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093B1 -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093B1
KR960016093B1 KR1019920007935A KR920007935A KR960016093B1 KR 960016093 B1 KR960016093 B1 KR 960016093B1 KR 1019920007935 A KR1019920007935 A KR 1019920007935A KR 920007935 A KR920007935 A KR 920007935A KR 960016093 B1 KR960016093 B1 KR 96001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eighing
load cell
belt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07A (ko
Inventor
송학진
Original Assignee
송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학진 filed Critical 송학진
Priority to KR101992000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093B1/ko
Publication of KR9300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본 발명은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항 등의 터미날에서 화물의 중량을 계량하면서 이송시키는 계량 컨베이어부와, 계량 컨베이어부로 이송된 화물을 메인 컨베이어로 운반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부로 구성된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항 등의 터미날에서 승객의 화물을 계량하고 이송하는 방법은 별도로 설치된 계량대에 화물을 올려놓고 화물의 중량을 측정한 다음, 화물을 카운터로 이송시켜 화물에 중량이나 행선지 등을 기재한 표찰을 부착한 후 화물을 메인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승객이 화물을 계량대에 올려놓은 후, 화물이 메인 컨베이어로 이송되기까지 화물을 옮겨놓기 위한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화물을 이송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부피가 큰 화물을 계량기로서 정확하게 계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1,2에 표현된 바와같이 터미날의 카운터에서 화물을 이송시키면서 자동적으로 계량하는 계량 컨베이어(A)와, 계량 컨베이어(A)로부터 이송된 화물을 받아 메인 컨베이어(C)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B)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물을 이송시키면서 중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프레임에 로드셀을 연결시켜 컨베이어 벨트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으로 인하여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로드셀이 구부러지게 하여, 로드셀의 전기저항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화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공고번호 소56-51571호 "벨트웨어"는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프레임의 양단 하측에 브라켓트를 각각 고정하고,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대상에 로드셀을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트에 로드셀의 일단을 링크부재로 직접 연결하여,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의하여 로드셀이 구버러지게 함으로써 화물을 계량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고번호 소61-36893호 "자동계량 컨베이어장치"는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프레임에 대각선상으로 교차된 받침 프레임을 링크부재로 직접 연결하고 상기 받침 프레임에 로드셀의 일단을 연결하여,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화물의 중량이 받침 프레임에 전달되어 로드셀이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로드셀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물을 계량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화물의 계량장치들은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된 프레임과 로드셀의 일단이 링크부재로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상에 무거운 화물이 편향되게 적치된 경우 컨베이어 벨트의 프레임 자체가 화물의 적치위치로 기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셀의 구부러지는 방향도 화물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므로 화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아니라, 다수의 링크부재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프레임을 로드셀과 연결시켜야 하므로 그 조립과정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이 컨베이어 벨트상에 편향되게 위치한 경우에도 화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계측함과 아울러 컨베이어 벨트의 좌우이동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프레임상에 계량 컨베이어 벨트를 간편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의 외형이 표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화물이 이송되는 상태가 표현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가 표현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이 확대되어 표현된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이 표현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구성이 표현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프레임2 : 계량 컨베이어부
3 : 이송 컨베이어부2a,2b,3a,3b : 좌,우측 프레임
4 : 로드셀부11 : 보강바
12 : 스톱퍼13 : 절개부
20,30 : 컨베이어 벨트21,31 : 피동로울러
22,32 : 구동로울러23,34 : 조절로울러
24 : 절개홈25 : 사각판체
26,36,44 : 볼트27 : 브라켓트
31a,41a : 만곡홈41 : 로드셀 지지체
42 : 중공부43 : 로드셀
