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31B1 -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31B1
KR102575831B1 KR1020200027394A KR20200027394A KR102575831B1 KR 102575831 B1 KR102575831 B1 KR 102575831B1 KR 1020200027394 A KR1020200027394 A KR 1020200027394A KR 20200027394 A KR20200027394 A KR 20200027394A KR 102575831 B1 KR102575831 B1 KR 10257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dielectric
plane
ben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460A (ko
Inventor
김상필
김익수
김병열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ublication of KR2020010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2Bran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FLEXIBLE CIRCUIT BOARD AND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회로 기판(1)은 일부 구간이 하우징(2)에 면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될 경우, 연성 회로 기판(1)은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기 용이하다. 여기서 연성 회로 기판(1)은 안테나 및 안테나 소자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호 라인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성 회로 기판(1)이 무선 단말기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의 배치 관계와도 관련 있다. 즉, 전술한 복수 개의 신호 라인의 배치 관계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이 무선 단말기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사이즈 역시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복수 개의 신호 라인의 배치 관계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의 곡률반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이 용이하게 접히지 않거나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10-2059277 (2019.12.1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의 배치 관계를 제안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전술한 배치 관계에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러한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은,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B 절곡 부분과, 상기 제2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B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B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멀며,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우며,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에 있는 제4 평면 상에 놓이되,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제1 통합 유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과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과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떤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 및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2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사이에 있는 제5 평면 상에 놓이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제2 통합 유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 중 어떤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사이 또는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1 본딩시트 또는 제1 프리프레그; 및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 또는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2 본딩시트 또는 제2 프리프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2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통합 그라운드;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통합 그라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통합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통합 그라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그라운드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그라운드 중에서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2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서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B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B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각각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각각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마련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의 면에 대해서, 접하면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배터리와,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배터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이 복수 개의 신호 라인과 복수 개의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들 신호 라인 중 일부분인 제1 부분 및 이러한 제1 부분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쳐진다. 따라서 소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술한 신호 라인과 유전체들이 연성 회로 기판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신호 라인 중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 및 이러한 제2 부분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도록, 즉 이들 제2 부분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제2 부분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에 대한 곡률 반경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는 무선 단말기 내부의 하우징에 면접하기 위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단말기에 종래의 무선 단말기에 연성 회로 기판이 배치된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의 제1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의 제2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 내지 도 6의 제2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 내지 도 6의 제1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 및 도 3의 제2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 내지 도 6의 제1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2의 적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연성 회로 기판이 무선 단말기에 배치된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실시예 2에 따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실시예 3에 따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제2 부분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무선 단말기에 배치된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연성 회로 기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를 포함한다. 이 중 도 2 내지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도면이고, 도 23 및 도 24는 실시예 2에 따른 도면이며, 도 25 및 도 26은 실시예 3에 따른 도면이다.
먼저, 실시예 1에 대해 살펴보되, 도 32도 함께 참조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 내지 도 6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제3 유전체(13), 제1 신호 라인(21),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신호 라인(21)은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되고, 제2 신호 라인(22)은 제1 평면(101)과 평행한 제2 평면(102) 상에서 연장되며, 제3 신호 라인(23)은 제1 평면(101) 및 제2 평면(102) 모두와 평행한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신호 라인(21 내지 23) 각각은 안테나 및 안테나 소자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예컨대, 연성 회로 기판(1)은 안테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보드(4)와 안테나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보드(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 및 안테나 소자 사이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1 유전체(11)는 상면 또는 하면에 제1 신호 라인(21)이 접하고, 제1 신호 라인(21)을 중심으로 확장된 폭을 구비하고, 제1 신호 라인(2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러한 유전체는 일반적인 유전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의 유전체 역시 마찬가지이다.
