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965B1 - Draw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raw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965B1
KR102578965B1 KR1020210022014A KR20210022014A KR102578965B1 KR 102578965 B1 KR102578965 B1 KR 102578965B1 KR 1020210022014 A KR1020210022014 A KR 1020210022014A KR 20210022014 A KR20210022014 A KR 20210022014A KR 102578965 B1 KR102578965 B1 KR 10257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very
supply
substrate
hol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1680A (en
Inventor
히로유키 간다
노조무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11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9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33Handling masks and workpieces, e.g. exchange of workpiece or mask, transport of workpiece or mask
    • G03F7/7075Handling workpieces outside exposure position, e.g. SMIF box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7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n addressed light valve, e.g. a liquid crystal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83Mask effects on the imaging process
    • G03F7/70291Addressable masks, e.g. spatial light modulators [SLMs],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s] 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ttern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383Direct write, i.e. pattern is written directly without the use of a mask by one or multiple be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16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1Printing;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묘화 장치 (1) 는, 장척의 기재 (9) 가 권회된 공급 롤 (511) 을 유지하는 공급부 (51) 와, 공급부로부터 인출된 기재를 유지면 (521) 에서 유지하는 테이블 (52) 과, 유지면을 통과한 기재를 회수 롤 (531) 로 권취하는 회수부 (53) 와, 패턴의 비묘화시에 공급부로부터 유지면을 통과하여 회수부에 도달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기재를 반송하는 반송부 (54) 와, 패턴의 묘화시에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 (31) 와, 패턴의 묘화시에 테이블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4) 를 구비한다. 유지면 상의 기재의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블의 일단 근방에 위치하는 절반 위치에서 반송 경로가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오고, 절반 위치보다 테이블 측에, 공급부 및 회수부가 배치된다. 이로써, 공급 롤 및 회수 롤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drawing device 1 includes a supply unit 51 that holds a supply roll 511 on which a long substrate 9 is wound, a table 52 that holds the substrate pulled out from the supply unit on a holding surface 521, and A recovery unit 53 that takes up the substrate that has passed the holding surface onto a recovery roll 531, and a conveyance unit that conveys the substrate along a conveyance path from the supply unit, through the holding surface, to the recovery unit when drawing the pattern. (54) and a light emitting unit 31 that emits light when drawing a pattern, and a moving mechanism 4 that moves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drawing a pattern.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on the holding surface, the conveyance path retur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t a half position located near one end of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upply section and recovery section are arranged on the table side from the half position. do. Thereby,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and the recovery roll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Description

묘화 장치{DRAWING APPARATUS}Drawing device {DRAW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ing device.

종래, 플렉시블 기판 등의 장척의 기재에 패턴을 묘화하는 묘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묘화 장치에서는, 기재가 권회된 공급 롤을 유지하는 공급부, 기재에 패턴을 묘화하는 묘화부, 및, 기재를 회수 롤로 권취하는 회수부가 순서대로 형성된다. 묘화부에서는, 공급 롤로부터 인출된 기재의 일부분이 테이블 상에 유지되고, 테이블을 이동시키면서 당해 부분에 광을 조사하여 패턴이 묘화된다. 패턴이 묘화된 부분은, 회수 롤로 권취된다. 이와 같은 묘화 장치에서는, 공급부와 묘화부 사이, 그리고, 묘화부와 회수부 사이에, 기재의 늘어짐을 흡수하는 댄서 롤 등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Conventionally, drawing devices for drawing patterns on long substrates such as flexible substrates are known. In the drawing device, a supply section that holds a supply roll on which the substrate is wound, a drawing section that draws a pattern on the substrate, and a recovery section that winds the substrate onto a recovery roll are formed in this order. In the drawing section, a portion of the substrate taken out from the supply roll is held on a table, and light is irradiated to the portion while moving the table to draw a pattern. The portion on which the pattern is drawn is wound by a recovery roll. In such a drawing device, a dancer roll or the like that absorbs sagging of the substrate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ly unit and the drawing unit, and between the drawing unit and the recovery unit.

한편, 묘화부의 양측에 있어서, 댄서 롤 등을 개재하여 공급부 및 회수부를 배치하는 경우, 묘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또, 공급부와 회수부 사이의 기재의 반송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기재의 사행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53140호 (문헌 1) 에서는, 테이블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에 있어서, 테이블의 양측에 공급부 및 회수부를 배치하고, 패턴의 묘화에 있어서 테이블을 이동시킬 때에, 공급부 및 회수부도 테이블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rawing unit via a dancer roll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take a large installation space for the drawing device. Additionally, as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becomes longer, problems such as meandering of the substrate also occur. So,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9-53140 (Document 1), a supply unit and a recovery unit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on a base on which a table is formed, and when the table is moved in drawing a pattern,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provided. A device for moving the floa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able is disclosed.

그런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급부, 묘화부 및 회수부가 순서대로 형성되는 장치에서는, 공급 롤 및 회수 롤의 교환을 실시할 때에, 묘화부를 사이에 둔 양측의 위치 사이를 작업자가 이동할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또, 문헌 1 과 같이, 테이블의 양측에 공급부 및 회수부를 배치한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an apparatus in which a supply section, a drawing section, and a recovery section are formed in o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when exchanging the supply roll and the recovery roll, the operator needs to move between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drawing section. , the exchange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efficiently. Additionally, as in Document 1, the same problem occurs in devices in which the supply section and the recovery section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본 발명은, 장척의 기재에 패턴을 묘화하는 묘화 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공급 롤 및 회수 롤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drawing device that draws a pattern on a long substrate, and its purpose is to efficiently perform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and the recovery roll.

본 발명에 관련된 묘화 장치는, 장척의 기재가 권회된 공급 롤을 유지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기재를 유지면에서 유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유지면을 통과한 상기 기재를 회수 롤로 권취하는 회수부와, 반송 롤러를 갖고, 패턴의 비묘화시에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지면을 통과하여 상기 회수부에 도달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기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를 향하여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에 유지되는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 방향으로, 상기 테이블을 상기 광출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의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블의 일단 근방에 위치하는 절반 (折返) 위치에서 상기 반송 경로가 상기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오고, 상기 절반 위치보다 상기 테이블 측에,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배치된다.A dra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that holds a supply roll on which a long substrate is wound, a table that holds the substrate drawn out from the supply unit on a holding surface, and a recovery roll that winds the substr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ding surface. a collection unit that takes the substrate, a transfer roller, and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base material along a transfer path from the supply unit, through the holding surface, to the collection unit when drawing a pattern, and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modulated light toward the substrate on the holding surface; and, when drawing a pattern, the table is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moving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holding surface. It is provided with a moving mechanism that moves the base material relative to the holding surface, and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on the holding surface, the conveyance path is at a half position located near one end of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Returning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the supply section and the recovery section are disposed closer to the table than the half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 롤 및 회수 롤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and the recovery roll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테이블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Preferably, the moving mechanism continuously moves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upply section and the recovery section are capable of moving in the moving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묘화 장치가, 상기 테이블,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킨다.Preferably, the draw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base portion that supports the table, the supply portion, and the recovery portion, and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Preferably,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묘화 장치가, 상기 테이블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교정용 검출부를 갖고, 교정 동작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교정용 검출부에 조사됨으로써, 상기 광출사부와 상기 테이블의 상대 위치에 관한 교정값을 취득하는 교정값 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 상기 절반 위치 및 상기 교정용 검출부가 순서대로 나열된다.Preferably, the drawing device has a calibration detection unit whose position relative to the table is fixed, and in the calibration operation, light from the light emission unit is irradiated to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thereby causing the light emission unit and the table to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correction value related to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table, the half position, and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are arranged in order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상기 서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실시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other objects, features, aspects and advantages will become clear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묘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묘화 장치의 일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묘화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기재 상에 패턴을 묘화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비교예의 묘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묘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wing devic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drawing device.
Fig. 3 is a top view showing the drawing devic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operation for drawing a pattern on a substrate.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drawing device of a comparative example.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raw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묘화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 개의 방향을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으로 하여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다른 도면에 있어서 동일). 도 1 의 예에서는, X 방향 및 Y 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Z 방향은 상하 방향 (연직 방향) 이다. 묘화 장치 (1) 의 설계에 따라서는, Z 방향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어도 된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w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indicated by arrows as the X direction, Y direction, and Z direction (the same as in other drawings). In the example of Fig. 1, the X and Y directions are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Z direction is an up and down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drawing device 1, the Z direction may be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묘화 장치 (1) 는, 장척의 기재 (9) 상의 감광 재료에 광을 조사하여, 당해 감광 재료에 배선 등의 패턴을 묘화하는 장치이다. 기재 (9) 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으로,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묘화 장치 (1) 는, 제어 유닛 (2) 과, 묘화 유닛 (3) 과,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와, 스테이지 유닛 (5) 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 (2) 은, 예를 들어 CPU 등을 갖는 컴퓨터이다. 제어 유닛 (2) 은, 묘화 유닛 (3),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및 스테이지 유닛 (5) 을 제어한다.The drawing device 1 is a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to a photosensitive material on a long substrate 9 and draws patterns such as wiring on the photosensitive material. The base material 9 is, for example, a flexible substrate and is formed of resin or the like. The drawing device (1) includes a control unit (2), a drawing unit (3), a stage moving mechanism (4), and a stage unit (5). The control unit 2 is, for example, a computer having a CPU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drawing unit 3,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nd the stage unit 5.

