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69B1 -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69B1
KR102575469B1 KR1020230064673A KR20230064673A KR102575469B1 KR 102575469 B1 KR102575469 B1 KR 102575469B1 KR 1020230064673 A KR1020230064673 A KR 1020230064673A KR 20230064673 A KR20230064673 A KR 20230064673A KR 102575469 B1 KR102575469 B1 KR 10257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line
sewage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엠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엠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엠앤피
Priority to KR102023006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8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a settling tank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오배수가 유입되는 오배수 유입구를 구비한 오배수 탱크,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위치하며,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배수 펌프, 오배수 탱크와 오배수 펌프를 연결하며, 오배수 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가 오배수 펌프로 이동하는 경로인 오배수 펌핑 라인, 오배수 펌핑 라인을 따라 이동한 오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오배수 배출 라인, 및 오배수 배출 라인에서 분기되어 오배수 탱크와 유체 연통된 침전물 교반 라인을 포함하고, 오배수 펌프가 오배수 탱크 내의 오배수를 펌핑할 때 오배수의 일부는 오배수 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침전물 교반 라인을 따라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후 오배수 탱크 내의 침전물로 분사되어 침전물을 교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TREATING SYSTEM OF DIRTY WATER AND DRAINAGE WITH FUNCTION CRUSHING PRECIPITATE}
본 발명은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배수 펌프가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어 오배수 펌프의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오배수 펌프의 펌핑 시에 펌핑되는 오배수의 일부가 오배수 탱크로 유입되면서 침전물에 분사되어 침전물이 굳지 않고 교반되도록 하는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에 사람이 생활하는 건물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수 배출장치에 의해 오수를 집수하여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오수 배출장치에는 오수가 임시저장되는 오수배 탱크와, 오배수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오배수 탱크 내부에 입되는 오수를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배출시키는 오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오배수 펌프 패키지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0-1682226호 참조).
오배수 펌프의 경우, 오배수 탱크의 상태(오배수 수위 등의 정보)에 따라 오배수 펌프를 가동하고 정지하며, 이를 위해 오배수 패널 시스템이 사용된다.
한편, 종래에는 오배수 탱크 내에 설치된 오배수 펌프를 가동하여 펌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오물에 의해 펌프의 동작이 정지되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오배수 펌프에 막힘현상이 발생할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오배수 펌프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오배수 탱크 내에 오배수가 유입된 후에 오배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가 오배수 탱크의 하부에 침전되어 침전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오배수 탱크의 수용 체적이 줄게 되고 오배수 펌프에 의한 오배수 배출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배수 펌프의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오배수 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오배수 펌프가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어 오배수 펌프의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오배수 펌프의 펌핑 시에 펌핑되는 오배수의 일부가 오배수 탱크로 유입되면서 침전물에 분사되어 침전물이 굳지 않고 교반되도록 하는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오배수가 유입되는 오배수 유입구를 구비한 오배수 탱크,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위치하며,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배수 펌프, 오배수 탱크와 오배수 펌프를 연결하며, 오배수 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가 오배수 펌프로 이동하는 경로인 오배수 펌핑 라인, 오배수 펌핑 라인을 따라 이동한 오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오배수 배출 라인, 및 오배수 배출 라인에서 분기되어 오배수 탱크와 유체 연통된 침전물 교반 라인을 포함하고, 오배수 펌프가 오배수 탱크 내의 오배수를 펌핑할 때 오배수의 일부는 오배수 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침전물 교반 라인을 따라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후 오배수 탱크 내의 침전물로 분사되어 침전물을 교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배수 펌프가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어 오배수 펌프의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오배수 펌프의 펌핑 시에 펌핑되는 오배수의 일부가 오배수 탱크로 유입되면서 침전물에 분사되어 침전물이 굳지 않고 교반되도록 하는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오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오배수의 일부는 배출되고, 나머지는 침전물 교반 라인을 통해 오배수 탱크로 다시 유입되어 침전물 교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은 침전물 교반 라인을 통해 다시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가 분사 노즐을 거쳐 침전물로 분사되면서 침전물을 분해 및 교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오배수 탱크에 형성된 노즐 점검 개폐창이 개방되어 분사 노즐이 외부로 노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탁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교반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는 제어 장치가 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탁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교반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분사수 공급 라인을 통해 침전물 교반 라인으로 분사된 분사수가 막힘 현상을 해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오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오배수의 일부는 배출되고, 나머지는 침전물 교반 라인을 통해 오배수 탱크로 다시 유입되어 침전물 교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은 침전물 교반 라인을 통해 다시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오배수가 분사 노즐을 거쳐 침전물로 분사되면서 침전물을 분해 및 교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10)은, 오배수 탱크(40), 오배수 펌프(60), 오배수 펌핑 라인(50), 오배수 배출 라인(70), 침전물 교반 라인(100) 및 분사 노즐(130)을 포함한다.
