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479B1 - 보도블럭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도블럭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479B1
KR102576479B1 KR1020210077912A KR20210077912A KR102576479B1 KR 102576479 B1 KR102576479 B1 KR 102576479B1 KR 1020210077912 A KR1020210077912 A KR 1020210077912A KR 20210077912 A KR20210077912 A KR 20210077912A KR 102576479 B1 KR102576479 B1 KR 10257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block
sidewalk
bas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605A (ko
Inventor
김재홍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홍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21007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4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1Ram heads of speci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Feeding several successive layers, optionally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95Treating the surface of the fed layer, e.g. removing material or equalization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on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82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parallel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럭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블럭을 제조하는 모든 공정단계가 자동화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보도블럭 제조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몰탈의 투입부터 제조완성된 보도블럭의 외부 배출까지의 모든 공정이 순차적인 공정에 의해 자동화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다수의 보도블럭을 다수의 형틀을 구비한 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대량생산 또한 가능토록 한 보도블럭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도블럭 제조방법{Footpath block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도로에 사용되는 보도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공원이나 도로의 인도의 지면에 설치되어, 일반인의 보행을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도블럭은 대부분 석재로서,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어, 다 수개의 보도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근래에 와서는 상기한 보도블럭의 소재와 기능을 다양화하고 있는 추세로서, 보도블럭의 투수성과 쿠션감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거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여 보도블럭이 제작되는 등의 다양한 소재와 기능의 보도블럭이 제작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보도블럭은, 보도블럭 자체의 디자인과 장식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설치 시공 후에 보행자에게 길 안내와 유도 등의 기능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특히, 보행자 중 장애인 유도용으로 보도블럭의 상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등의 보도블럭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러한 제조시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화가 되지 않아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의 증가에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3237호(2012.02.2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를 위한 보도블럭을 손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형틀에 몰탈 투입후 배출시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화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시간단축 및 제조효율 상승의 효과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보도블럭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장애인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길 안내 유도용으로 사용되는 장애인 유도블럭의 제조에도 사용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형틀(10)이 형성되며, 형틀(10)간 간격만큼 일방향으로 연속회전되도록 테이블(14)이 설치되는 단계(S100);
상기 형틀(10) 내부에 베이스판(15)이 투입되는 단계(S200);
상기 형틀(10) 내부에 몰탈(A)이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형틀(10) 내부의 몰탈(A)이 다져지는 단계(S400);
상기 형틀(10) 내부 몰탈(A) 상면에 사전설정색상의 색소반죽층(B')이 형성되는 단계(S500);
상기 색소반죽층(B')에 사전설정형상이 형성되어 보도블럭(100)이 완성되는 단계(S600);
상기 보도블럭(100)이 형틀(10)에서 탈거되어 배출되는 단계(S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보도블럭을 제조를 자동화하여 손쉽고 용이한 제조가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도블럭 제조시, 제조시간의 단축, 제조효율 상승, 다양한 형상의 보도블럭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길 안내 유도용으로 사용되는 장애인 유도블럭의 제조에도 사용되는 보도블럭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들럭 제조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들럭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200단계에서 사용되는 베이스판 투입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S300단계에서 사용되는 몰탈 투입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S400단계에서 사용되는 다짐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S500단계에서 사용되는 색소반죽 투입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S600단계에서 사용되는 보도블럭 형상장치에서의 블럭상면 형상판이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6은 상기 도 15 작동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승, 하강부의 제 1, 2하강 단계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상기 도 16 작동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상면 형상판이 투입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상면 형상판이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의 제 1하강 단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의 제 2하강 단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이 형틀에서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S700단계에서 사용되는 배출장치를 통해, 보도블럭이 형틀에서 이동장치를 통해 이송장치까지 운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을 나타낸 도면.