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93B1 -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93B1
KR102370893B1 KR1020210046309A KR20210046309A KR102370893B1 KR 102370893 B1 KR102370893 B1 KR 102370893B1 KR 1020210046309 A KR1020210046309 A KR 1020210046309A KR 20210046309 A KR20210046309 A KR 20210046309A KR 102370893 B1 KR102370893 B1 KR 10237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vice
fire
machine room
fire extinguishing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묵
Original Assignee
(주)대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방재 filed Critical (주)대진방재
Priority to KR102021004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공간(20)의 벽체(10)와 전기기기(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30)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수(40)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장치(121)가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커버(110); 상기 설치공간(20)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분사되는 소화수(4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130);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수도관(60)을 연결하여, 소화수(40)의 이동통로가 되는 제1배관(141); 상기 수도관(60)과 제1배관(141) 사이에 설치되어 소화수(4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전자밸브(151); 상기 전기기기(30) 기계실(3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0); 및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제1전자밸브(151)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상기 커버(1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관(141)은 제1분사장치(121)의 이동에 따라 굽어질 수 있어 전기기기(30) 기계실(31)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고, 설치공간(20) 하측에 소화수(40) 및 유해가스가 배축 또는 배기되는 배출장치(130)를 마련함으로써, 소화수(40)에 의한 감전사고 및 유해가스 흡입에 의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Firefighting apparatus for electric equipment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와 같은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에 구비되어 전기기기의 화재 발생 시 소화수 또는 소화가스를 분사함과 동시에 연기 및 소화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동건물의 소방장치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장치로 구성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소화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살수되어 화재를 진화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동건물의 소방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수가 공급되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에 구비된 퓨즈가 일정 온도(68℃ 이상)의 열을 받아야만 비로소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공동건물의 세대 공간 전체에 대하여 살수되어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동건물의 소방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시간 경과하여 화재가 어느 정도 확산된 후에야 비로소 소화수의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화 초기에 발화점에 대한 진화는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공동건물의 각 세대에 마련되는 전기기기의 설치공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건물의 각 세대에는 벽체(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의 설치공간(20)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소화수의 살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설치공간(20)으로 소화수가 살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특히,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의 경우 후면의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에서 주로 화재가 시작되는 점을 고려하면, 화재의 초기대응에 실패해 많은 재산상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102는 싱크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냉온수혼합밸브가 연결되는 냉수공급관에 T형 관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김치냉장고의 기계실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분사수단과; 벽체와 김치냉장고의 기계실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에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가스분사수단과; 김치냉장고의 기계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수분사수단과 소화가스분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김치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서 먼지와 아크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소화가스분사수단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에 의하여 기계실 내부의 화재가 진화되고, 2차적으로 소화수분사수단에서 분사되는 소화수에 의하여 기계실 내부와 외부의 화재가 진화되므로 김치냉장고의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102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에 대응할 수 없고, 소화수 분사 후에 별도로 배수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더라도 소화수에 의한 전기감전사고 및 화재로 인한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여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0102호 (2017년 4월 10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출된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의 설치공간에 마련되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고, 소화수의 배수 및 유해가스를 배기가 가능한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건물의 냉장고, 김치냉장고와 같은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에 마련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기계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벽체와 전기기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장치가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커버; 상기 설치공간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 상기 제1분사장치와 수도관을 연결하여, 소화수의 이동통로가 되는 제1배관; 상기 수도관과 제1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소화수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전자밸브; 상기 전기기기 기계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제1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사장치는 상기 커버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관은 제1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굽어질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에서 소화수가 상기 기계실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밸브를 페쇄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에서 소화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제1분사장치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라인; 상기 커버의 일측면의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의 일부분을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의 일부부분을 폐쇄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사장치는 일측은 상기 제1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수가 물방물 형태로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제1분사부와 연결되는 제1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끼워지는 제1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분사장치는 상기 제1홈부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 부분은 상기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는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모터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댐퍼; 상기 제1댐퍼가 개방되면, 소화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소화수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소화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에서 소화수가 분사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댐퍼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공이 개방됨으로써, 소화수가 상기 저장공간에 모아지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공; 상기 