ko) 차량용 레이더 및 그 제어 방법
US11802960B2 (en) Phase corr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ssion signal of vehicle radar, and vehicle radar apparatus with the same
JP2013221893A (ja) レーダ制御装置
KR102077106B1 (ko) 전압 오프셋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레이더 신호 처리 방법
KR20170016200A (ko) 차량용 레이더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8033B1 (ko) 레이더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82573B2 (en)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nic device and limit value setting apparatus
KR20210109857A (ko) 차량용 레이더의 고장 판단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레이더 장치
JP5162384B2 (ja) レ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