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와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 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럭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 제조방법은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를 통해 하기의 S100 ~ S700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1. 다수의 형틀(10)이 형성되며, 형틀(10)간 간격만큼 일방향으로 연속회전되도록 테이블(14)이 설치되는 단계(S100):
상기 테이블(14)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도블럭(100)을 제조하기 위해, 내부에 몰탈(A)이 부어지는 다수의 형틀(10)이 상부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형태를 이루며 연속배치되며, 형틀(10)간 간격만큼 일방향으로 연속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원형의 이러한 테이블(14)에는 공정단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의 형틀(10)이 설치되도록 하고, 이렇게 설치되는 다수의 형틀(10)은 테이블(14) 외측에 상호간 링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후술될 다수의 장치(베이스판 투입장치(20), 몰탈 투입장치(30), 다짐장치(40), 색소반죽 투입장치(50), 보도블럭 형상장치(60), 배출장치(70))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로써, 형틀(10)과 형틀(10) 사이의 간격만큼 한번씩 일방향으로 회전이동될때마다, 각 형틀(10)은 이어지는 또 다른 장치에 대응위치되면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보도블럭의 제조가 완료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틀(10)의 경우, 상기 형틀(10)은 다수의 천공홀(16')이 천공된 지지판(16)이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6)의 상부에 후술될 베이스판(15)이 올려진 상태에서, 베이스판(15) 상부에 보도블럭(100)이 제조완료되면, 상기 지지봉(17)이 천공홀(16')을 관통하여 상부로 상승함에 따라, 베이스판(15) 및 베이스판(15) 상부의 보도블럭(100)이 형틀(10)의 상부측으로 승강되며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형틀(10)은 형틀(10)의 상측 테두리(11) 부분이 테이블(14)과 탄성부재(1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3)가 압착시 형틀(10)의 내부 저면을 제외한 형틀(10) 전체가 테이블(14) 내부로 삽입되며 하강되는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틀(10)을 다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형틀(10)은 투입구(12)가 형성되도록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형틀(10) 내부에는 사전에 지지판(16)이 수평설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판(16)의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봉(17)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후, 이러한 형틀(10) 내부의 지지판(16) 상부면에 또 다른 판재인 베이스판(15)이 올려지게 된다.
이로써, 내부에 부어지는 몰탈(A)은 형틀(10)의 내부에서 베이스판(15) 상부에 부어지게 되는 것이며, 후술될 승하강부(66) 작동시 베이스판(15) 위에 부어진 몰탈(A)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형틀(10)만이 상, 하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틀(10)은 다수개가 원형의 테이블(14)에 상호간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블(14)이 일방향을 향해 일정간격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물론, 다수의 각 형틀(10)에 대응되어 보도블럭 제조에 필요한 후술될 장치들이 설치되어, 형틀(10)이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다수의 장치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보도블럭이 연속적으로 제조되도록 한 것이다.)
2. 상기 형틀(10) 내부에 베이스판(15)이 투입되는 단계(S200):
전술된 S100단계의 형틀(10) 내부에 베이스판(15)을 투입하는 단계로, 이러한 S200단계에서는 베이스판 투입장치(20)를 통해, 이러한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베이스판 투입장치(20)는 도 4,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된 형틀(10)의 내부, 즉 형틀(10)의 내부에 있는 지지판(16)의 상부에 베이스판(15)을 적층시켜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이러한 베이스판(15) 없이 곧바로 몰탈(A)을 부어버리게 되면, 형틀(10) 내에서 상, 하로 이동되는 지지판(16)에 몰탈(A)이 굳어버리게 되고, 이에 지지판(16)에서 몰탈(A)을 떼어내는 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기에, 보도블럭이 완성되면 형틀(10) 내에서 보도블럭을 상부로 밀어내는 이러한 지지판(16)의 상면에 베이스판(15)을 사전에 미리 얹어놓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제 1컨베이어(21)를 통해 다수의 베이스판(15)이 상호간 이격되면서 형틀(10)측으로 자동이송되고, 이러한 제 1컨베이어(21)의 끝단 상부에는 자석운반장치(22)가 설치되어, 상기 자석운반장치(22)가 하강되면서 베이스판(15)을 들어서, 형틀(10) 내부에 자동투입되도록 한다.
3. 상기 형틀(10) 내부에 몰탈(A)이 투입되는 단계(S300):
전술된 S200단계를 거친 형틀 내부에 몰탈을 붓는 단계로서, 이러한 S300단계는 몰탈 투입장치(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몰탈 투입장치(3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된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 투입장치(20)를 거친 형틀(10)의 내부에 몰탈(A)을 투입하는 장치이다.