제2 유전체(12)는 제1 유전체(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제2 신호 라인(22)이 접하고, 제2 신호 라인(22)을 중심으로 확장된 폭을 구비하고, 제2 신호 라인(2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3 유전체(13)는 제2 유전체(12)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제3 신호 라인(23)이 접하고, 제3 신호 라인(23)을 중심으로 확장된 폭을 구비하고, 제3 신호 라인(23)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신호 라인(21)은 제1 평면(101)의 법선 방향(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법선 방향'은 제1 평면(101)의 법선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함)에서 보았을 때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 모두와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100)을 포함하고, 또한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20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신호 라인(22)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신호 라인(21) 및 제3 신호 라인(23) 모두와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100)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신호 라인(21) 및 제3 신호 라인(23)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200)을 포함한다.
또한, 제3 신호 라인(23)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 신호 라인(22) 모두와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100)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 신호 라인(22)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이 복수 개의 신호 라인과 복수 개의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들 신호 라인 중 일부분인 제1 부분(100) 및 이러한 제1 부분(100)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쳐진다. 따라서 소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술한 신호 라인과 유전체들이 연성 회로 기판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신호 라인 중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200) 및 이러한 제2 부분(200)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도록, 즉 이들 제2 부분(200)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제2 부분(200)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에 대한 두께가 이격 분산되어 제1 부분(100)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에 대한 두께에 비해 작아져 곡률 반경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는 무선 단말기 내부의 하우징에 면접하기 위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한편, 도 2 내지 도 6 및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에는 제1 유전체(11)와 제1 신호 라인(21) 및 이와 관련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거나, 제2 유전체(12)와 제2 신호 라인(22) 및 이와 관련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거나, 제3 유전체(13)와 제3 신호 라인(23) 및 이와 관련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성 회로 기판(1)은 전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1 유전체(11)와 제2 유전체(12) 간의 관계, 제2 유전체(12)와 제3 유전체(13) 간의 관계, 제1 신호 라인(21)과 제2 신호 라인(22) 간의 관계, 제2 신호 라인(22)과 제3 신호 라인(23) 간의 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유전체 및 신호 라인 및 이와 관련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32를 통해 앞에 설명한 바는 실시예 1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뒤에 설명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1)의 제1 신호 라인(21)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1 평면(101)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211A)과, 제1A 절곡 부분(211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221A)과,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221A)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211B)과, 제1B 절곡 부분(211B)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된 제1B 연장 부분(2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2 신호 라인(22)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2 평면(102)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212A)과, 제2A 절곡 부분(212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2 평면(102)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222A)과,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222A)으로부터 제2 평면(102)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B 절곡 부분(212B)과, 제2B 절곡 부분(212B)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2 평면(102) 상에서 연장된 제2B 연장 부분(22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3 신호 라인(23)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3 신호 라인(23)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3 평면(103)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213A)과, 제3A 절곡 부분(213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223A)과,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223A)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213B)과, 제3B 절곡 부분(213B)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 제3B 연장 부분(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A 연장 부분(221A), 제2A 연장 부분(222A) 및 제3A 연장 부분(223A)은 각각 접어지거나 하우징(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에 포함된 제1A 연장 부분(221A), 제2A 연장 부분(222A) 및 제3A 연장 부분(223A) 간의 상대적 길이는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 간의 상대적 길이 역시 상이할 수 있다.
상대적 길이가 상이한 하나의 예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A 연장 부분(221A)의 길이는 제2A 연장 부분(222A)의 길이보다 길고, 따라서,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104)(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제1 평면(101)과 수직인 평면(104))과 제1B 연장 부분(221B) 사이의 거리는, 수직 평면(104)과 제2B 연장 부분(222B)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또한, 제2A 연장 부분(222A)의 길이는 제3A 연장 부분(223A)의 길이보다 길고,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104)과 제2B 연장 부분(222B) 사이의 거리는, 수직 평면(104)과 제3B 연장 부분(223B)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상대적 길이가 상이한 또 하나의 예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A 연장 부분(221A)의 길이는 제2A 연장 부분(222A)의 길이보다 짧고,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104)과 제1B 연장 부분(221B) 사이의 거리는, 수직 평면(104)과 제2B 연장 부분(222B)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제2A 연장 부분(222A)의 길이는 제3A 연장 부분(223A)의 길이보다 짧고,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104)과 제2B 연장 부분(222B) 사이의 거리는, 수직 평면(104)과 제3B 연장 부분(223B)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간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적을 수 있다.