오배수 탱크(40)는 화장실,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배수(D)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고일 수 있다.
이러한 오배수 탱크(40)는 오배수(D)가 유입되는 오배수 유입구(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면에는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점검창(3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오배수 탱크(40)의 내부에는 거름망(25)) 및 수위감지장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거름망(25)은 오배수 유입구(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오배수 유입구(20)로 유입되는 오배수(D)를 1차적으로 거름으로써 오배수(D)에 포함된 큰 입자들이 오배수 탱크(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장비는 오배수 탱크(40) 내에 유입되는 오배수(D)의 수위를 감지하는 장비이다.
수위감지장비가 감지한 오배수(D)의 수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후술하는 오배수 펌프(60)가 작동하여 오배수(D)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장비로는 플로팅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배수 펌프(60)는 오배수 탱크(40)에 임시 보관된 오배수(D)를 정화조, 하수조 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이다.
이러한 오배수 펌프(60)는 주펌프 및 보조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펌프만이 작동하거나, 배출할 오배수의 유량이 많아 어느 펌프에 과부하가 걸리 경우를 대비하여 주펌프 및 보조펌프는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주펌프와 보조펌프는 동일한 펌프일 수 있으므로,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나의 펌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오배수 펌프(60)는 오배수 탱크(4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오배수 탱크(40)의 세정,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오배수 탱크(40)가 오배수(D) 및 침전물(P)에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는 건식 오배수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오배수 펌프(60)는 오배수 탱크(40) 내로 유입된 오배수(D)를 오배수 배출구(80)를 포함하는 오배수 배출 라인(7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오배수 펌핑 라인(50)은 오배수 탱크(40)와 오배수 펌프(60)를 연결하며, 오배수 펌프(60)의 작동으로 인해 오배수 탱크(40)로 유입된 오배수(D)가 오배수 펌프(60)로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즉, 오배수 펌프(60)가 작동함에 따라 오배수(D)는 오배수 탱크(40)에서 오배수 펌핑 라인(50)을 거쳐 오배수 펌프(60)로 이동할 수 있다.
오배수 배출 라인(70)은 오배수 펌핑 라인(50)을 따라 이동한 오배수(D)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이다.
구체적으로, 오배수 펌프(60)가 작동함에 따라 오배수(D)는 오배수 탱크(40)에서 오배수 펌핑 라인(50)을 거쳐 오배수 펌프(60)로 이동한 후, 오배수 펌프(60)와 연통된 오배수 배출 라인(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침전물 교반 라인(100)은 오배수 배출 라인(70)에서 분기되어 오배수 탱크(40)와 유체 연통된 유로이다.
이와 관련하여, 오배수 탱크(40)에 오배수(D)가 유입된 후 일정 시간이 흐르면 오배수 탱크(40)의 하부에는 침전물(또는 슬러지)(P)가 쌓일 수 있다.
이렇게 침전물(P)이 쌓이기 되면, 오배수 탱크(40)에 수용할 수 있는 오배수(D)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오배수 탱크(40)의 청소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오배수 탱크(40)의 하부에 위치한 침전물(P)을 분해 또는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오배수 펌프(60)가 오배수 탱크(40) 내의 오배수(D)를 펌핑할 때 오배수(D)의 일부(α)는 오배수 배출 라인(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β)는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따라 오배수 탱크(40)로 유입되어 오배수 탱크(40) 내의 침전물(P)로 분사되어 침전물(P)을 교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배수 탱크(40)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P)이 분해 및 교반되어 오배수 탱크(40)의 수용 체적이 감소하지 않고 오배수 탱크(40)의 청소에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의 경우는 침전물 교반 라인(100)과 오배수 탱크(40)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연결 프레임(120)은 오배수 탱크(4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오배수 배출 라인(70)에서 분기된 침전물 교반 라인(100)은 연결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오배수 탱크(40)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고, 침전물 교반 라인(100) 상에는 교반 밸브 장치(110)가 설치되어 침전물 교반 라인(100) 내의 오배수(D)가 오배수 탱크(4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분사 노즐(130)은 오배수 탱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전물 교반 라인(100)과 연결된 노즐이다.
