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590B1 - 중량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590B1
KR102576590B1 KR1020210088981A KR20210088981A KR102576590B1 KR 102576590 B1 KR102576590 B1 KR 102576590B1 KR 1020210088981 A KR1020210088981 A KR 1020210088981A KR 20210088981 A KR20210088981 A KR 20210088981A KR 102576590 B1 KR102576590 B1 KR 10257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rail member
conveying
weigh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826A (ko
Inventor
에미 미즈노
헤이노스케 시오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22001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3Support or suspension of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과제) 본체가 설치될 장소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본체를 분리형으로 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어서 통상보다 부하나 비용이 드는 과제가 있다.
(해결 수단) 중량 검사 장치(100)는 반송부(20), 계량부(30), 본체(40), 프레임(50)을 포함한다. 반송부(20)는 피검사물(P)을 반송한다. 계량부(30)는 반송부(20) 상의 피검사물(P)의 중량을 계량한다. 본체(40)는 계량부(30)가 행하는 계량에 관한 화면(42a)을 가진다. 프레임(50)은 반송부(20)와 계량부(30)를 고정한다. 프레임(50)은 반송부(20)의 반송 방향(TD)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51a, 51b, 51c, 51d)를 가진다. 본체(40)는 반송부(20) 및 계량부(30)와는 독립적이며,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부재(51a, 51b)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중량 검사 장치{WEIGHT INSPECTION APPARATUS}
중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 제6062745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기본적으로는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062745호
특허문헌 1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원래 본체를 설치할 장소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본체를 분해하여, 본체를 분리형으로 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어서 통상보다 부하나 비용이 드는 과제가 있다.
제1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반송부, 계량부, 본체, 프레임을 포함한다. 반송부는 피검사물을 반송한다. 계량부는 반송부 상의 피검사물의 중량을 계량한다. 본체는 계량부가 행하는 계량에 관한 화면을 가진다. 프레임은 반송부와 계량부를 고정한다. 프레임은 반송부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를 가진다. 본체는 반송부 및 계량부와는 독립적이며,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부재에 설치된다.
제1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반송부 및 계량부와는 독립적이며,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부재에 설치된다. 그 결과, 원래 본체가 설치될 장소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라도, 본체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하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중량 검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1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본체는 자신의 하중을 레일부재에 가해진 상태로,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자신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자신의 하중을 레일부재에 가해진 상태로,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자신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를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쉽게 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3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2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본체는 자신과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품으로써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본체는 고정구를 조임으로써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진다.
제3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자신과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품으로써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본체는 고정구를 조임으로써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정구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가능 여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4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프레임은 레일부재로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레일부재 및 제2 레일부재를 가진다.
제4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프레임은 레일부재로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레일부재 및 제2 레일부재를 가진다. 그 결과,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레일부재에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제5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프레임은 레일부재와는 별도로 반송부 및 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가진다.
제5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프레임은 레일부재와는 별도로, 반송부 및 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가진다. 그 결과, 반송부 및 계량부와는 관계없이 본체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6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레일부재의 길이는 본체의 반송 방향의 길이의 2배보다 크다.
제6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레일부재의 길이는 본체의 반송 방향의 길이의 2배보다 크다. 그 결과, 2개의 중량 검사 장치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 2개의 본체를 반송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7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중량 검사 장치로서, 본체는 반송부, 계량부 및 레일부재에 대하여 자신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제7 관점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반송부, 계량부 및 레일부재에 대하여 자신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그 결과, 본체가 가지는 계량에 관한 화면의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중량 검사 장치는 본체의 반송 방향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중량 검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중량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체와 레일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체와 레일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2개의 중량 검사 장치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2개의 중량 검사 장치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레일부재와 다리부재를 고정구를 사용하여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레일부재와 다리부재를 고정구를 사용하여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1B에 있어서의 방법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된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예 1B에 있어서의 본체와 레일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변형예 1B에 있어서의 본체와 레일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 1B에 있어서의 본체와 레일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전체 구성
이하, 방향과 위치 관계를 설명할 때에 '전(前)', '후(後)', '상(上)', '하(下)', '상류(上流)', '하류(下流)'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1 등의 화살표를 따라 '전', '후', '상', '하', '상류', '하류'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도 1은 중량 검사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중량 검사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량 검사 장치(100)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피검사물(P)의 중량이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의 검사를 행한다. 이하, 상류 및 하류의 방향을 반송 방향(TD)이라고 기재한다.