유전체들(11 내지 13)이 서로 간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하나의 예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전체(12)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1A 연장 부분(221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1 신호 라인(21)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유전체(13) 중 제3A 연장 부분(223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2 신호 라인(22)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A 연장 부분(221A)의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신호 라인(22) 사이의 길이는 제1B 연장 부분(221B)의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A 연장 부분(223A)의 제3 신호 라인(23) 사이의 길이는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제3 유전체(13)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가 제1A 연장 부분(221A)의 제1 유전체(11)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고, 제3A 연장 부분(223A)의 제3 유전체(13)가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면, 겹쳐진 부위의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작아짐으로써,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은 경우(예를 들어, 배치되는 공간 주위에 소자가 배치되어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아진 경우)의 배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유전체들(11 내지 13)이 서로 간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또 하나의 예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전체(12) 중 제2B 연장 부분(222B)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1B 연장 부분(221B)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1 신호 라인(21)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유전체(13) 중 제3B 연장 부분(223B)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 중 제2B 연장 부분(222B)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2 신호 라인(22)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A 연장 부분(221A)의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신호 라인(22) 사이의 길이는 제1B 연장 부분(221B)의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의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A 연장 부분(223A)의 제3 신호 라인(23) 사이의 길이는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제3 유전체(13)의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가 제1B 연장 부분(221B)의 제1 유전체(11)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고, 제3B 연장 부분(223B)의 제3 유전체(13)가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면, 겹쳐진 부위의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작아짐으로써,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은 경우(예를 들어, 배치되는 공간 주위에 소자가 배치되어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아진 경우)의 배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유전체들(11 내지 13)이 서로 간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또 다른 예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전체(12)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1A 연장 부분(221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1 신호 라인(21)과는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제2 유전체(12) 중 제2B 연장 부분(222B)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1B 연장 부분(221B)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1 신호 라인(21)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유전체(13) 중 제3A 연장 부분(223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2 신호 라인(22)과는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제3 유전체(13) 중 제3B 연장 부분(223B)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 중 제2B 연장 부분(222B)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2 신호 라인(22)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가 제1A 연장 부분(221A)의 제1 유전체(11)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고, 제3A 연장 부분(223A)의 제3 유전체(13)가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며,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가 제1B 연장 부분(221B)의 제1 유전체(11)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고, 제3B 연장 부분(223B)의 제3 유전체(13)가 제2B 연장 부분(222B)의 제2 유전체(12)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면, 겹쳐진 부위의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작아짐으로써,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은 경우(예를 들어, 배치되는 공간 주위에 소자가 배치되어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아진 경우)의 배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7, 도 12 및 도 14는 도 2 내지 도 6의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1 부분(100)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 도 12 및 도 14는 제1 신호 라인(21),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이 면접하는 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 7은 제1 신호 라인(21),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이 모두 상면에 접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제1 신호 라인(21)은 상면에 접하고,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은 하면에 접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제1 신호 라인(21) 및 제2 신호 라인(22)은 상면에 접하고, 제3 신호 라인(23)은 하면에 접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은 도 2의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2 부분(200)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 내지 도 6의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2 부분(200)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합 유전체(31) 및 제2 통합 유전체(3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유전체(31)는 제1 유전체(11)의 하부 및 제2 유전체(12)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1 통합 유전체(31)는 제1 평면(101)과 평행하면서 제1 유전체(11)와 제2 유전체(12) 사이에 있는 제4 평면(제4 평면 자체는 도면 상에 미도시) 상에 놓일 수 있다.
