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062B1 -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62B1
KR102578062B1 KR1020207011846A KR20207011846A KR102578062B1 KR 102578062 B1 KR102578062 B1 KR 102578062B1 KR 1020207011846 A KR1020207011846 A KR 1020207011846A KR 20207011846 A KR20207011846 A KR 20207011846A KR 102578062 B1 KR102578062 B1 KR 10257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ool holder
connecting plate
automatic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488A (ko
Inventor
앙리 마르시타
맥심 보니
니콜라스 푸토드
Original Assignee
그룹 미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룹 미칼락 filed Critical 그룹 미칼락
Publication of KR2020007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4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uto-engagement means for automatic snap-on of the tool coupler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3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using two or four movable transversal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Shove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자동 연결 장치(2)는 공구 홀더(3)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되고 공구 홀더에 대해 고정된 고정 연결 플레이트(11), 공구(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구에 대해 피봇 및 슬라이드할 수 있는 가동 연결 플레이트(10), 및 공구 홀더(3) 및 공구(4)에 제공되는 중심 맞춤 장치(12)를 포함하여, 상기 공구(4)가 공구 홀더(3)에 장착되고 기계적으로 조립되는 경우에,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상기 공구(4)가 상기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에,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홀더(3)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상호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들(13, 14)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중심 맞춤 장치(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본 발명은 건설 및 공공 작업 장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 건설 현장, 철도 공사 및 서비스 및 유지 보수 건설 현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건설 장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에 대해 다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치의 드라이버의 외부 작용없이 기계적으로 조립될 때 공구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와 공구 홀더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취급, 적재 또는 리프팅 장비 유형 또는 로더 굴삭기 지면 이동 유형 또는 이와 유사한 유형의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는 작업 공구가 설치된 말단에 관절형 암 형태의 작업 장비를 포함한다.
작업 공구는 사용 유형에 따라 일반적으로 버킷, 삽, 또는 로더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유압 공구(예를 들면, 쇄암기(rock breaker), 오거, 브러시, 커터 등) 또는 다른 것으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 공구의 변경 및 장착은 각각의 무게와 이러한 변경이 가장 자주 현장, 즉 건설 현장에서 수행되는 조건을 고려할 때 길고 어려운 작업으로 판명된다.
평균적으로, 근무 시간 동안, 건설 장비 운전자는 공구를 수십 번 변경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및 분리 단계는 매번 수 분 동안 장비를 고정시켜야할 필요가 있다. 누적된, 고정된 이 시간은 무시할 수 없는 생산성 손실을 나타낸다.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자유 단부에 공구를 간단하게 장착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수개의 해법, 특히 건설 장비에 공구의 부착을 위한 신속하고 가역적인 장치를 개발했는데, 여기서 공구 홀더는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로킹 실린더를 이용하여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이격되게 이동하는 식으로 이동 가능한 2 쌍의 홀딩 차축을 포함하며, 공구는 개구부가 마주하고 각각이 홀딩 차축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된 적어도 2 쌍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하여, 공구는 홀딩 차축이 관련 수용부의 바닥에서 정지되는 잠금 실린더의 연장된 위치와 홀딩 차축이 수용부로부터 제거되는 잠금 실린더의 후퇴 위치(withdrawn position) 사이에서 홀딩 차축의 개별 쌍의 거리를 가역적으로 변경함에 의해 잠금 실린더를 이용하여 공구 홀더 상에 잠김되거나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장비 운전자는 장비를 공구에 대해 위치 지정시키는데 있어 상당한 자유도를 가지고 또한 조립 동작 동안 공구를 떨어트릴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공구를 잡고 공구 홀더를 이용하여 공구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 상에서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만족할 만한 장치가 없기 때문에, 공구 홀더에 장착된 공구에 따라, 운전자는 공구로부터의 전기, 유압 및/또는 공압 네트워크를 공구 홀더 상의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종종 차량에서 나와야 한다.
실제로, 전술한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공구를 공구 홀더 상에 위치시키는 동안, 제1 쌍의 홀딩 차축이 한 쌍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제2 쌍의 홀딩 차축을 수용부의 다른 쌍의 개구와 마주하기 위한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피봇 운동에 이은 제2 쌍의 홀딩 차축을 수용부의 바닥에 삽입하기 위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제2 쌍의 홀딩 차축은 수용부의 다른 쌍 내에 삽입된다.
그러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현재의 전기, 유압 및/또는 공압 자동 연결 장치는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피봇 운동에 적합하지 않지만, 공구의 홀더를 공구에 더 가까이 가져 오는 직선 병진 운동에 적합하다.