배기공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제2배기통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에 의해 상기 제2배기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댐퍼;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제2배기통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제2흡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제2배기통로 내부에서 상기 배기공의 일측면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제2흡기장치는 제2댐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댐퍼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2댐퍼를 수평으로 기울여 상기 배기공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흡기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기계실의 화재발생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연기를 빨아들여 상기 제2배기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1댐퍼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2댐퍼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배기공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2흡기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가스가 충진되는 가스저장탱크;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끼어져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화가스를 상기 기계실로 분사하는 제2분사장치; 상기 가스저장탱크와 제2분사장치를 연결하여 소화가스의 이동통로가 되고, 상기 제2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굽어지는 제2배관; 및 상기 가스저장탱크와 제2배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소화가스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전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2분사장치가 소화가스를 상기 기계실로 분사하고, 상기 제2분사장치에 의해 소화가스가 분사된 후, 일정 시간 뒤에도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밸브도 개방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가 소화수를 상기 기계실로 분사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밸브 및 제2전자밸브를 페쇄하여 소화수 및 소화가스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분사장치는 일측은 상기 제2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가스가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제2분사부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끼워지는 제2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분사장치는 상기 제2홈부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분사장치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 부분은 상기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는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의 설치공간에 구비되어 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전기기기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는 화재를 진화하는 데 사용한 소방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어 전기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연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어 유해가스 및 연기의 흡입에 의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공동건물의 각 세대에 마련되는 전기기기의 설치공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가 설치공간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의 평상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의 화재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설치되는 제1분사장치 및 제2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과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분사장치와 제1배관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분사장치와 제2배관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의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가 설치공간(20)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의 평상시의 단면도와 화재시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커버(110)에 설치되는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를 도시한 것이고,도 6의 (a)는 도 5의 A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5의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분사장치(121)와 소화수(40)의 이동통로가 되는 제1배관(141)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2분사장치(122)와 소화가스(50)의 이동통로가 되는 제2배관(142)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는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공간(20)의 벽체(10)와 전기기기(30)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110), 소화수(40)를 분사하는 제1분사장치(121), 소화가스(50)를 분사하는 제2분사장치(122),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수도관(60)을 연결하는 제1배관(141), 상기 제2분사장치(122)와 가스저장탱크(200)를 연결하는 제2배관(142), 상기 제1배관(141)과 수도관(6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151), 상기 제2배관(142)과 가스저장탱크(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152), 상기 기계실(3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0), 설치공간(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장치(130) 및 상기 제1전자밸브(151), 제2전자밸브(15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공간(20)의 벽체(10)와 전기기기(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전기기기(30)에 화재가 발생하면 발화지점을 향하여 소화수(40)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장치(121) 및 소화가스(50)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장치(122)가 구비된다.
설치공간(20)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전기기기(30)의 크기에 따라 기계실(31)의 위치도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수(40) 또는 소화가스(50)가 화재 시 기계실(31)에 정확하게 분사되기 위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는 상기 커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10)에 6개의 제1분사장치(121)가 설치되어 있고, 3개의 제2분사장치(122)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커버(110)에 구비되는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의 개수는 설치공간(20)의 크기 및 상기 설치공간(20)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0)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분사장치(121) 또는 제2분사장치(122)가 커버(110)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0)에는 경로가이드라인(111) 및 복수 개의 도어(112)가 포함되는데,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 도어(112) 및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가 상기 커버(110)에 결합하는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은 커버(11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는 경로가이드라인(111)에 결합하여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상기 커버(110)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가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위치가 이동된 후에는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가 위치하지 않는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폐쇄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110)에는 복수 개의 도어(11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12) 각각은 기계실(31)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1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2)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측으로 이동한 상기 도어(112)가 위치하는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개방되고, 그 경로가이드라인(111)부분에는 상기 제1분사장치(121) 또는 제2분사장치(122)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측으로 이동한 상기 도어(112)는 도어(112) 하측에 위치하는 제1분사장치(121) 또는 제2분사장치(122)에 의해 하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2)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이동한 상기 도어(112)가 위치하는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폐쇄된다. 이 때, 상기 제1분사장치(121) 또는 제2분사장치(122) 양측에는 하측으로 이동한 도어(112)가 위치하고 있어 제1분사장치(121) 또는 제2분사장치(122)가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되게 된다.
