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91B1 -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 Google Patents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91B1
KR102575491B1 KR1020230044040A KR20230044040A KR102575491B1 KR 102575491 B1 KR102575491 B1 KR 102575491B1 KR 1020230044040 A KR1020230044040 A KR 1020230044040A KR 20230044040 A KR20230044040 A KR 20230044040A KR 102575491 B1 KR102575491 B1 KR 10257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ole
cold air
slat
fire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티
Priority to KR102023004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상태로 모사된 극한 환경 하에서 전자기기 배터리와 같은 시험체의 작동 이상, 내구도 등을 테스트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 과정에서 시험체의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를 통해 시험체의 열분해 및 재발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시험소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Test chamber with fire extinguisher for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저온 상태로 모사된 극한 환경 하에서 전자기기 배터리와 같은 시험체의 작동 이상, 내구도 등을 테스트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 과정에서 시험체의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를 통해 시험체의 열분해 및 재발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시험소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일반 사용 환경 또는 일반 사용 환경보다 악조건 하에서 실시하는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여, 짧은 시간 내에 기기의 성능, 수명(신뢰도), 및 설계의 완성도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테스트는 전자기기를 실제 사용 환경을 모사해 테스트하거나, 이상의 조건을 스트레스(예를 들어 이상 온도, 습도, 진동, 이상 전압 등)로 이용하여, 전자기기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동작 한계 조건(Operational Limit Condition)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환경을 조성해 테스트하게 된다.
한편, 전자기기의 내부 부품,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구성은 주변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에 따라 성능이 다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의한 열화 발생 가능성이 높고, 심하게는 화재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한 번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1차적인 소화 이후에도 재발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전자기기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전자기기로의 접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소화방법으로는 초기 진압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따른 시험소의 인적, 물적 재산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57869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저온 상태로 모사된 극한 환경 하에서 전자기기와 같은 시험체의 작동 이상, 내구도 등을 테스트 과정에서 시험체의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를 통해 시험체의 열분해 및 재발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시험소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코드가 통과하는 코드통과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의 내공간을 전자기기가 보관되는 테스트실과 장치실로 구획하며, 냉기통과홀이 형성되는 격벽;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실이 저온 상태가 되도록 냉기를 발생시키는 칠러;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칠러를 가열해 칠러의 성에를 억제하는 히터;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칠러의 냉기가 상기 냉기통과홀을 통해 테스트실로 유입되도록 블로우시키는 블로우팬; 상기 테스트실에 설치되어 테스트실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상기 테스트실을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수단; 및 상기 화재감지기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소화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단의 작동에 따라 이와 연계하여 개방된 냉기통과홀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셔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수단은,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된 소화 봄베; 상기 테스트실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상기 소화 봄베와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소화가스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서 셔터부를 향해 분기 형성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공급관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기통과홀은 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냉기통과홀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냉기통과홀로 이루어지며, 격벽의 배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부 냉기통과홀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슬랫;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부 냉기통과홀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슬랫; 상기 격벽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슬랫의 좌우 양 단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가압해 하부슬랫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하부슬랫의 좌우 양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하부슬랫의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팽창블럭; 질소가스가 압축 저장된 질소 봄베; 상기 질소 봄베와 팽창블럭을 연결하여 질소가스를 팽창블럭으로 공급하는 작동관; 상기 바이패스관에 소화가스가 활성화되면 소화가스의 압력으로 작동하여 작동관이 개방되도록 작동관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2 제어밸브; 및 상기 상부슬랫과 하부슬랫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슬랫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개방된 하부 냉기통과홀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슬랫을 상승시켜 상부 냉기통과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코드통과홀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코드통과홀을 차폐하는 팽창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관은 상기 팽창링 방향으로 분기 연결되어 팽창링에 질소가스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격벽의 배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기되, 일단은 상부슬랫의 하면에, 타단은 하부슬랫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슬랫에는 웨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온 상태로 모사된 극한 환경 하에서 전자기기와 같은 시험체의 작동 이상, 내구도 등을 테스트 과정에서 시험체의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를 통해 시험체의 열분해 및 재발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시험소로의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의 정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의 측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격벽의 배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의 요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부슬랫과 하부슬랫의 단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냉기통과홀이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코드통과홀이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는 크게, 본체(10), 격벽(20), 칠러(30), 히터(40), 블로우팬(50), 화재감지기(60), 소화수단(70), 셔터부(1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전자기기가 배치될 배치 공간을 마련한다. 배치 공간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서로 이원화된 각각의 배치 공간을 다른 조건으로 조성하여 전자기기의 개별적인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으로는 배치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1)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도어(11)는 전체 도는 일부를 투명한 내열 혹은 가혹 환경으로 조성된 내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강화유리로 구성하여 테스트 과정에서 전자기기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는 대략 6면체 형태의 배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도어(11)로 개폐 가능한 전면을 제외한 상, 하, 좌, 우, 배면은 막힌 구조로서, 전자기기의 화재 발생에 대비해 최대한 밀폐된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전자기기의 코드가 통과하는 코드통과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코드통과홀(12)은 배치 공간에 밀폐 구성된 전자기기의 전원 코드를 외부로 배선하기 위해 전원 코드가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전자기기의 별도 외부 전원 공급이 필요할 시 상기 코드통과홀(12)을 통해 코드를 전자기기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코드통과홀(12)은 코드 최대 직경보다 큰 구멍의 형태로 예시될 수 있되, 코드통과홀(12)을 통해 소정의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격벽(20)은 판상의 구조물로서 본체(10)의 내공간,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배치되는 배치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구성으로,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내공간을 전자기기가 보관되는 테스트실(13)과 장치실(14)로 구획한다.