묘화 유닛 (3) 은, 유닛 지지부 (39) 와, 광출사부 (31) 와, 복수의 보정용 촬상부 (71) 를 구비한다. 유닛 지지부 (39) 는, 정반 (10) 상에 형성되고, 정반 (10) 상의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및 스테이지 유닛 (5) 에 걸쳐 있는 문 형상이다. 도 1 에서는, 유닛 지지부 (39) 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광출사부 (31) 및 복수의 보정용 촬상부 (71) 는 유닛 지지부 (39) 에 지지되고,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및 스테이지 유닛 (5) 의 상방 ((+Z) 측) 에 배치된다.The drawing unit 3 is provided with a unit support part 39, a light emitting part 31, and a plurality of imaging parts 71 for correction. The unit support portion 39 is formed on the base 10 and has a door shape that spans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nd the stage unit 5 on the base 10. In Fig. 1, the unit support portion 39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The light emitting unit 31 and the plurality of correction imaging units 71 are supported by the unit support unit 39 and are disposed above ((+Z) side)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nd the stage unit 5.

광출사부 (31) 는, 복수의 묘화 헤드 (32) 를 구비한다. 복수의 묘화 헤드 (32) 는, X 방향 (이하, 「폭 방향」이라고 한다) 을 따라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묘화 헤드 (32) 는, 폭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된다 (후술하는 도 3 참조). 각 묘화 헤드 (32) 는, 광원 (33) 과, 광변조부 (34) 를 구비한다. 광원 (33) 은, 예를 들어, 반도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또는 기체 레이저 등을 갖고, 광변조부 (34) 를 향하여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광변조부 (34) 는, 광원 (33) 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한다. 광변조부 (34) 에 의해 변조된 광은, 스테이지 유닛 (5) 에 의해 유지되는 기재 (9) 를 향하여 출사된다. 광변조부 (34) 로는, 예를 들어, 복수의 광변조 소자가 2 차원으로 배열된 DMD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 등이 이용된다. 광변조부 (34) 는, 복수의 광변조 소자가 1 차원으로 배열된 변조기 등이어도 된다. 보정용 촬상부 (71)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wing heads 32. The plurality of drawing heads 32 are arranged along the X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rawing heads 32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see Fig. 3, described later). Each drawing head 32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33 and a light modulation unit 34. The light source 33 has, for example, a semiconductor laser, a solid-state laser, or a gas laser, and emits laser light toward the optical modulation unit 34. The light modulation unit 34 modulates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33. The light modulated by the light modulation unit 34 is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9 held by the stage unit 5. As the optical modulation unit 34, for example, a DMD (digital mirror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ion element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is used. The optical modulation unit 34 may be a modulator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ion elements are arranged in one dimension. Details of the correction imaging unit 71 will be described later.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는, 정반 (10) 상에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 가이드 블록, 모터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 리니어 스케일 등을 갖는다.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는, 스테이지 유닛 (5) 을 Y 방향 (이하, 「이동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후술하는 테이블 (52) 에 유지되는 기재 (9) 상에 있어서, 광출사부 (31) (복수의 묘화 헤드 (32)) 로부터의 광의 조사 위치가 이동 방향으로 주사한다. 묘화 장치 (1) 에서는,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에 의한 스테이지 유닛 (5) 의 이동에 동기하여, 광출사부 (31) 를 제어함으로써, 기재 (9) 상에 패턴이 묘화된다.The stage moving mechanism 4 is formed on the surface plate 10 and has a guide rail, a guide block, a motor (for example, a linear motor), a linear scale, etc.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moves the stage unit 5 in the Y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v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irradiation position of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1 (plural drawing heads 32) is scanned in the moving direction on the substrate 9 held on the table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rawing device 1, a pattern is drawn on the substrate 9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3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tage unit 5 by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스테이지 유닛 (5) 은, 베이스부 (50) 와, 공급부 (51) 와, 테이블 (52) 과, 회수부 (53) 와, 반송부 (54) 와,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를 구비한다. 베이스부 (50) 는, 이동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펼쳐지는 판상으로,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의 이동체에 고정된다. 공급부 (51), 테이블 (52), 회수부 (53), 반송부 (54) 및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는 베이스부 (50) 상에 형성되고, 베이스부 (50) 에 의해 지지된다.The stage unit 5 is provided with a base part 50, a supply part 51, a table 52, a recovery part 53, a conveyance part 54,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parts 61 for calibration. do. The base portion 50 has a plate shape that spreads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moving body of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 supply unit 51, a table 52, a recovery unit 53, a transport unit 54 and a plurality of calibration detection units 61 are formed on the base unit 50 and are supported by the base unit 50. .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는, 베이스부 (50) 의 (-Y) 측의 부분 상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공급부 (51) 는, 복수의 공급 롤 (511) 을 구비한다. 각 공급 롤 (511) 은, 릴에 기재 (9) 를 권회한 것으로, 당해 릴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복수의 공급 롤 (511) 은, 폭 방향으로 서로 약간 이간되어 형성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복수의 공급 롤 (511) 은, 이동 방향으로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후술하는 회수 롤 (531) 에 있어서 동일).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Y) side portion of the base section 50. The supply unit 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Each supply roll 511 is formed by winding the base material 9 around a reel, and is rotatably maintained around the reel. The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are formed sligh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example of FIG. 1 , the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are arranged at positions that are shift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same is true for the recovery roll 531 described later).

회수부 (53) 는, 복수의 회수 롤 (531) 을 구비한다. 각 회수 롤 (531) 은, 릴에 기재 (9) 를 권회한 것으로, 당해 릴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회수 롤 (531) 에는, 예를 들어 모터를 갖는 회전 기구가 접속된다. 복수의 회수 롤 (531) 은, 폭 방향으로 서로 약간 이간되어 형성된다. 폭 방향에 관해서, 복수의 회수 롤 (531) 은, 복수의 공급 롤 (511) 과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폭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회수 롤 (531) 및 공급 롤 (511) 이, 이동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지 않고) 대향한다. 묘화 장치 (1) 에서는, 각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기재 (9) 는, 테이블 (52) 등을 경유한 후, 당해 공급 롤 (511) 과 폭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회수 롤 (531) 에 의해 권취된다.The recovery unit 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overy rolls 531. Each recovery roll 531 is formed by winding the base material 9 on a reel, and is rotatably maintained around the reel. A rotation mechanism having, for example, a motor is connected to the recovery roll 531. The plurality of recovery rolls 531 are formed sligh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recovery rolls 531 are each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In the example of FIG. 1, the recovery roll 531 and the supply roll 511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ly oppose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without other members intervening). In the drawing device 1, the substrate 9 taken out from each supply roll 511 passes through the table 52, etc., and then is transferred to a recovery roll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s the supply roll 511 ( 531) is wound by.

테이블 (52) 은, 이동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펼쳐지는 판상으로, 하방 ((-Z) 방향) 을 향하는 면에는 테이블 지지대 (526) 가 고정된다. 테이블 지지대 (526) 에는, Y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연락 경로 (527) 로서 형성된다. 테이블 (52) 은, 테이블 지지대 (526) 를 개재하여 베이스부 (50) 에 고정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테이블 (52) 과 베이스부 (50) 사이에는 이동 기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테이블 (52) 의 위치는, 베이스부 (50) 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The table 52 has a plate shape that spreads in the moving direction and width direction, and a table support 526 is fixed to the surface facing downward ((-Z) direction). In the table support 526, a space penetrating in the Y direction is formed as a communication path 527. The table 52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50 via a table support 526. In the example of FIG. 1 , no mov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52 and the base portion 50, and the position of the table 5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50.