물론, 이러한 몰탈(A)을 투입하기 위해, 몰탈(A)이 저장되어 있고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는 공급호퍼(31)와, 상기 공급호퍼(31)의 최하단 공급구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32)와, 상기 공급호퍼(31)의 하단에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공급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공급부(33)는 상단이 개구되어 공급호터로부터 내부에 몰탈(A)이 공급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몰탈(A)의 굳어짐을 방지하는 회전체(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몰탈(A)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32)를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동공급부(33)에 몰탈(A)이 공급되면 이러한 이동공급부(33)는 몰탈(A)의 상부를 향해 전진하여 형틀(10)의 내부에 몰탈(A)을 낙하시킨 후, 다시 후진하여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4. 상기 형틀(10) 내부의 몰탈(A)이 다져지는 단계(S400):
상기 S300단계를 거치며 형틀(10) 내부에 몰탈(A)이 투입된 이후, 몰탈(A)이 평탄하게 눌려지는 단계로서, 이러한 S400단계는 다짐장치(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다짐장치(4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몰탈 투입장치(30)를 거친 형틀(10) 상부에서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몰탈(A)을 다지는 장치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형틀(10)의 내부에 몰탈(A)이 투입되면, 몰탈(A)이 투입된 형틀(10)은 테이블(1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이러한 다짐장치(40)가 상부에 위치되는 곳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짐장치(40)는 형틀(10)에 채워진 몰탈(A)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형틀(10) 내 몰탈(A)의 평탄화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다짐장치(40)는 형틀(10)의 내부에 대응삽입되며 눌러지는 다짐부(41)와, 상기 다짐부(41)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짐부(41)를 승, 하강시키는 푸싱부(42)로 이루어진다.
5. 상기 형틀(10) 내부 몰탈(A) 상면에 사전설정색상의 색소반죽층(B')이 형성되는 단계(S500):
전술된 S400단계를 거친 형틀(10) 내부의 몰탈(A) 상면에 색소반죽(B)을 투입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S500단계는 색소반죽 투입장치(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색소반죽 투입장치(50)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짐장치(40)를 거쳐서 내부에 몰탈(A)의 평탄화를 이룬 형틀(10)이 위치되는 곳으로서, 이러한 형틀(10) 내부 몰탈(A) 상면에 사전설정색상의 색소반죽(B)을 투입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상기 색소반죽 투입장치(50)는 반죽저장부(51), 상, 하부판(53, 54), 슬라이딩부(55), 원형공급부(56), 낙하부(57)를 포함한다.
상기 반죽저장부(51)는 색소반죽(B)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이다.
상기 상, 하부판(53, 54)은 각각 판재 형태로써, 상기 반죽저장부(51)의 저면에서 상호간이 상, 하로 이격위치되어 수평설치되어 연결설치되어 있도록 하며, 각각의 일단(전단)은 형틀(10) 상부에 상, 하로 대응되며 돌출위치되고, 돌출된 이러한 일단에는 반원 또는 원형으로 천공부(52)가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55)는 전술된 상, 하부판(53, 54)의 사이에서, 양측이 상부판(53)의 양사이드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판(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0) 상부를 향해 수평으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형공급부(56)는 슬라이딩부(55)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저면이 하부판(54)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부(55)의 이동방향을 따라 동반으로 전, 후진되되, 중앙에 공급공(미도시)이 상, 하로 관통되는 형태로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55)가 후진된 상태에서는 원형공급부(56)의 이러한 공급공이 반죽저장부(51)의 최하단 공급로(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반죽저장부(51)로부터 공급공 내에 색소반죽(B)이 투입되고, 이렇게 공급공에 색소반죽(B)이 투입된 이후, 슬라이딩부(55)가 전진하여, 상, 하부에 상, 하부판(53, 54)의 천공부(52)가 각각 대응위치되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상기 낙하부(57)는 이러한 천공부(52) 상부에 상, 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형공급부(56)가 천공부(52)에 대응위치되면 하강하여 공급공을 수직관통함으로써, 공급공 내의 색소반죽(B)을 몰탈(A)이 투입된 형틀(10) 상면에 낙하시키는 장치이다.