중량 검사 장치(100)는 주로 반송부(20), 계량부(30), 본체(40), 프레임(50)을 포함한다.
(2) 상세 구성
(2-1) 포집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부(10)는 상류측으로부터 피검사물(P)을 수취하여 하류에 있는 계량부(30)에 해당 피검사물(P)을 반송한다. 포집부(10)는 포집 컨베이어(11)와 구동부(12)를 구비한다.
포집 컨베이어(11)는 피검사물(P)을 반송한다. 포집 컨베이어(11)는 컨베이어 프레임(111), 구동 롤러(112a) 및 종동(從動) 롤러(112b), 반송 벨트(113)를 가진다. 컨베이어 프레임(111)은 포집 컨베이어(11)의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54)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롤러(112a) 및 종동 롤러(112b)는 컨베이어 프레임(111)의 반송 방향(TD)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반송 벨트(113)는 구동 롤러(112a) 및 종동 롤러(112b) 사이에 감겨 걸린 무단(無端)형 벨트이다.
구동부(12)는 포집 컨베이어(11)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2)는 구동 모터(122), 모터 박스(121)를 가진다. 구동 모터(122)는 구동 롤러(112a)를 회전시킨다. 모터 박스(121)는 구동 모터(122)를 수용한다. 모터 박스(121)는 지지부재(54)에 고정된다. 구동 모터(122)를 동작시키면, 구동 모터(122)의 구동력이 미도시의 타이밍 벨트를 개재하여 구동 롤러(112a)에 전달되어, 구동 롤러(112a)를 주도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구동 롤러(112a)와 종동 롤러(112b) 사이에서 반송 벨트(113)가 회전운동하고, 반송 벨트(113) 상의 피검사물(P)이 계량부(30)에 반송된다.
(2-2) 반송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부(20)는 피검사물(P)을 반송한다. 반송부(20)는 포집부(10)로부터 수취한 피검사물(P)을 하류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계량 컨베이어이다.
반송부(20)는 컨베이어 프레임(21), 구동 롤러(22a) 및 종동 롤러(22b), 반송 벨트(23)를 가진다.
컨베이어 프레임(21)은 반송부(20)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55)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롤러(22a) 및 종동 롤러(22b)는 컨베이어 프레임(21)의 반송 방향(TD)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반송 벨트(23)는 구동 롤러(22a) 및 종동 롤러(22b) 사이에 감겨 걸린 무단형 벨트이다.
반송부(20)는 계량부(30)와 함께 프레임(50)의 지지부재(53)에 지지된다.
(2-3) 계량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부(30)는 반송부(20) 상의 피검사물(P)의 중량을 계량한다.
계량부(30)는 구동부(31)와 계량 박스(32)를 구비한다.
구동부(31)는 반송부(2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31)는 구동 모터(311)와 모터 박스(312)를 가진다. 구동 모터(311)는 구동 롤러(22a)를 회전시킨다. 모터 박스(312)는 구동 모터(311)를 수용한다. 모터 박스(312)는 지지부재(55)에 고정된다. 모터 박스(312) 내의 구동 모터(311)를 동작시키면, 구동 모터(311)의 구동력이 미도시의 타이밍 벨트를 개재하여 구동 롤러(22a)에 전달되어, 구동 롤러(22a)를 주도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구동 롤러(22a)와 종동 롤러(22b) 사이에서 반송 벨트(23)가 회전운동하고, 반송 벨트(23) 상의 피검사물(P)이 하류측에 반송된다.
계량 박스(32)는 프레임(50)의 지지부재(53)에 지지된다. 계량 박스(32)는 로드 셀(321)을 수용한다. 로드 셀(321)은 반송부(20)에 피검사물(P)이 올려 놓아짐으로써 생기는 변형의 변화를 검출하고, 반송부(20)에 놓아진 피검사물(P)의 중량을 계량한다.
(2-4) 본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0)는 계량부(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체(40)는 몸통부(46), 제어부(41), 디스플레이(42), 전원 스위치(43), 설치 브래킷(44a, 44b)을 가진다.
몸통부(4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가 긴 케이스이다.
