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187B1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전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8187B1 KR102578187B1 KR1020210064060A KR20210064060A KR102578187B1 KR 102578187 B1 KR102578187 B1 KR 102578187B1 KR 1020210064060 A KR1020210064060 A KR 1020210064060A KR 20210064060 A KR20210064060 A KR 20210064060A KR 102578187 B1 KR102578187 B1 KR 102578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terminal
- inlet
- receiving spac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인렛충전부에 체결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는 상기 인렛충전부와의 결합공간을 체공하는 하우징; 상기 연결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인렛충전부 내부에 설치된 인렛단자부와 접촉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된 케이블로 형성된 아웃렛단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아웃렛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결합공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결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방지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향상된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충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인렛에 결합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친환경 차량이 크게 부각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내연기관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는 차량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활발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는 차량은 전기 자동차로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에너지의 이용 방법 및 전기가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비율에 따라 EV, PHEV,HEV로 구분되고, EV, PHEV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급속 충전부와 완속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급속 충전부 및 완속 충전부에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고전압이 발생되므로, 충전인렛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반복적 탈착에 의해 단자부의 고정력이 저하되면서 전기적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충전단자를 정확히 위치에 설치시키기 위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충전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 단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향상된 제품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기자동차의 인렛충전부에 체결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는 상기 인렛충전부와의 결합공간을 체공하는 하우징; 상기 연결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인렛충전부 내부에 설치된 인렛단자부와 접촉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된 케이블로 형성된 아웃렛단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아웃렛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결합공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결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방지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리브는 상기 아웃렛단자부가 연장된 결합방향으로 절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관통된 후 복원되어 상기 충전단자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방지리브는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2방지리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방지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홀의 단면적이 상기 바디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공간과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폐쇄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단자는 일 측 말단부에 외주면으로 따라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방지리브에 각각 지지되는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공간에서 요입되어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결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전 커넥터는 리어홀더에 복수의 충전단자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조립되도록 하여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어홀더의 방지치브가 결합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의 충전단자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충전 단자가 결합공간에 미리 설계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여 인렛단자부와의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어홀더에는 하우징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리브가 형성되어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어 별도의 공정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리어홀더가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하고, 수용공간에는 돌출되어 리어홀더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제품 생산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아웃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파지부를 제외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어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충전단자의 사시도.
도 8(a)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8(b)는 도 2의 b-b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아웃렛단자부가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파지부를 제외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어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충전단자의 사시도.
도 8(a)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8(b)는 도 2의 b-b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아웃렛단자부가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렛충전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을 결합방향으로 정의하고, 결합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반경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렛충전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을 결합방향으로 정의하고, 결합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반경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충전 아웃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파지부를 제외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리어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충전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8(b)는 도 2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아웃렛단자부가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의 인렛충전부에 체결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는 상기 인렛충전부와의 결합공간을 체공하는 하우징, 상기 연결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인렛충전부 내부에 설치된 인렛단자부와 접촉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된 케이블로 형성된 아웃렛단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아웃렛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결합공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결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방지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충전 커넥터(10)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에 형성된 인렛충전부와 결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인렛충전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렛단자부와 아웃렛단자부(1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아웃렛단자부(100)는 인렛단자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충전단자(110)와, 충전단자(110)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120)로 형성되고,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 측은 와이어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고, 타 측은 인렛충전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렛단자부와 접촉되어 자동차 충전 시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한다.