더욱이, 자동 연결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사일런트 블록 또는 보상 실린더를 포함하는 감쇠 또는 움직임 보상 장치를 구비하며, 결과적으로, 복잡하고 고가이며 신뢰할 수 없는 자동 연결 장치를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혹은 그 반대의 적어도 하나의 피봇 운동에 의해 공구가 공구 홀더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구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자유 단부에 장착된 공구 홀더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고 자동으로 결합하는 새로운 자동 연결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공구를 운반하는 공구 홀더가 장착되고 상호 조립 동안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또는 그 반대의 피봇 운동에 적합한 자동 연결 장치가 장착된 스틱을 포함하는 건설 또는 공공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할당된 목적은 공구가 공구 홀더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에 공구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자유 단부 상에 장착된 공구 홀더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및 자동 결합을 가능케 하는 자동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되며, 이 자동 연결 장치는:
공구 상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상기 공구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공구 홀더 상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상기 공구 홀더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를 포함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
공구 홀더 및/또는 공구 상에 제공되며, 상기 공구가 상기 공구 홀더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에, 공구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홀더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가 상호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커플러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중심 맞춤 장치;
를 포함하되,
고정 연결 플레이트라 칭하는 연결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공되는 공구 홀더 또는 공구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되고; 또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라 칭하는 다른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 플레이트 모두가 상대적으로 피봇 및 슬라이딩 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공구 홀더 EH는 공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 또는 공구가 제공되는 공구 홀더에 대해 피봇 및 슬라이딩 식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공구 홀더 상에 공구를 조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든 유형의 운동에 적합하다.
이러한 새로운 자동 연결 장치는 공공 작업 장비를 제거하지 않고 공구 홀더 상에 공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본 출원인의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통해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링은 공구 홀더 상의 공구의 기계적 커플링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자동 연결 장치는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된 공구 상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또는 그 역으로의 모든 유형의 운동에 적응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공구를 공구 홀더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모든 장치에 또한 적합하다.
고정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 또는 공구가 제공되는 공구 홀더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댐핑 또는 움직임 보상 장치가 필요없이 공구 또는 공구 홀더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이다.
두 개의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와 공구 홀더를 조립할 때 분리 위험없이 연결되며, 연결 플레이트 중 하나만 이동할 수 있지만 스프링, 사일런트 블록, 보상 실린더 또는 다른 고가의 신뢰할 수 없는 요소는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으로부터의 자동 연결 장치의 단순성 및 견고성은 유리하게는 신뢰성, 강성 및 저비용이 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중심 맞춤 장치는 공구가 공구 홀더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조립될 때 곡선 궤적을 따라 고정 연결 플레이트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한다. 따라서, 중심 맞춤 장치는 공구가 공구 홀더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조립될 때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해 공구에 대한 공구 홀더의 또는 그 반대의 피봇 운동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중심 맞춤 장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바로 옆 또는 위의 공구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요소 및 제2 연결 플레이트 바로 옆 또는 위의 공구 홀더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자동 연결 장치는 제1 연결 플레이트의 양 측에 제공된 2 개의 안내 요소 및 제2 연결 플레이트의 양 측에 제공된 2 개의 다른 안내 요소를 포함한다. 안내 요소를 쌍으로 제공함으로써, 2 개의 연결 플레이트의 더 나은 중심 맞춤이 상호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안내 요소는 돌출 안내 핑거인 반면, 다른 안내 요소는 안내 핑거를 위한 수용 하우징이며, 안내 핑거를 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의 측면 유격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는 5 내지 3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밀리미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판의 형상을 갖는다. 