제어부(41)는 몸통부(46)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어부(41)는 중량 검사 장치(1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1)는 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를 가지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 모터(122, 311)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41)는 구동 모터(122, 31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1)는 로드 셀(321)로부터 출력된 계량 신호를 수신하고, 계량 신호에 의해 나타내지는 계량값이 소정의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디스플레이(42)는 본체(40)의 상부에 화면(42a)을 전방을 향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42)의 화면(42a)에는, 계량부(30)가 행하는 계량에 관한 내용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2)의 화면(42a)에는, 제어부(41)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 등이 표시된다.
전원 스위치(43)는 중량 검사 장치(100)의 전원의 온 오프를 행한다.
설치 브래킷(44a, 44b)은 몸통부(46) 하면의, 반송 방향(TD)의 양단에 용접된다. 설치 브래킷(44a)은 상류측에 용접된다. 설치 브래킷(44b)은 하류측에 용접된다. 설치 브래킷(44a, 44b)은 본체(40)를 레일부재(51b)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2-5) 프레임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0)은 레일부재(51a~51d), 다리부재(52a~52d), 빔부재(58a, 58b), 지지부재(53)를 가진다.
레일부재(51a~51d)는 반송부(20)의 반송 방향(TD)으로 연장된다. 레일부재(51a~51d)는 후방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51a)(제1 레일부재(51a)) 및 레일부재(51b)(제2 레일부재(51b))와, 전방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부재(51c) 및 레일부재(51d)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부재(51a~51d)의 길이는 본체(40)의 반송 방향(TD)의 길이의 2배보다 크다.
본체(40)의 몸통부(46)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측면과 레일부재(51a)는 고정구(57a, 57b)에 의해 설치된다. 도 3은 본체(40)와 레일부재(51a)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57a)는 설치부재(57a1, 57a2)와 나사(57a3, 57a4)를 가진다. 레일부재(51a)는 설치부재(57a1)와 설치부재(57a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부재(57a1)와 설치부재(57a2)는 2개의 나사(57a3)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설치부재(57a1)는 4개의 나사(57a4)에 의해 몸통부(46)의 상류측의 측면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또, 고정구(57b)는 설치부재(57b1, 57b2)와 나사(57b3, 57b4)를 가진다. 레일부재(51a)는 설치부재(57b1)와 설치부재(57b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부재(57b1)와 설치부재(57b2)는 2개의 나사(57b3)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설치부재(57b1)는 4개의 나사(57b4)에 의해 몸통부(46)의 하류측의 측면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본체(40)의 설치 브래킷(44a, 44b)과 레일부재(51b)는 고정구(57c, 57d)에 의해 설치된다. 도 4는 본체(40)와 레일부재(51b)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정구(57c)는 설치부재(57c1)와 나사(57c2)를 가진다. 레일부재(51b)는 설치 브래킷(44a)과 설치부재(57c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 브래킷(44a)과 설치부재(57c1)는 4개의 나사(57c2)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로 향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4에는, 설치 브래킷(44a)의 상류측의 2개의 나사구멍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 고정구(57d)는 설치부재(57d1)와 나사(57d2)를 가진다. 레일부재(51b)는 설치 브래킷(44b)과 설치부재(57d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 브래킷(44b)과 설치부재(57d1)는 4개의 나사(57d2)에 의해 아래로부터 위로 향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4에는, 설치 브래킷(44b)의 상류측의 2개의 나사구멍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다리부재(52a~52d)는 레일부재(51a~51d)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단부(端部)에 용접된다. 다리부재(52a~52d)는 상류측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리부재(52a) 및 다리부재(52c)와, 하류측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리부재(52b) 및 다리부재(52d)를 가진다. 다리부재(52a~52d)의 하단부는 바닥면에 맞닿아 중량 검사 장치(100)의 전체를 지지한다. 다리부재(52a~52d)에는 각각 하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기구(56a~56d)가 설치된다. 다리부재(52a~52d)는 조절기구(56a~56d)를 조절함으로써 포집부(10), 반송부(20) 및 계량부(30)의, 높이 위치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빔부재(58a, 58b)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부재(58a)의 전후 방향의 양단은 다리부재(52a) 및 다리부재(52c)에 용접된다. 빔부재(58b)의 전후 방향의 양단은 다리부재(52b) 및 다리부재(52d)에 용접된다. 빔부재(58a, 58b)는 다리부재(52a~52d)의 상하 방향의 중간보다 상방에 용접된다.