제2 통합 유전체(32)는 제2 유전체(12)의 하부 및 제3 유전체(13)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2 통합 유전체(32)는 제1 평면(101)과 평행하면서 제2 유전체(12)와 제3 유전체(13) 사이에 있는 제5 평면(제5 평면 자체는 도면 상에 미도시) 상에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합 유전체(31) 및 제2 통합 유전체(32) 각각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 각각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이렇게 통합 유전체(31,32)들이 유전체들(11 내지 13) 각각과 겹쳐지는 제1 예시에 대해 도 8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통합 유전체(3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 유전체(3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유전체(3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유전체(3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합 유전체(31,32)들이 유전체들(11 내지 13) 각각과 겹쳐지는 제2 예시에 대해 도 9를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통합 유전체(3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 유전체(3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통합 유전체(3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유전체(3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전술한 2가지 예시(제1 예시 및 제2 예시) 각각에서, 제1 통합 유전체(31)의 상부 일측은 법선 방향에서 봤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제1 통합 유전체(31)의 하부 타측은 법선 방향에서 봤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사이에 제1 통합 유전체(31)가 위치하고,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 사이에 제2 통합 유전체(32)가 위치되어서 연성 회로 기판(1)의 일부가 접어지는 경우,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가 서로 직접적으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이 제1 통합 유전체(31)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서로 직접적으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이 제2 통합 유전체(32)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에서는,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유전체(31)는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와 직접적인 열용융 접착되거나, 본딩시트(50) 및 프리프레그(50) 중 어느 하나를 매개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통합 유전체(32)는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와 직접적인 열용융 접착되거나, 본딩시트(50) 및 프리프레그(50) 중 어느 하나를 매개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2 부분(200)이 접어지면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가 제1 통합 유전체(31)와 결합된 상태로 접어지고,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제2 통합 유전체(32)와 결합된 상태로 접어질 경우에는, 이들 구성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따로 접히지 않는다. 즉, 이들 구성요소들은 제1 통합 유전체(31) 및 제2 통합 유전체(32)를 기준으로 함께 접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합 그라운드(41) 및 제2 통합 그라운드(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제1 통합 유전체(3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한다.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제2 통합 유전체(32)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한다.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와 법선 방향에서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한다. 즉,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통합 유전체(31) 중에서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또한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통합 유전체(3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와 법선 방향에서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한다. 즉,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통합 유전체(32) 중에서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또한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통합 유전체(3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각각의 통합 그라운드(41,42)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성 가능하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0을 참조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 그라운드(41)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3 유전체(13)와 겹쳐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그라운드(42)는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유전체(11)와 겹쳐지는 부분과 제2 유전체(12)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이러한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폐부(81) 및 제2 차폐부(8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차폐부(81) 및 제2 차폐부(82) 각각은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EMI 차폐 필름을 포함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제1 차폐부(81) 및 제2 차폐부(82)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제1 차폐부(81) 및 제2 차폐부(82)의 적용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폐부(81)는 제1 통합 그라운드(41) 중에서 제2 유전체(12)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부분을 대체하고, 제2 차폐부(82)는 제2 통합 그라운드(42) 중에서 제3 유전체(13)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폐부(81)는 제1 통합 그라운드(41) 중에서 제2 유전체(12)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부분을 대체하고, 제2 차폐부(82)는 제2 통합 그라운드(42) 중에서 제2 유전체(12)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제1 차폐부(81) 및 제2 차폐부(82)의 다른 적용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폐부(81)는 제1 통합 그라운드(41) 중에서 제2 유전체(12)와 법선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고, 제2 차폐부(82)는 제2 통합 그라운드(42) 중에서 제3 유전체(13)와 법선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유전체(14), 제5 유전체(15), 외측 그라운드(60) 및 측면 그라운드(70)를 포함한다.
제4 유전체(14)는 제1 유전체(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외측 그라운드(60)가 접한다.
이때, 제4 유전체(14)는 제1 유전체(11)와 직접적인 열용융 접착되거나, 본딩시트(50) 및 프리프레그(50) 중 어느 하나를 매개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5 유전체(15)는 제2 유전체(12)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외측 그라운드(60)가 접한다.
