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239B1 -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239B1
KR102573239B1 KR1020217030750A KR20217030750A KR102573239B1 KR 102573239 B1 KR102573239 B1 KR 102573239B1 KR 1020217030750 A KR1020217030750 A KR 1020217030750A KR 20217030750 A KR20217030750 A KR 20217030750A KR 102573239 B1 KR102573239 B1 KR 10257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cing
support plate
adjustment
adjusting
splic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490A (ko
Inventor
궈젠 장
리-웨이 쿵
양 저우
둥 류
Original Assignee
충칭 콘카 포토일렉트릭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칭 콘카 포토일렉트릭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충칭 콘카 포토일렉트릭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 F16B5/02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pl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8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 F16B5/009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with locking mean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main plane and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e.g. screw, bayon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조절 지그를 포함하되,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하나하나 대응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이동 연결되며, 조절 지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의 나사산이 연결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두 개의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는 나사산 연결 특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두 개의 인접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횡방향 간격 또는 종방향 간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스플라이싱 갭이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대한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플라이싱 스크린은 하나의 완전한 액정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단독적으로 모니터로 사용할 수도 있고 초대형 스크린에 스플라이싱 할 수도 있다. 상이한 사용 요구에 따라 단일 스크린 분할 디스플레이, 단일 스크린 분리 디스플레이, 임의의 조합 디스플레이, 풀 스크린 액정 스플라이싱, 수직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이 크게 변하거나 작게 변하는 다양한 대형 스크린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미지 프레임은 보상 또는 커버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출시된 다수의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스플라이싱 방식은, 우선 금속 프레임을 고정하고, 그 다음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하나씩 금속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인 바,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스플라이싱 작업도 이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스플라이싱 방식 및 스플라이싱 구조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자유도 조절 목적을 구현할 수 없고 금속 프레임의 가공 정밀도는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스플라이싱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금속 프레임의 가공 정밀도가 부족할 경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스플라이싱 갭(동일한 행으로 배열된 인접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 및 동일한 열로 배열된 인접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종방향 간격)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스플라이싱 갭은 제거될 수 없어 최종적으로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종래기술은 여전히 개선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적어도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과 종방향 간격에서의 하나를 감소시켜 스플라이싱 갭이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대한 영향을 저하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다.
인접하는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하나의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이동 연결되며;
상기 조절기구는 조절 지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 지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두 개의 나사산이 연결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조절 가능하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와 멀리한 일면의 각 가장자리에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중공부에 의해 노출되며, 상기 조절 지그와 상기 조절 버클은 클램핑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 버클에는 모두 요홈이 개설되고, 상기 조절 지그가 포함하는 두 개의 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조절 버클에 인접하는 요홈에 클램핑되어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부재는 모두 상기 요홈과 클램핑하기 위한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양단에 설치되는 리미팅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U형 슬롯이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조절 지그와 배합하여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조절 버클과, 상기 조절 지그와 배합하여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횡방향 조절 버클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가 설치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면에는 제3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이동 연결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에는 모두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가 설치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의 중부에는 제1 나사 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중부에는 제1 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통공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되는 제1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모두 두 개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되,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중공부에 의해 노출되고, 동일한 일측의 두 개의 조절 버클은 평행되게 설치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과 멀리한 일면의 각 가장자리에는 모두 적어도 두 개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고, 동일한 일측의 두 개의 조절 버클은 평행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양자 사이에는 간격을 미리 보류하며,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중공부에 의해 노출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제2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통공과 