테스트실(13)에는 피테스트물인 전자기기 외 화재감지기(60), 소화수단(70) 일부 구성이 적소에 배치 구성될 수 있고, 장치실(14)에는 칠러(30), 히터(40), 블로우팬(50) 등이 전자기기로부터 구획 설치된다.
이렇게, 본체(10) 내부를 테스트실(13)과 장치실(14)로 구획한 이유는, 상기 칠러(30), 히터(40) 등의 냉기 또는 열 발생원이 되는 구성을 전자기기와 한 공간 내에서 전자기기에 노출시키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보다 개별적이고 객관적인 테스트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격벽(20) 자체가 전자기기의 화재 발생시 전자기기로부터 확산되는 열기, 화염, 연기 등으로부터 장치실(14)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격벽(20)에는 장치실(14)에 설치된 칠러(30)의 냉기가 테스트실(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테스트실(13)과 장치실(14)을 연통시키는 냉기통과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실(13)로의 냉기 유입 혹은 배출을 위하여 상기 냉기통과홀은 격벽(20)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형성되지 아니하고,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 되도록 한다.
예컨대, 냉기통과홀은 격벽(20)의 상부에 치우쳐 형성된 상부 냉기통과홀(21)과 하부에 치우쳐 형성된 하부 냉기통과홀(22)로 이루어지며, 상부 냉기통과홀(21)과 하부 냉기통과홀(22) 사이 구간은 완전히 막힌 구조로서, 냉기의 이동이 상기 상부 냉기통과홀(21)과 하부 냉기통과홀(22)을 제외한 지점에서는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테스트실(13)을 향해 상부 냉기통과홀(21)과 하부 냉기통과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냉기가 주입되고, 다른 하나로는 장치실(14)을 향해 테스트실(13) 내부 공기가 흡입 회수될 수 있다.
장치실(14)을 바라보는 격벽(20)의 배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3)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23)에는 후술 될 셔터부(100)의 상부슬랫(110)과 하부슬랫(120)이 접속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칠러(30)는 장치실(14)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실(13)이 저온 상태가 되도록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냉매의 증발→압축→응축→팽창 네 가지 행정의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여 냉매의 상변화 과정에서, 열교환 원리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냉동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하는 칠러(30)는 통상의 냉동기에서 증발기 부품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칠러(3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테스트를 위해서는 테스트 챔버가 적어도 수십 시간 연속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고, 테스트 조건에 따라 온도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아울러, 테스트실(13) 내부가 외부와 미세하게 연통되어 있는 구조상, 칠러(30) 주변에 성에가 쉽게 발생하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칠러(30) 주변에 성에가 발생하게 되면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성에를 제거 내지 억제할 목적으로 칠러(30) 주변에 히터(40)를 마련하였다.