이때, 제5 유전체(15)는 제2 유전체(12)와 직접적인 열용융 접착되거나, 본딩시트(50) 및 프리프레그(50) 중 어느 하나를 매개체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법선 방향에서 제4 유전체(14) 및 제5 유전체(15)의 사이에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위치한다.
측면 그라운드(70)는 제1 신호 라인(21)이 제1 유전체(11)에 접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하고, 제1 신호 라인(21)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그라운드(70)는 제2 신호 라인(22)이 제2 유전체(12)에 접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하고, 제2 신호 라인(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그라운드(70)는 제3 신호 라인(23)이 제3 유전체(13)에 접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하고, 제3 신호 라인(23)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11) 및 제2 유전체(12)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경우, 제1 유전체(11)에 접하는 측면 그라운드(70)의 일측은, 제2 유전체(12)에 접하는 측면 그라운드(70)의 일측과 법선 방향에서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법선 방향에서 겹쳐지는 경우, 제2 유전체(12)에 접하는 측면 그라운드(70)의 일측은, 제3 유전체(13)에 접하는 측면 그라운드(70)의 일측과 법선 방향에서 겹쳐질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2의 적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제1 신호 라인(21)이 접하는 제1 유전체(11)가 적층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합 유전체(31)가 적층된다. 이 때 제1 유전체(11)는 제1 통합 유전체(31)의 하부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제2 신호 라인(22)이 접하는 제2 유전체(12)가 적층된다. 이 때, 제2 유전체(12)는 제1 통합 유전체(31)의 상부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합 유전체(32)가 적층된다. 이 때 제2 유전체(12)는 제2 통합 유전체(32)의 하부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제3 신호 라인(23)이 접하는 제3 유전체(13)가 적층된다. 이 때 제3 유전체(13)는 제2 통합 유전체(32)의 상부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앞에 설명한 적층은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도면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은 무선 단말기에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된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특징을 포함한다.
연성 회로 기판(1)은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 2개와 제2 부분(200) 2개,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 2개와 제2 부분(200) 2개, 제3 신호 라인(23)의 제1 부분(100) 2개와 제2 부분(200)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제1 부분(100)과 제2 부분(200)을 따라서 유전체들(11 내지 13)이 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신호 라인(21)의 제2 부분(200)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 2개 각각은 제1 신호 라인(21)의 제2 부분(2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 라인(22)의 제2 부분(200)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 2개 각각은 제2 신호 라인(22)의 제2 부분(2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제3 신호 라인(23)과 제3 유전체(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2 부분(200)은 서로 대칭, 예컨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대칭되는 형상이거나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 특징을 포함한다.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 그리고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에 접하는 유전체(11 내지 13)는 제1 평면(101)에 대해 수직하도록 마련된, 무선 단말기 내의 면에 대해, 접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신호 라인(21 내지 23)의 제2 부분(200)의 일부와, 각 유전체(11 내지 13) 중 일부는, 제1 평면(10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접히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22를 통해 앞에 설명한 바는 실시예 1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뒤에 설명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실시예 2에 따른 도면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2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제3 유전체(13), 제1 신호 라인(21),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1)의 제1 신호 라인(21)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1 평면(101)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211A)과, 제1A 절곡 부분(211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2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2 신호 라인(22)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2 평면(102)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212A)과, 제2A 절곡 부분(212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2 평면(102)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22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3 신호 라인(23)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3 신호 라인(23)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3 평면(103)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213A)과, 제3A 절곡 부분(213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A 절곡 부분(211A), 제2A 절곡 부분(212A) 및 제3A 절곡 부분(213A) 각각이 각각의 평면 상에서 절곡되는 각도는 30도 내지 120도 이내일 수 있으며, 예컨대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1B 절곡 부분(211B), 제2B 절곡 부분(212B) 및 제3B 절곡 부분(213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A 연장 부분(221A), 제2A 연장 부분(222A) 및 제3A 연장 부분(223A)은 접어지거나 하우징(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및 제3 유전체(13)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적을 수 있다.