안내 요소는 공구가 일반적으로 매우 무겁고 상당히 거칠게 다룰 수 있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강력하고 완벽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는 포인트 형상으로 좁아지는 자유 단부를 가지며, 이어서 안내 핑거의 종축을 따라 연장하며 안내 핑거가 제공되는 연결 플레이트 위에 또는 바로 옆에 안내 핑거의 장착을 위해 제공되는 플레어된 베이스에서 마감하는 직선 중앙부로 이어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안내 하우징과 관련된 수용 하우징에서의 안내 핑거의 상호 맞물림, 그리고 일단 이 맞물림이 이루어지면, 2 개의 연결 플레이트를 점진적으로 중심 맞춤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안내 핑거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부분의 전방 및 반대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이 형상은 특히 공구 홀더 상의 공구의 바람직한 조립 모드에 대응하여, 공구 홀더의 전방 원단을 공구를 향해 또는 그 반대로 피봇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수용 하우징은 안내 핑거가 관통하는 플레어 입구를 포함하고, 이어서 상기 안내 핑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수용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부분이 이어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안내 하우징과 관련된 수용 하우징에서의 안내 핑거의 상호 맞물림, 그리고 일단 이 맞물림이 이루어지면, 2 개의 연결 플레이트를 점진적으로 중심 맞춤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 및 각각의 수용 하우징은 수직 평면에 제공되며, 이들은 건축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는 가동 연결 플레이트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안내 핑거는 가동 연결 플레이트와 같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는 전체 직선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제1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 제2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 홀더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이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라, 고정 연결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는 암형 커플러이고, 가동 연결 플레이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는 수형 커플러(male coupler)이다.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제1 연결 플레이트는 식별 칩을 포함하고, 제2 연결 플레이트는 칩 리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구 홀더에 공구를 연결할 때 칩 리더는 공구를 식별하기 위해 칩에서 찾은 정보를 읽고 장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식별 칩은 RFID 칩이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가동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 또는 공구 홀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는 각각 안내 개구를 형성하고 가동 연결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되는 컷아웃(cutouts)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 또는 공구 홀더는 돌출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돌출 요소 각각은 컷아웃 중 하나 내에 슬라이딩 식으로 하우징된다.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돌출 요소에 이동 가능한 베이스의 이러한 장착이 연결 플레이트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돌출 요소는 각각 컷아웃의 내부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안내 롤러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공구가 공구 홀더에 장착될 때, 베이스의 컷아웃은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컷아웃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샘플 구현에 따르면, 각각의 컷아웃은 컷아웃의 종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플레어된 단부를 가지며, 이 플레어는 공구가 공구 홀더 상에 장착 될 때 공구 홀더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플레어는 이들 두 요소가 이미 중심 맞춤 장치에 의해 맞물려 있는 동안 서로 피봇 될 때 공구 또는 공구 홀더에 대한 이동 베이스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제공한다.
공구가 공구 홀더에 조립 및 고정될 때,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돌출 요소는 플레어 단부가 없는 컷아웃 부분에 위치하며, 이는 고정 연결 플레이트에 대해 가동 연결 플레이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할당된 목표는 또한 공구를 소지하는 공구 홀더를 구비한 스틱을 포함하는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를 이용하여 달성되며, 여기서 장비는 전술한 것처럼 자동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공구 홀더가 쇄암기 유형 공구로 부분적으로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치의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구 홀더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가 장착된 공구 홀더에 의해 공구를 유지 및 잠금하기 위한 시퀀스를 도시하는 외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가 장착된, 공구 홀더 상에 조립된 공구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면축을 따른 단면에 도시된 공구 홀더 상에 조립된 공구의 외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가 장착된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 아이템의 스틱의 사시도로서, 고정 연결 플레이트는 보호 요소가 장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가 장착된 가역 버킷(reversible bucket)의 형태의 건설 현장 공구의 사시도로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가 보호 요소에 장착된다.
몇몇 상이한 도면에 도시된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수치 또는 문자 숫자 참조가 할당된다.
전면 또는 후면은 차량과 관련된 일반적인 관례를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 공구가 설치된 단부에 있는 피봇 스틱은 일반적으로 건설 장비의 전면에 위치된다. 도면에서, 외관도에서, 전면은 오른쪽에 있고 후면은 왼쪽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 및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피봇 스틱(1)의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되며 쇄암형 공구(4)로 부분적으로 조립된 공구 홀더(3)가 장착된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피봇 스틱(1)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공구를 건설 장비에 부착하기 위한 신속하고 가역적인 장치를 포함하는, 출원인이 개발한 특정 공구 홀더(3)를 도시한다. 이 장치에서, 공구 홀더(3)는 잠금 실린더(7)에 의해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이동함으로써 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동 가능한 두 쌍의 홀딩 차축(5, 6)을 포함하는 반면, 공구(4)는 적어도 두 쌍의 수용부(8, 9)를 포함하고, 그 개구부들은 서로 마주하고 서로 홀딩 차축(5, 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는 상기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홀더(3)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자동으로 연결하고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이 자동 연결 장치(2)는 공구(4) 상에 제공된 제1 연결 플레이트(10), 공구 홀더(3) 상에 제공된 제2 연결 플레이트(11) 및 공구 홀더(3) 상에 및/또는 공구(4) 상에 제공된 중심 맞춤 장치(12)를 포함한다.
제1 연결 플레이트(10)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3)를 포함한다.
제2 연결 플레이트(11)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공구 홀더(3)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4)를 포함한다.
"고정 연결 플레이트"라 불리는 연결 플레이트(10 또는 11) 중 적어도 하나는 그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제공되는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더(3) 상에 제공되는 제2 연결 플레이트(11)를 포함한다.