테이블 (52) 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는 면은, 유지면 (521) 이다. 유지면 (521) 은, 이동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펼쳐지는 평면으로, 각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기재 (9) 를 흡인하여 흡착 유지한다. 유지면 (521) 에서는, 기재 (9) 의 흡착과, 흡착의 해제가 전환 가능하다. 유지면 (521) 상에 유지되는 각 기재 (9) 의 길이 방향은 이동 방향을 따르고 있고, 유지면 (521) 에서는, 복수의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기재 (9) 가 폭 방향으로 나열된다. 당해 폭 방향은, 유지면 (521) 상에 유지되는 기재 (9) 의 폭 방향과 동일하다. 유지면 (521) 에서는, 기계적인 척 기구 등을 사용하여 기재 (9) 가 유지되어도 된다.The surface of the table 52 facing upward is the holding surface 521. The holding surface 521 is a flat surface that extends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suctions and adsorbs and holds the substrate 9 drawn out from each supply roll 511. On the holding surface 521, adsorption of the base material 9 and release of adsorption can be switche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ubstrate 9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follows the moving direction, and on the holding surface 521, the plurality of substrates 9 drawn out from the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are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listed as The width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9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On the holding surface 521, the base material 9 may be held using a mechanical chuck mechanism or the like.

반송부 (54) 는, 복수의 측정 롤러 (541) 와, 1 쌍의 승강 롤러 (542) 와, 1 개의 절반 (折返) 롤러 (543) 와, 1 개의 구동 롤러 (544) 와, 1 개의 닙 롤러 (545) 와, 복수의 보조 롤러 (546) 를 구비한다. 각 롤러 (541 ∼ 546) 는, 폭 방향에 대략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공급 롤 (511) 과, 대응하는 회수 롤 (531) 사이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부분은, 롤러 (541 ∼ 546) 에 걸쳐지고, 공급 롤 (511) 로부터 회수 롤 (531) 까지 반송된다. 롤러 (541 ∼ 546) 는, 기재 (9) 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 롤러이다.The conveyance unit 54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rollers 541,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one half roller 543, one driving roller 544, and one nip. It is provided with a roller 545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546. Each roller 541 to 546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The portion of the substrate 9 between each supply roll 511 and the corresponding recovery roll 531 is stretched across rollers 541 to 546 and is conveyed from the supply roll 511 to the recovery roll 531. do. Rollers 541 to 546 are conveyance rollers used to convey the base material 9.

측정 롤러 (541) 및 보조 롤러 (546) 의 개수는,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개수와 동일하다. 즉, 복수의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기재 (9) 는, 복수의 측정 롤러 (541) 및 복수의 보조 롤러 (546) 를 각각 통과하여, 복수의 회수 롤 (531) 에 권취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각각의 개수, 즉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상에 나열되는 기재 (9) 의 개수가 2 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실시하지만, 1 개 또는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측정 롤러 (541) 및 보조 롤러 (546) 의 개수에 있어서 동일하다.The number of measuring rollers 541 and auxiliary rollers 546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supply rolls 511 and recovery rolls 531. That is, the plurality of substrates 9 drawn out from the plurality of supply rolls 511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measuring rollers 541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546, respectively, and are wound on the plurality of recovery rolls 531.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umber of each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that is, the number of substrates 9 lined up on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is two. However, there may be 1 or 3 or more. The number of measuring rollers 541 and auxiliary rollers 546 is the same.

각 측정 롤러 (541) 는, 공급 롤 (511) 과 테이블 (52) 사이에 배치된다. 측정 롤러 (541) 에는, 로드 셀 등을 포함하는 장력 측정부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측정 롤러 (541) 에 가해지는 기재 (9) 의 장력이 측정 가능하다. 1 쌍의 승강 롤러 (542) 는, 테이블 (52) 의 (+Y) 측 및 (-Y) 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 승강 롤러 (542) 에는, 2 개의 기재 (9) 가 걸쳐진다. 1 쌍의 승강 롤러 (542) 에는 승강 기구 (549) 가 접속된다. 승강 기구 (549) 는, 1 쌍의 승강 롤러 (542) 의 상단이,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과 거의 동일한 높이인 하위치와, 유지면 (521) 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상위치에, 1 쌍의 승강 롤러 (542) 를 선택적으로 배치한다.Each measuring roller 541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roll 511 and the table 52. The measuring roller 541 is equipped with a tension measuring unit including a load cell and the like, and the tension of the base material 9 applied to the measuring roller 541 can be measured.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re disposed on the (+Y) side and (-Y) side of the table 52, respectively. Two substrates 9 are placed on each lifting roller 542. A lifting mechanism 549 is connected to the pair of lifting rollers 542. The lifting mechanism 549 has an upper end of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 lower en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and an upper end located slightly above the holding surface 521. In this position,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is optionally disposed.

절반 롤러 (543) 는, (+Y) 측의 승강 롤러 (542) 에 대해 테이블 (52) 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절반 롤러 (543) 의 상단은,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보다 약간 하방에 배치된다. 절반 롤러 (543) 에는, 2 개의 기재 (9) 가 걸쳐진다. 구동 롤러 (544) 는, 절반 롤러 (543) 의 (-Z) 측 또한 (-Y) 측에 배치된다. 닙 롤러 (545) 는, 구동 롤러 (544) 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구동 롤러 (544) 와 닙 롤러 (545) 사이에 2 개의 기재 (9) 가 놓인다. 구동 롤러 (544) 에는, 모터를 갖는 회전 기구가 접속된다. 각 보조 롤러 (546) 는, 회수 롤 (531) 의 근방에 배치된다.The half roller 543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able 52 with respect to the lifting roller 542 on the (+Y) side. The upper end of the half roller 543 is disposed slightly below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On the half roller 543, two substrates 9 are placed. The drive roller 544 is disposed on the (-Z) side and the (-Y) side of the half roller 543. The nip roller 545 is disposed close to the drive roller 544, and two substrates 9 are placed between the drive roller 544 and the nip roller 545. A rotation mechanism having a motor is connected to the drive roller 544. Each auxiliary roller 546 is disposed near the recovery roll 531.

반송부 (54) 가 기재 (9) 를 반송할 때에는, 1 쌍의 승강 롤러 (542) 가 상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기재 (9) 가 유지면 (521) 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이간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 롤러 (544) 가 도 1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재 (9) 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부분이, 공급부 (51) 의 각 공급 롤 (511) 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기재 (9) (의 각 부분) 는, 그 직후에 측정 롤러 (541) 를 통과하여, (-Y) 측의 승강 롤러 (542) 를 통하여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유지면 (521) 에 대향하는 기재 (9) 는, (+Y) 측의 승강 롤러 (542) 를 통하여 절반 롤러 (543) 에 도달하고, 절반 롤러 (543) 의 표면을 따라 진행 방향이 되돌아온다. 절반 롤러 (543) 를 통과한 기재 (9) 는, 구동 롤러 (544) 를 통하여 테이블 (52) 의 하방의 연락 경로 (527) 에 향한다. 연락 경로 (527) 를 통과한 기재 (9) 는, 보조 롤러 (546) 에 도달하여, 회수부 (53) 의 회수 롤 (531) 에 권취된다.When the transport unit 54 transports the base material 9,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re disposed at upper positions, so that the base material 9 is slightly spaced upward from the holding surface 521. In this state, the drive roller 544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1, so that the longitudinally continuous portions of the substrate 9 are sequentially pulled out from each supply roll 511 of the supply unit 51. do. The substrate 9 (each part of) pulled out from the supply roll 511 immediately passes through the measuring roller 541 and is held on the table 52 through the lifting roller 542 on the (-Y) side. A position opposite to surface 521 is reached. The base material 9 facing the holding surface 521 reaches the half roller 543 through the lifting roller 542 on the (+Y) side, and the traveling direction returns along the surface of the half roller 543. The base material 9 that has passed the half roller 543 is directed to the communication path 527 below the table 52 through the drive roller 544. The substrate 9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527 reaches the auxiliary roller 546 and is wound around the recovery roll 531 of the recovery unit 53.