유전체들(11 내지 13)이 서로 간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하나의 예시로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제2 유전체(12)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1A 연장 부분(221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1 신호 라인(21)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유전체(13) 중 제3A 연장 부분(223A)에 접해있는 부분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유전체(11) 중 제2A 연장 부분(222A)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제2 신호 라인(22)과는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가 제1A 연장 부분(221A)의 제1 유전체(11)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고, 제3A 연장 부분(223A)의 제3 유전체(13)가 제2A 연장 부분(222A)의 제2 유전체(12)에 법선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위치하면, 겹쳐진 부위의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유전체(11 내지 13)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에 비해 작아짐으로써,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은 경우(예를 들어, 배치되는 공간 주위에 소자가 배치되어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되는 공간이 좁아진 경우)의 배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실시예 3에 따른 도면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3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11), 제2 유전체(12), 제3 유전체(13), 제1 신호 라인(21), 제2 신호 라인(22) 및 제3 신호 라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1)의 제1 신호 라인(21)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1 신호 라인(21)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1 평면(101)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211A)과, 제1A 절곡 부분(211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221A)과,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221A)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211B)과, 제1B 절곡 부분(211B)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1 평면(101) 상에서 연장된 제1B 연장 부분(2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2 신호 라인(22)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2 신호 라인(22)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2 평면(102) 상에서 연장된 제2B 연장 부분(22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 기판(1)의 제3 신호 라인(23)은 제2 부분(200)으로서, 제3 신호 라인(23)의 제1 부분(100)과 연결되되 제3 평면(103)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213A)과, 제3A 절곡 부분(213A)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223A)과,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223A)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213B)과, 제3B 절곡 부분(213B)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제3 평면(103) 상에서 연장된 제3B 연장 부분(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A 절곡 부분(211A) 및 제3A 절곡 부분(213A) 각각이 절곡되는 각도는 30도 내지 120도 이내의 각도일 수 있으며, 예컨대 9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1B 절곡 부분(211B) 및 제3B 절곡 부분(213B)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은 접어지거나 하우징(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A 연장 부분(221A)을 제외하고 제1A 절곡 부분(211A)으로부터 제1B 절곡 부분(211B)이 바로 연장될 수 있고, 제3A 연장 부분(223A)을 제외하고 제3A 절곡 부분(213A)으로부터 제3B 절곡 부분(213B)이 바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특징을 포함한다.
제3 신호 라인(23)의 제2 부분(200)은 제2 신호 라인(22)의 제2 부분(200)을 중심으로 제1 신호 라인(21)의 제2 부분(200)과 대칭되며, 절곡된 부분에 대해서도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 설명한 도 25와 제3 유전체(13) 부분만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25에 대한 것을 원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도 25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로서, 제3 유전체(13)는 제1 유전체(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제3 신호 라인(23)이 접하고, 제3 신호 라인(23)을 중심으로 확장된 폭을 구비하고, 제3 신호 라인(23)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3A 연장 부분(223A)의 길이는 제1A 연장 부분(221A)의 길이보다 길고, 제3 신호 라인(23)의 제1 부분(100)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104)과 제3B 연장 부분(223B) 사이의 거리는 수직 평면(104)과 제1B 연장 부분(221B)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즉, 도 25에서는 제2 신호 라인(22)을 중심으로 제1 신호 라인(21) 및 제3 신호 라인(23)이 좌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형상이고, 도 26에서는 제2 신호 라인(22)을 중심으로 제1 신호 라인(21) 및 제3 신호 라인(23)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는 형상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연성 회로 기판(1)에 대한 일부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합 유전체(31) 및 제2 통합 유전체(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유전체(31)는 제1 유전체(11)의 하부 및 제2 유전체(12)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통합 유전체(32)는 제1 유전체(11)의 상부 및 제3 유전체(13)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다.