충전단자(110)는 제1연결홀(212)을 관통하여 결합공간(220) 및 수용공간(210)에 걸쳐 배치되어 수용공간(210)에 배치된 일 단은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은 결합공간(22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인렛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충전단자(110)는 미리 설계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인렛단자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충전단자(110)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지지면(221)과 방지리브(32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단(111)이 형성되어 충전단자(110)가 리어홀더(300)에서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충전단자(110)가 연장부(222)의 내부에 특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미리 설계된 위치에서 인렛단자부와 아웃렛단자부(100)를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차 충전 커넥터(10)는 보다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렛충전부와의 반복적인 탈착에도 충전단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충전 시 발생되는 고전압에 대한 안전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하우징(200)은 일 측으로는 아웃렛단자부(100)의 일 단이 수용되는 결합공간(220)과, 타 측으로는 아웃렛단자부(100)의 타 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결합공간(220)과 수용공간(210)은 지지단(111)이 접하는 지지면(221)에 의해 구분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부분과 인렛충전부의 연결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면(221)에는 복수의 충전단자(110)가 미리 설계된 패턴을 갖도록 각 충전단자(110)가 관통하는 제1연결홀(2221)이 형성되고, 이때 제1연결홀(2221)의 크기는 지지단(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단(111)이 지지면(211)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수용공간(210)의 내측에는 리어홀더(300)가 체결되는 체결홀(211)과, 리어홀더(300)의 체결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되어 리어홀더(300)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쉽게 체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리어홀더(300)에 일차적으로 고정된 복수의 충전단자(110)가 일체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인렛충전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10)이 오결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여기서 체결홀(211)은 적어도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돌기(212)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3개로 형성되고, 결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반전 없이 정확한 위치에 충전단자(110)가 배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리어홀더(300)에 형성된 가이드홈(313)이 가이드돌기(212)를 따라 이동되며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돌기(212)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인렛충전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10) 탈착 시 하우징(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발생될 수 있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인렛단자부 및 아웃렛단자부(100)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 손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어홀더(300,1300)는 수용공간(2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바디(310,1310)와, 바디(310,1310)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홀(212)과 연통되는 제2연결홀(321,1321)을 형성하는 방지리브(320,1320)로 형성되어 수용공간(210)의 개방된 면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10)에 배치된 충전단자(110)를 보호하는 동시에 지지면(22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충전단자(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바디(310,1310)는 수용공간(210)의 개방된 면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체결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210)의 외측으로 보호리브(311,1311)가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말단부를 보호하며, 체결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210)의 내측으로 체결리브(312,1312)가 형성되어 리어홀더(300,1300)가 용이하게 하우징(200)에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리브(312,1312)의 말단에는 돌출되어 체결홀(211)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돌기(3121,13121)가 형성되고, 체결돌기(3121,13121)와 체결홀(211)은 수용공간(210)의 내측에서 서로 걸림 고정되어 외측으로 결합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체결 부분이 생산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파손되거나,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외력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바디(310,1310)의 일 측에는 가이드돌기(212)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홈(313,1313)이 형성되어 리어홀더(300,1300)와 하우징(20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가이드돌기(214)와의 걸림 고정에 의해 회전력을 상쇄시켜 충전단자(110)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 예의 리어홀더(300)는 체결리브(312)와 가이드홈(313)이 바디(3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리어홀더(13000)는 체결리브(1312)가 가이드홈(1313)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체결리브(1312)의 위치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리어홀더(1300)의 해지를 보다 용이하게할 수 있다.
방지리브(320,1320)는 바디(310,1310)의 일 측에서 수용공간(210)으로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이때 방지리브(320,1320)의 내측으로는 제1연결홀(2221)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제2연결홀(323,1323)이 형성되어 리어홀더(300,1300)에 일차적으로 고정된 아웃렛단자부(100)가 일체로서 하우징(200)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방지리브(320,1320)는 체결방향으로 절개되어 한 쌍의 제1방지리브(321,1321)와 제2방지리브(322,1322)로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충전단자(110) 삽입 시 돌출된 지지단(111)이 제2연결홀(323,1323)을 원활하게 관통가능 하도록 하고, 관동 후에는 제1방지리브(321,1321)와 제2방지리브(322,132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지지단(111)이 걸림되도록 하여 충전단자(110)를 고정시킨다.