묘화 장치 (1) 의 후술하는 동작에서는, 기재 (9) 의 각 부분은,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상에 일단 유지되고 당해 부분에 패턴이 묘화된다. 바꾸어 말하면,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기재 (9) 의 각 부분은, 회수 롤 (531) 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을 통과한다. 따라서, 묘화 장치 (1) 에서는, 공급부 (51) 로부터 테이블 (52) 의 유지면 (521) 을 통과하여 회수부 (53) 에 도달하는 반송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반송 경로 (기재 (9)) 는, 도 1 과 같이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절반 롤러 (543) 를 절반 위치로 하여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온다. 절반 위치인 절반 롤러 (543) 는, 이동 방향에 있어서 테이블 (52) 의 일단 ((+Y) 측의 단) 의 근방에 위치하여,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보다 테이블 (52) 에 근접해 있다. 절반 롤러 (543) 는, 1 쌍의 승강 롤러 (542) 를 제외한, 어느 반송 롤러보다 테이블 (52) 에 근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ater-described operation of the drawing device 1, each portion of the substrate 9 is temporarily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and a pattern is drawn on the portion. In other words, each part of the substrate 9 pulled out from the supply roll 511 passes through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until it reaches the recovery roll 53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 the drawing device 1, a conveyance path is formed that passes from the supply unit 51 through the holding surface 521 of the table 52 and reaches the recovery unit 53.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veyance path (base material 9) retur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with the half roller 543 at the half position. The half roller 543, which is in the half position, is located near one end (end on the (+Y) side) of the table 52 in the moving direction, and moves closer to the table 52 than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is close to The half roller 543 is preferably closer to the table 52 than any of the conveyance rollers except the pair of lifting rollers 542.

반송부 (54) 에서는, 광출사부 (31) 로부터 기재 (9) 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고 있지 않고, 기재 (9) 에 패턴이 묘화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있어서 (즉, 패턴의 비묘화시에), 기재 (9) 가 당해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또한, 묘화 장치 (1) 의 설계에 따라서는, 승강 기구 (549) 대신에, 테이블 (52) 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형성함으로써, 기재 (9) 의 반송시에 기재 (9) 가 유지면 (521) 으로부터 이간되어도 된다. 또, 기재 (9) 및 테이블 (52) 의 재질 등에 따라서는, 기재 (9) 가 유지면 (521) 에 접촉된 채로 반송되어도 된다.In the conveyance unit 54, light is no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1 toward the base material 9, and during the period when the pattern is not drawn on the base material 9 (i.e., when the pattern is not drawn) ), the base material (9) is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rout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drawing device 1, a mechanism for moving the table 52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instead of the lifting mechanism 549, so that the base material 9 is maintained when the base material 9 is transported. It may be separated from face 521.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s of the base material 9 and the table 52, etc., the base material 9 may be convey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holding surface 521.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측정 롤러 (541) 에는, 장력 측정부가 장착된다. 또, 공급부 (51) 에서는, 예를 들어 파우더 브레이크가 형성된다. 기재 (9) 의 반송시에 있어서, 장력 측정부에 의한 기재 (9) 의 장력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파우더 브레이크에 대한 공급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장력이 소정의 설정값으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As already described, a tension measuring unit is mounted on the measuring roller 541. Additionally, in the supply section 51, a powder break is formed, for example. When transporting the base material 9, the current supplied to the powder brake is adjust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nsion of the base material 9 by the tension measuring unit, so that the tension of the base material 9 in the conveyance path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amount. It remains approximately constant at the set value.

도 2 는, 묘화 장치 (1) 의 일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묘화 장치 (1) 는, 교정값 취득부 (6) 와, 보정값 취득부 (7) 와, 묘화 제어부 (21) 를 추가로 구비한다. 교정값 취득부 (6) 는, 광출사부 (31) 와 테이블 (52) 의 상대 위치에 관한 교정값을 취득한다. 교정값 취득부 (6) 는, 이미 서술한 교정용 검출부 (61) 와, 교정값 산출부 (62) 를 구비한다. 보정값 취득부 (7) 는, 기재 (9) 와 테이블 (52) 의 상대 위치에 관한 보정값을 취득한다. 보정값 취득부 (7) 는, 이미 서술한 보정용 촬상부 (71) 와, 보정값 산출부 (72)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및 복수의 보정용 촬상부 (71) 가 형성되지만, 도 2 에서는, 1 개의 교정용 검출부 (61) 및 1 개의 보정용 촬상부 (71) 만을 나타내고 있다. 교정값 산출부 (62) 및 보정값 산출부 (72) 는, 묘화 제어부 (21) 와 함께, 제어 유닛 (2) 에 의해 실현된다. 이것들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용의 전기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device 1. The drawing device 1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6, a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7, and a drawing control unit 21.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6 acquires correction values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31 and the table 52.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6 includes the already described detection unit 61 for calibration and a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62.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7 acquires correction values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base material 9 and the table 52.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7 includes the already described correction imaging unit 71 and a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72.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61 for correction and a plurality of imaging units 71 for correction are formed, but in FIG. 2, only one detection unit 61 for correction and one image capture unit 71 for correction are shown. .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62 and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72 are realized by the control unit 2 together with the drawing control unit 21. All or part of these functions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electrical circuits.

도 3 은, 묘화 장치 (1)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 에서는, 광출사부 (31), 복수의 보정용 촬상부 (71),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절반 롤러 (543), 테이블 (52), 그리고, 복수의 기재 (9) 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값 취득부 (6) 의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는, 베이스부 (50) 상에 있어서, 절반 롤러 (543) 및 구동 롤러 (544) 의 (+Y) 측에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용 검출부 (61) 의 개수는, 예를 들어 테이블 (52) 상의 기재 (9) 의 개수와 동일하고, 폭 방향 (X 방향) 에 관해서, 복수의 교정용 검출부 (61) 는, 복수의 기재 (9)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3 의 예에서는, 2 개의 교정용 검출부 (61) 가 형성된다. 각 교정용 검출부 (61) 와 베이스부 (50) 사이에는 이동 기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교정용 검출부 (61) 의 위치는, 베이스부 (50) 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교정용 검출부 (61) 에서는, 테이블 (52) 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drawing device 1, and in FIG. 3, there is a light emitting unit 31, a plurality of image pickup units 71 for correc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61 for correction, a half roller 543, and a table. (52), and only a plurality of descriptions (9) are shown.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calibration detection units 61 of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6 are located on the base unit 50 on the (+Y) side of the half roller 543 and the drive roller 544. is formed in As shown in FIG. 3, the number of calibration detection units 61 is, for example, the same as the number of substrates 9 on the table 52, and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a plurality of calibration detection units ( 61)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lurality of substrates 9. In the example of FIG. 3, two detection units 61 for calibration are formed. No mov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each calibration detection unit 61 and the base unit 50, and the position of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61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ase unit 50.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61 relative to the table 52 is fixed.

각 교정용 검출부 (61) 는, 교정용 촬상부 (616) 를 구비한다. 광출사부 (31) 는, 묘화 실행 기간 이외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교정용 촬상부 (616)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교정용 촬상부 (616) 는 광출사부 (31) 로부터의 광의 위치에 기초하여 묘화 헤드 (32) 와 테이블 (5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조정 (교정 동작, 즉 캘리브레이션) 을 실시한다. 교정용 촬상부 (616) 가 취득하는 촬상 화상은 교정값 산출부 (62) 에 출력된다.Each detection unit 61 for calibration is provided with an imaging unit 616 for calibration. The light emitting unit 31 irradiates light toward the correction imaging unit 616 at any timing other than the drawing execution period. The correction imaging unit 616 performs relative position adjustment (correction operation, i.e., calibration) between the drawing head 32 and the table 52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1.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correction imaging unit 616 is output to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62.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값 취득부 (7) 의 복수의 보정용 촬상부 (71) 는, 광출사부 (31) 의 (-Y) 측에 형성된다. 각 보정용 촬상부 (71) 는, 촬상부 이동 기구 (38) 를 개재하여 유닛 지지부 (39) 에 지지된다. 촬상부 이동 기구 (38) 에 의해 보정용 촬상부 (71) 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 기재 (9) 에 대해 2 개의 보정용 촬상부 (71) 가 형성된다. 기재 (9) 의 각 측부 (폭 방향의 단부) 에는, 복수의 참조 마크 (얼라인먼트 마크) (96) 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 기재 (9) 에 대한 2 개의 보정용 촬상부 (71) 는, 폭 방향에 관하여 당해 기재 (9) 의 양 측부의 참조 마크 (96)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후술하는 보정 동작에서는, 기재 (9) 상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참조 마크 (96) 가, 보정용 촬상부 (71) 에 의해 순차적으로 촬상된다.As shown in FIG. 1 , the plurality of correction imaging units 71 of the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7 are formed on the (-Y) si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31. Each correction imaging unit 71 is supported on the unit support unit 39 via an imaging unit moving mechanism 38. The imaging unit moving mechanism 38 allows the correction imaging unit 71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wo correction imaging units 71 are formed for each base material 9. On each sid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9,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alignment marks) 96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wo correction imaging units 71 for each substrate 9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eference marks 96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9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orrection operation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96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e material 9 are sequentially imaged by the correction imaging unit 71.