"가동 연결 플레이트"라 불리는 다른 연결 플레이트(11 또는 10)는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피봇 및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공구(4)에 제공된 제1 연결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명확성을 위해, 가동 연결 플레이트는 참조 번호 10을 가질 것이고, 고정 연결 플레이트는 참조 번호 11을 가질 것이다. 실제로, 도면은 제1 연결 플레이트(10)가 가동 연결 플레이트이고, 제2 연결 플레이트(11)가 고정 연결 플레이트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또한 제1 연결 플레이트(10)가 고정 연결 플레이트이고 제2 연결 플레이트(11)가 가동 연결 플레이트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연결 플레이트(11)를 포함하는 공구 홀더(3)의 전면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플레이트는 자신이 장착되는 공구 홀더(3)의 본체(15)의 일부와 함께 단일 부품을 형성한다. 고정 연결 플레이트(11)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4)는 바람직하게는 암 커플러이므로, 고정 연결 플레이트(11)의 어떤 요소도 자신이 장착되는 공구 홀더(3)의 본체(15)의 부분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다. 단지 예로서 제공된 이 도면에서, 고정 연결 플레이트(11)는 5 개의 암 유압 커플러(14a) 및 8 개의 핀을 갖는 1 개의 암 전기 커플러(14b)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 상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3)는 수 커플러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만 주어진 이 도면에서, 상기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다섯개의 수 유압 결합기(13a)와 8개의 핀을 갖는 한 개의 수 전기 커플러(13b)를 포함한다.
중심 맞춤 장치(12)는, 상기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서로 중심 맞춤되고, 그의 커플러(13, 14)는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홀더(3)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중심 맞춤 장치(12)는 상기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곡선 궤적을 따라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 고정 연결 플레이트(11)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맞춤 장치(12)는 제1 연결 플레이트(10) 바로 옆 또는 위의 공구(4)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요소(16) 및 제2 연결 플레이트(11) 바로 옆 또는 위의 공구 홀더(3)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요소(17)를 포함한다.
중심 맞춤 장치(12)는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 플레이트(10)의 양측에 제공된 2 개의 안내 요소(16 또는 17) 및 제2 연결 플레이트(11)의 양측에 제공된 2 개의 다른 안내 요소(17 또는 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안내 요소(16 또는 17)는 돌출 안내 핑거(18)인 반면, 다른 안내 요소(17 또는 16)는 상기 안내 핑거(18)를 위한 수용 하우징(19)이며, 안내 핑거(18)를 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의 측면 유격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4) 상에 제공된 각각의 안내 요소(16)는 돌출 안내 핑거(18)의 형상을 갖는 반면, 공구 홀더(3) 상에 제공된 각각의 안내 요소(17)는 수용 하우징(19)의 형상을 갖는다. 이전과 같이, 어떠한 요소도 고정 연결 플레이트(11)가 장착된 공구 홀더(3)의 본체(15)의 부분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돌출 요소는 피봇 스틱(1)의 작동 중에 손상될 수 있는 반면, 공구(4)의 후면에 존재하는 돌출 요소는 2 쌍의 수용부(8, 9)가 형상화된 공구(4)의 돌출부(20)에 의해 유리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물론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정 공구 홀더(3)에 유효하며, 이는 공구를 건설 장비에 부착하기 위한 신속하고 가역적인 장치를 포함한다.
중심 맞춤 장치(12)가 2 개의 안내 핑거(18)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수용 하우징(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외부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공구 홀더(3)에 대해, 이러한 구성은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mm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15)의 형상을 갖는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포인트 형상으로 좁아진 자유 단부(21)를 가지며, 안내 핑거(18)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이것이 제공되는 연결 플레이트(10) 상에 또는 바로 옆에 안내 핑거(18)의 장착을 위해 제공되는 플레어 베이스(23)로 끝나는 직선형 중앙부(22)이 뒤따른다. 각각의 안내 핑거(18)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21)는 안내 핑거(18)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25) 쪽으로 및 반대쪽으로 향하는 경사면(24)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용 하우징(19)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핑거(18)가 관통하는 플레어 입구(26)를 포함하고, 이어서 상기 안내 핑거(1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수용 하우징(19)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부분(27)이 뒤따른다.
각각의 안내 핑거(18) 및 각각의 수용 하우징(19)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평면에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1)의 종축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가동 연결 플레이트(10) 상에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직선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제1 연결 플레이트(10)는 식별 칩(28), 바람직하게는 RFID 칩을 포함하고, 제2 연결 플레이트(11)는 칩 리더(29)를 포함한다.