히터(40)는 장치실(14)의 칠러(30) 주변에 설치될 수 있고, 별도의 성에 제거 모드시 칠러(30)에 연계 작동하여 칠러(30) 주변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히터(40)는 전술한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동기의 응축기 부품이거나 혹은 별도의 전열 히터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블로우팬(50)은 장치실(14)에 설치되며 상기 칠러(30)의 냉기가 상기 냉기통과홀을 통해 테스트실(13)로 유입되도록 블로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블로우팬(50)은 장치실(14)의 냉기를 테스트실(13)로 강제 블로우시킬 수 있고, 이때, 블로우팬(50)은 격벽(20)의 상부 냉기통과홀(21) 주변에 고정 설치되어 냉기를 상부 냉기통과홀(21)을 통해 테스트실(13)로 급기시킬 수 있고, 이에, 하부 냉기통과홀(22)로는 테스트실(13) 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화재감지기(60)는 테스트실(13)에 설치되어 테스트실(13)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자기기의 테스트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올바른 사용 온도조건을 넘어 선 환경에 따른 각종 부품 열화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60)는 이를 감지하여 화재 신호를 생성해 제어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감지기(60)는 열, 화염, 연기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다음으로, 소화수단(70)은 테스트실(13) 내에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소화하기 위하여 테스트실(13)을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화수단(70)은 예컨대,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된 소화 봄베(71), 테스트실(13)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72), 소화 봄베(71)와 분사노즐(72)을 연결하여 소화가스를 분사노즐(72)로 공급하는 공급관(73), 상기 공급관(73)에서 셔터부(100)를 향해 분기 형성되는 바이패스관(74) 및 상기 공급관(73)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7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소화 봄베(71)는 본체(10) 외부에 배치 구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실(13)을 향해 배치된 분사노즐(72)과 공급관(73)을 통해 연결되어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분사노즐(72)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75)는 후술 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관(73)의 관로를 개폐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테스트실(13) 내의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제1 제어밸브(75)를 제어해 분사노즐(72)로 소화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이패스관(74)은 공급관(73)에서 분기되어 셔터부(1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공급관(73)과 같이 제1 제어밸브(75)가 개방되면 내부로 소화가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관(74)에서 활성화된 소화가스는 후술 될 셔터부(100)의 제2 제어밸브(1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격벽(20)은 테스트실(13)과 장치실(14)을 완벽하게 구획하지 못하는 구조상 테스트실(13) 내의 화재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열기, 연기 등이 냉기통과홀을 통해 장치실(14)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에, 전자기기에 화재가 발생하면 장치실(14) 내의 구성들의 작동을 빠르게 중지시키는 것을 전제로, 격벽(20)에 마련된 냉기통과홀을 빠르게 차단하여 열기, 연기 등이 장치실(14)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아울러, 소정의 틈으로 마련된 코드통과홀(12) 역시, 코드통과홀(12)에 걸쳐진 코드를 제외하고는 그 주변을 차폐시켜 테스트실(13) 내를 최대한 밀폐해 질식 소화를 유도함은 물론, 연기, 열기 등의 외부 확산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구성인 셔터부(100)는 테스트실(13) 내의 화재 발생시 개방된 냉기통과홀과 코드통과홀(12)을 폐쇄하도록 작동하여 전자기기의 빠른 소화 및 화재 확산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셔터부(100)의 요부 구성들은 장치실(14) 내 외부 적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소화수단(70)과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단(70)의 작동에 따라 이와 연계하여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해 소화가스의 주입과 장치실(14) 내부 구성의 피해 방지 및 본체(10) 내부 밀폐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셔터부(100)는 크게, 상부슬랫(110), 하부슬랫(120), 고정부재(130), 팽창블럭(140), 팽창링(150), 질소 봄베(160), 작동관(170), 제2 제어밸브(190) 및 연동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상부슬랫(110)과 하부슬랫(120)은 냉기통과홀을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격벽(20)의 배면을 향해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슬랫(110)은 격벽(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3)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부 냉기통과홀(21) 하부에 상하 방향의 직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화재 미발생시 상부 냉기통과홀(21)에서 하부로 편심 배치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상승하여 상부 냉기통과홀(21)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격벽(20)의 배면과 대면하는 상부슬랫(110)의 전면에는 가이드레일(23)에 접속되는 상부 레일홈(1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하부슬랫(120)은 전술한 상부슬랫(110)과 유사한 구조로서 상부슬랫(110) 하부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되, 격벽(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3)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부 냉기통과홀(22) 상부에 상하 방향의 직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화재 미발생시 하부 냉기통과홀(22)에서 상부로 편심 배치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하강하여 하부 