도 4 는, 묘화 장치 (1) 가 기재 (9) 상에 패턴을 묘화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의 묘화 장치 (1) 에서는, 1 쌍의 승강 롤러 (542) 를 하위치에 배치하고, 유지면 (521) 상에 있어서 기재 (9) 를 흡착 유지한 상태에서, 광출사부 (31) 의 (-Y) 측에 배치된 스테이지 유닛 (5) 이,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에 의해 (+Y)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3 에 나타내는 각 보정용 촬상부 (71) 에 의해, 기재 (9) 에 있어서 유지면 (521) 상에 유지되는 부위 (패턴이 묘화될 예정의 부위이며, 이하, 「묘화 대상 부위」라고 한다) 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마크 (96) 가 순차적으로 촬상된다. 보정용 촬상부 (71) 에 의해 취득되는 촬상 화상은, 도 2 의 보정값 산출부 (72) 에 출력된다. 또,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의 리니어 스케일로부터, 각 촬상 화상의 취득시에 있어서의 테이블 (52) 의 이동 방향의 위치도 보정값 산출부 (72) 에 출력된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operations in which the drawing device 1 draws a pattern on the substrate 9. In the drawing device 1 of FIG. 1,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re disposed at the lower teeth, and the base material 9 is adsorbed and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and the light emitting unit 31 The stage unit 5 disposed on the (-Y) side continuously moves toward the (+Y) direction by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t this time, a portion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in the substrate 9 by each correction imaging unit 71 shown in FIG. 3 (a portion where a pattern is scheduled to be draw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awing target portion”) ) are sequentially imaged.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correction imaging unit 71 is output to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72 in FIG. 2 . Additionally, from the linear scale of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the posi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ble 52 at the time of acquisition of each captured image is also output to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72.

보정값 산출부 (72) 에서는, 복수의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복수의 참조 마크 (96) 의 위치에 기초한 보정값이 취득된다 (스텝 S11). 보정값은, 예를 들어, 각 참조 마크 (96) 의 이상적인 위치 (설계상의 위치) 와, 리니어 스케일의 출력값 및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실제의 위치 사이의 X 방향 및 Y 방향의 어긋남량을 나타낸다. 보정값은, 테이블 (52) 과 기재 (9) 의 각 참조 마크 (96) 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량 (있어야 하는 위치로부터의 어긋남량) 을 나타낸다. 보정값은, 테이블 (52) 에 대한 기재 (9) 의 위치 어긋남 뿐만 아니라, 테이블 (52) 상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기울기나 신장 등의 영향도 포함하는 값이다. 보정값은 묘화 제어부 (21) 에 입력된다.In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72, correction values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96 are acquired using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step S11). The correction value is, for example, the amount of deviat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between the ideal position (design position) of each reference mark 96 and the actual position obtained based on the linear scale output value and the captured image indicates. The correction value represents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reference mark 96 of the table 52 and the base material 9 (the amount of deviation from the position where it should be). The correction value is a value that includes not only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ase material 9 with respect to the table 52, but also influences such as the inclination and elongation of the base material 9 on the table 52. The correction value is input to the drawing control unit 21.

묘화 제어부 (21) 에서는, 묘화 대상 부위에 묘화해야 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묘화 데이터가, 보정값에 기초하여 보정된다. 즉, 테이블 (52) 에 대한 각 기재 (9) 의 위치 어긋남, 그리고, 테이블 (52) 상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기울기나 신장 등에 맞춰, 묘화 데이터가 보정된다. 묘화 데이터의 보정의 적어도 일부는, 스테이지 유닛 (5) 의 (+Y) 방향으로의 이동에 병행하여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 (52) 의 전체(기재 (9) 의 묘화 대상 부위의 전체) 가 광출사부 (31) 의 하방을 통과하면, 스테이지 유닛 (5) 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In the drawing control unit 21, drawing data indicating the pattern to be drawn in the drawing target area is corrected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That is, the drawing data is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eviation of each substrate 9 with respect to the table 52 and the inclination, elongation, etc. of the substrate 9 on the table 52. At least part of the correction of the drawing data is preferably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of the stage unit 5 in the (+Y) direction. As shown by the double-dot chain line in FIG. 1, when the entire table 52 (the entire drawing target area of the base material 9) passes below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 (+Y) of the stage unit 5 Movement in that direction is stopped.

계속해서,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에 의한 스테이지 유닛 (5) 의 (-Y)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이 개시된다. 또, 스테이지 유닛 (5) 의 이동에 동기하여 광출사부 (31) 가 제어되고, 기재 (9) 의 묘화 대상 부위를 향하여 변조된 광이 출사된다. 이로써, 기재 (9) 의 묘화 대상 부위에 패턴이 묘화된다 (스텝 S12). 기재 (9) 에 대한 패턴의 묘화시에는, 광출사부 (31) 및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가 구동되고, 스테이지 유닛 (5) 의 반송부 (54) (의 구동 롤러 (544)) 는 구동되지 않는다. 패턴의 묘화에서는, 보정이 완료된 묘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묘화 헤드 (32) 가 제어된다. 또, 광출사부 (31) 와 테이블 (52) 의 상대 위치에 관한 교정값도 이용된다. 기재 (9) 의 묘화 대상 부위의 전체가 광출사부 (31) 의 하방을 통과하면, 스테이지 유닛 (5) 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Subsequently, continuous movement of the stage unit 5 in the (-Y) direction by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is started. Additionally, the light emitting unit 31 is controll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tage unit 5, and the modulated light is emitted toward the drawing target portion of the substrate 9. As a result, a pattern is drawn on the drawing target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9 (step S12). When drawing a pattern on the base material 9, the light emitting unit 31 and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are driven, and the conveying unit 54 (drive roller 544) of the stage unit 5 is driven. It doesn't work. In pattern drawing, each drawing head 32 is controlled based on corrected drawing data. Additionally, correction values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31 and the table 52 are also used. When the entire drawing target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9 passes below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 the movement of the stage unit 5 in the (-Y) direction is stopped.

묘화 대상 부위에 대한 패턴의 묘화가 완료되면, 유지면 (521) 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흡인이 해제됨과 함께, 1 쌍의 승강 롤러 (542) 가 상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1 쌍의 승강 롤러 (542) 를 상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기재 (9) 를 유지면 (521) 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유지면 (521) 에 있어서의 흡인은 유지한 채여도 된다. 여기서는, 다음으로 패턴을 묘화해야 하는 기재 (9) 의 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텝 S13), 구동 롤러 (544) 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묘화 대상 부위의 길이만큼, 기재 (9) 가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스텝 S14). 이 때, 아직 패턴이 묘화되어 있지 않은 기재 (9) 의 일부가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되고, 이미 패턴이 묘화된 기재 (9) 의 일부가 회수 롤 (531) 에 권취된다.When drawing of the pattern for the area to be drawn is completed, the suction of the base material 9 on the holding surface 521 is released, and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is placed at the upper position. Additionally, if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base material 9 from the holding surface 521 simply by disposing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t upper positions, suction on the holding surface 521 may be maintained. . Here, since there is a portion of the substrate 9 on which a pattern is to be drawn next (step S13), by rotating the drive roller 544, the substrate 9 is moved by the length of the portion to be dra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path (step S14). At this time, a part of the base material 9 on which a pattern has not yet been drawn is taken out from the supply roll 511, and a part of the base material 9 on which a pattern has already been drawn is wound around the recovery roll 531.

기재 (9) 의 반송이 완료되면, 1 쌍의 승강 롤러 (542) 가 하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유지면 (521) 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흡착 유지가 재개된다. 이로써, 직전에 패턴이 묘화된 묘화 대상 부위에 대해 (-Y) 측에 연속하는 미묘화의 부위가, 새로운 묘화 대상 부위로서 유지면 (521) 상에 유지된다. 그 후, 상기 스텝 S11, S12 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스테이지 유닛 (5) 이 Y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당해 묘화 대상 부위에 패턴이 묘화된다.When the conveyance of the base material 9 is completed,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are placed at the lower teeth, and adsorption and holding of the base material 9 on the holding surface 521 is resumed. As a result, the subtly drawn area continuing on the (-Y) sid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target area where the pattern was drawn immediately before is held on the holding surface 521 as a new drawing target area. Thereafter, similarly to the processing of steps S11 and S12, the stage unit 5 reciprocates in the Y direction, thereby drawing a pattern on the drawing target area.