하나하나 대응되는 다수의 제2 나사 구멍이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되는 제2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더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 기구의 모든 특징 및 효과를 구비하게 되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는 인접하는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조절 지그를 포함하되,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하나하나 대응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이동 연결되며, 상기 조절 지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의 나사산이 연결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두 개의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는 나사산 연결 특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양자의 나사산 연결 길이가 길수록 두 개의 인접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더 작다)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두 개의 인접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횡방향 간격 또는 종방향 간격(인접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배열방향에 근거하여 결정)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스플라이싱 갭이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대한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가 사용하는 조절 지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제1 시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제2 시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정렬 마크의 위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수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스플라이싱 상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효과가 더 뚜렷하고 명확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고 구현예를 제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기존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장착구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고정된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장착함으로써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장착위치가 금속 프레임을 선택한 후 이미 결정되어 임의로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바, 만약 금후에 횡방향 간격 및/또는 종방향 간격이 나타나게 되면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약 장착 과정에서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면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스플라이싱 갭을 제거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은 횡방향 간격 및 종방향 간격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고자 하는 바, 한가지 스플라이싱 갭을 제거할 수만 있다면 스플라이싱 갭이 스플라이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저하시키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모든 스플라이싱 갭을 제거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사고 방향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인접하는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를 제공하는데,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 제2 지지 플레이트(70) 및 조절 지그(2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AA)를 하나하나 대응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7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의 이동 캐리어(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지지를 제공하고 제1 지지 플레이트(11)로 하여금 적어도 제2 지지 플레이트(70)에 대향하여 이동하도록 요구한다)로 사용되며, 상기 조절 지그(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위치(인접한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가 대향되게 이동하거나 또는 그 중의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이동하여도 된다)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인접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가까이하여 인접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감소하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와 멀리한 일면의 각 가장자리에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70)에 설치되는 중공부(71)(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의해 노출된다. 조절 버클의 작용은 조절 지그(20)(도 1 및 도 9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를 클립하여 조절 지그(20)로 하여금 조절 버클이 이동하도록 당김으로써 제1 지지 플레이트(11)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가 이동하도록 당기는 것이다.
바람직한 조절 버클은 종방향 조절 버클(32) 및 횡방향 조절 버클(31)(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와 같은 두 가지가 있는데 이름 그대로 종방향 조절 버클(32)은 조절 지그(20)와 배합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횡방향 조절 버클(31)은 조절 지그(20)와 배합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종방향 조절 버클(32)과 횡방향 조절 버클(31)은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여 배치하고 설치방향은 서로 수직된다.
더 나아가, 두 개의 조절부재모두 조절 레버(도 1에서의 제1 조절 레버(21) 및 제2 조절 레버(22)와 같이)로 설치되는데, 도 4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조절 레버에서 대향하는 일단에는 각각 서로 적합한 조절 나사 기둥(21a) 및 조절 나가 구멍(22a)이 설치되고 조절 나사 기둥이 조절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한 길이가 길수록 인접한 제1 지지 플레이트(11) 사이의 거리가 더 작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 버클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등진 일면에는 U형 슬롯이 개설되고, 두 개의 상기 조절 레버에는 모두 상기 U형 슬롯 내에 안착되는 홀딩부(20a)가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20a)의 양단에는 리미팅부(20b)가 설치되고, 상기 홀딩부(20a)의 직경은 상기 리미팅부(20b)보다 작다.
슬롯을 U형으로 설치하고 홀딩부(20a) 및 리미팅부(20b)를 적합하게 설치하는 이유는, 조절 지그(20)의 픽 앤 플레이스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조절 지그(20)는 수시로 사용할 때마다 장착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되면 가져갈 수 있다. 작업자가 어느 두 인접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에 갭이 발생한 것을 발견하게 되면 조절 지그(20)를 대응되는 조절 버클 내에 장착하고, 그 다음 두 개의 조절부재를 회동(또는 그 중의 한 조절부재는 움직이지 않고 다른 한 조절부재를 회동)시켜 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 지그(20)를 제거하면 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원가가 저렴하다.
사용한 조절부재의 나사산의 정밀도가 상이함에 따라 조절 폭도 상이한 바, 물리적 간격의 정밀도 조절 이론에서는 제일 작아 나노미터 레벨에 도달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여러 가지 필요한 스플라이싱 갭의 조절에 사용되어 스플라이싱 된 후의 대형 스크린의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효과가 최적화되도록 담보한다.