6. 상기 색소반죽층(B')에 사전설정형상이 형성되어 보도블럭(100)이 완성되는 단계(S600):
상기 S500단계에서 형틀(10)내부에 몰탈(A)과 색소반죽(B)이 순차적으로 투입된 이후, S600단계에서는 색소반죽(B) 부분을 가압하여 사전설정형상을 만드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S600단계는 보도블럭 형상장치(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보도블럭 형상장치(60)는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는 배치부(60), 승하강부(66), 세척부(67)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도블럭 형상장치(60)에 위치되는 형틀(10)의 경우, 내부에 몰탈(A)과 색소반죽(B)이 순차적으로 투입된 상태의 형틀(10)이 위치되는 것이며, 색소반죽(B)의 상면에 사전설정된 형상의 돌기(110)를 형성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보도블럭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형상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배치부(60)는 전술된 보도블럭의 상면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블럭상면 형상판(62)을 상기 형틀(10)의 상부면, 즉 형틀(10)의 투입구(12)에 대응위치되도록, 블럭상면 형상판(62)을 전, 후진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치부(60)는 투입 프레임(61), 이동라인(62), 블럭상면 형상판(62), 실린더부(65)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프레임(61)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비어있는 공간에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으로서, 일단이 형틀(10)의 상단에 이격되어 대응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동라인(62)은 투입 프레임(61)의 양측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홈이다.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은 사전설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태로써, 전술된 형틀(10)의 개구된 상부로 대응되어 투입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럭상면 형상판(62)은 보도블럭의 상면돌기(110)를 형성하기 위한 홈부(64)가 저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라인(62)에 대응삽입되는 끼움부(63)가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투입 프레임(61) 길이방향을 향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은 투입 프레임(61)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밑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렇게 돌출된 돌출부분(D)이 형틀(10)의 투입구(12)에 삽입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일실시예로, 보도블럭의 상면에 원형 돌기(110) 다수개가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도록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에는 이러한 원형 돌기(110)를 형성하기 위한 원형의 홈(홈부(64))이 횡과 종방향으로 다수개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부(65)는 투입 프레임(61)의 후단에 설치되되,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이 이동라인(62)에 양측이 끼워진 상태로 전, 후진되도록 하는 것으로,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이러한 블럭상면 형상판(62)에 의해 형성되는 보도블럭의 상면형상은, 일반적인 보도블럭 또는, 사전설정된 형상의 돌기(110) 다수개가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며 형성되는 형태로, 장애인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길 안내 유도용으로 사용되는 장애인 유도블럭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음이다.
상기 승하강부(66)는 전술된 배치부(60)의 일측 상면에 직립설치되어, 상기 배치부(60)를 형틀(10)에 대응시켜 승, 하강시키는 부분이다.
즉, 이러한 승하강부(66)는 배치부(60)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 하강시 배치부(60)와 함께 동반 승하강 작동되는 것으로서, 제 1하강 단계와 제 2하강 단계의 하강작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하강 단계는 상기 형틀(10)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부(60)와 함께 하강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이 형틀(10) 내부에 상단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로써, 이때, 투입 프레임(61)의 저면은 형틀(10)의 테두리(11) 상면에 접촉되어지는 형태에서,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중 투입 프레임(61)의 하단에 돌출되는 돌출부분(D)만이 형틀 투입구(12)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하강 단계는 제 1하강 단계 이후에, 다시한번 더 하단으로 하강되는 단계로서, 승하강부(66)는 제 1하단 단계에서 더 하강되도록 하여, 이러한 승하강부(66)에 의해 배치부(60)가 더 하강되면서 상기 형틀(10)을 눌러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에, 형틀(10)에 사전투입되어 있는 형틀(10) 내부의 몰탈(A)과 색소(B)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몰탈(A)과 색소반죽(B)을 담은 형틀(10)만이 테이블(14) 내부로 하강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제 2하강 단계에서 블럭상면 형상판(62) 저면이 형틀(10) 내부의 색소반죽층(B')을 사전설정시간 가압하면서, 색소반죽층(B')에 상면형상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제 2하강 단계에서의 형틀(10) 작동을 위해, 상기 형틀(10)은 형틀(10)의 상측 테두리(11) 부분이 테이블(14)과 탄성부재(13, 스프링 등)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3)가 압착시 형틀(10)의 내부 저면(S200단계에서 형틀(10) 내부에 삽입되는 베이스판(15))을 제외한(형틀(10)만이 승, 하강되어도 내부에 부어진 몰탈(A) 및 색소반죽층(B')의 위치는 변화가 없도록) 형틀(10) 전체가 테이블(14) 내부로 삽입되며 하강되는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야할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제 1하강 단계에서부터 형틀(10)의 돌출부분(D)이 색소반죽층(B')에 접촉되어 가압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제 