기재 (9) 에 있어서, 묘화해야 하는 부분의 전체에 패턴이 묘화될 때까지, 상기 스텝 S14, S11, S12 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3). 기재 (9) 에 있어서 묘화해야 하는 부분의 전체에 패턴이 묘화되면 (스텝 S13), 작업자에 의해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이, 새로운 공급 롤 (511) 및 새로운 회수 롤 (531) 로 교환된다 (스텝 S15). 전형적으로는, 2 개의 공급 롤 (511) 에는 동일한 길이의 기재 (9) 가 권회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공급 롤 (511) 및 2 개의 회수 롤 (531) 은 동시에 교환된다.In the base material 9, the processes of steps S14, S11, and S12 are repeated until the pattern is drawn over the entire portion to be drawn (step S13). When a pattern is drawn on the entire portion to be drawn on the substrate 9 (step S13),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are replaced by a new supply roll 511 and a new recovery roll 531 by the operator. ) (step S15). Typically, since the same length of substrate 9 is wound around the two supply rolls 511, the two supply rolls 511 and the two recovery rolls 531 are exchanged simultaneously.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에서는, 예를 들어, 1 쌍의 승강 롤러 (542) 가 상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반송부 (54) 가 기재 (9) 를 반송함으로써, 기재 (9) 의 전체가 회수 롤 (531) 에 귄취된다. 그리고, 회수 롤 (531) 이 회수부 (53) 로부터 떼어내짐과 함께, 새로운 회수 롤 (531) 이 될 릴이 장착된다. 또, 릴만으로 된 공급 롤 (511) 이 새로운 공급 롤 (511) 로 교환된다. 그리고, 새로운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된 기재 (9) 가, 반송부 (54) 의 롤러 (541 ∼ 546) 에 걸쳐진 후, 당해 기재 (9) 의 단부가 새로운 회수 롤 (531) 의 릴에 접속된다.In the exchange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for example, the transport unit 54 transports the base material 9 with a pair of lifting rollers 542 disposed at the upper position, The entire base material 9 is wound on the recovery roll 531. Then, the recovery roll 531 is removed from the recovery section 53, and the reel that will become the new recovery roll 531 is mounted. Additionally, the supply roll 511 made of only reels is replaced with a new supply roll 511. Then, after the substrate 9 pulled out from the new supply roll 511 is draped over the rollers 541 to 546 of the conveyance section 54, the end of the substrate 9 is placed on the reel of the new recovery roll 531. Connected.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이 완료되면, 상기 스텝 S11 ∼ S14 가 실시되고, 기재 (9) 에 패턴이 묘화된다. 또한, 기재 (9) 의 양 주면 (主面) 에 패턴을 묘화하는 경우에는, 일방의 주면에 대한 패턴의 묘화가 완료된 기재 (9) 의 회수 롤 (531) 이, 다음의 공급 롤 (511) 로서 공급부 (51) 에 장착되어도 된다.After replacement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is completed, the above steps S11 to S14 are performed, and a pattern is drawn on the base material 9. In addition, when drawing a pattern on both main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9, the recovery roll 531 of the base material 9 on which the pattern drawing on one main surface has been completed is used as the next supply roll 511. It may be mounted on the supply unit 51 as .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은, 다른 주지된 수법으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급 롤 (511) 에 권회된 기재 (9) 의 대략 전체에 패턴이 묘화되면, 당해 공급 롤 (511) 의 근방에 있어서 기재 (9) 가 절단된다. 또, 공급부 (51) 에 있어서, 거의 릴만으로 된 당해 공급 롤 (511) 이 새로운 공급 롤 (511) 로 교환되고, 당해 새로운 공급 롤 (511) 에 권회된 새로운 기재 (9) 의 단부가, 절단된 기재 (9) 의 단부에 테이프 등에 의해 접속된다. 계속해서, 양 기재 (9) 의 접속 부분이 회수 롤 (531) 의 근방에 도달할 때까지, 반송부 (54) 에 의해 기재 (9) 가 반송된다. 접속 부분이 회수 롤 (531) 의 근방에 도달하면, 당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양 기재 (9) 가 분리되고, 회수 롤 (531) 이 회수부 (53) 로부터 떼어내진다. 또, 새로운 회수 롤 (531) 이 될 릴이 회수부 (53) 에 장착되고, 당해 새로운 기재 (9) 의 단부가 당해 릴에 접속된다. 이로써,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이 완료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스테이지 유닛 (5) 의 (-Y) 측에 작업자의 작업 스페이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는, 작업자의 앞측에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Exchange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may be performed by other well-known methods. For example, when a pattern is drawn on substantially the entire substrate 9 wound around the supply roll 511, the substrate 9 is cut in the vicinity of the supply roll 511. In addition, in the supply unit 51, the supply roll 511 consisting of almost a reel is replaced with a new supply roll 511, and the end of the new substrate 9 wound on the new supply roll 511 is cut.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se material 9 with a tape or the like. Subsequently, the base material 9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unit 54 until the connecting portion of both base materials 9 reaches the vicinity of the recovery roll 531. When the connection portion reaches the vicinity of the recovery roll 531, both substrates 9 are separ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recovery roll 531 is separated from the recovery portion 53. Additionally, the reel that will become the new recovery roll 531 is mounted on the recovery unit 53, and the end of the new substrate 9 is connected to the reel. This completes the exchange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In the example of FIG. 1, since the operator's work space is formed on the (-Y) side of the stage unit 5,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can be said to be arranged in front of the operator.

도 5 는, 비교예의 묘화 장치 (8)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의 묘화 장치 (8) 에서는, 베이스부 (80) 상에 있어서, 공급부 (81), 테이블 (82) 및 회수부 (83) 가 이동 방향 (Y 방향) 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또, 교정용 검출부 (84) 의 상방이 기재 (9) 에 의해 덮인다. 비교예의 묘화 장치 (8) 에 있어서, 공급 롤 (811) 및 회수 롤 (831) 을 교환할 때에는, 테이블 (82) 을 사이에 둔 양측의 위치 사이를 작업자가 이동할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또, 기재 (9) 에 대한 패턴의 묘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기재 (9) 가 공급 롤 (811) 로부터 회수 롤 (831) 로 이동하여, 베이스부 (80) 의 중량 밸런스가 변화한다. 그 결과, 베이스부 (80) (스테이지 유닛) 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drawing device 8 of a comparative example. In the drawing device 8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upply part 81, the table 82, and the recovery part 83 are formed in order on the base part 80 in the moving direction (Y direction). Additionally, the upper part of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84 is covered by the base material 9. In the drawing device 8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replacing the supply roll 811 and the recovery roll 831, the operator needs to move between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table 82, making the exchange operation efficient. It cannot be carried out. Additionally, as drawing of the pattern on the substrate 9 progresses, the substrate 9 moves from the supply roll 811 to the recovery roll 831, and the weight balance of the base portion 80 changes. As a result, there are cases where the base portion 80 (stage unit) cannot be moved stably.

이에 반하여, 도 1 의 묘화 장치 (1) 에서는,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기재 (9) 의 반송 경로가,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블 (52) 의 일단 근방에 위치하는 절반 위치 (절반 롤러 (543)) 에서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오고, 절반 위치보다 테이블 (52) 측에,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배치된다. 이로써,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을 교환할 때에, 작업자가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져,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device 1 of FIG. 1,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base material 9 is at a half position (half roller) located near one end of the table 52 in the moving direction. Returning from (543))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are disposed on the table 52 side rather than the half position. As a result, the distance that the operator moves when replacing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is shortened, and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바람직한 묘화 장치 (1) 에서는,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서로 Y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교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기재 (9) 가 공급 롤 (511) 로부터 회수 롤 (531) 로 이동해도, 베이스부 (50) 의 중량 밸런스가 대폭 변화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베이스부 (50) (스테이지 유닛 (5)) 를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패턴을 양호한 정밀도로 묘화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drawing device 1,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Thereby, the exchang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even if the base material 9 moves from the supply roll 511 to the recovery roll 531, the weight balance of the base portion 50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so the base portion 50 (stage unit 5) ) can be moved stably to draw the pattern with good precision.