상기 커버(110)에는 경로가이드라인(111)의 상측으로 상기 도어(11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의 상측에 상기 도어(1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1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12)의 일측면의 하부에는 손가락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112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거치부(112a)는 도어(112)의 일측면이 일정 부분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거치부(112a)는 도어(112)의 일측면이 일정 부분 함몰된 형태이다.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커버(110)의 경로가이드라인(111)에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데,이를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제1배관(141)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수(40)가 물방물 형태로 분사되는 제1분사부(121a)와 연결되는 제1몸체(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21b)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워지는 제1홈부(1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상기 제1홈부(121c)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때,상기 제1분사장치(121)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상기 도어(112)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2분사장치(122)도 제1분사장치(121)와 동일하게 일측은 상기 제2배관(142)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가스(50)가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제2분사부(122c)와 연결되는 제2몸체(1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122b)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워지는 제2홈부(1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분사장치(122)는 제2홈부(122c)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2분사장치(122)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상기 도어(112)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1몸체(121b)와 제2몸체(122b)의 너비의 길이는 상기 도어(112)의 너비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제1몸체(121b) 및 제2몸체(122b)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삽입홈(113)에 삽입된 도어(112)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21b) 및 제2몸체(122b)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폐쇄하고 있는 도어(112)에 의하여 상기 제1몸체(121b)와 제2몸체(122b)의 이동이 방지되어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가 경로가이드라인(111)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의 하측에는 일정깊이 함몰된 제2삽입홈(114)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도어(11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폐쇄할 때 상기 도어(112)의 하부가 상기 제2삽입홈(114)에 삽입되어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는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제2분사장치(122)가 설치공간(20)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0)에 구비되는 기계실(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110)에 마련되는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움결합하여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함에 따라, 화재 시 발화점이 되는 기계실(31)에 집중적으로 소화수(40) 또는 소화가스(50)가 분사될 수 있게 되어 화재 시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사장치(121)가 소화수(40)를 분사하기 위해서 제1분사장치(121)는 수도관(60)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사장치(121) 각각은 제1배관(141)을 통해 수도관(60)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관(60)과 제1배관(141) 사이에는 소화수(4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1전자밸브(15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배관(141)은 제1분사장치(121)의 이동에 따라 굽어질 수 있도록 유연하면서 화재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을 지닌 난열성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자바라와 같이 상기 제1분사장치(121)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전자밸브(151)는 상기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1분사장치(121)를 통해 소화수(40)가 분사되지 않도록 수도관(60)에서 소화수(40)가 제1배관(141)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수도관(60)을 폐쇄하고, 화재시에는 상기 수도관(60)을 개방하여 소화수(40)가 제1배관(141)을 지나 제1분사장치(121)를 통해 기계실(31)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분사장치(122)가 소화가스(50)를 분사하기 위해서 제2분사장치(122)는 내부에 소화가스(50)가 저장되는 가스저장탱크(200)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저장탱크(200)는 커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가스(50)가 충전된다. 또한, 제2배관(142)을 통해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제2분사장치(122)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제2배관(142) 사이에는 소화가스(5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2전자밸브(1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배관(142)은 제1배관(141)과 같이 커버(110)의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제2분사장치(122)의 이동에 따라 굽어질 수 있도록 유연하면서 화재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을 지닌 난열성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자바라와 같이 상기 제2분사장치(122)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전자밸브(152)는 상기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2분사장치(122)를 통해 소화가스(50)가 분사되지 않도록 가스저장탱크(200)에서 소화가스(50)가 제2배관(142)으로 투입되지 않게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연결되는 제2배관(142)을 폐쇄하고, 화재시에는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연결되는 제2배관(142)을 개방하여 소화가스(50)가 제2배관(142)을 지나 제2분사장치(122)를 통해 기계실(31)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 주변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제1흡기장치(170) 및 공동건물의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흡기장치(170)에서 빨아들이는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기통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장치(170)는 상기 제어부(19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10)에는 제1흡기장치(170)가 기계실(31)의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흡기공(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장치(170)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기계실(31)의 먼지를 빨아들임으로써, 전기기기(30)의 아크 발생 및 화재발생의 원인인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는 화재를 방지하게 된다.