즉, 침전물 교반 라인(100)은 연결 프레임(120) 또는 오배수 탱크(40)를 관통하면서 관통된 부분은 분사 노즐(130)과 결합할 수 있으며,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따라 이동한 오배수(D)는 분사 노즐(130)을 통해 침전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렇게,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 분사 노즐(130)이 설치됨으로써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서 나오는 오배수(D)는 분사 노즐(130)을 거쳐 더 센 속도로 침전물로 분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침전물의 교반이 더욱 잘 일어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했다. 이하,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7 은 오배수 탱크에 형성된 노즐 점검 개폐창이 개방되어 분사 노즐이 외부로 노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이외에 추가적으로 노즐 점검 개폐창(14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점검 개폐창(140)은 내측에 설치된 분사 노즐(130)에 대한 점검을 위해 오배수 탱크(40)에 형성된 개폐창이다.
이러한 노즐 점검 개폐창(140)은 오배수 탱크(40)의 둘레에 형성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외측에 침전물 교반 라인(100)이 연결되고, 내측에 분사 노즐(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형태로, 노즐 점검 개폐창(140)은 오배수 탱크(4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연결 프레임(120)은 노즐 점검 개폐창(14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분사 노즐(130)은 노즐 점검 개폐창(14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침전물 교반 라인(100)은 연결 프레임(120) 및 노즐 점검 개폐창(140)을 관통한 후 관통한 단부는 분사 노즐(13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노즐 점검 개폐창(140)이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노즐 점검 개폐창(140)을 개방하여 분사 노즐(13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오배수 탱크(40)에 들어갈 필요없이 오배수 탱크(40)의 외부에서 분사 노즐(130)을 점검할 수 있고,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했다. 이하, 도 8 및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8 은 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탁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교반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는 제어 장치가 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탁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교반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이외에 추가적으로 탁도 측정 센서(160) 및 제어 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탁도 측정 센서(160)는 오배수 탱크(40) 내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탁도 측정 센서(160)를 통해 침전물(P)의 교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후술한다.
제어 장치(90)는 전술한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개폐하는 교반 밸브 장치(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 형태로 제어 장치(90)는 제어 패널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서 분사된 오배수(D)에 의해 오배수 탱크(40)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P)의 분해, 즉 교반이 잘 이루어질 경우 오배수 탱크(40) 내의 탁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추가적인 교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유동하는 오배수(D)는 더 이상 오배수 탱크(40) 내로 분사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반대로,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서 분사된 오배수(D)에 의해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배수 탱크(40) 내의 탁도는 낮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추가적인 교반 과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유동하는 오배수(D)는 지속적으로 오배수 탱크(40) 내로 분사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제어 장치(90)는 오배수 펌프(60)의 구동 후 탁도 측정 센서(160)가 측정한 탁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교반 밸브 장치(110)를 제어하여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교반 밸브 장치(11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유무선 방식으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면 밸브의 종류에 제한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했다. 이하,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0 은 분사수 공급 라인을 통해 침전물 교반 라인으로 분사된 분사수가 막힘 현상을 해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10)의 구성 이외에 추가적으로 분사수 공급 라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수 공급 라인(150)은 침전물 교반 라인(100)과 유체 연통되어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침전물 교반 라인(100)으로 분사되어 막힘 현상을 해소하는 분사수(B)를 분사하는 라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침전물 교반 라인(100)을 유동하는 오배수(D)에 슬러지(C)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침전물 교반 라인(100)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일 형태로서, 오배수 처리 시스템은 오배수 탱크(40) 내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배수 탱크(40)가 오배수(D)를 펌핑하는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임에도 탁도 측정 센서(160)가 측정한 탁도가 변화가 없을 경우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침전물 교반 라인(100)으로 분사수(B)를 분사하는 분사수 공급 라인(150)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막힘 현상에 대한 판단 및 분사수 공급 과정은 제어 장치(90)가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오배수 처리 시스템 20: 오배수 유입구
25: 거름망 30: 점검창
40: 오배수 탱크 50: 오배수 펌핑 라인
60: 오배수 펌프 70: 오배수 배출 라인
80: 오배수 배출구 90: 제어 장치
100: 침전물 교반 라인 110: 교반 밸브 장치
120: 연결 프레임 130: 분사 노즐
140: 노즐 점검 개폐창 150: 분사수 공급 라인
160: 탁도 측정 센서

Claims (6)

  1. 오배수가 유입되는 오배수 유입구를 구비한 오배수 탱크;