2하강 단계에서 더욱 하강하여 확실한 가압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하강 단계에서는 형틀(10)의 돌출부분(D)이 색소반죽층(B')에 접촉되지 않거나 색소반죽층(B')에 인접한 상태까지만 하강되도록 한 후, 제 2하강 단계에서 색소반죽층(B')을 누르며 가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세척부(67)는 전술된 배치부(60)의 중단 저면에서, 블럭상면 형상판(62)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을 세척하는 부분으로서, 세척솔부(68), 세척분사부(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솔부(68)는 배치부(60)의 중단 저면에 배치부(60)의 폭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다수의 설치대(68a)와, 상기 설치대(68a) 상면에서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슬라이딩 경로를 향해 직립설치되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과 접촉되어, 잔여 색소반죽(B) 및 이물질을 쓸어제거하는 세척솔(68b)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세척분사부(69)는 전술된 세척솔부(68)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배치부(6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대(69a)와 상기 고정대(69a)에 연결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이 형틀(10)을 향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시,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9b)로 이루어진다.
7. 상기 보도블럭(100)이 형틀(10)에서 탈거되어 배출되는 단계(S700):
상기 S600단계를 통해 보도블럭 상면에 형상을 완성하게 되면, S700단계에서는 이러한 보도블럭을 외부로 탈거시키는 단계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S700단계는 배출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장치(70)는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 형상장치(60)를 거친 형틀(10) 내에서 보도블럭(100)을 탈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출장치(70)는 지지봉(17), 이동장치(70), 이송장치(76)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출장치(70)에 위치되는 형틀(10)의 상부측에는 최종 세척장치(18)가 또 다른 지지체에 고정설치되어 있도록 하는데, 세척수를 다방면에서 보도블럭(100)에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여, 상부로 노출된 보도블럭(100)이 이동장치(70)에 의해 이동되기 전, 보도블럭(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봉(17)은 형틀(10)의 내부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을 형틀(10) 상부로 승강시켜 노출시키는 다수의 봉이다.
이를 위해, 상기 형틀(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지지판(16)은, 이러한 지지봉(17)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천공홀(16')이 천공되어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지지판(16)의 상부에 베이스판(15)이 올려진 상태에서, 베이스판(15) 상부에 보도블럭(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지지봉(17)이 천공홀(16')을 관통하여 상부로 상승함에 따라, 베이스판(15) 및 베이스판(15) 상부의 보도블럭(100)이 형틀(10)의 상부측으로 승강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장치(70)는 전술된 형틀(10)의 외부에서 보도블럭(100)에 대응되도록, 상,하,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형틀(10)에서 보도블럭(100)을 베이스판(15)과 함께 외부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이동장치(70)는 수평 지지대(73), 수직 지지대(74), 이송수단(75)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지지대(73)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제 1, 2지지바(71, 72)가 보도블럭(100)의 너비와 대응되는 거리로, 상호간 길이방향으로 향해 수평으로 대향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 지지대(73)는 이송수단(75)에 의해, 형틀(10)에서 외부로 노출된 보도블럭(100)을 향해 전방으로 전진되어 상기 베이스판(15)의 저면에 위치되고, 이후, 상기 다수의 지지봉(17)이 하강함에 따라 지지봉(17)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은 상기 수평 지지대(73) 상면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 지지대(74)는 전술된 수평 지지대(73)의 단부에 직립설치되는 지지대이다.
상기 이송수단(75)은 상기 수직 지지대(7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73) 및 수직 지지대(74)를 형틀(10)의 보도블럭(100)을 향해 전, 후진시키거나, 이송장치(76)를 향해 승, 하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 및 이송을 위해 별도의 구동모터 및 레일 등이 설치되어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76)는 전술된 이동장치(7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대응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70)로부터 전달받은 베이스판(15) 상면에 올려진 보도블럭(100)을 사전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체인부재(77)와 가이드벽(78)으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장치(76)는 보도블럭(100)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7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체인부재(77)가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에,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75)을 통해 보도블럭(100)으로 전진하여 형틀(10)에서 보도블럭(100)을 전달받은 이동장치(70)는, 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이송장치(76)의 상부에 대응위치되고, 상기 이송장치(76) 상부에 대응위치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이송장치(76)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이송장치(76)의 제 1, 2지지바(71, 72)에 양측에 걸쳐져 있던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은 이송장치(76)의 상면에 올려지게 된다.