다만, 화재 발생 시에는 소화가스(50) 및 소화수(40)가 기계실(31)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1흡기장치(170)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됨으로써, 제1흡기장치(170)의 바람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공간(20)의 하측에는 배출장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장치(130)는 화재 시 상측이 개방되어 제1분사장치(121)에서 분사된 소화수(40), 제2분사장치(122)에서 분사된 소화가스(50), 화재에 의해 발생한 유해가스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장치(130)에는 소화수(40)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본체(134), 상기 본체(134)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131) 및 제1댐펴, 상기 본체(134)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수구(136), 상기 본체(134)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배기통로(138)와 상기 제2배기통(138)로 내부에 구비되는 제2댐퍼(138b), 제2흡기장치(138c)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34)는 상기 제1배출장치(130)에서 분사된 수화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134)에 저장되는 소화수(40)가 배수공(135)을 통과하여 배수구(1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은 상기 배수공(135) 및 배수구(136)을 향해 아래로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배출공(131)은 상기 본체(134)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분사되는 소화수(40), 상기 제2분사장치(122)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50)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연기가 지나가는 통로로 기능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댐퍼(133)는 상기 배출공(131)의 하측과 밀착되게 구비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배출공(131)을 폐쇄시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134)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화재 시에는 상기 배출공(131)을 개방하여 소화수(40),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가 상기 배출공(131) 을 통해 상기 본체(134)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댐퍼(133)는 평상시에 상기 배출공(131)을 폐쇄시킬 수 있는 모양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공(131) 각각은 설치공간(20)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개통하고 있으며, 상기 제1댐퍼(133)는 상기 배출공(131)보다 긴 너비와 길이를 가지고 제1모터(132)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공(131)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댐퍼(133)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모터(13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막대(133a)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모터(132)에 의해 상기 기어막대(133a)가 타측으로 움직이면 제1댐퍼(133) 각각이 일측으로 움직여 상기 배출공(131)을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1모터(132)에 의해 상기 기어막대(133a)가 일측으로 움직이면 제1댐퍼(133) 각각이 타측으로 움직여 상기 배출공(131)을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제1댐퍼(133)에 의해 배출공(131)이 막혀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부(190)에 의해 제1모터(132)는 상기 기어막대(133a)를 타측으로 당겨서 상기 제1댐퍼(133)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공(131)을 개방시키게 되고, 소화수(40),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가 개방된 배출공(131)을 통과하여 본체(134)로 낙하하거나 빨려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배수공(135)은 상기 본체(134)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배수구(136)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활한 소화수(40)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본체(134)의 하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공(135)이 상기 본체(134)의 하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화재 시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를 상기 본체(134) 내부로 빨아들이고, 빨아들인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는 제2배기통로(138)과 상기 제2배기통로(138) 내부에 구비되는 배기공(137) 및 제2댐퍼(138b), 제2흡기장치(138c)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공(137)은 본체(134)의 일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기통로(138)의 입구에 설치되며,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134)나 설치공간(20)의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통로(138)는 상기 본체(134)와 외부를 연통하여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의 외부 배출통로가 된다.
상기 제2댐퍼(138b)는 상기 제2배기통로(138)내부에서 상기 배기공(137)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138a)와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제2댐퍼(138b)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 상기 제2배기통로(138)와 본체(134)를 가로막고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에 상기 제2모터(138a)의 의해 수평으로 기울여 상기 제2배기통로(138)와 본체(134)를 연통시키게 된다.