도 28 내지 도 31은 무선 단말기에 연성 회로 기판(1)이 배치된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은 무선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신호 라인(21)의 제2 부분(200)과 제2 신호 라인(22)의 제2 부분(200) 및 제3 신호 라인(23)의 제2 부분(200)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도 28 내지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이 배터리(5) 하부로 지나가도록 무선 단말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8은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배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또한, 도 29는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배치의 단면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와 달리,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이 배터리(5)의 상부로 지나가도록 무선 단말기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30은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배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또한, 도 31은 제1B 연장 부분(221B), 제2B 연장 부분(222B) 및 제3B 연장 부분(223B)의 배치의 단면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이 복수 개의 신호 라인과 복수 개의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들 신호 라인 중 일부분인 제1 부분(100) 및 이러한 제1 부분(100)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쳐진다. 따라서 소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술한 신호 라인과 유전체들이 연성 회로 기판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신호 라인 중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200) 및 이러한 제2 부분(200)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도록, 즉 이들 제2 부분(200)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은 소정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제2 부분(200) 및 이들과 접해있는 유전체들에 대한 곡률 반경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연성 회로 기판의 일부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1 연성 회로 기판 2 하우징
3 메인보드 4 서브보드
5 배터리 11 제1 유전체
12 제2 유전체 13 제3 유전체
14 제4 유전체 15 제5 유전체
21 제1 신호 라인 22 제2 신호 라인
23 제3 신호 라인 31 제1 통합 유전체
32 제2 통합 유전체 41 제1 통합 그라운드
42 제2 통합 그라운드 50 본딩시트
50 프리프레그 60 외측 그라운드
70 측면그라운드 81 제1 차폐부
82 제2 차폐부 100 제1 부분
200 제2 부분 211A 제1A 절곡 부분
211B 제1B 절곡 부분 212A 제2A 절곡 부분
212B 제2B 절곡 부분 213A 제3A 절곡 부분
213B 제3B 절곡 부분 221A 제1A 연장 부분
221B 제1B 연장 부분 222A 제2A 연장 부분
222B 제2B 연장 부분 223A 제3A 연장 부분
223B 제3B 연장 부분

Claims (32)

  1. 지지 프레임;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 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 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2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2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3B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멀며,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먼
    연성 회로 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우며,
    상기 제2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2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연성 회로 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B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9. 지지 프레임;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 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에 있는 제4 평면 상에 놓이되,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제1 통합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과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과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전체 및 상기 제2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떤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 및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2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사이에 있는 제5 평면 상에 놓이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제2 통합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는,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 및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유전체 및 상기 제3 유전체 중 어떤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사이 또는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1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1 본딩시트 또는 제1 프리프레그; 및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사이 또는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2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와 상기 제3 유전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2 본딩시트 또는 제2 프리프레그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2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1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통합 그라운드;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통합 그라운드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필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통합 그라운드; 및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에 접하며,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유전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통합 그라운드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합 그라운드 중에서 상기 제2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합 그라운드 중에서 상기 제3 유전체와 겹쳐지는 부분에 접하는 제2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2 차폐부는 각각,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필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유전체 중 상기 제1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전체 중 상기 제3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유전체 중 상기 제2A 연장 부분에 접해있는 부분과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연성 회로 기판.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서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B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B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칭인
    연성 회로 기판.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연장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A 연장 부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과 상기 제3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평면과 상기 제1B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먼
    연성 회로 기판.