냉기통과홀(22)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격벽(20)의 배면과 대면하는 하부슬랫(120)의 전면에는 가이드레일(23)에 접속되는 하부 레일홈(12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20)에 타공된 상부 냉기통과홀(21)과 하부 냉기통과홀(22)은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상부슬랫(110)과 하부슬랫(120)에 의해 각각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슬랫(120)의 좌우 양 단부에는 후술 될 팽창블럭(140)의 설치 및 고정부재(130)의 삽입을 위한 설치고정홈(12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팽창블럭(140)은 설치고정홈(122)의 가장 깊은곳에 삽입 설치되고, 이어서, 고정부재(130)는 팽창블럭(140)과 대면하도록 설치고정홈(122)의 바깥쪽의 소정 깊이까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130)는 하부슬랫(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하부슬랫(120)이 하부 냉기통과홀(22)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한편,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설치고정홈(122) 내의 팽창블럭(140)이 팽창하면 고정부재(130)는 하부슬랫(120)의 고정력을 잃어 하부슬랫(120)이 자유낙하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고정부재(130)는 상기 격벽(20)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슬랫(120)의 좌우 양 단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화재시, 하부슬랫(120)의 단부로부터 탄성적으로 이격돼 하부슬랫(120)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130)는 예컨대, 고정대(131), 상기 고정대(131)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설치고정홈(122)으로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고정블럭(132) 및 상기 고정대(131)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블럭(132)을 설치고정홈(122)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13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고정블럭(132)은 실질적으로 설치고정홈(122) 내의 팽창블럭(140)을 가압할 수 있고, 그 본질은, 하부슬랫(1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고정부재(130)는 하부슬랫(120)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작용하여 하부슬랫(12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각각의 고정부재(130)의 고정블럭(132)에 걸림 지지된 하부슬랫(120)은 고정블럭(132)이 하부슬랫(120)의 설치고정홈(122) 내에서 배출 이격되면 고정력을 잃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다음으로, 팽창블럭(140)은 하부슬랫(120)의 좌우 양 단부에 마련된 설치고정홈(122) 내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고정부재(130)를 하부슬랫(120)의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팽창블럭(140)은 설치고정홈(122) 내에서 팽창되지 아니하면 소정의 부피로 압축되어 설치고정홈(122) 내로 고정블럭(132)의 삽입을 수용하고, 내부의 질소가스 충전에 따라 팽창하면 설치고정홈(122) 내의 고정블럭(132)을 바깥쪽으로 미는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고정블럭(132)을 설치고정홈(122) 내에서 배출시켜 하부슬랫(12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팽창링(150)은 코드통과홀(12)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코드통과홀(12)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팽창링(150)은 링 구조로서 바깥쪽 테두리 부위가 코드통과홀(12)의 내주면에 실링 고정이 되고, 내부로 질소가스가 주입되면 중심 부분이 점차 팽창해 코드통과홀(12)의 빈 공간을 메울 수 있다.
팽창링(150)은 최대 부피로 팽창되더라도 전자기기의 코드에 큰 압력을 가하지 아니하는 선에서 코드 주변에 탄성적으로 밀착해 기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링(150)이 팽창하면 개방된 코드통과홀(12)이 차폐되어 본체(10) 내부가 밀폐되는 구조가 갖춰져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의 질식소화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은 부피를 탄성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통상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질소 봄베(160)와 연결돼 내부로 질소를 충전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배기구를 형성하여 충전된 질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질소 봄베(160)는 질소가스가 압축 저장된 상태로 본체(10) 외부에 배치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관(170)을 통해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에 상호 연결되어 질소가스를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관(170)은 질소 봄베(160)에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을 연결하여 질소가스를 각각의 구성으로 공급하는 배관 구성으로, 경로 상에 팽창링(150) 방향으로 분기 연결되는 분기관(171)을 가져 팽창링(150)에 연결됨으로써 팽창블럭(140) 뿐만 아니라 팽창링(150)에 질소가스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작동관(170)은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을 질소 봄베(160)에 연결시켜 질소 가스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밸브(190)는 작동관(170)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구성으로, 작동관(170)의 관로에 설치되되 상기 바이패스관(74)과 연결되어 바이패스관(74)에 소화가스가 활성화되면 소화가스의 압력으로 작동하여 작동관(170)이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의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소화가스의 작동 유무에 따라, 질소가스 역시 이에 종속하여 작동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74)은 취사선택이 가능한 구성으로, 경우에 따라 바이패스관(74)을 별도 구성하지 아니하고, 제2 제어밸브(190) 자체를 제어부가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제어밸브(190)는 테스트실(13) 내의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부에 의해 제어돼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을 향해 