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451A -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6451A KR20240076451A KR1020220156651A KR20220156651A KR20240076451A KR 20240076451 A KR20240076451 A KR 20240076451A KR 1020220156651 A KR1020220156651 A KR 1020220156651A KR 20220156651 A KR20220156651 A KR 20220156651A KR 20240076451 A KR20240076451 A KR 202400764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ment tank
- washing water
- sewage
- washing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0 domestic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오배수 처리장치와 그 세척방법이 개시된다. 오배수 처리장치는,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에 구비되는 오수용 펌프, 상기 오수용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처리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오수가 배수된 후 약품이 혼합된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 내부로 제공하여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약품을 혼합하여 세척수를 형성하고 저장하는 세척수 혼합 탱크,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상기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저장부,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구비되어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 펌프, 및 상기 약품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처리조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는 세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오수를 처리하는 오배수 처리장치에서 정화조를 세척하는 오배수 처리장치 그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수 및 생활 오폐수(이하, '오수'라 함)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를 통해 처리되며, 한외여과법, 분리막법, 이온교환수지법 등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처리시설은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필터의 잦은 교체로 인해 처리 비용 및 시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오배수 처리장치는 처리조에 구비된 펌프를 이용하여 오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처리하였다. 그런데, 오수에는 고형물, 특히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처리조의 내부뿐만 아니라, 배관 등에 침전물이 퇴적되면서 배관이 막혀서 오수의 처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처리조 내부에 구비되는 오수용 펌프나 수위 센서 등도 침전물의 퇴적으로 인해 기기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배수 처리장치는 오수의 처리를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데, 필터의 세척 공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필터를 세척하기 위해서 오수 처리를 일시 중단할 경우, 필터로 이송되는 오수의 흐름이 정지하면 필터에 흡착 코팅되어 있던 여과재가 박리되면서 필터의 처리 성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세척 공정이 번거로웠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오수 처리를 위한 오배수 처리장치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오배수 처리장치와 그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는,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에 구비되는 오수용 펌프, 상기 오수용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처리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오수가 배수된 후 약품이 혼합된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 내부로 제공하여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약품을 혼합하여 세척수를 형성하고 저장하는 세척수 혼합 탱크,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상기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저장부,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구비되어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 펌프, 및 상기 약품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처리조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는 세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의 세척방법은, 처리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이 되면 오수를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세척장치로 세척 공정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척장치에서 상기 처리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공급 후 상기 세척수의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조에서는, 다시 오수가 유입되어 배출되기 전까지,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처리조 내부에 잔류하여 상기 처리조를 세척하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배수 처리장치는 처리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침전물의 퇴적으로 인한 배관 막힘이나 펌프나 센서 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조로 유입되는 오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에서 세척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에서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 처리장치에서 세척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오배수 처리장치(10) 및 세척장치(15)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배수 처리장치(10)는, 건물의 지하 등과 같이 자연배수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집수정 및 정화조를 대체하여 사용되며 소형 경량화시켜 만든 장치이다.
오배수 처리장치(10)는,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 및 처리되는 처리조(11)와, 처리조(1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처리조(11)는 오수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소정 체적을 갖는 탱크로서, 예를 들어,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조(11)는 내부에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용 펌프(12) 및 오수용 펌프(12)에 연결된 배출관(123, 124)이 구비되고, 처리조(11) 내부의 오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조(11)는 내부에 2개의 오수용 펌프(121, 122)가 구비되고, 각 오수용 펌프(121, 122)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배출관(123, 124)이 처리조(11)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배출관(123, 124)이 처리조(11)의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배출관(123, 124)의 위치와 크기 및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위 센서(13)에서 측정되는 결과에 따라 오수용 펌프(12)의 동작을 제어하고, 오수용 펌프(12)에서 발생되는 오동작 등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주제어부(16)가 구비된다.
주제어부(16)는 2개의 오수용 펌프(121, 122)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킨다. 또한, 주제어부(16)는 오수용 펌프(121, 122)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거나, 자동으로 운전한다.