이후, 상기 체인부재(77)가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은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위치로 이동되어진다.
더불어, 이러한 이송장치(76)는 양측면에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이 체인부재(7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벽(78)이 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보도블럭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형틀(10)에는 베이스판 투입장치(20)를 통해 베이스판(15)이 내부에 올려진 후, 몰탈 투입장치(30)를 통해 형틀(10) 내부에 일정높이로 몰탈(A)이 부어지고, 다짐장치(40)를 거쳐 평탄화시킨후, 그 몰탈(A) 상부에 다시 색소반죽 투입장치(50)를 통해 사전설정높이로 점토형태의 색소반죽(B)(ex: 노란색 등)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후, 보도블럭 형상장치(60)를 통해 색소반죽(B)의 상면이 평평하게 다져지면서 사전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색소반죽층(B') 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이후, 형틀(10)에서 보도블럭을 빼내어, 배출장치(7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형틀 11: 테두리
12: 투입구 13: 탄성부재
14: 테이블 15: 베이스판
16: 지지판 16': 천공홀
17: 지지봉 18: 최종 세척장치
20: 베이스판 투입장치 21: 제 1컨베이어
22: 자석운반장치 30: 몰탈 투입장치
31: 공급호퍼 32: 개폐부
33: 이동공급부 34: 회전체
40: 다짐장치 41: 다짐부
42: 푸싱부 50: 색소반죽 투입장치
51: 반죽 저장부 52: 천공부
53: 상부판 54: 하부판
55: 슬라이딩부 56: 원형공급부
57: 낙하부 60: 배치부
61: 투입프레임 61a: 이동라인
62: 블럭상면 형상판 63: 끼움부
64: 홈부 65: 실린더부
66: 승하강부 67: 세척부
68: 세척솔부 68a: 설치대
68b: 세척솔 69: 세척분사부
69a: 고정대 69b: 분사노즐
70: 이동장치 71: 제 1지지바
72: 제 2지지바 73: 수평 지지대
74: 수직 지지대 75: 이송수단
76: 이송장치 77: 체인부재
78: 가이드벽 100: 보도블럭
110: 돌기
A: 몰탈 B: 색소반죽
B': 색소반죽층 D: 돌출부분

Claims (12)

  1. 다수의 형틀(10)이 형성되며, 형틀(10)간 간격만큼 일방향으로 연속회전되도록 테이블(14)이 설치되는 단계(S100);
    상기 형틀(10) 내부에 베이스판(15)이 투입되는 단계(S200);
    상기 형틀(10) 내부에 몰탈(A)이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형틀(10) 내부의 몰탈(A)이 다져지는 단계(S400);
    상기 형틀(10) 내부 몰탈(A) 상면에 사전설정색상의 색소반죽층(B')이 형성되는 단계(S500);
    상기 색소반죽층(B')에 사전설정형상이 형성되어 보도블럭(100)이 완성되는 단계(S600);
    상기 보도블럭(100)이 형틀(10)에서 탈거되어 배출되는 단계(S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형틀(10)은
    형틀(10)의 상측 테두리(11) 부분이 테이블(14)과 탄성부재(1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3)가 압착시 형틀(10)의 내부 저면을 제외한 형틀(10) 전체가 테이블(14) 내부로 삽입되며 하강되는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다수의 천공홀(16')이 천공된 지지판(16)이 사전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6)의 상부에 베이스판(15)이 올려진 상태에서, 베이스판(15) 상부에 보도블럭(100)이 제조완료되면, 지지봉(17)이 천공홀(16')을 관통하여 상부로 상승함에 따라, 베이스판(15) 및 베이스판(15) 상부의 보도블럭(100)이 형틀(10)의 상부측으로 승강되며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0, S300, S400단계는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형틀(10) 중 대응되는 형틀(10)의 내부에 베이스판(15)을 투입하는 베이스판 투입장치(20);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 투입장치(20)를 거친 형틀(10)의 내부에 몰탈(A)을 투입하는 몰탈 투입장치(30);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몰탈 투입장치(30)를 거친 형틀(10) 상부에서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몰탈(A)을 다지는 다짐장치(40);
    에 의해 각각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500단계는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S400단계의 다짐장치(40)를 거친 형틀(10) 내부 몰탈(A) 상면에 사전설정색상의 색소반죽(B)을 투입하는 색소반죽 투입장치(50)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색소반죽 투입장치(50)는
    색소반죽(B)이 저장되어 있는 반죽저장부(51);
    상기 반죽저장부(51)의 저면에 상호간이 상, 하로 이격위치되어 수평설치되되, 각각의 일단은 형틀(10) 상부에 상, 하로 대응되며 돌출위치되고, 돌출된 일단에는 원형으로 천공부(52)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판(53, 54);
    상기 상, 하부판(53, 54)의 사이에서, 양측이 상부판(53)의 양사이드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판(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0) 상부를 향해 수평으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55);
    상기 슬라이딩부(55)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저면이 하부판(54)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부(55)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 후진되되, 중앙에 공급공이 천공형성되어, 슬라이딩부(55)가 후진된 상태에서는 반죽저장부(51)로부터 공급공 내에 반죽이 투입되고, 슬라이딩부(55)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천공부(52)에 대응위치되는 원형공급부(56);
