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70B1 -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70B1
KR102578070B1 KR1020230001805A KR20230001805A KR102578070B1 KR 102578070 B1 KR102578070 B1 KR 102578070B1 KR 1020230001805 A KR1020230001805 A KR 1020230001805A KR 20230001805 A KR20230001805 A KR 20230001805A KR 102578070 B1 KR102578070 B1 KR 10257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s
width direction
vane
inner cor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립
김케빈
Original Assignee
김필립
김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립, 김케빈 filed Critical 김필립
Priority to KR102023000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01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 D04H13/007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 together the various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 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부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여 한쌍의 내부심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기능성판재를 인서트하여 구성하여 기능성판재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용 단열베인{Insulated vane for blinds}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 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부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다층구조로 열융착처리하여 형성된 내부심재의 공간부에 기능성판재를 인서트시킴으로써 기능성판재를 통해 공간부의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가리개는 건물의 유리창 내측 벽에 설치되어 여름철에는 태양 광의 광량을 조절, 차단하거나 겨울철에는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냉기를 막는 역할을 하는 창가리개는 가정, 호텔, 레스토랑 기타 건물 등에서 내부의 사생활 보호, 태양광 및 냉기 차단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창가리개는 일반적인 직물로 제조되는 커튼과, 블라인드 중 하나로서 일정 폭을 가지는 판 형상의 베인은 실내 바닥면과 수직형태인 버티컬 블라인드가 사용되고 있고, 또한 블라인드 중 다른 하나로서 일정폭의 원단을 제단하고 롤로 감아서 창문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롤을 풀어서 창문을 가리거나 롤을 감아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만든 롤러 블라인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블라인드는 콤비 블라인드 또는 로만 셰이드 타입 블라인드(Roman shade type blind) 등의 다양한 타입의 블라인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창가리개 중 직물로 제조되는 커튼은 직물로서 실내 분위기를 품위있게 하고 포근한 감을 주지만 설치 비용이 비싸고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으로 가정집 이외의 장소에서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버티컬 블라인드나 롤러 블라인드(롤 블라인드 또는 롤 스크린이라 칭하기도 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창가리개 중 하나인 블라인드 제품에서, 특히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그 가격이 커텐에 비해 저렴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독특한 미려함을 연출하고 있어 연립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베란다나 발코니의 창틀, 또는 사무실이나 오피스텔의 대형 창문 내측 상단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사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라인드용 베인이 적용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의 블라인드용 베인이 적용된 버티컬 블라인드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베인(100)과 상기 다수의 베인(100)을 지지하는 지지대(30) 및 베인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블라인드를 친 상태에서도 외부의 풍경을 볼 수 있으나, 블라인드가 다수의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에서 회전을 통해 상호 이웃하는 베인의 사이가 개방되어 형성된 틈새로 실내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용 베인의 소재는 통상 합성수지, 목재, 알루미늄 박판,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단지 차광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며, 베인에 대해 단순히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한장의 판 형상으로 제공됨에 따라 베인의 상호 이웃하여 중첩되는 부분이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용 베인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5635호 2005.02.28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79181호 2013.06.2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77665호 2015.12.09.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01133호 2017.11.2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369930호 2022.02.25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 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부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한 후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기능성판재를 인서트시킴으로써, 기능성판재를 통해 공간부의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가일층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내부심재 사이의 공간부에 인서트된 기능성판재는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됨으로써 단면 형상에 따른 공기나 소음의 굴절을 통한 차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열이나 차음 현격하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이어 다수 개로 배치되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가능케 배치고정되며,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 있어서,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며,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 구조의 중앙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형재는 망사원단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내부심재는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망사원단의 표면에는 장식적 미려감을 가일층 창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글씨나 그림을 인쇄 또는 직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은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여 한쌍의 내부심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복원력을 증대할 수 있으면서 단열이나 차음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판재를 인서트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판재는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외형재는 망사원단으로 적용되며, 상기 내부심재는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기능성판재는 다공성 폼 구조를 갖는 솜패드, 스펀지, 라텍스, 다공성 우레탄폼, 메모리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은 폭 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되, 중첩 밀착되는 부분에 대해 단이 지게 맞물려 밀착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단이 진 맞물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 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부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한 후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기능성판재를 인서트시킴으로써, 기능성판재를 통해 공간부의 복원력을 가일층 향상시킴과 아울러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가일층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내부심재 사이의 공간부에 인서트된 기능성판재는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됨으로써 단면 형상에 따른 공기나 소음의 굴절을 통한 차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열이나 차음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라인드용 베인이 적용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이 단위베인으로 적용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의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시 중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을 나타낸 절개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서, 요부인 기능성심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이 단위베인으로 적용된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의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시 중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을 나타낸 절개 사시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단위체로서 다수 개로 적용되어 회전을 통해 이웃하는 폭 방향 단부에 대해 일정길이 중첩되게 사용하는 버티컬블라인드, 베네치안블라인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체 베인이다.