식별 칩(28)은 많은 정보, 특히 공구 홀더가 연결되는 공구를 식별하고 공구가 제조자의 권장 사항에 따라 사용되기 위하여 장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공구에 특정한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 상에 가동 장착되는 베이스(30)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30)는 각각이 안내 개구부(32)를 형성하고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의 양측에 제공되는 컷아웃(31)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는 컷아웃(31) 중 하나에 슬라이드식으로 하우징되는 돌출 요소(33)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 요소(33)는 바람직하게는 컷아웃(31)의 내부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안내 롤러(34)의 형상을 갖는다. 안내 롤러(34)는 모두 단일 평면으로 제공되며, 이 평면은 도면에서 수평이다.
공구(4)가 공구 홀더(3)에 장착될 때, 베이스(30)의 컷아웃(31)은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1)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위치한다.
각각의 컷아웃(31)은 바람직하게는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컷아웃(31)의 종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플레어(35)되는 선단을 가지며, 이 플레어(35)는 공구(4)가 공구 홀더(3)에 장착되는 경우에 공구 홀더(3)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면에서 플레어(35)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컷아웃(31)의 우측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컷아웃(31)은 그 내부의 안내 롤러(34)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종 방향 단부에서 닫히거나 또는 폐쇄되어,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항상 공구(4) 상에 정위치에 있으며, 여기서 중심 맞춤 장치(12)는 상기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조립되는 경우에 고정 연결 플레이트(11)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플레어(35)는 이 부분에서 먼지 또는 모래의 축적을 피하기 위해 제공된 개방 슬릿(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특정 공구(4) 및 건설 장비에 공구를 부착하기 위한 신속하고 가역적인 장치를 포함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공구 홀더(3)를 장착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의 동작을 살펴볼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공구(4)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베이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공구(4)는 공구 홀더(3)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공구 홀더(3)의 한 쌍의 홀딩 차축(6)은 공구(4)의 한 쌍의 수용부(9)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공구 홀더(3)의 다른 한 쌍의 홀딩 차축(5)은 피봇(도 4 참조)에 의해 공구(4)의 다른 한 쌍의 수용부(8)를 향하게 된다.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는 서로 더 가깝게되고, 각각의 안내 핑거(18)의 자유 단부(21)는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의 플레어 입구(26)와 접촉하게 된다.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은 공구(4)에 부유식으로 장착되며, 또한 각각의 안내 핑거(18)가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과 접촉할 때 그 위치가 가변적이다.
가동 연결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의 안내 개구(32) 및 공구 홀더(3)의 안내 롤러(34)가 제공되어, 공구(4)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의 다양한 가능한 가장 먼 위치에서, 공구 홀더(3)의 홀딩 차축(5)의 다른 쌍이 피봇에 의해 공구(4)의 수용부(8)의 다른 쌍에 더 가까이 있는 경우, 각각의 안내 핑거(18)의 자유 단부(21)는 항상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의 플레어 입구(26)와 접촉하게 된다.
공구(4)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가능한 가장 먼 위치가 도 5a, 5b 및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공구(4)에 대해 가장 먼 전면 위치에 있으며, 이는 안내 롤러(34)가 가동 연결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의 안내 개구(32)의 후면부(37)에 대해 정지되는, 도면에서 우측에 대해 가장 먼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 위치에서,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서로 더 가까이 있는 경우, 각각의 안내 핑거(18)의 경사면(24)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의 플레어 입구(26)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미끄러진다. 다른 램프에 대한 하나의 램프의 슬라이딩은 각각의 안내 핑거(18)가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되도록 가동 연결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를 슬라이딩시킨다.
도 5b에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공구(4)에 대해 먼 후방 위치에 있으며, 이는 안내 롤러(34)가 가동 연결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의 안내 개구(32)의 전면부(38)에 대해 정지되는, 도면에서 좌측에 대해 가장 먼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 위치에서,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서로 더 가까이 있는 경우,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의 플레어 입구(26)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미끄러진다. 이 슬라이딩은 가동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로 미끄러져서 각각의 안내 핑거(18)가 이와 연관된 수용 하우징(19)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도 5c에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공구(4)에 대해 멀리 피봇된 위치에 있으며, 이는 한 쌍의 안내 롤러(34)가 가동 연결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의 각각의 컷아웃(31)의 플레어(35)의 바닥에서 정지됨을 의미한다. 이 위치에서,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서로 더 가까이 있는 경우,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의 플레어 입구(26)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미끄러진다. 이 슬라이딩은 가동 안내 플레이트(10)가 제공되는 베이스(30)를 피봇하여, 각각의 안내 핑거(18)가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심 맞춰지도록 위치된다.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서로를 향할 때,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이와 관련된 수용 하우징(19)에 대해 중심 맞춰져서, 그의 수용 하우징(19) 내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미끄러진다. 이 운동 동안,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운동을 따르기 위해 공구(4)에 대해 피봇 및 슬라이딩 한다(도 6 참조).