질소가스가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동부재(180)는 하부슬랫(120)에 상부슬랫(110)을 연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슬랫(120)의 경우 고정부재(130)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졌다면, 상부슬랫(110)의 경우 연동부재(180)에 의해 매달려 상부 냉기통과홀(21) 직상부에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화재 발생에 따라 하부슬랫(120)이 자유낙하하면 상부슬랫(110)은 상기 연동부재(180)에 의해 매달려진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해 상부 냉기통과홀(21)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연동부재(180)는 상기 상부슬랫(110)과 하부슬랫(120)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슬랫(1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개방된 하부 냉기통과홀(22)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슬랫(110)을 하부슬랫(12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승시켜 상부 냉기통과홀(21)이 폐쇄되도록 상부슬랫(110)과 하부슬랫(120)을 도르래 방식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동부재(180)는 격벽(20)의 배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81) 및 상기 롤러(181)에 감기되, 일단은 상부슬랫(110)의 하면에, 타단은 하부슬랫(120)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18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하부슬랫(120)이 자유낙하하게 되면 롤러(181)에 지지된 연결와이어(182)의 일단부는 상부슬랫(110)을 상부로 견인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어 결국 하부슬랫(120)이 하부 냉기통과홀(22)을 차폐할 때, 상부슬랫(110) 역시 상부 냉기통과홀(21)을 차폐하도록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부슬랫(120)에는 웨이트(123)가 결합되도록 하여 하부슬랫(120)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부슬랫(110)의 상부 이동을 보다 직관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소화수단(70), 셔터부(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판 형태로서 본체(10) 내부에 실장되고, 화재감지기(60), 각종 밸브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테스트 과정에서 화재감지기(60)가 전자기기의 화재를 감지하면 이러한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되고, 제어부는 화재감지기(6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소화수단(70)의 제1 제어밸브(75) 내지 셔터부(100)의 제2 제어밸브(1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가 발생하여 제어부가 제1 제어밸브(75)를 개방하면 공급관(73)을 통해 소화가스가 분사노즐(72)로 공급되어 테스트실(13) 내부에 소화가스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바이패스관(74)에 소화가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제2 제어밸브(190)가 작동해 작동관(170)을 개방하면, 질소가스가 작동관(170)을 따라 팽창블럭(140)과 팽창링(150)에 각각 공급된다.
이에, 팽창블럭(140)이 팽창하면서 고정부재(130)의 고정블럭(132)을 하부슬랫(120)으로부터 이격시키면 하부슬랫(12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하부슬랫(120)이 자유낙하하고, 이에 연동해 상부슬랫(110)이 상부로 이동하여 각각 하부 냉기통과홀(22)과 상부 냉기통과홀(21)을 차폐한다.
아울러, 팽창링(150)이 팽창하면서 코드통과홀(12)을 차폐하여 테스트실(13)을 밀폐함으로써 화재의 확산 방지와 질식 소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격벽
30: 칠러
40: 히터
50: 블로우팬
60: 화재감지기
70: 소화수단
80: 제어부

Claims (5)

  1. 전면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코드가 통과하는 코드통과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의 내공간을 전자기기가 보관되는 테스트실과 장치실로 구획하며, 냉기통과홀이 형성되는 격벽;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실이 저온 상태가 되도록 냉기를 발생시키는 칠러;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칠러를 가열해 칠러의 성에를 억제하는 히터;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칠러의 냉기가 상기 냉기통과홀을 통해 테스트실로 유입되도록 블로우시키는 블로우팬;
    상기 테스트실에 설치되어 테스트실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상기 테스트실을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수단;
    상기 화재감지기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소화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치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단의 작동에 따라 이와 연계하여 개방된 냉기통과홀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단은,
    소화가스가 압축 저장된 소화 봄베;
    상기 테스트실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
    상기 소화 봄베와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소화가스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서 셔터부를 향해 분기 형성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공급관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기통과홀은 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냉기통과홀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냉기통과홀로 이루어지며, 격벽의 배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부 냉기통과홀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슬랫;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속된 상태에서 하부 냉기통과홀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슬랫;
    상기 격벽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슬랫의 좌우 양 단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가압해 하부슬랫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하부슬랫의 좌우 양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하부슬랫의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팽창블럭;