처리조(11)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예를 들어, 유입구(111)는 처리조(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처리조(11)는 측면에 유입구(111)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유입구(111)의 크기와 위치 및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구(111)에는 유입되는 오수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2)는 처리조(11) 내측에서 유입구(11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터부(112)의 위치는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필터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처리조(11)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유입구(111)에 연결되어서 오수를 유입시키는 배관 중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처리조(11)의 내부와 외부 및 배관 중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필터부(112)는 일정 시간 사용 후에는, 또는, 오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이물이 일정 이상 퇴적되면 오수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므로, 필터부(112)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112)의 세척을 위해서, 필터측 감지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측 감지부(113)는 필터부(112)에 이물이 얼마나 퇴적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터부(112)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필터측 감지부(113)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측 감지부(113)는 필터부(112)에 이물이 퇴적된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면, 압력센서 이외에도 광센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112)는 필터측 감지부(113)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필터부(112)를 세척하기 위한 필터 세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세척부는 오수의 유입을 중지한 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필터부(112)를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세척부(미도시)는 오수 공급을 중지한 상태에서 필터부(112)에서 이물을 흡입하거나,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거나, 진동을 제공하여 필터부(112)에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필터 세척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112)에서 이물을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측 감지부(113)는 필터부(112)에 이물이 일정 이상 퇴적된 것이 검출되면, 작업자에게 필터부(112)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청각정보, 시각정보 등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필터측 감지부(113)에서 발생되는 알람에 따라 수동으로 필터부(112)를 세척할 수 있다. 또는, 필터측 감지부(113)는 필터부(112)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검출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흡입 또는 고압 공기의 분사 또는 진동 등을 제공함으로써 필터부(112)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으로 인해 처리조(11) 내부에 침전물이 퇴적되면, 배출관(123, 124)이 막히고, 오수용 펌프(12) 및 수위 센서(13)가 손상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처리조(1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15)는 처리조(11)에 소정의 약품이 혼합된 세척수를 제공하여 처리조(11) 내부의 지방 성분의 침전물 및 퇴적물을 분해한다. 세척장치(15)는, 세척수 혼합 탱크(151)와, 약품 저장부(153)와, 세척수의 공급을 위한 세척수 공급 펌프(154) 및 세척 제어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품 저장부(153)는 처리조(11)의 세척을 위해 필요한 약품(예를 들어, 지방 분해 성분을 포함하는 약품)이 저장된다. 약품 저장부(153)는 세척수 혼합 탱크(151)와 연결되는 부분에 약품 공급 밸브(153a)가 구비되고, 세척 제어부(155)는 약품 공급 밸브(153a)의 개방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약품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정량을 공급할 수 있다.
세척수 혼합 탱크(151)는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를 형성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처리조(11)의 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세척수 혼합 탱크(151)는 처리조(11)와 별도로 구비되어서 처리조(11)의 세척이 필요할 때 세척수를 제공한다.
여기서, 세척수 혼합 탱크(15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152)이 연결되고, 세척 제어부(155)는 물 공급원(152) 또는 세척수 혼합 탱크(151)에 구비되는 수위조절기(152a) 등의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세척수 혼합 탱크(151)는 물이 소정량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약품 공급량만 세척 제어부(155)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수 혼합 탱크(151) 내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 펌프(154)가 구비되고, 세척 제어부(155)는 세척수 공급 펌프(154)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여 처리조(11)에 세척수를 제공한다. 여기서, 세척수 공급 펌프(154)는 세척수 혼합 탱크(151)의 체적 또는 처리조(11)의 체적에 따라 그 용량이 결정되며, 예를 들어, 80lpm 일 때 1bar이상 가능하다.
도 1에서 154a는 세척수 공급 펌프(154)와 처리조(11)를 연결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54a)이다.
세척장치(15)는 처리조(11) 내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처리조(11) 내부에 세척수 분사부(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세척수 분사부(14)는 세척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세척수 분사부(14)는 처리조(1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처리조(11)의 측면까지 세척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즐 또는 샤워헤드 또는 스프링클러 등의 형태를 갖고,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오배수 처리장치(10)는 세척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처리조(11) 내부에는 교반기(17)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기(17)는 처리조(11) 내부의 오수를 교반 가능하도록 처리조(11)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기(17)는 처리조(11)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를 교반시킴으로써 세척수의 분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배수 처리장치(10)는 처리조(11)의 세척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수에서 세척수의 농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에, 세척수를 재사용 및 재세척 공정이 가능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제어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순환 제어부(18)는, 배출관(123, 124)에서 배출되는 배수에서 세척수의 농도를 검출하는 세척수 검출부(182)를 포함하고, 또한, 배출관(123, 124)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유입구(111)로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181) 및 순환 배관(181)에 구비되는 순환 제어 밸브(1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순환 제어부(18)는 세척수 검출부(182)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순환 제어 밸브(183)를 작동시킴으로써 배출관(123, 124)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처리조(11) 내부로 재유입시켜서, 처리조(11)의 세척 공정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순환 제어부(18)는, 배출되는 배수에 포함된 세척수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 세척수를 반복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오배수 처리장치(10)의 세척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처리조(11)측의 동작을 설명한다.