중심 맞춤 장치(12)로 인해 완벽하게 중심 맞춰진 2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는 접촉될 때까지 서로에 대한 실질적 직선 병진 이동에 의해 서로 더 가깝게 된다. 연결 플레이트(10, 11)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3, 14)는 각각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맞물린다. 이 위치에서, 공구 홀더(3)의 한 쌍의 홀딩 차축(6)은 공구(4)의 한 쌍의 수용부(9)에 수용되는 반면, 공구 홀더(3)의 다른 한 쌍의 홀딩 차축(5)은 공구(4)의 다른 한 쌍의 수용부(8)에 대향한다(도 7 참조). 공구 홀더(3)의 모든 홀딩 차축(5, 6)은 공구(4)의 수용부(8, 9)와 동일한 평면에 있다. 롤러는 베이스(30)의 각각의 안내 개구(32)의 전방 부분(38)(도면의 우측)에 대해 정지하는 가장 먼 위치에 있다.
공구(4)는 잠금 실린더(7)에 의해 공구 홀더(3)의 다른 한 쌍의 홀딩 차축(5)을 공구(4)의 수용부(8)의 바닥으로 병진 이동시켜 공구 홀더(3)에 고정된다. 두 개의 연결 플레이트(10, 11)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가동 연결 플레이트(10)는 이동을 따르기 위해 공구(4)에 대해 전방으로 미끄러진다(도 8 참조). 롤러는 베이스(30)의 각각의 안내 개구(32)의 후방 부분(37)(도면의 좌측)에 대해 정지된 원거리 위치에서 발견되며, 이는 공구 홀더(3) 상의 공구(4)의 잠금 위치에 대응한다.
이 위치는 또한 도 9의 전면 및 도 10의 단면에서 도시되며, 연결 플레이트(10, 11)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3, 14)가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현저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가 건설 장비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신속하고 가역성 장치를 포함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정 공구 홀더(3)만을 위해 제공된 것은 아님을 상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작동은 공구(4) 및 공구 홀더(3)의 구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가 장착된 공구 홀더(3)는 또한 임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없는 공구(4)와의 조립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가능성은 공구 홀더(3)에 제공된 제2 연결 플레이트(11)에 보호 장치(39)가, 예를 들어 전기, 공압 및/또는 하이브리드 커플러(14) 위에 배치되는 가요성 고무-타입 플레이트가 장착된 강성 금속 보호 커버의 형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보호 장치(39)는 수동으로 배치된다.
두 번째 가능성은 공구(4)에 보호를 위하여 공구 홀더(3)에 제공된 제2 연결 플레이트(11)에 지지되는 보호 장치(40)가 장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보호 장치(40)는 제2 연결 플레이트(11)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4)와 맞물리도록 제공된 돌출 요소를 가질 수 있는 고무 또는 이와 동등한 블록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보호 장치(40)는 공구(4)에 유지된다.
제2 연결 플레이트(11)에 보호 장치(39)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가 장착된 공구 홀더(3)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도 12는 보호 장치(40)가 장착된 가역 버킷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두 보호 장치(39, 40)는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없는 공구(4)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연결 장치(2)를 보호하기 위한 두 가지 대안임이 주목된다.