도 5 의 비교예의 묘화 장치 (8) 에서는, 교정용 검출부 (84) 의 상방이 기재 (9) 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교정 동작을 실시할 때에는, 기재 (9) 를 떼어내어 교정용 검출부 (84) 의 상방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재 (9) 를 떼어내어 교정용 검출부 (84) 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한 다음, 사전 준비로서, 보정용 촬상부 (85) 와 교정용 검출부 (84) 의 상대 위치에 관한 다른 교정값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In the drawing device 8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FIG. 5, the upper part of the detection unit 84 for calibration is covered by the base material 9, so when performing a calibration operation, the base material 9 is removed and the detection unit 84 for correction is removed. ) It is necessary to move it to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above. Therefore, after removing the base material 9 and making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84 available, as a preliminary preparation, other calibration values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alibration imaging unit 85 and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84 are acquired. Needs to be.

이에 반하여, 도 1 의 묘화 장치 (1) 에서는, 이동 방향을 따라, 테이블 (52), 절반 위치 (절반 롤러 (543)) 및 교정용 검출부 (61) 가 순서대로 나열되고, 교정용 검출부 (61) 가 기재 (9) 에 덮이지 않는다. 이로써, 기재 (9) 를 떼어내지 않고, 교정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drawing device 1 in FIG. 1, the table 52, the half position (half roller 543), and the detection unit 61 for correction are arranged in ord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etection unit 61 for correction ) is not covered by the base material (9). Thereby, the correction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removing the base material 9.

상기 묘화 장치 (1) 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drawing device 1.

도 1 의 묘화 장치 (1) 에서는, 이동 방향에 관해서 테이블 (52) 보다 (-Y) 측 (절반 위치와는 반대측) 에,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의 쌍방이 형성되지만, 예를 들어 회수부 (53) 가 테이블 (52) 의 하방이나 구동 롤러 (544) 의 근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 5 의 비교예의 묘화 장치 (8) 와 비교하여,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이동 거리가 적어지기 때문에,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묘화 장치 (1) 에서는,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절반 위치 (절반 롤러 (543)) 보다 테이블 (52)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In the drawing device 1 of FIG. 1, both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are formed on the (-Y) side (opposite to the half position) of the table 52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recovery unit 53 may be disposed below the table 52 or near the drive roller 544. Even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drawing device 8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FIG. 5, the operator's movement distance during the exchange operation is reduced, so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can do. As described above, in the drawing device 1,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may be disposed on the table 52 side rather than the half position (half roller 543) in the moving direction.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베이스부 (50) 상에 형성되지 않고, 스테이지 유닛 (5) 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6 의 묘화 장치 (1a) 에 있어서도, 기재 (9) 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절반 위치 (절반 롤러 (543)) 보다 테이블 (52) 측에,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배치된다. 이로써, 공급 롤 (511) 및 회수 롤 (531) 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may not be formed on the base section 50, but may be formed independently from the stage unit 5. Also in the drawing device 1a of FIG. 6,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are arranged on the table 52 side rather than at the half position (half roller 543) in the conveyance path of the substrate 9. do. Thereby,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그런데, 도 6 의 묘화 장치 (1a) 에서는, 패턴의 묘화에 있어서 테이블 (52) 이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의 각각과 테이블 (52)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따라서, 공급부 (51) 와 테이블 (52) 사이, 그리고, 테이블 (52) 과 회수부 (53) 사이에, 댄서 롤 (512, 532) 등, 기재 (9) 의 늘어짐을 흡수하는 구성이 필요해진다. 한편, 이 경우, 묘화 장치 (1a)의 설치 스페이스가 커진다. 또,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의 각각과 테이블 (52) 사이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길이가 커지는, 즉, 공급 롤 (511) 과 회수 롤 (531) 사이의 기재 (9) 의 반송 거리가 길어져, 기재 (9) 의 사행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들 문제를 해소하려면, 도 1 의 묘화 장치 (1) 와 같이,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를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댄서 롤 (512, 532) 등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drawing device 1a of FIG. 6, as the table 52 mov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when drawing a pattern, there is a gap between each of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and the table 52. Distance changes. Therefore, a structure that absorbs the sagging of the base material 9, such as dancer rolls 512 and 532, is needed between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table 52, and between the table 52 and the recovery section 53. .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rawing device 1a becomes large.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bstrate 9 between each of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and the table 52 increases, that is, the length of the substrate 9 between the supply roll 511 and the recovery roll 531 increases. ), the conveyance distance becomes longer, and meandering of the base material 9 becomes more likely to occur.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as in the drawing device 1 of FIG. 1, it is possible to make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mov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o omit the dancer rolls 512, 532, etc. desirable.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이동 가능한 묘화 장치 (1) 에 있어서, 테이블 (52) 을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와는 상이한 이동 기구에 의해,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이동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또, 모터 등의 구동부를 형성하지 않고,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단순히 가이드 레일 등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테이블 (52) 이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예를 들어, 테이블 (52) 이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를 당기거나 또는 미는 것에 의해,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가 테이블 (52) 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drawing device (1) in which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are movable,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are moved by a moving mechanism different from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that moves the table (52). )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Additionally, without providing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the supply unit 51 and the recovery unit 53 may simply be supported movably in the moving direction by a guide rail or the like. In this case, when the table 52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table 52 pulls or pushes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thereby ) becomes possible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table 52.

한편, 테이블 (52),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의 이동에 관련된 구성을 간소화하려면, 도 1 의 묘화 장치 (1) 와 같이, 테이블 (52), 공급부 (51) 및 회수부 (53) 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50) 가 형성되고, 패턴의 묘화에 있어서, 스테이지 이동 기구 (4) 에 의해 베이스부 (50) 가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table 52,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53, the table 52, the supply section 51, and the recovery section (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ortion 50 supporting the 53) is formed, and that the base portion 50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by the stage moving mechanism 4 in drawing the pattern.

공급부 (51) 로부터 유지면 (521) 을 통과하여 회수부 (53) 에 도달하는 기재 (9) 의 반송 경로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 의 묘화 장치 (1) 에 있어서, 공급부 (51) 의 위치와 회수부 (53) 의 위치가 교체되고, 공급 롤 (511) 로부터 인출되어 테이블 (52) 의 하방을 통과한 기재 (9) 가, 절반 롤러 (543) 를 통하여 유지면 (521) 상에 유도되어도 된다. 또, 상기한 반송부 (54) 에 형성되는 롤러의 개수 및 배치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The conveyance path of the base material 9 from the supply unit 51 through the holding surface 521 to the recovery unit 53 may be changed as appropriate. For example, in the drawing device 1 of FIG. 1, the position of the supply unit 51 and the position of the recovery unit 53 are exchanged, and the printer is drawn out from the supply roll 511 and passes below the table 52. The base material 9 may be guided onto the holding surface 521 through the half roller 543. In additi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roller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conveyance unit 54 are only examples and may be changed as appropriate.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절반 위치는, 반드시 롤러의 위치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회전하지 않는 원기둥 부재가 절반 위치에 형성되고, 기재 (9) 가 당해 원기둥 부재의 표면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와도 된다.The half position in the conveyance path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position of the roller. For example, a non-rotating cylindrical member is formed at the half position, and the base material 9 slides against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You can come back about it.

묘화 장치 (1, 1a) 에서는, 예를 들어, 테이블 (52) 이 (+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때에, 테이블 (52) 상의 기재 (9) 에 패턴이 묘화되고, 테이블 (52) 이 (-Y)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기재 (9) 에 패턴을 묘화하지 않고,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반송이 실시되어도 된다.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기재 (9) 의 반송은, 패턴의 비묘화시라면, 임의의 타이밍에서 실시되어도 된다.In the drawing devices 1 and 1a, for example, when the table 52 continuously moves in the (+Y) direction, a pattern is drawn on the base material 9 on the table 52, and the table 52 is (-) When moving in the Y) direction, the substrate 9 may be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path without drawing a pattern on the substrate 9. The conveyance of the base material 9 along the conveyance path may be performed at any timing as long as it is during non-drawing of the pattern.

묘화 장치 (1, 1a) 에서는, 테이블 (52) 의 위치가 고정되고, 기재 (9) 에 패턴을 묘화할 때에, 광출사부 (31) 가 이동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즉, 이동 기구는, 테이블 (52) 을 광출사부 (3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된다. 또, 테이블 (52) 의 이동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 (주주사 (主走査)) 이 완료될 때마다, 이동 기구가, 광출사부 (31) 또는 테이블 (52) 을 폭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동 (부주사 (副走査)) 시킴으로써, 기재 (9) 의 묘화 대상 부위에 대한 패턴의 묘화가 실시되어도 된다.In the drawing devices 1 and 1a, the position of the table 52 is fixed, and when drawing a pattern on the substrate 9, the light emitting unit 31 may move in the mov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moving mechanism may be one that moves the table 52 in the moving direction relative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 In addition, each time the relative movement (main scanning) of the table 52 in the moving direction is completed, the moving mechanism intermittently moves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 or the table 52 in the width direction (part By scanning, the pattern may be drawn on the drawing target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9.