지지부재(53)는 반송 방향(TD)으로 연장된다. 지지부재(53)의 양단은 빔부재(58a) 및 빔부재(58b)에 건너지른다. 지지부재(53)는 포집부(10), 반송부(20) 및 계량부(30)를 지지한다.
(3) 본체의 반송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40)는 반송부(20) 및 계량부(30)와는 독립적이며,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부재(51a, 51b)에 설치된다.
본체(40)는 자신과 레일부재(51a, 51b)를 고정하는 고정구(57a~57d)를 품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본체(40)는 고정구(57a~57d)를 조임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진다. 본체(40)는 자신의 하중을 레일부재(51b)에 가해진 상태로,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자신의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부재(51a~51d)의 길이는 본체(40)의 반송 방향(TD)의 길이의 2배보다 크다. 이로 인해,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 본체(40, 40')의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상방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도 5의 중량 검사 장치(100')의 본체(40')의 위치를 상류측으로 이동시켜, 2개의 본체(40, 40’)가 반송 방향(TD)으로 배열되도록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전후 방향으로 근접시킨다. 검증한 결과, 도 5에서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의 컨베이어 간의 거리 L1은 950㎜이었다. 도 6에서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의 컨베이어 간의 거리 L2는 785㎜이었다. 이로 인해, 도 6의 배치는 도 5의 배치에 비교하여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가 전후 방향으로 공간 절약으로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4) 특징
(4-1)
종래의 중량 검사 장치에서는, 본체는 기본적으로는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원래 본체가 설치될 장소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본체를 분해하여, 본체를 분리형으로 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필요가 있어서 통상보다 부하나 비용이 드는 과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본체(40)는 반송부(20) 및 계량부(30)와는 독립적이며,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부재(51a, 51b)에 설치된다. 그 결과, 원래 본체(40)가 설치될 장소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라도, 본체(40)의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하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중량 검사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4-2)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본체(40)는 자신의 하중을 레일부재(51b)에 가해진 상태로,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자신의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40)를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쉽게 본체(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4-3)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본체(40)는 자신과 레일부재(51a, 51b)를 고정하는 고정구(57a~57d)를 품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본체(40)는 고정구(57a~57d)를 조임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정구(57a~57d)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가능 여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4-4)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프레임(50)은 레일부재(51a~51d)로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레일부재(51a) 및 제2 레일부재(51b)를 가진다. 그 결과,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레일부재(51a, 51b)에 본체(40)를 설치함으로써 본체(40)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4-5)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프레임(50)은 레일부재(51a~51d)와 별도로 반송부(20) 및 계량부(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3)를 더 가진다. 그 결과, 반송부(20) 및 계량부(30)와는 관계없이 본체(40)의 반송 방향(TD)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4-6)
본 실시형태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레일부재(51a~51d)의 길이는 본체(40)의 반송 방향(TD)의 길이의 2배보다 크다. 그 결과, 2개의 중량 검사 장치(100, 100')를 서로 등을 맞대게 설치할 경우, 2개의 본체(40, 40')를 반송 방향(TD)으로 배열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변형예
(5-1) 변형예 1A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40)는 레일부재(51a, 51b)에 설치되고, 레일부재(51a, 51b)는 다리부재(52a, 52b)에 용접되어 있었다. 그러나, 레일부재(51a, 51b)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리부재(52a, 52b)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본체(40)는 반송부(20), 계량부(30) 및 레일부재(51c, 51d)에 대하여 자신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8은 레일부재(51a, 51b)와 다리부재(52a, 52b)를 고정구(61a~61d)를 사용하여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레일부재(51a, 51b)와 다리부재(52a, 52b)를 고정구(61a~61d)를 사용하여 설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레일부재(51a)와 다리부재(52a)는 고정구(61a)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레일부재(51a)와 다리부재(52b)는 고정구(61b)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레일부재(51b)와 다리부재(52a)는 고정구(61c)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레일부재(51b)와 다리부재(52b)는 고정구(61d)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도 8은 대표로서 레일부재(51a)와 다리부재(52a)를 고정구(61a)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구(61a)는 한 쌍의 설치부재(61a11, 61a12)와 나사(61a2)를 가진다. 