이 설명은 명시적으로 설명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구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기술된 하나의 기술적 특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동등한 기술적 특성으로 대체될 수 있고, 방법의 구현의 기능적 단계는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동등한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15)

  1.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에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1)의 자유 단부 상에 장착된 공구 홀더(3)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및 자동 결합을 가능케하는 자동 연결 장치로서, 상기 자동 연결 장치(2)는:
    공구(4) 상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상기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3)를 포함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10);
    공구 홀더(3) 상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상기 공구 홀더(3)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커플러(14)를 포함하는 제2 연결 플레이트(11);
    공구 홀더(3) 및/또는 공구(4) 상에 제공되며, 상기 공구(4)가 상기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 및 조립되는 경우에, 공구(4)의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홀더(3)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10, 11)가 상호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커플러들(13, 14)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중심 맞춤 장치(12);
    를 포함하되,
    고정 연결 플레이트라 칭하는 연결 플레이트들(10 또는 11)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플레이트들(10 또는 11)이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공되는 공구 홀더(3) 또는 공구(4)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되고; 또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라 칭하는 다른 연결 플레이트(11 또는 10)는, 연결 플레이트들(10 또는 11)이 상대적으로 피봇 및 슬라이딩 식의 양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공구 홀더(3) 또는 공구(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10)의 양측에 제공된 2 개의 안내 요소(16)와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11)의 양측에 제공된 2 개의 다른 안내 요소(1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안내 요소(16, 17)는 돌출 안내 핑거(18)인 반면, 다른 안내 요소(17, 16)는 상기 안내 핑거(18)를 위한 수용 하우징(19)으로서, 안내 핑거(18)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포인트 형상으로 좁아지는 자유 단부(21)와, 이어서 안내 핑거(18)의 종축을 따라 연장하며 안내 핑거가 제공되는 연결 플레이트(10, 11) 위에 또는 바로 옆에 안내 핑거(18)의 장착을 위해 제공되는 플레어된 베이스(23)에서 마감하는 직선 중앙부(22)를 가지고,
    각각의 안내 핑거(18)는, 상기 안내 핑거(18)의 운동에 따라 상기 가동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공구 홀더(3) 또는 상기 공구(4)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연결 플레이트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맞춤 장치(12)는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조립될 때 곡선 궤적을 따라 고정 연결 플레이트에 대한 가동 연결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 맞춤 장치(12)는 제1 연결 플레이트(10) 바로 옆 또는 제1 연결 플레이트(10) 상의 공구(4)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요소(16) 및 제2 연결 플레이트(11) 바로 옆 또는 위의 공구 홀더(3)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요소(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안내 요소(17, 16)는, 안내 핑거(18)를 2mm 미만의 측면 유격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핑거(18)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21)는 안내 핑거(18)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25)의 전방 및 반대쪽으로 향하는 경사면(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10)는 상기 공구(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면,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11)는 상기 공구 홀더(3)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10)는 식별 칩(28)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11)는 칩 리더(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가동 연결 플레이트는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30)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30)는 각각 안내 개구(32)를 형성하고 가동 연결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되는 컷아웃(31)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4) 또는 공구 홀더(3)는 돌출 요소(33)를 포함하며, 이들 돌출 요소(33) 각각은 컷아웃(31) 중 하나 내에 슬라이딩 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 요소(33)는 각각 컷아웃(31)의 내부 높이 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안내 롤러(34)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공구(4)가 공구 홀더(3)에 장착될 때, 베이스(30)의 컷아웃(31)은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의 스틱(1)의 종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각의 컷아웃(31)은 컷아웃(31)의 종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플레어되는 단부(35)를 가지며, 이 플레어는 공구(4)가 공구 홀더(3) 상에 장착되는 경우 공구 홀더(3)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결 장치(2).
  15. 공구(4)를 운반하는 공구 홀더(3)가 장착된 스틱(1)을 포함하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 연결 장치(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또는 공공 작업 장비.
KR1020207011846A 2017-10-26 2018-10-10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KR102578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0095A FR3072981B1 (fr) 2017-10-26 2017-10-26 Dispositif de connexion automatique entre un outil et un porte-outil d'engin de chantier ou de travaux publics
FR1760095 2017-10-26
PCT/FR2018/052512 WO2019081831A1 (fr) 2017-10-26 2018-10-10 Dispositif de connexion automatique entre un outil et un porte-outil d'engin de chantier ou de travaux publ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488A KR20200072488A (ko) 2020-06-22