또한 방지리브(320,1320)가 체결방향으로 절개되는 정도 및 절개되는 횟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절개되는 정도 및 횟수를 조절하여 충전단자(110)의 삽발력을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본 발명으로부터 자명한 사항에 해당한다.
또한 제1방지리브(321,1321)와 제2방지리브(322,1322)는 서로 대향하며 체결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어홀더(300,1300)을 관통하는 제2연결홀(323,1323)을 형성하여 각 충전단자(110)가 제1방지리브(321,1321)와 제2방지리브(322,132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위하여 제2연결홀(322,1323)은 단면적이 바디(310,1310)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 충전 커넥터(10)은 리어홀더(300)에 복수의 충전단자(110)를 삽입하여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각 충전단자(110)가 설계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리어홀더(300)와 일체로 하우징(200)에 체결되도록 하여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충전단자(11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는 다양한 구조를 구비하여 인렛충전부와 자동차 충전 커넥터(10)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반복되는 탈착 시 자동차 충전 커넥터(10)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정력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충전 아웃렛
100 아웃렛단자부 110 충전단자
111 지지단 120 와이어
200 하우징 210 수용공간
211 체결홀 212 가이드돌기
220 결합공간 221 지지면
222 연장부 2221 제1연결홀
300,1300 리어홀더 310,1310 바디
311,1311 보호리브 312,1312 체결리브
3121,13121 걸림돌기 313,1313 가이드홈
320,1320 방지리브 321,1321 제1방지리브
322,1322 제2방지리브 323,1323 제2연결홀
400 파지부
100 아웃렛단자부 110 충전단자
111 지지단 120 와이어
200 하우징 210 수용공간
211 체결홀 212 가이드돌기
220 결합공간 221 지지면
222 연장부 2221 제1연결홀
300,1300 리어홀더 310,1310 바디
311,1311 보호리브 312,1312 체결리브
3121,13121 걸림돌기 313,1313 가이드홈
320,1320 방지리브 321,1321 제1방지리브
322,1322 제2방지리브 323,1323 제2연결홀
400 파지부
Claims (5)
- 전기자동차의 인렛충전부에 체결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렛충전부와의 결합공간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인렛충전부 내부에 설치된 인렛단자부와 접촉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된 케이블로 형성된 아웃렛단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아웃렛단자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 방지리브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리브는
상기 아웃렛단자부가 연장된 결합방향으로 절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충전단자가 관통된 후 복원되어 상기 충전단자의 단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리브는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2방지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방지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홀의 단면적이 상기 바디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공간과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폐쇄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단자는
일 측 말단부에 외주면으로 따라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방지리브에 각각 지지되는 지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요입되어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060A KR102578187B1 (ko) | 2021-05-18 | 2021-05-18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US17/744,216 US11996646B2 (en) | 2021-05-18 | 2022-05-13 |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
CN202210539559.6A CN115377730A (zh) | 2021-05-18 | 2022-05-17 | 用于车辆的充电连接器 |
JP2022080819A JP2022177823A (ja) | 2021-05-18 | 2022-05-17 | 車両用充電コネクタ |
EP22173951.9A EP4091865A1 (en) | 2021-05-18 | 2022-05-18 |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060A KR102578187B1 (ko) | 2021-05-18 | 2021-05-18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6261A KR20220156261A (ko) | 2022-11-25 |
KR102578187B1 true KR102578187B1 (ko) | 2023-09-13 |
Family
ID=8174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4060A KR102578187B1 (ko) | 2021-05-18 | 2021-05-18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996646B2 (ko) |
EP (1) | EP4091865A1 (ko) |
JP (1) | JP2022177823A (ko) |
KR (1) | KR102578187B1 (ko) |
CN (1) | CN11537773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0843B1 (ko) * | 2021-07-30 | 2023-06-07 | 주식회사 경신 |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커넥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1166A (ja) * | 2010-02-19 | 2011-09-01 | Sumitomo Wiring Syst Ltd | 充電用コネクタ |