처리조(11)에는 오수가 유입되어서 저장되고(S11), 처리조(11) 내부에 유입된 오수가 소정의 기준 수위 이상이 되면(S12), 오수용 펌프(121, 122)가 작동하여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S13).
여기서, 주제어부(16)는 수위 센서(13)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오수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이 되면, 2개의 오수용 펌프(121, 122) 중 하나의 펌프(121)를 작동시켜서 오수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주제어부(16)는 오수의 배출 시 펌프 양정이 부족하면 나머지 펌프(122)도 작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처리조(11)에서 오수가 모두 배수되면(S14), 주제어부(16)는 오수용 펌프(1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5).
동시에 주제어부(16)는 세척 제어부(155)로 세척 공정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S24).
다음으로, 세척장치(15)측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척장치(15)는 세척 제어부(155)로부터 세척 공정 신호가 입력되면 세척수 공급 펌프(154)를 작동시켜서 처리조(11)로 세척수를 공급한다(S25).
세척수를 공급하기 이전에, 처리조(11)에서 오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동안, 세척수를 저장하게 된(S23). 즉, 세척수 혼합 탱크(151)에 소정량의 물과 소정량의 약품을 공급하여(S21, 22) 혼합함으로써 세척수를 형성하고, 세척수 혼합 탱크(151)에 저장한다.
여기서, 약품의 공급량은 처리조(11)의 크기 및 유입되는 오수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세척 제어부(155)에서 약품 공급 밸브(153a)의 개방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약품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정량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제어부(155)에서 수위조절기(152a)를 제어함으로써, 물 및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수 공급 펌프(154)가 작동하고(S25), 세척수 분사부(14)를 통해 세척수를 소정 수압 및 유량으로 공급하여, 처리조(11) 내부를 고압으로 세척한다(S16).
여기서, 세척 제어부(155)는 세척수 공급 펌프(154)의 작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처리조(11)의 체적에 따라 세척수 공급 시간을 조절한다. 또한, 세척 제어부(155)는 오수의 종류에 따라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압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수 공급 펌프(154)는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한다(S26).
여기서, 세척 공정에서는 처리조(11)에 제공된 세척수는 오수가 재유입되기 전까지는 처리조(11) 내부에 잔류하면서 처리조(11) 내부의 침전물과 퇴적물을 분해시키게 된다. 그리고 처리조(11)에 오수가 재유입되면, 처리조(11) 내부에 잔류한 세척수가 재유입된 오수와 혼합되고, 그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이 되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세척 공정에서는 적절한 최대 유량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수의 양을 많을 경우에는, 처리조(11)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13)에서 세척수를 오수로 오판하게 되어서, 처리조(11) 내부에 세척수가 잔류하지 않고 오수 배출 공정이 실시된다. 이에, 세척수 공정에서 오수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즉, 오수 배출을 위한 기준 수위 이하가 되는 정도)의 최대 유량으로 세척수를 제공하여 세척 공정을 시행한다.
그리고, 세척 공정은 세척수의 공급을 복수회에 걸쳐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 세척수 공급 펌프(154)를 작동시켜서 세척수를 소정 수압과 유량으로 일정 시간 제공한 후, 일정 시간 세척수 공급 펌프(154)를 정지시키고, 다시 세척수 공급 펌프(154)를 작동하여 세척수를 제공하여 세척 공정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세척수의 공급 및 정지를 복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세척 단계에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처리조(11) 내부에 교반기(17)가 구비되는 경우, 세척수가 분사되는 동안 교반기(17)도 작동하여 처리조(11) 내부의 세척수를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오배수 처리장치(10)에 순환 제어부(18)가 구비되는 경우, 처리조(11)에서 배출되는 배수에서 세척수의 비중을 검출하고, 검출된 세척수의 비중이 일정 이상일 경우, 처리조(11)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다시 처리조(11)로 재유입시켜서 세척 공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오배수 처리장치
11: 처리조
111: 유입구
112: 필터부
113: 필터측 감지부
12, 121, 122: 오수용 펌프
123, 124: 배출관
13: 수위 센서
14: 세척수 분사부
15: 오배수 처리장치의 세척장치
151: 세척수 혼합 탱크
152: 물 공급원
152a: 수위조절기
153: 약품 저장부
153a: 약품 공급 밸브
154: 세척수 공급 펌프
155: 세척 제어부
16: 주제어부
17: 교반부
18: 순환 제어부
181: 순환 배관
182: 세척수 검출부
183: 순환 제어 밸브
11: 처리조
111: 유입구
112: 필터부
113: 필터측 감지부
12, 121, 122: 오수용 펌프
123, 124: 배출관
13: 수위 센서
14: 세척수 분사부
15: 오배수 처리장치의 세척장치
151: 세척수 혼합 탱크
152: 물 공급원
152a: 수위조절기
153: 약품 저장부
153a: 약품 공급 밸브
154: 세척수 공급 펌프
155: 세척 제어부
16: 주제어부
17: 교반부
18: 순환 제어부
181: 순환 배관
182: 세척수 검출부
183: 순환 제어 밸브
Claims (8)
- 오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 내부에 구비되는 오수용 펌프;
상기 오수용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처리조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오수가 배수된 후 약품이 혼합된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 내부로 제공하여 세척하는 세척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약품을 혼합하여 세척수를 형성하고 저장하는 세척수 혼합 탱크;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상기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저장부;
상기 세척수 혼합 탱크에 구비되어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에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 펌프; 및