KR102578062B1 true KR102578062B1 (ko) 2023-09-13

Family

ID=6113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846A KR102578062B1 (ko) 2017-10-26 2018-10-10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560688B2 (ko)
EP (1) EP3701092B1 (ko)
JP (1) JP6965458B2 (ko)
KR (1) KR102578062B1 (ko)
CN (1) CN111279033B (ko)
AU (1) AU2018356833B2 (ko)
CA (1) CA3079635A1 (ko)
ES (1) ES2953637T3 (ko)
FR (1) FR3072981B1 (ko)
MX (1) MX2020004252A (ko)
PL (1) PL3701092T3 (ko)
WO (1) WO2019081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1747U1 (de) * 2019-03-27 2020-06-30 Kinshofer Gmbh Schnellwechsler für Baumaschinenwerkzeuge
DE102020110523A1 (de) 2020-04-17 2021-10-2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Schnellkupplung mit Zentriervorrichtung
CN113123385B (zh) * 2021-04-16 2022-03-18 湖南大学 一种用于应急救援工程装备的全自动快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287A1 (en) 2001-03-09 2002-10-31 Rolf Mieger Quick coupling
US20060022455A1 (en) 2004-08-02 2006-02-02 Rolf Mieger Hydraulic quick coupling
US20060271263A1 (en) 2005-05-27 2006-11-30 Self Kelvin P Determination of remote control operator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905A (en) * 1980-08-22 1983-09-13 J. I. Case Company Operating mechanism for a swing mechanism valve
JPH0480434A (ja) * 1990-07-20 1992-03-13 Kubota Corp ローダ車輌の油圧継手装置
JPH05311689A (ja) * 1992-05-14 1993-11-22 Iida Tekko:Kk 建設機械のアームへの作業装置取付け構造
US5983535A (en) * 1997-03-10 1999-11-16 Clark Equipment Company Fastener secured frame for boom mounted quick change bracket
DE29810118U1 (de) * 1998-06-05 1998-10-29 Scherhaufer Kremmer Helmut Arbeitsmaschine
DE102004014824B4 (de) * 2004-03-24 2019-08-01 Lehnhoff Hartstahl Gmbh Schnellwechselvorrichtung mit einer hydraulischen Kupplung für die Medien an einem Baugerät
EP2683879B1 (en) * 2011-03-10 2014-12-31 Clark Equipment Company Implement coupling system for a power machine
WO2015040719A1 (ja) * 2013-09-19 2015-03-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DE102014119748A1 (de) * 2014-12-31 2016-06-30 Lehnhoff Hartstahl Gmbh & Co. Kg Schnellwechsler und Adapter einer Schnellwechselvorrichtung
CN205530418U (zh) * 2016-02-25 2016-08-31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推土机铲刀机构
JP6085710B1 (ja) * 2016-04-28 2017-02-22 東空販売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監視システム
DE202019101747U1 (de) * 2019-03-27 2020-06-30 Kinshofer Gmbh Schnellwechsler für Baumaschinenwerkzeu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287A1 (en) 2001-03-09 2002-10-31 Rolf Mieger Quick coupling
JP2002348905A (ja) * 2001-03-09 2002-12-04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急速継手
US20060022455A1 (en) 2004-08-02 2006-02-02 Rolf Mieger Hydraulic quick coupling
US20060271263A1 (en) 2005-05-27 2006-11-30 Self Kelvin P Determination of remote control operator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07767A2 (pt) 2020-10-06
CN111279033A (zh) 2020-06-12
EP3701092B1 (fr) 2023-08-23
KR20200072488A (ko) 2020-06-22
FR3072981B1 (fr) 2021-03-19
CN111279033B (zh) 2022-04-08
US11560688B2 (en) 2023-01-24
AU2018356833A1 (en) 2020-05-07
EP3701092C0 (fr) 2023-08-23
MX2020004252A (es) 2020-07-29
PL3701092T3 (pl) 2023-11-06
CA3079635A1 (fr) 2019-05-02
FR3072981A1 (fr) 2019-05-03
US20200291599A1 (en) 2020-09-17
JP2021509702A (ja) 2021-04-01
ES2953637T3 (es) 2023-11-14
WO2019081831A1 (fr) 2019-05-02
JP6965458B2 (ja) 2021-11-10
AU2018356833B2 (en) 2024-03-21
EP3701092A1 (fr)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062B1 (ko) 건설 또는 공공 작업 기계의 공구와 공구 홀더 사이의 자동 연결을 위한 장치
CN111655436B (zh) 用于在不同位置之间传送夹紧装置的卡接定位装置
US7168908B2 (en) Work tool coupling device for a machine
EP1770221B1 (en) Working machine with an extendable blade
US11441290B2 (en) Quick-hitch for construction vehicle tools
KR102237537B1 (ko) 퀵 체인지 디바이스
EP2677087B1 (en) Cross-link assembly for a dangling worktool
US7815458B2 (en) Power source coupling and coupler having a power source coupling
US9751472B2 (en) Tool rack attachment
US20210381192A1 (en) Adapter for a quick-change system and quick-change system with such an adapter
US20200299921A1 (en) Adapter for a quick-change system and quick-change system having such an adapter
KR20000019841A (ko) 굴삭기의 작업기구 교환장치
US20200283989A1 (en) Quick-change system, adapter and quick coupler
EP2487300A1 (en) A contamination cover apparatus for the hydraulic hoses of a work machine
CA2886709C (en) Quick coupler for reversible coupling
US10106949B2 (en) Coupler for an implement assembly
US20240117603A1 (en) Universal Hydraulic Connecting Quick Coupler System
JP2005090197A (ja) 作業車両のアタッチメント装着用アダプタ
US10378174B2 (en) Interface for coupling work tool to machine
KR20230110862A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멀티 연결장치
CN1947956B (zh) 电动工具机
KR20230110863A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마운트
IT202100001157A1 (it) Macchina di tipo movimento terra, comprendente un braccio operativo di tipo configurabile, e relativi metodo e gruppo adattatore per configurare detto braccio operativo
CZ33899U1 (cs) Rychloupínací zařízení, zejména pro upínání nářadí a přídavných zařízení ke stavebním strojů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