  30. 지지 프레임;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 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각각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 2개는 서로 대칭되어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 2개 각각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
  31. 무선 단말기로서,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 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 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마련된, 상기 무선 단말기 내의 면에 대해서, 접하면서 배치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2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2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 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3B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32. 배터리;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신호 라인;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유전체;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전체;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3 신호 라인; 및
    상기 제3 신호 라인에 접한 채로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 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서로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상기 배터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은,
    상기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모두와 겹쳐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중 어느 것과도 겹쳐지지 않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A 절곡 부분과, 상기 제1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1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1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1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1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 되어서 형성된 제2A 절곡 부분과, 상기 제2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2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2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2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2B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신호 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A 절곡 부분과, 상기 제3A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과, 상기 연장된 제3A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제3B 절곡 부분과, 상기 제 3B 절곡 부분이 절곡되어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 상에서 연장된 제 3B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KR1020200027394A 2019-03-04 2020-03-04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KR102575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43 2019-03-04
KR20190024643 2019-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60A KR20200106460A (ko) 2020-09-14
KR102575831B1 true KR102575831B1 (ko) 2023-09-07

Family

ID=7233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94A KR102575831B1 (ko) 2019-03-04 2020-03-04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10212A1 (ko)
KR (1) KR102575831B1 (ko)
CN (1) CN113439490A (ko)
WO (1) WO2020180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93A (ko) 2020-06-02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6039A1 (en) * 2006-07-25 2010-01-21 Mayumi Tokuyama Flexible printed board, electronic apparatus mounted with this, and folding method for flexible printed board
JP2010040888A (ja) * 2008-08-07 2010-02-18 Nec Saitam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20110121922A1 (en) 2002-03-18 2011-05-26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interconnect cable for an electronic assembly
JP2012209479A (ja) 2011-03-30 2012-10-25 Nik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子機器
US20140097021A1 (en) 2012-10-09 2014-04-10 Advanced Flexible Circuits Co., Ltd. Bundle division structure for flexible circuit cab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2563B2 (ja) * 2006-03-24 2011-08-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フレキシブル基板
JPWO2009119027A1 (ja) * 2008-03-25 2011-07-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リジッドフレックス回路板の製造方法およびリジッドフレックス回路板
JP2010050166A (ja) * 2008-08-19 2010-03-04 Shin Etsu Polymer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KR101475425B1 (ko) * 2012-06-15 2014-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전지팩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432541B1 (ko) * 2015-09-24 2022-08-17 주식회사 기가레인 벤딩 내구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767B1 (ko) * 2016-02-11 2024-0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059277B1 (ko) 2018-12-11 2019-12-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벤딩 신뢰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1922A1 (en) 2002-03-18 2011-05-26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interconnect cable for an electronic assembly
US20100016039A1 (en) * 2006-07-25 2010-01-21 Mayumi Tokuyama Flexible printed board, electronic apparatus mounted with this, and folding method for flexible printed board
JP2010040888A (ja) * 2008-08-07 2010-02-18 Nec Saitam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12209479A (ja) 2011-03-30 2012-10-25 Nik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子機器
US20140097021A1 (en) 2012-10-09 2014-04-10 Advanced Flexible Circuits Co., Ltd. Bundle division structure for flexible circui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39490A (zh) 2021-09-24
WO2020180112A1 (ko) 2020-09-10
KR20200106460A (ko) 2020-09-14
US20220110212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3422139B1 (en) Laptop computer
US9544059B2 (en) Optical module, optical transceiver,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08476586B (zh) 柔性电路板
US10827612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TWI510143B (zh) High frequency circuit module
US201902964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assembly thereof
US20170367181A1 (en) Resin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7276620B2 (ja) アンテナ素子
JP7103510B2 (ja) 多極コネクタセット
US1044849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ith narrower line width
CN112582430B (zh) 覆晶薄膜及显示面板
KR102575831B1 (ko)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KR20170061295A (ko) 안테나 구조체
JP5390716B2 (ja) 共振を減少させる回路基板
JP676341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198651A (ja) シールド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KR20200120450A (ko) 수직구간 및 수평구간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
US9514401B2 (en) Card device and memory card
TWM580266U (zh) Multi-antenna system
JP6282944B2 (ja) 配線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周波装置
TWI737354B (zh) 微型雙頻帶天線系統
JP7405862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240154314A1 (en) Antenna device
TWI796834B (zh) 天線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