    천공부(52) 상부에 상, 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형공급부(56)가 천공부(52)에 대응위치되면 하강하여 공급공을 수직관통함으로써, 공급공 내의 색소반죽(B)을 몰탈이 투입된 형틀(10) 상면에 낙하시키는 낙하부(5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600단계는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색소반죽(B) 상면을 가압하여 사전설정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보도블럭(100)의 상면에 색소반죽층(B')을 만드는 보도블럭 형상장치(60)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보도블럭 형상장치(60)는
    보도블럭의 상면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블럭상면 형상판(62)을 상기 형틀(10)의 상부면을 향해 전, 후진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배치부(60);
    상기 배치부(60)의 일측에 직립설치되어, 상기 배치부(60)를 형틀(10)에 대응시켜 승, 하강시킴으로써, 블럭상면 형상판(62)이 형틀(10)의 투입구(12)에 삽입되며 사전설정된 보도블럭(100)의 상면 형상이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승하강부(66);
    상기 배치부(60)의 중단 저면에서, 블럭상면 형상판(62)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을 세척하는 세척부(6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6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투입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프레임(61);
    상기 투입 프레임(61)의 양측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이동라인(62);
    상기 보도블럭의 상면돌기(110)를 형성하기 위한 홈부(64)가 저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라인(62)에 대응삽입되는 끼움부(63)가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투입 프레임(61) 길이방향을 향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블럭상면 형상판(62);
    상기 투입 프레임(61)의 후단에 설치되되,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을 전, 후진시키는 실린더부(6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67)는
    상기 배치부(60)의 중단 저면에 배치부(60)의 폭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는 다수의 설치대(68a)와, 상기 설치대(68a) 상면에서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슬라이딩 경로를 향해 직립설치되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과 접촉되어, 잔여 색소반죽(B) 및 이물질을 쓸어제거하는 세척솔(68b)로 이루어지는 세척솔부(68);
    상기 세척솔부(68)의 후단에 위치되도록 배치부(6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대(69a)와, 상기 고정대(69a)에 연결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이 형틀(10)의 투입구(12)를 향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시, 상기 블럭상면 형상판(62)의 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9b)로 이루어지는 세척분사부(6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66)는
    상기 배치부(60)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 하강시 배치부(60)와 함께 동반 승하강 작동되며,
    상기 형틀(10)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부(60)와 함께 하강되어, 블럭상면 형상판(62)이 형틀(10) 상단의 투입구(12)에 대응위치되도록 하는 제 1하강 단계; 이후에,
    상기 형틀(10)을 눌러 하강시킴으로써, 블럭상면 형상판(62) 저면이 형틀(10) 내부의 색소반죽층(B')을 사전설정시간 가압하면서, 색소반죽층(B')에 상면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 2하강 단계;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700단계는
    상기 테이블(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S600단계의 보도블럭 형상장치(60)를 거친 형틀(10) 내에서 보도블럭(100)을 탈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장치(70)는
    상기 형틀(10)의 내부에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을 형틀(10) 상부로 승강시켜 노출시키는 지지봉(17);
    상기 형틀(10)의 외부에서 보도블럭(100)에 대응되도록, 상,하,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형틀(10)에서 보도블럭(100)을 베이스판(15)과 함께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70);
    상기 이동장치(7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대응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70)로부터 전달받은 베이스판(15) 상면에 올려진 보도블럭(100)을 사전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7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70)는
    'ㄴ'자 단면을 가지는 제 1, 2지지바(71, 72)가 보도블럭(100)의 너비와 대응되는 거리로, 상호간 길이방향으로 향해 수평으로 대향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5)의 저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봉(17)이 하강시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을 전달받는 수평 지지대(73);
    상기 수평 지지대(73)의 단부에 직립설치되는 수직 지지대(74);