설치부재(61a11, 61a12)는 각각 만곡부(61a111, 61a121)와 돌기부(61a112, 61a122)를 가진다. 레일부재(51a)와 다리부재(52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설치부재(61a11)의 만곡부(61a111)와 설치부재(61a12)의 만곡부(61a121)에 의해 다리부재(52a)를 전후 방향으로 둘러싼다. 이 때, 설치부재(61a11)의 돌기부(61a112)와 설치부재(61a12)의 돌기부(61a122)를 끼워 맞춰 고정한다. 그 후, 레일부재(51a)와 설치부재(61a11, 61a12)를 나사(61a2)를 사용하여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나사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부재(51a, 51b)와 다리부재(52a, 52b)를 고정구(61a~61d)를 사용하여 설치해 두면, 고정구(61a~61d)를 품으로써 본체(40)는 반송부(20), 계량부(30) 및 레일부재(51c, 51d)에 대하여, 자신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체(40)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의 좌측 도면은 본체(40)의 높이를 높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9의 우측 도면은 본체(40)의 높이를 낮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5-2) 변형예 1B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레일부재(51a, 51b)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40)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방법에 의해 프레임(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방법에 의해 프레임(50)에 설치된 본체(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0)는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측과 하측의 2 개소에서, 프레임(5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설치부에서는, 본체(40)는 레일부재(51a')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본 변형예에서 본체(40)와 레일부재(51a')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설치부에서는, 본체(40)는 레일부재(51b)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변형예에서 본체(40)와 레일부재(51b)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5-2-1) 상측의 설치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설치부에서는, 본체(40)의 몸통부(46)와 레일부재(51a')가 고정구(90a, 90b)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프레임(50)은 본 실시형태의 레일부재(51a) 대신, 레일부재(51a')를 가진다. 레일부재(51a')는 하면에 반송 방향(TD)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진다. 레일부재(51a')의 홈에는,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90a, 90b)가 설치된다. 도 11에서는, 고정구(90b)를 레일부재(51a')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구(90b)는 설치부재(90b1), 판너트(90b2), 나사(90b3, 90b4), 너트(90b5)를 가진다. 나사(90b4)는 설치부재(90b1)에 용접된다. 판너트(90b2)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레일부재(51a') 내에 삽입된다. 삽입된 판너트(90b2)와 설치부재(90b1)는 나사(90b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고정구(90b)는 나사(90b4) 및 너트(90b5)에 의해 몸통부(46)의 하류측의 측면에,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고정구(90a)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고정구(90a)는 설치부재(90a1), 판너트(90a2), 나사(90a3, 90a4), 너트(90a5)를 가진다. 나사(90a4)는 설치부재(90a1)에 용접된다. 도 11에서는, 고정구(90a)는 레일부재(51a')에 이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판너트(90a2) 및 나사(90a3)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고정구(90a)는 나사(90a4) 및 너트(90a5)에 의해 몸통부(46)의 상류측의 측면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5-2-2) 하측의 설치부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설치부에서는, 레일부재(51b)와 본체(40)의 몸통부(46)가 설치 브래킷(91)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부재(51b)와 설치 브래킷(91)은 고정구(90c, 90d)에 의해 설치된다. 고정구(90c)는 설치부재(90c1)와 나사(90c2)를 가진다. 레일부재(51b)는 설치 브래킷(91)과 설치부재(90c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 브래킷(91)과 설치부재(90c1)는 2개의 나사(90c2)에 의해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12에는, 설치 브래킷(91)의 상류측 상측의 나사구멍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고정구(90d)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고정구(90d)는 설치부재(90d1)와 나사(90d2)를 가진다. 레일부재(51b)는 설치 브래킷(91)과 설치부재(90d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워진다. 설치 브래킷(91)과 설치부재(90d1)는 2개의 나사(90d2)에 의해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12에는, 설치 브래킷(91)의 하류측 2개의 나사구멍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0)의 몸통부(46)와 설치 브래킷(91)은 8개의 나사(92)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치 브래킷(44a, 44b)은 몸통부(46)의 하면에 용접되어 있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설치 브래킷(91)은 몸통부(46)의 하면에 나사결합된다.