JP2017174815A (ja) | 2016-03-23 | 2017-09-28 |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高電力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交換可能な高電力電気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ならびに高電力電気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380A (ja) | 1988-11-08 | 1990-05-16 | Nec Eng Ltd | 磁気デイスク装置 |
JPH0334068Y2 (ko) * | 1989-03-30 | 1991-07-18 | ||
JP2500134B2 (ja) | 1991-03-14 | 1996-05-29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2655563B2 (ja) | 1992-04-08 | 1997-09-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H11135191A (ja) * | 1997-10-31 | 1999-05-21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グロメット用埋め栓 |
US6371768B1 (en) * | 1998-03-31 | 2002-04-16 | Daimlerchrysler Corporation | Universal charge port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
US20100317212A1 (en) * | 2009-06-15 | 2010-12-16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
US7878866B1 (en) * | 2010-07-02 | 2011-02-01 | Lear Corporation |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charging |
WO2012175573A1 (en) | 2011-06-20 | 2012-12-27 | Fci Automotive Holding | Electrical multicontact plug and assembly method for charging system |
KR101794356B1 (ko) * | 2011-08-24 | 2017-11-06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
US20140113479A1 (en) * | 2012-10-22 | 2014-04-24 | Ls Cable & System Ltd. |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
JP6071448B2 (ja) | 2012-11-13 | 2017-02-0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12024588B4 (de) | 2012-12-17 | 2023-11-16 | HARTING Automotive GmbH | Steckverbinder |
JP6070519B2 (ja) | 2013-11-25 | 2017-02-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車両側コネクタ |
JP2015225771A (ja) | 2014-05-28 | 2015-12-14 | 住友電装株式会社 | 複合型充電用インレット |
JP2016046219A (ja) | 2014-08-26 | 2016-04-04 | 株式会社フジクラ | 電線保持部材 |
-
2021
- 2021-05-18 KR KR1020210064060A patent/KR1025781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5-13 US US17/744,216 patent/US11996646B2/en active Active
- 2022-05-17 JP JP2022080819A patent/JP2022177823A/ja active Pending
- 2022-05-17 CN CN202210539559.6A patent/CN115377730A/zh active Pending
- 2022-05-18 EP EP22173951.9A patent/EP4091865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1166A (ja) * | 2010-02-19 | 2011-09-01 | Sumitomo Wiring Syst Ltd | 充電用コネクタ |
JP2017174815A (ja) | 2016-03-23 | 2017-09-28 |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高電力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交換可能な高電力電気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ならびに高電力電気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91865A1 (en) | 2022-11-23 |
US11996646B2 (en) | 2024-05-28 |
US20220376423A1 (en) | 2022-11-24 |
CN115377730A (zh) | 2022-11-22 |
KR20220156261A (ko) | 2022-11-25 |
JP2022177823A (ja) | 2022-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95678A1 (en) | Charging connector | |
CN102576961B (zh) | 用于内保持器和保护外壳的装配结构 | |
KR102578187B1 (ko)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
KR102590201B1 (ko)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
KR102578186B1 (ko) | 자동차 충전 커넥터 | |
CN112585831B (zh) | 保持体及线束 | |
KR20190027095A (ko) |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 |
US20230028117A1 (en) | Battery wiring module | |
US11338745B2 (en) | Holder and wire harness with pair of hinged split bodies | |
KR20170138888A (ko) |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
KR200448814Y1 (ko) |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 |
KR102651087B1 (ko) | 충전장치 | |
JP7497616B2 (ja) | 電池配線モジュール | |
KR102645004B1 (ko) | 충전인렛용 리어 캡 | |
WO2022024794A1 (ja) | コネクタ | |
KR20180068933A (ko) |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
KR20180068934A (ko) |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
CN116134684A (zh) | 连接器 | |
KR20180070531A (ko) |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
KR20180068935A (ko) |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