46 : 볼 베어링60 : 나사봉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상에 위치되고 좌,우측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구동로울러 및 피동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로울러 및 피동로울러에 의하여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각각 설치된 계량 컨베이어부 및 이송 컨베이어부와, 상기 계량 컨베이어부와 연결되어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된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계량 컨베이어부의 좌,우측 프레임의 내측면 전,후방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형성된 구멍에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하단부에 원판체가 형성된 나사봉과, 상기의 하부프레임에 일측면이 고정되고 적어도 상,하부면의 하나의 면에 로드셀이 부착된 로드셀 지지체와, 상기 원판체의 저면부 및 로드셀 지지체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만곡홈에 위치되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계량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상에 화물이 적치되면 화물의 중량이 상기 브라켓트, 나사봉 및 볼 베어링을 통하여 로드셀에 전달되어 화물의 중량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1)의 전방부 상측에 위치되는 계량 컨베이어부(2)와, 하부프레임(1)의 후반부 상측에 고정되는 이송 컨베이어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하부프레임(1)은 그 전반부에 한쌍의 보강바(11)가 하부프레임(1)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보강바(11)의 양단 일측에 각각 스톱퍼(2) 상단부가 하부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바(11)의 일단에는 각각 절개부(13)와 나사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의 스톱퍼(12)에도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계량 컨베이어부(2)는 좌,우측 프레임(2a)(2b)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프레임 사이에 피동로울러(21), 구동로울러(22) 및 조절로울러(23)가 각각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로울러(21)와 구동로울러(22)를 감싸도록 컨베이어 벨트(20)가 설치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로울러(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부면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로울러(23)는 그 축이 좌,우측 프레임(2a)(2b)의 외측면에 고정된 지지체(50)의 장홈(51)에 끼워져 있고 상기의 지지체(50)의 하측에는 조절볼트(5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52)를 회전함에 따라 조절로울러(23)가 상승되거나 하강하여 컨베이어 벨트(2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좌,우측 프레임(2a)(2b)의 선단부에는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24)에 피동로울러(21)의 축이 회전가능토록 삽입되어 있고, 절개홈(24)의 후방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사각판체(25)가 좌,우측 프레임(2a)(2b)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나사구멍에 볼트(2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볼트(26)를 회전함에 따라 피동로울러(21)가 진퇴되어 벨트 컨베이어(2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측 프레임(2a)(2b)의 전,후단부 내측에는 브라켓트(27)가 각각 볼트(5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브라켓트(27)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봉(60)이 나사결합되어 그 상단부는 부싱(62)을 개재한 상태로 넛트(63)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의 나사봉(60)은 하단부가 원판체(61)로 형성되고 그 원판체(61)의 저면에는 만곡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프레임(1)의 보강바(11) 양단에는 각각 볼트(44)에 의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탄성체로 제조된 로드셀 지지대(41)의 일측면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로드셀 지지체(41)의 중앙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하부면에 각각 로드셀(43)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로드셀 지지체(41)의 일측 상부면에 만곡홈(41a)이 형성되어 그 만곡홈(41a)과 원판체(31)의 만곡홈(31a) 사이에 볼 베어링(46)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의 좌,우측 프레임(2a)(2b)의 하측부는 보강바(11)에 형성된 절개부(13)에 삽입되어 있어, 컨베이어 벨트(20)상에 화물이 적치되면 그 좌,우측 프레임(2a)(2b)의 하측부가 절개부(13)에 안내되어 하강되고, 화물의 중량은 브라켓트(27), 나사봉(60) 및 볼 베어링(46)을 통하여 로드셀 지지체(41)로 전달되고, 상기의 좌,우측 프레임(2a)(2b)은 상기의 절개부(13)에 의하여 좌,우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에 고정된 스톱퍼(12)의 나사구멍(14)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의 선단부가 나사구멍(14)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계량 컨베이어부(2)의 좌,우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 컨베이어부(3)는 좌,우측 프레임(3a,3b) 사이에 피동로울러(31), 구동로울러(32), 안내로울러(33), 조절로울러(34), 안내로울러(35)가 설치되어,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로울러(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동로울러(31)와 구동로울러(32)를 감싸고 있는 벨트 컨베이어(30)가 안내로울러(33,35)에 안내되면서 그 상부면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필요에 따라 조절로울러(34)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부(3)의 피동로울러(31)도, 계량 컨베이어부(2)의 피동로울러(21)와 마찬가지로 그 축이 좌,우측 프레임(3a,3b)의 절개홈(36)에 끼워져 있어 사각판체(37)에 끼워진 볼트(38)를 회전시켜 피동로울러(31)를 진퇴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을 계량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20)상에 적치시키면, 계량 컨베이어부(2)의 좌,우측 프레임(2a)(2b)은 화물의 중량에 의하여 하강하는데 좌,우측 프레임의 하측부는 보강바(11)의 절개부(13)에 안내되어 하강하면서 브라켓트(27) 및 나사봉(60)이 하강하여 볼 베어링(46)을 하측으로 압박하게 되고, 볼 베어링(46)이 하방으로 압박되면 볼 베어링과 접촉하고 있는 로드셀 지지체(41)의 부위가 하강하여 구부러지게 되고, 로드셀 지지체(41)가 구부러지면 로드셀(43)도 구부러져 로드셀(43)이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른 로드셀(43)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물의 중량이 측정된다.