    질소가스가 압축 저장된 질소 봄베;
    상기 질소 봄베와 팽창블럭을 연결하여 질소가스를 팽창블럭으로 공급하는 작동관;
    상기 바이패스관에 소화가스가 활성화되면 소화가스의 압력으로 작동하여 작동관이 개방되도록 작동관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2 제어밸브; 및
    상기 상부슬랫과 하부슬랫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슬랫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개방된 하부 냉기통과홀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슬랫을 상승시켜 상부 냉기통과홀이 폐쇄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코드통과홀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질소가스의 충전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코드통과홀을 차폐하는 팽창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관은 상기 팽창링 방향으로 분기 연결되어 팽창링에 질소가스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격벽의 배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감기되, 일단은 상부슬랫의 하면에, 타단은 하부슬랫의 상면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슬랫에는 웨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KR1020230044040A 2023-04-04 2023-04-04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KR10257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40A KR102575491B1 (ko) 2023-04-04 2023-04-04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040A KR102575491B1 (ko) 2023-04-04 2023-04-04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491B1 true KR102575491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40A KR102575491B1 (ko) 2023-04-04 2023-04-04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88B1 (ko) * 2024-01-12 2024-04-26 (주)이티에스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KR102661399B1 (ko) * 2024-01-12 2024-04-26 (주)이티에스 배터리 시험용 챔버 공조 시스템
KR102671865B1 (ko) 2024-03-25 2024-06-03 (주)이티에스 인버터 냉각식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92B1 (ko) 2004-12-23 2006-05-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 진공 챔버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06271518A (ja) * 2005-03-28 2006-10-12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ドラフトチャンバ消火装置
JP2010078434A (ja) * 2008-09-25 2010-04-08 Nagano Science Kk 異常検知システム
JP2016176792A (ja) * 2015-03-19 2016-10-06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JP2019070607A (ja) * 2017-10-11 2019-05-09 エスペック株式会社 放圧装置
KR102435728B1 (ko)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배터리 테스트 챔버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92B1 (ko) 2004-12-23 2006-05-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 진공 챔버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06271518A (ja) * 2005-03-28 2006-10-12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ドラフトチャンバ消火装置
JP2010078434A (ja) * 2008-09-25 2010-04-08 Nagano Science Kk 異常検知システム
JP2016176792A (ja) * 2015-03-19 2016-10-06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JP2019070607A (ja) * 2017-10-11 2019-05-09 エスペック株式会社 放圧装置
KR102435728B1 (ko)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배터리 테스트 챔버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88B1 (ko) * 2024-01-12 2024-04-26 (주)이티에스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KR102661399B1 (ko) * 2024-01-12 2024-04-26 (주)이티에스 배터리 시험용 챔버 공조 시스템
KR102671865B1 (ko) 2024-03-25 2024-06-03 (주)이티에스 인버터 냉각식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KR102671864B1 (ko) 2024-03-25 2024-06-03 (주)이티에스 압력배출이 용이한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491B1 (ko)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KR102484909B1 (ko) 안전 기능을 갖는 개폐기 캐비닛 장치, 및 대응 방법
CN110665148B (zh) 一种储能电站用通风和水、气体消防联动控制方法
US800650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10750990U (zh) 储能电站用通风和水、气体消防联动系统
KR102529018B1 (ko) 담수형 배터리 랙 소화장치
KR20090042878A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CN108617128A (zh) 一种防火电气柜
CN212784291U (zh) 一种正压型防爆配电柜
CN205090563U (zh) 具有制冷剂泄漏安全报警装置的空调系统
CN115566299A (zh) 一种分布式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CN214754842U (zh) 一种防火式电气柜
JP2018004183A (ja) 冷蔵庫
WO2017109932A1 (ja) 冷却倉庫
JP7029940B2 (ja) 消火器具
JPH0757474B2 (ja) 防災対策形清浄作業台
CN212106055U (zh) 航空发动机和飞行器
CN218386317U (zh) 一种自检测防火智能输配电控制设备
KR102641544B1 (ko) 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KR102370893B1 (ko)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KR102671864B1 (ko) 압력배출이 용이한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KR102661388B1 (ko) 배터리 시험용 무풍 챔버
CN115493260B (zh) 一种用于空调机组的调控智能盒
CN218976101U (zh) 防火型变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