이러한 단위체 베인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일정 폭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이어 다수 개로 배치되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가능케 배치고정되며,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치상태의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다수 개로 적용되어 상단에 대해 회전고정수단(100a)을 통해 지지대(100) 상에 이동가능하면서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 개로 지지대(100)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단이 연결된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지지대(100) 일 측에 설치된 조절수단(200)을 통해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절수단(200)은 지지대(100) 일단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에 대해 밀고 당기면서 펼쳐지거나 오므라들게 이동조절하는 것이고, 조절수단(200)의 조작을 통해 펼쳐진 상태에서 조절수단(200)을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치상태의 일례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외형재(510)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520)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며, 내부심재(520)에 의해 다층 구조의 중앙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52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형재(510)는 망사원단으로 적용되며, 상기 내부심재(520)는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형재(510)인 망사원단은 다양한 글씨나 그림을 표면에 인쇄하거나 또는 직접 직조하여 실내의 장식적 미려감을 가일층 창출시킬 수 있도록 할수 있다.
물론, 상기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길이방향 양단에 대해서도 일정길이만큼 열융착처리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폭 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되, 중첩 밀착되는 부분에 대해 단이 지게 맞물려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단이 진 맞물림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맞물림단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경사진 단턱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망사재질로 적용되는 외형재(510)와 내부심재(520)의 사이에도 망사재질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능성판재(530)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기능성판재(5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다양한 단면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에서, 요부인 기능성심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510)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520)를 배치한 후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 (520)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20a)에 기능성판재(530)를 인서트시킨 베인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외형재(510)는 망사원단으로 적용되며, 상기 내부심재(520)는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기능성판재(530)는 다공성 폼 구조를 갖는 솜패드, 스펀지, 라텍스, 다공성 우레탄폼, 메모리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다공성 폼 구조를 갖는 솜패드, 스펀지, 라텍스, 다공성 우레탄폼, 메모리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기능성판재(530)가 적용됨으로써 다공성 기포를 갖는 구조에 따라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음이나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폭 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되, 중첩 밀착되는 부분에 대해 단이 지게 맞물려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단이 진 맞물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맞물림단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경사진 단턱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에 적용되는 상기 기능성판재(530)는 도 6의 (a), (b),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기능성판재(530)에 대해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됨으로써 단면 형상에 따른 공기나 소음의 굴절을 통한 차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복원력 및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단열베인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에 의해 다층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 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부를 통해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망사재질의 외형재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를 배치한 후 폭 방향 양단을 열융착처리하여 내부심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기능성판재를 인서트시킴으로써, 기능성판재를 통해 공간부의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차광 기능과 함께 방풍 등을 통한 단열이나 차음 효과를 가일층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내부심재 사이의 공간부에 인서트된 기능성판재는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됨으로써 단면 형상에 따른 공기나 소음의 굴절을 통한 차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열이나 차음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지지대
100a: 회전고정수단
200: 조절수단
500: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510: 외형재
520: 내부심재
520a: 공간부
530: 기능성판재

Claims (6)