이때, 로드셀 지지체(41)와 계량 컨베이어부(2)에 고정된 나사봉(60)은 로드셀 지지체(41)에 형성된 만곡홈(61a)과 나사봉(60)의 원판체(61)에 형성된 만곡홈(61a)에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는 볼 베어링(46)에 의하여 간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화물이 컨베이어 벨트(20)상의 편향된 위치에 적치되는 경우에도, 좌,우측 프레임(2a)(2b)이 뒤틀리지 않게 되어 로드셀 지지체(41)가 편향되게 구부러짐이 없이 일정한 방향 즉 볼 베어링(46)과 접촉되는 만곡홈(41a)이 형성된 부위가 직하방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적치된 화물의 위치에 관계없이 화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우측 프레임(2a,2b)의 하측부가 보강바(11)의 절개부(13)에 끼워져 하강하므로 계량 컨베이어부(2)의 좌우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스톱퍼(12)의 외측으로부터 나사구멍(14)을 통하여 볼트(미도시)를 내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좌,우측 프레임(2a,2b)의 좌,우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화물의 중량을 측정한 후 화물에 행선지등이 기재된 표찰을 부착한 다음, 재차 모터(미도시)를 작동시켜 구동로울러(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벨트 컨베이어(20)의 상부면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화물이 이송 컨베이어부(3)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중 벨트 컨베이어(20)가 늘어난 경우에는 볼트(26)를 회전시켜 사각판체(25) 전방으로 돌출시키면 피동로울러(21)가 절개홈(2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컨베이어 벨트(20)가 긴장되게 된다.
계량 컨베이어부(2)로부터 화물이 이송 컨베이어부(3)로 이송되면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이송 컨베이어부(3)의 컨베이어 벨트(31)를 가동시켜 메인 컨베이어로 화물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계량 컨베이어부(2)의 컨베이어 벨트(20)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계량 컨베이어부의 프레임과 로드셀이 볼 베어링에 의하여 간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계량 컨베이어부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계량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상에 화물이 편향되게 위치한 경우에도 로드셀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화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고, 계량 컨베이어부의 좌우측 프레임의 하측부가 하부프레임의 절개부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져 있어 계량 컨베이어부의 좌,우이동이 방지되며, 피동로울러를 진퇴시킴으로써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상에 위치되고 좌,우측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에 구동로울러 및 피동로울러가 설치되고 상기의 구동로울러와 피동로울러에 의하여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각각 설치된 계량 컨베이어부 및 이송 컨베이어부와, 상기 계량 컨베이어부와 연결되어 계량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된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의 계량 컨베이어부의 좌,우측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설치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나사봉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측면이 고정되고 적어도 일면에 하나의 로드셀이 부착된 탄성체의 로드셀 지지체와, 상기 나사봉의 저면부 및 상기 로드셀 지지체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만곡홈에 수용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절개부가 형성된 보강바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스톱퍼가 하부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계량 컨베이어부의 좌,우측 프레임이 상기 한쌍의 스톱퍼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측부가 상기 보강바의 절개부에 안내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피동로울러는 그 양단부의 축이 좌,우측 프레임의 선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고, 상기의 절개홈 후방에 볼트가 나사결합된 판체가 고정되어, 볼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피동로울러가 진퇴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KR1019920007935A 1992-05-11 1992-05-11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KR96001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935A KR960016093B1 (ko) 1992-05-11 1992-05-11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7935A KR960016093B1 (ko) 1992-05-11 1992-05-11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07A KR930023707A (ko) 1993-12-21
KR960016093B1 true KR960016093B1 (ko) 1996-11-27

Family

ID=1933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935A KR960016093B1 (ko) 1992-05-11 1992-05-11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59B1 (ko) * 2008-09-30 2012-02-24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KR101137422B1 (ko) * 2009-10-30 2012-04-26 삼보계량시스템(주) 파이프 컨베이어 스케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58B1 (ko) * 1999-12-28 2003-09-06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중량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59B1 (ko) * 2008-09-30 2012-02-24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KR101137422B1 (ko) * 2009-10-30 2012-04-26 삼보계량시스템(주) 파이프 컨베이어 스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07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896A (en) Belt conveyor weighbridge
KR900008878B1 (ko) 저울 장치
KR101865015B1 (ko)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JPH1048030A (ja) 重量計フィーダおよびベルトスケールの較正チェック装置
KR20040023802A (ko) 계량기형 체인 컨베이어
CN214471220U (zh) 一种称重装置
GB1481832A (en) Conveyors
GB2165365A (en) High-speed transporting and weighing machine
KR960016093B1 (ko)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CN114323217B (zh) 一种高精度皮带秤
KR100377228B1 (ko)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EP0512115B1 (en) Check weigher with aerodynamic correction
JP3153931B2 (ja) 棚荷役装置
BR112019016352B1 (pt) Dispositivo de transporte e medição
CN213932771U (zh) 一种智能数字式双计量皮带秤
KR200225806Y1 (ko)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CN115183847A (zh) 一种高精度测速皮带称重装置
CN113074802A (zh) 一种吊篮式皮带秤标定装置
KR102564517B1 (ko) 모듈형 웨잉피더
JPS6216660Y2 (ko)
CN214748340U (zh) 一种高精度计量带式称重装置
CN214951771U (zh) 用于皮带秤的砝码收放装置及皮带输送装置
JPH0886685A (ja) 計量コンベア
KR100421724B1 (ko) 탑승 수속장용 중량 측정형 벨트 컨베이어
JPS61368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