상기 약품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처리조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는 세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오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내부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이 기준 수위 이상이면 상기 오수용 펌프를 작동시켜서 오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처리조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기준 수위 이하가 되는 유량으로 공급하는 오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세척장치와 연결되어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 내부에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처리조의 내측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노즐 또는 샤워헤드 형상을 갖는 오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에는 내측 하부에 상기 처리조에 유입된 세척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구비되는 오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세척 후에 상기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배수에 포함된 세척수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배수를 상기 처리조에 재유입시키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순환 제어부는,
상기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상기 처리조로 재유입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을 개폐하는 순환 제어 밸브; 및
상기 배수에 포함된 세척수의 농도를 검출하는 세척수 검출부;
를 포함하는 오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처리조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구비되어 오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이물이 퇴적된 것을 검출하는 필터측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측 감지부는 자동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되도록 하거나, 상기 필터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발생시키는 오배수 처리장치.
- 처리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이 되면 오수를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세척장치로 세척 공정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척장치에서 상기 처리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공급 후 상기 세척수의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조에서는, 다시 오수가 유입되어 배출되기 전까지,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처리조 내부에 잔류하여 상기 처리조를 세척하는 오배수 처리장치의 세척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처리조에 공급된 세척수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하가 되도록 공급하는 오배수 처리장치의 세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651A KR20240076451A (ko) | 2022-11-21 | 2022-11-21 |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651A KR20240076451A (ko) | 2022-11-21 | 2022-11-21 |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451A true KR20240076451A (ko) | 2024-05-30 |
Family
ID=9127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6651A KR20240076451A (ko) | 2022-11-21 | 2022-11-21 |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6451A (ko) |
-
2022
- 2022-11-21 KR KR1020220156651A patent/KR20240076451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3656B2 (en) | Aerobic sewage system | |
JP4510448B2 (ja) | フィルターを通して透過物を回収し、その位置で該フィルターを洗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RU2432323C2 (ru) | Оборудование, имеющее биореактор и мембранный фильтр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для очистки поступающей жидкости | |
US20220145596A1 (en) |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 |
RU2628389C2 (ru) |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 |
KR20170130544A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기 | |
CN108473342A (zh) | 用于净化液体的系统 | |
JP2009154156A (ja) | 嫌気性水処理装置 | |
EA004018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 |
KR20240076451A (ko) |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 |
KR100583377B1 (ko) | 디스크 필터의 여재에 부착된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제거를 위한 약품세척장치 | |
JP4557851B2 (ja) | 嫌気性水処理装置 | |
KR100949349B1 (ko) | 막 여과장치 및 이의 막 세정방법 | |
JP2007203218A (ja) | 膜分離式水浄化装置 | |
JP2006043705A (ja) | 嫌気性水処理装置 | |
JP2007248102A (ja) | 水質測定装置 | |
JP5423184B2 (ja) |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 |
SU1101414A1 (ru) | Устан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JP2005279495A (ja) | 浸漬型膜分離装置、散気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膜分離方法 | |
JP2006187728A (ja) | 散気装置 | |
KR102575469B1 (ko) | 침전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오배수 처리 시스템 | |
AU2007202681A1 (en) |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fluid containers | |
JP4465669B2 (ja) | 洗浄水のリサイクル装置 | |
JP2006026594A (ja) | 濾過装置 | |
CN206616028U (zh) | 一种用于滤池的多模式清洗系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