교정용 검출부 (61) 에서는, 교정용 촬상부 (616) 대신에, 수광면 상의 광의 조사 위치가 검출 가능한 센서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광출사부 (31) 와 테이블 (52) 의 상대 위치에 관한 교정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61, instead of the calibration imaging unit 616, a sensor or the like capable of detecting the irradiation position of light on the light-receiving surface may be used.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correction values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31 and the table 52.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The configuration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each modification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발명을 상세하게 묘사하여 설명했지만, 이미 서술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수의 변형이나 양태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explained in detail, the description already described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aspects are possible as long as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1a : 묘화 장치
4 : 스테이지 이동 기구
6 : 교정값 취득부
9 : 기재
31 : 광출사부
50 : 베이스부
51 : 공급부
52 : 테이블
53 : 회수부
54 : 반송부
61 : 교정용 검출부
71 : 보정용 촬상부
96 : 참조 마크
511 : 공급 롤
521 : 유지면
531 : 회수 롤
541 ∼ 546 : 롤러
1, 1a: drawing device
4: Stage moving mechanism
6: Calibration value acquisition unit
9: Description
31: Light emitting unit
50: base part
51: supply department
52: table
53: recovery unit
54: transport unit
61: Calibration detection unit
71: Imaging unit for correction
96: Reference mark
511: supply roll
521: maintenance side
531: recovery roll
541 ~ 546: Roller

Claims (5)

장척의 기재에 패턴을 묘화하는 묘화 장치로서,
장척의 기재가 권회된 공급 롤을 유지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기재를 유지면에서 유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유지면을 통과한 상기 기재를 회수 롤로 권취하는 회수부와,
상기 테이블,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반송 롤러를 갖고, 패턴의 비묘화시에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지면을 통과하여 상기 회수부에 도달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기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를 향하여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에 유지되는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광출사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테이블,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를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의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블의 일단 근방에 위치하는 되돌림 위치에서 상기 반송 경로가 상기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오고,
상기 되돌림 위치보다 상기 테이블 측에,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상기 이동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묘화 장치.
A drawing device for drawing a pattern on a long substrate, comprising:
a supply section that holds a supply roll on which a long substrate is wound;
a table that holds the substrate drawn from the supply unit on a holding surface;
a recovery unit that takes up the substrate that has passed the holding surface with a recovery roll;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table, the supply portion, and the recovery portion;
a conveyance unit having a conveyance roller and transporting the base material along a conveyance path from the supply portion through the holding surface to the recovery portion when drawing a pattern;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modulated light toward the substrate on the holding surface when drawing a pattern;
When drawing a pattern, by moving the base unit relative to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moving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holding surface, the table,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continuously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moving mechanism to move it to,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on the holding surface, the conveyance path retur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t a return position located near one end of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 drawing device wherein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arranged closer to the table than the return position, and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장척의 기재에 패턴을 묘화하는 묘화 장치로서,
장척의 기재가 권회된 공급 롤을 유지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기재를 유지면에서 유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유지면을 통과한 상기 기재를 회수 롤로 권취하는 회수부와,
반송 롤러를 갖고, 패턴의 비묘화시에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지면을 통과하여 상기 회수부에 도달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기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를 향하여 변조된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와,
패턴의 묘화시에, 상기 유지면 상에 유지되는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 방향으로, 상기 테이블을 상기 광출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테이블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교정용 검출부를 갖고, 교정 동작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교정용 검출부에 조사됨으로써, 상기 광출사부와 상기 테이블의 상대 위치에 관한 교정값을 취득하는 교정값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면 상의 상기 기재의 폭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블의 일단 근방에 위치하는 되돌림 위치에서 상기 반송 경로가 상기 이동 방향에 관하여 되돌아오고,
상기 되돌림 위치보다 상기 테이블 측에, 상기 공급부 및 상기 회수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 상기 되돌림 위치 및 상기 교정용 검출부가 순서대로 나열되는, 묘화 장치.
A drawing device for drawing a pattern on a long substrate, comprising:
a supply section that holds a supply roll on which a long substrate is wound;
a table that holds the substrate drawn from the supply unit on a holding surface;
a recovery unit that takes up the substrate that has passed the holding surface with a recovery roll;
a conveyance unit having a conveyance roller and transporting the base material along a conveyance path from the supply portion through the holding surface to the recovery portion when drawing a pattern;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modulated light toward the substrate on the holding surface when drawing a pattern;
a moving mechanism that moves the table relative to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moving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holding surface when drawing a pattern;
It has a calibration detection unit whose position relative to the table is fixed, and during a calibration operation, light from the light emission unit is irradiated to the calibration detection unit, thereby generating a correction value regard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ight emission unit and the table. Equipped with a correction valu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on the holding surface, the conveyance path return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t a return position located near one end of the table in the moving direction,
Th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re disposed closer to the table than the return position,
A drawing device in which the table, the return position, and the detection unit for correction are arranged in ord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2014A 2020-03-03 2021-02-18 Drawing apparatus KR1025789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5878A JP7441076B2 (en) 2020-03-03 2020-03-03 drawing device
JPJP-P-2020-035878 202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680A KR20210111680A (en) 2021-09-13
KR102578965B1 true KR102578965B1 (en) 2023-09-14

Family

ID=7746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14A KR102578965B1 (en) 2020-03-03 2021-02-18 Draw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41076B2 (en)
KR (1) KR102578965B1 (en)
CN (1) CN113341657A (en)
TW (1) TWI801801B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918A (en) 2001-07-31 2003-02-14 Toppan Printing Co Ltd Aligner for tape carrier
JP2006106505A (en) 2004-10-07 2006-04-20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recording
JP2017215535A (en) * 2016-06-01 2017-12-0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JP2019053140A (en) * 2017-09-13 2019-04-04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460B2 (en) 2004-11-10 2009-12-24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sheet workpiece
JP5144992B2 (en) * 2007-08-27 2013-02-13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equipment
JP2009149427A (en) 2007-12-21 2009-07-09 Orc Mfg Co Ltd Carrying device and exposure device
CN109061874B (en) * 2014-04-28 2021-05-18 株式会社尼康 Pattern drawing device, pattern drawing method,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6510768B2 (en) * 2014-05-23 2019-05-0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JP7114459B2 (en) * 2016-05-19 2022-08-08 株式会社ニコン patterning device
JP7175150B2 (en) 2018-09-27 2022-11-1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918A (en) 2001-07-31 2003-02-14 Toppan Printing Co Ltd Aligner for tape carrier
JP2006106505A (en) 2004-10-07 2006-04-20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recording
JP2017215535A (en) * 2016-06-01 2017-12-0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JP2019053140A (en) * 2017-09-13 2019-04-04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Expos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41657A (en) 2021-09-03
JP7441076B2 (en) 2024-02-29
JP2021139978A (en) 2021-09-16
KR20210111680A (en) 2021-09-13
TWI801801B (en) 2023-05-11
TW202141199A (en)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945B1 (en) Exposure device
US20080031640A1 (en) Method Of Calibrating Alignment Section, Image-Drawing Device With Calibrated Alignment Section, And Conveying Device
JP5144992B2 (en) Exposure equipment
US73974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91311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WO2006036018A1 (en) Elongated flexible recording medium, and image rendering method and image rendering apparatus therewith
JP2006098718A (en) Drawing apparatus
US8319946B2 (en) Transfer device
CN107450276B (en) Exposure device
JP6144581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098725A (en) Correction method of drawing position, and draw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drawing position
KR102578965B1 (en) Drawing apparatus
JPH10187937A (en) Projection and exposure apparatus for band-shaped work
TW201921153A (en) Exposure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supply device and a substrate winding device
CN110955118A (en) Exposure device
KR20210081134A (en) Roll-to-Roll Repai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089258B2 (en) Proximity scan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therefor
JP4738887B2 (en) Exposure equipment
JP7175149B2 (en)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CN110320765B (en) Exposure apparatus
KR20230078494A (en) Exposure device
JP2022021416A (en) Exposu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