  1. 일정 폭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이어 다수 개로 배치되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가능케 배치고정되며,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에 있어서,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망사원단을 적용한 한 쌍의 외형재(510) 사이에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된 한 쌍의 내부심재(520)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며, 내부심재(520)에 의해 다층 구조의 중앙부분에 외부와 단열이나 차음등을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부(52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다층 구조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외형재(510) 사이에 한 쌍의 내부심재(520)를 배치하여 폭 방향 양단을 각각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하여 한쌍의 내부심재(5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20a)에 기능성판재(530)를 인서트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판재(530)는 웨이브 타입, 산과 골이 반복되는 타입 또는 크랭크 타입의 단면을 갖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재(510)는 망사원단으로 적용되며, 상기 내부심재(520)는 부직포원단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기능성판재(530)는 다공성 폼 구조를 갖는 솜패드, 스펀지, 라텍스, 다공성 우레탄폼, 메모리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용 단열베인(500)은 폭 방향으로 다수 개로 연이어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단부가 일정길이 중첩 밀착되되,
    중첩 밀착되는 부분에 대해 단이 지게 맞물려 밀착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단의 일정 폭에 걸쳐 열융착처리되는 면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는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단이 진 맞물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KR1020230001805A 2023-01-05 2023-01-05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KR10257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05A KR102578070B1 (ko) 2023-01-05 2023-01-05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05A KR102578070B1 (ko) 2023-01-05 2023-01-05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070B1 true KR102578070B1 (ko) 2023-09-13

Family

ID=8802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05A KR102578070B1 (ko) 2023-01-05 2023-01-05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7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70A (ja) * 1986-06-19 1988-01-30 Arai Pump Mfg Co Ltd 外周金属嵌合型オイルシ−ル
KR100475635B1 (ko) 2002-01-23 2005-03-10 김화순 원목 시트 버티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JP2011017235A (ja) * 2009-07-11 2011-01-27 Kawashima Selkon Textiles Co Ltd バーチカルブラインド
KR101279181B1 (ko) 2009-10-14 2013-06-27 (주)엘지하우시스 뛰어난 흡음 기능이 부가된 버티칼 블라인드
KR20150102404A (ko) * 2014-02-28 2015-09-07 지엘테크텍 주식회사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54838B1 (ko) * 2015-01-21 2015-09-21 윤성주 열차단 블라인드
KR101801133B1 (ko) 2014-01-29 2017-11-27 고경찬 발열 및 냉감 기능을 갖는 버티칼 블라인드
KR102369930B1 (ko) 2021-07-15 2022-03-03 박수미 버티컬 블라인드용 경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70A (ja) * 1986-06-19 1988-01-30 Arai Pump Mfg Co Ltd 外周金属嵌合型オイルシ−ル
KR100475635B1 (ko) 2002-01-23 2005-03-10 김화순 원목 시트 버티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JP2011017235A (ja) * 2009-07-11 2011-01-27 Kawashima Selkon Textiles Co Ltd バーチカルブラインド
KR101279181B1 (ko) 2009-10-14 2013-06-27 (주)엘지하우시스 뛰어난 흡음 기능이 부가된 버티칼 블라인드
KR101801133B1 (ko) 2014-01-29 2017-11-27 고경찬 발열 및 냉감 기능을 갖는 버티칼 블라인드
KR20150102404A (ko) * 2014-02-28 2015-09-07 지엘테크텍 주식회사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77665B1 (ko) 2014-02-28 2015-12-16 지엘테크텍 주식회사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54838B1 (ko) * 2015-01-21 2015-09-21 윤성주 열차단 블라인드
KR102369930B1 (ko) 2021-07-15 2022-03-03 박수미 버티컬 블라인드용 경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199B1 (ko) 건축물 개구부 용 듀얼 패브릭 커버링
US11299930B2 (en) Slatted roller blind
AU781430B2 (en) Architectural covering for windows
CA2079709C (en) Double layer shade
US4035539A (en) Structural panel
US4037639A (en) Thermal barrier
US20120318465A1 (en) Insulating shade for covering an architectural opening
JP7014916B2 (ja) 単位遮光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68095A1 (en) Insulated Window Shade
KR102578070B1 (ko) 블라인드용 단열베인
CN212684895U (zh) 一种遮光防晒型窗帘帘布
DE102015100962B3 (de) Flexible Isoliereinlage für Profilglasbahnen
JP3745873B2 (ja) ルーバー入り複層ガラス
CA2273978A1 (en) Device for capturing solar energy and transferring it onto a receiving medium to be heated
JP3665302B2 (ja) 遮熱材を用いた外壁断熱構造、及び断熱パネル
JPS6019919Y2 (ja) 太陽熱利用のブラインド
KR102312390B1 (ko) 베네시안 블라인드용 슬랫
Pfister et al. EC80-2052 Window Treatments for Energy Efficiency
RU2176708C2 (ru) Теплоизоляция стен здания
KR20110006795U (ko) 외풍을 차단하는 보온 커튼
CA2343866C (en) Architectural covering for windows
JPS58156683A (ja) 太陽熱利用の建物の改造窓
JPS63115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