    상기 오배수 탱크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상기 오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배수 펌프;
    상기 오배수 탱크와 상기 오배수 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오배수 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상기 오배수가 상기 오배수 펌프로 이동하는 경로인 오배수 펌핑 라인;
    상기 오배수 펌핑 라인을 따라 이동한 상기 오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인 오배수 배출 라인; 및
    상기 오배수 배출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오배수 탱크와 유체 연통된 침전물 교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오배수 펌프가 상기 오배수 탱크 내의 상기 오배수를 펌핑할 때 상기 오배수의 일부는 상기 오배수 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을 따라 상기 오배수 탱크로 유입된 후 상기 오배수 탱크 내의 침전물로 분사되어 상기 침전물을 교반하는 것이고,
    상기 오배수 탱크의 내부에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과 연결된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을 따라 이동한 상기 오배수는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침전물로 분사되는 것이고,
    상기 오배수 탱크의 둘레에 형성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외측에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이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분사 노즐이 설치되는 노즐 점검 개폐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점검 개폐창을 개방하여 상기 분사 노즐을 점검하는 것이고,
    상기 오배수 탱크 내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 센서;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을 개폐하는 교반 밸브 장치; 및
    상기 교반 밸브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오배수 펌프의 구동 후 상기 탁도 측정 센서가 측정한 상기 탁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교반 밸브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을 폐쇄하는 것이고,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과 유체 연통되어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침전물 교반 라인으로 분사되어 상기 막힘 현상을 해소하는 분사수를 분사하는 분사수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배수 탱크가 상기 오배수를 펌핑하는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임에도 상가 탁도 측정 센서가 측정한 상기 탁도가 변화가 없을 경우 상기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64673A 2023-05-18 2023-05-18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KR10257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73A KR102575469B1 (ko) 2023-05-18 2023-05-18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673A KR102575469B1 (ko) 2023-05-18 2023-05-18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469B1 true KR102575469B1 (ko) 2023-09-06

Family

ID=8797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673A KR102575469B1 (ko) 2023-05-18 2023-05-18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376A (ja) * 1995-12-15 1997-06-24 Taiho Ind Co Ltd タンクの洗浄方法
JP2572048Y2 (ja) * 1993-02-16 1998-05-20 日新製鋼株式会社 排泥配管洗浄装置
JP4447579B2 (ja) * 2005-09-13 2010-04-07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汚水処理装置
KR101196194B1 (ko) * 2012-08-21 2012-11-05 주식회사 조은펌프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JP6949470B2 (ja) * 2016-11-07 2021-10-1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悪臭防止型排水設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048Y2 (ja) * 1993-02-16 1998-05-20 日新製鋼株式会社 排泥配管洗浄装置
JPH09164376A (ja) * 1995-12-15 1997-06-24 Taiho Ind Co Ltd タンクの洗浄方法
JP4447579B2 (ja) * 2005-09-13 2010-04-07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汚水処理装置
KR101196194B1 (ko) * 2012-08-21 2012-11-05 주식회사 조은펌프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JP6949470B2 (ja) * 2016-11-07 2021-10-13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悪臭防止型排水設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870B1 (ko) 식기세척기
WO1997012098A1 (fr) Installation mobile d'epuisement pour travaux d'installation sur des sections d'egouts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KR102575469B1 (ko)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JPH09151534A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CN107142681B (zh) 洗衣机排水装置的清洗方法、排水装置及洗衣机
KR10159300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JP3468263B2 (ja) 真空式汚水排水方法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JP4569870B2 (ja) ポンプ井の異物排出方法並びに異物排出装置
KR102441181B1 (ko) 우수처리설비 및 우수처리방법
KR101397569B1 (ko) 분뇨 및 오물수거용 버큠로리 탱크의 진공펌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 오물 수거 시스템
KR20019622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433900Y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2438222B1 (ko) 측정기연동 멀티채널 샘플링 필터링 장치
CN216191177U (zh) 一种集成式污水污泥过滤系统
JP6449130B2 (ja) 浸漬型検出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6457904B2 (ja) 自己洗浄槽保有型膜ろ過装置
KR100317611B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101943594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JP7420544B2 (ja) ろ過装置およびろ過装置の洗浄方法
KR20240076451A (ko)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KR102562753B1 (ko) 고속 응집 침전 여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공법
KR102347977B1 (ko) 우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