상기 제2흡기장치(138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동작을 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에는 작동하여 소화가스(50), 유해가스 및 연기를 본체(134) 내부 및 제2배기통로(138)로 빨여들여 외부로 배출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흡기장치(138c)는 흡기팬과 같은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평상시와 화재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의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기계실(31)의 온도가 일정 값 이하일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기계실(31)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 제2전자밸브(152)를 제어하여 제1배관(141) 및 제2배관(142)을 각각 폐쇄시키게 되고, 상기 제1배관(141) 및 제2배관(142)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에서 소화수(40) 및 소화가스(50)가 분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제1모터(132), 제2모터(138a)를 제어하여 제1댐퍼(133)가 배출공(131)을 폐쇄시키도록하고, 제2댐퍼(138b)가 제2배기통로(138)를 막아 본체(134)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시킨다. 또한, 제2흡기장치(138c)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기계실(31)의 온도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90)가 상기 기계실(31)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 제2전자밸브(152)를 제어하여 제1배관(141) 및 제2배관(142)을 각각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제1배관(141) 및 제2배관(142)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제1분사장치(121) 및 제2분사장치(122)에서 소화수(40) 및 소화가스(50)가 기계실(31)을 향해 방사형으로 분사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제1모터(132)를 제어하여 제1댐퍼(133)를 타측으로 움직여 상기 배출공(131)을 개방시켜 배출공(131)을 통해 소화수(40)가 본체(134) 내부로 낙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소화수(40)는 배수공(135) 및 배수구(13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제2모터(138a)를 제어하여 제2댐퍼(138b)를 수평으로 기울여 상기 제2배기통로(138)를 통해 본체(134)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90)는 제2흡기장치(138c)를 작동시키게 되면서 소화가스(50) 및 화재로 인한 유해가스 및 연기를 본체(134) 내부로 빨아들여 제2배기통로(138)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킨다.
또한, 제어부(190)는 화재 발생 시 먼저 제2분사장치(122)를 통해 소화가스(50)를 상기 기계실(31)로 분사하고, 상기 제2분사장치(122)에 의해 소화가스(50)가 분사된 후, 일정 시간 뒤에도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도 개방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121)가 소화수(40)를 상기 기계실(31)로 분사하도록 하여 화재발생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먼저 제1분사장치(121)가 소화수(40)를 분사하고 일정 시간 뒤에 제2분사장치(122)에서 소화가스(50)를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화재 발생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온도센서(160)에 의해 측정되는 기계실(31) 내부의 온도가 일정 범위 이하로 떨어져 화재가 진화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배출장치(130)를 통해 소화수(40), 소화가스(50)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한 유해가스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정 시간 동안 제1댐퍼(133)과 제2댐퍼(134)를 이용하여 배출공(131)과 배기공(137)을 개방시킬 수 있고, 제2흡기장치(138c)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에는 화재 시 공동건물에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된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배터리(191)를 구비하여 화재 시에도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는 설치공간(20)에 구비되는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에 직접적으로 소화수(40) 또는 소화가스(50)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으며, 화재를 진화하는 데 사용한 소방수(40)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어 전기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연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어 유해가스 및 연기의 흡입에 의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110 : 커버
121 : 제1분사장치 122 : 제2분사장치
130 : 배출장치 141 : 제1배관
142 : 제2배관 151 : 제1전자밸브
152 : 제2전자밸브 160 : 온도센서
190 : 제어부 200 : 가스저장탱크

Claims (7)

  1. 공동건물의 냉장고, 김치냉장고와 같은 전기기기(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20)에 마련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30)의 기계실(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공간(20)의 벽체(10)와 전기기기(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30)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수(40)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장치(121)가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커버(110);
    상기 설치공간(20)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분사되는 소화수(4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130);
    상기 제1분사장치(121)와 수도관(60)을 연결하여, 소화수(40)의 이동통로가 되는 제1배관(141);
    상기 수도관(60)과 제1배관(141) 사이에 설치되어 소화수(4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전자밸브(151);
    상기 전기기기(30) 기계실(3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0); 및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제1전자밸브(151)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상기 커버(1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관(141)은 제1분사장치(121)의 이동에 따라 굽어질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를 개방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소화수(40)가 상기 기계실(31)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를 페쇄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소화수(40)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커버(110)는,
    상기 커버(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제1분사장치(121)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라인(111);
    상기 커버(110)의 일측면의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의 일부분을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의 일부부분을 폐쇄하는 복수 개의 도어(112);를 포함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일측은 상기 제1배관(141)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수(40)가 물방물 형태로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제1분사부(121a)와 연결되는 제1몸체(12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121b)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워지는 제1홈부(1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분사장치(121)는 상기 제1홈부(121c)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121)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상기 도어(112)에 의해 폐쇄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130)는,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31);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제1모터(132)에 의해 상기 배출공(13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댐퍼(133);