    상기 수직 지지대(7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73) 및 수직 지지대(74)를 형틀(10)의 보도블럭(100)을 향해 전, 후진시키거나, 이송장치(76)를 향해 승, 하강시키는 이송수단(7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76)는
    상기 보도블럭(100)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7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대향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이 이동장치(70)에 의해 체인부재(77) 상단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체인부재(77);
    상기 체인부재(77) 양측에 직립설치되어, 이동되는 베이스판(15)과 보도블럭(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방향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벽(78);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700단계에서
    상기 보도블럭의 상면형상은, 사전설정된 형상의 돌기(110) 다수개가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며 형성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서, 장애인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길 안내 유도용으로 사용되는 장애인 유도블럭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210077912A 2021-06-16 2021-06-16 보도블럭 제조방법 KR10257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12A KR102576479B1 (ko) 2021-06-16 2021-06-16 보도블럭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12A KR102576479B1 (ko) 2021-06-16 2021-06-16 보도블럭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05A KR20220168605A (ko) 2022-12-26
KR102576479B1 true KR102576479B1 (ko) 2023-09-08

Family

ID=8454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12A KR102576479B1 (ko) 2021-06-16 2021-06-16 보도블럭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11B1 (ko) * 2006-07-26 2007-05-10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불규칙한 색상을 갖는 블록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105585B1 (ko) 2019-09-10 2020-04-28 주식회사 한양정공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KR102157017B1 (ko) 2020-04-02 2020-09-16 김진호 건식 콘크리트 양각 블록 성형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71990D0 (da) * 1990-11-14 1990-11-14 Aalborg Portland Cement Formet genstand
KR101123237B1 (ko) 2009-07-02 2012-03-20 최진선 보도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1676998B1 (ko) * 2016-07-05 2016-11-17 주식회사 알씨산업 다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11B1 (ko) * 2006-07-26 2007-05-10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불규칙한 색상을 갖는 블록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105585B1 (ko) 2019-09-10 2020-04-28 주식회사 한양정공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KR102157017B1 (ko) 2020-04-02 2020-09-16 김진호 건식 콘크리트 양각 블록 성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05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US478482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block imitating a pile of dry stones
KR102576478B1 (ko)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135781B1 (ko) 플라스크리스 상부 및 하부 주형의 조형방법
KR20110103078A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020022710A (ko) 주형 조형기 및 패턴 캐리어
TW201210716A (en) Mold molding device and mold molding method
JP2005515090A5 (ko)
ITRE20060111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a fabbricazione di piastrelle ceramiche
TW471985B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molding sand
KR102576479B1 (ko) 보도블럭 제조방법
US7210919B2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reinforced concrete parts
KR102576476B1 (ko) 보도블럭 상면 형상 제조장치
KR102576477B1 (ko) 보도블럭 이송장치
EP1122046A1 (en) Mould container with exchangeable mould container part
KR100759647B1 (ko) 조립식 온돌패널의 제조장치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KR101110160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JP3802358B2 (ja) 鋳物砂の圧縮方法および鋳物砂の造型方法
US1423461A (en) Mold for use in building walls, making blocks, slabs, tiles, or briquettes
KR200299698Y1 (ko) 펄프용기 성형장치
JP2010519040A (ja) 鋳枠付き鋳型の造型方法及び装置
US20190111474A1 (en) Method for molding
US2442517A (en) Building block mold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