본 변형예의 중량 검사 장치(100)에서는, 본체(40)는 자신과 레일부재(51a', 51b)를 고정하는 고정구(90a~90d)를 품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본체(40)는 고정구(90a~90d)를 조임으로써 반송 방향(TD)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정구(90a~90d)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가능 여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20 반송부
30 계량부
40 본체
42a 화면
50 프레임
51a~51d 레일부재
53 지지부재
57a~57d 고정구
100 중량 검사 장치
P 피검사물
TD 반송 방향

Claims (7)

  1. 피검사물을 반송하는 반송(搬送)부,
    상기 반송부 상의 상기 피검사물의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가 행하는 계량에 관한 화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반송부와 상기 계량부를 고정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송부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를 가지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반송부 및 상기 계량부와는 독립적이며, 상기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는 자신의 하중을 상기 레일부재에 가해진 상태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자신의 상기 반송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중량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신과 상기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품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고정구를 조임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불가능해지는, 중량 검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부재로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레일부재 및 제2 레일부재를 가지는, 중량 검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부재와는 별도로 상기 반송부 및 상기 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가지는, 중량 검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는 상기 본체의 상기 반송 방향의 길이의 2배보다 큰, 중량 검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반송부, 상기 계량부 및 상기 레일부재에 대하여 자신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중량 검사 장치.
  7. 삭제
KR1020210088981A 2020-08-05 2021-07-07 중량 검사 장치 KR102576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3280A JP2022029782A (ja) 2020-08-05 2020-08-05 重量検査装置
JPJP-P-2020-133280 2020-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826A KR20220017826A (ko) 2022-02-14
KR102576590B1 true KR102576590B1 (ko) 2023-09-07

Family

ID=7733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81A KR102576590B1 (ko) 2020-08-05 2021-07-07 중량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40121B2 (ko)
EP (1) EP3951330B1 (ko)
JP (1) JP2022029782A (ko)
KR (1) KR102576590B1 (ko)
CN (1) CN114061726A (ko)
ES (1) ES296909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328A1 (ja) * 2022-01-24 2023-07-27 株式会社イシダ 重量検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925A (ja) 1999-09-24 2001-04-03 Yamato Scale Co Ltd 高さ調整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る計量装置
WO2009057426A1 (ja) * 2007-11-02 2009-05-07 Ishida Co., Ltd. 品質検査装置
JP2009115495A (ja) 2007-11-02 2009-05-28 Ishida Co Ltd 重量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6130B2 (en) * 2005-02-09 2009-12-01 Sartorius Mechatronics C & D Gmbh & Co. Kg Check weigher with hollow body and mounting flange
JP6062745B2 (ja) 2013-01-17 2017-01-18 株式会社イシダ 検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925A (ja) 1999-09-24 2001-04-03 Yamato Scale Co Ltd 高さ調整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る計量装置
WO2009057426A1 (ja) * 2007-11-02 2009-05-07 Ishida Co., Ltd. 品質検査装置
JP2009115495A (ja) 2007-11-02 2009-05-28 Ishida Co Ltd 重量検査装置
EP2204642B1 (en) 2007-11-02 2018-06-20 Ishida Co., Ltd. Weight insp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9090T3 (es) 2024-05-16
US11740121B2 (en) 2023-08-29
EP3951330B1 (en) 2023-12-13
EP3951330A1 (en) 2022-02-09
KR20220017826A (ko) 2022-02-14
US20220042841A1 (en) 2022-02-10
JP2022029782A (ja) 2022-02-18
CN114061726A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2414B2 (en) Inspection system
KR102576590B1 (ko) 중량 검사 장치
US8983030B2 (en) Inspection machin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1374634B1 (ko) 인라인 엑스-레이 차폐 도어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엑스-레이 검사시스템
JP5080939B2 (ja) 品質検査装置
JP5064973B2 (ja) 重量検査装置
JP7109913B2 (ja) 搬送コンベヤ及びこ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3597283B2 (ja) パレットの不良検査システム
JP3568661B2 (ja) パレットの不良検査システム
KR20120053603A (ko) 피씨비 검사장치
CN110383018B (zh) 输送和计量装置
JP2019113315A (ja) 計量装置
JP2010066016A (ja) 計量装置
CN115382781A (zh) 应用于光伏行业的高精度称重检测系统及方法
CN115298117A (zh) 模块式带式输送机
JP3429377B2 (ja) 計量コンベア
CN112849917A (zh) 一种重型pcb板输送平台
KR960016093B1 (ko)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JP4429801B2 (ja) 乗客コンベアの検査装置
JP2019113314A (ja) 重量選別機
CN220375603U (zh) 宽度可调的输送装置
KR100876591B1 (ko) 롱레일시트트랙 조립장치
CN214691585U (zh) 一种重型pcb板输送平台
JP2019113313A (ja) 計量装置
JPH06271043A (ja) 荷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