    상기 제1댐퍼(133)가 개방되면, 소화수(40)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소화수(40)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본체(134); 및
    상기 본체(134)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34)에 저장된 소화수(40)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1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장치(121)에서 소화수(40)가 분사되면,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제1댐퍼(133)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공(131)이 개방됨으로써, 소화수(40)가 상기 저장공간에 모아지고, 상기 배수구(136)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4)의 일측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공(137);
    상기 배기공(137)에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제2배기통로(138);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제2모터(138a)에 의해 상기 제2배기통로(138)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댐퍼(138b); 및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제2배기통로(138)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34)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제2흡기장치(138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138b)는 상기 제2배기통로(138) 내부에서 상기 배기공(137)의 일측면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제2흡기장치(138c)는 제2댐퍼(138b)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댐퍼(133)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제2모터(138a)를 제어하여 상기 제2댐퍼(138b)를 수평으로 기울여 상기 배기공(137)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2흡기장치(138c)를 작동시켜, 상기 기계실(31)의 화재발생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연기를 빨아들여 상기 제2배기통로(138)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1댐퍼(133)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제2모터(138a)를 제어하여 상기 제2댐퍼(138b)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배기공(137)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2흡기장치(138c)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가스(50)가 충진되는 가스저장탱크(200);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어져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소화가스(50)를 상기 기계실(31)로 분사하는 제2분사장치(122);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제2분사장치(122)를 연결하여 소화가스(50)의 이동통로가 되고, 상기 제2분사장치(122)의 이동에 따라 굽어지는 제2배관(142); 및
    상기 가스저장탱크(200)와 제2배관(14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소화가스(5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전자밸브(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2전자밸브(152)를 개방하여 상기 제2분사장치(122)가 소화가스(50)를 상기 기계실(31)로 분사하고,
    상기 제2분사장치(122)에 의해 소화가스(50)가 분사된 후, 일정 시간 뒤에도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를 개방하여 상기 제1분사장치(121)가 소화수(40)를 상기 기계실(31)로 분사하고,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계실(31)의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전자밸브(151) 및 제2전자밸브(152)를 페쇄하여 소화수(40) 및 소화가스(50)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장치(122)는,
    일측은 상기 제2배관(142)과 연결되고, 타측은 소화가스(50)가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제2분사부(122c)와 연결되는 제2몸체(12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122b)의 상부와 하부는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워지는 제2홈부(1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분사장치(122)는 상기 제2홈부(122c)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에 끼어진 상태로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분사장치(122)가 끼어지지 않은 상기 경로가이드라인(111) 부분은 상기 도어(112)에 의해 폐쇄되는 공동건물 전기기기 소방장치.
KR1020210046309A 2021-04-09 2021-04-09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KR10237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09A KR102370893B1 (ko) 2021-04-09 2021-04-09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09A KR102370893B1 (ko) 2021-04-09 2021-04-09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893B1 true KR102370893B1 (ko) 2022-03-08

Family

ID=8081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09A KR102370893B1 (ko) 2021-04-09 2021-04-09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623A (ja) * 1993-11-10 1995-05-23 Mitsui Constr Co Ltd 建築物における水抜き構造
KR101720102B1 (ko)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KR101793992B1 (ko) * 2017-04-27 2017-11-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623A (ja) * 1993-11-10 1995-05-23 Mitsui Constr Co Ltd 建築物における水抜き構造
KR101720102B1 (ko)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KR101793992B1 (ko) * 2017-04-27 2017-11-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327B2 (ja)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434968B1 (ko) 방연막을 구비한 건물 방화문
KR101944316B1 (ko)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575491B1 (ko) 소화기가 장착된 전자기기 테스트 챔버
KR20110116980A (ko)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KR102353750B1 (ko) 방화셔터용 비상도어
KR102370893B1 (ko) 공동건물 전기기기의 소방장치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2093015B1 (ko) 집중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785392B1 (ko)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CN107362481A (zh) 一种自动灭火配电柜
JP4656749B2 (ja) 開閉体装置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100898917B1 (ko) 패널 벽체의 자동소화 장치
KR100976172B1 (ko) 질소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KR102115224B1 (ko)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