본 발명에서 각 가장자리에 모두 조절 버클을 설치하는 이유는, 첫째가 작업자들이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1)의 위치 배열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장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고; 둘째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수량을 확장해야 할 경우, 주변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로부터 직접 확장할 수 있으며 남아있는 조절 버클을 이용하여 새로 확장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와 가장자리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 또는 종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의 각 가장자리에는 오직 하나의 조절 버클만 설치하고, 이 기초상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3 지지 플레이트(40) 및 제1 볼트(50)를 별도로 설치하는데,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40)는 상기 제1 볼트(50)를 통해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측에 연결되고,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AA)에 장착 경사 또는 반대 방향의 문제가 존재할 경우, 제1 볼트(50)가 더 이상 제1 지지 플레이트(11)를 누르지 않을 때까지 제1 볼트(50)를 틀어주는데, 이 경우, 제3 지지 플레이트(40)를 회전시키면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AA)의 자세를 조절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장착 경사 또는 반대 방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40)의 중부에는 제1 나사 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의 중부에는 제1 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볼트(50)는 제1 통공을 관통한 후 제1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하면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제3 지지 플레이트(40)의 연결을 완성할 수 있다. 제1 통공을 통공으로 설치하고 이의 직경이 제1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도록 하는 이유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자세를 조절할 때 제1 볼트(50)가 제1 나사 구멍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도록 하지 않기 위함이다(만약 제1 통공도 나사 구멍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제1 통공의 직경이 나사 구멍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1 볼트(50)가 제1 나사 구멍을 완전히 빠져나오기 전에 제3 지지 플레이트(4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대해 회전할 수 없거나 또는 회전 과정에서 마모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40)에는,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Mark)가 설치된다. 정렬 마크(Mark)의 설치 방식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 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4개의 L형 정렬 마크(Mark)일 수도 있고, 또 예를 들어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가장자리를 상하좌우로 표기하는 직선형 정렬 마크(Mark)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의 각 가장자리에는 모두 두 개의 조절 버클(80)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버클(80)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70)에 설치되는 중공부(71)(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통해 노출되며, 동일한 일측의 두 개의 조절 버클(80)은 평행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양자 사이에는 간격을 미리 보류한다.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AA)에 장착 경사의 문제, 예를 들어 하단에는 갭이 없고 상단에는 갭이 있는 문제가 존재할 경우, 상단의 조절 버클(8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기울기를 보정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장착 경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의 상이한 점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에는 두 점으로 한 직선을 포지셔닝하는 원리를 통해 조절 버클의 수량을 배로 늘이며 조절 버클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제3 지지 플레이트(40)와 제1 볼트(50)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를 설치하는데 상기 정렬 마크는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것이고, 정렬 마크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스플라이싱 과정은 바람직하게 아래와 같다. 우선, 겔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하나하나 대응되게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고정(열전도 양면 테이프를 바람직하게 사용하면 한편으로 Panel 전체 강도를 증가하는 작용(Micro 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한 층의 유리, Micro LED, 봉합재층으로 이루어져 두께가 얇고 전반적인 강도가 낮다)을 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열전도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Micro 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에 유리하다)시키고; 다음, 다수의 제2 볼트(60)를 통해 제1 지지 플레이트(11)를 제2 지지 플레이트(70)(제2 볼트(60)는 사후에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도록 완전히 잠그지 않는다)에 연결시키며; 그 다음, 스플라이싱 효과에 근거하여 스플라이싱 갭을 조절할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만약 조절해야 하면 조절 지그(20)를 대응되는 조절 버클에 안착하여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조절 레버를 회전하여 상기 스플라이싱 갭을 축소하거나 제거하며, 스플라이싱 한 후의 다수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배열 관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유의해야 할 점은, 조절 버클 및 조절 레버의 설치방식을 제외하고 나사산을 이용하여 연결한 조절부재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더 있을 수 있는 바, 그 중의 몇 가지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아래에서 예를 든 방식을 제외하고 비교적 많은 사용 가능한 구조가 더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하나 나열하지 않는다).
1. 두 개의 조절부재가 모두 너트인 것인데, 너트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동기적으로 이동하고, 두 개의 너트 사이에는 하나의 조절 스크류가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스플라이트 스크류를 형성하며, 조절 스크류를 회전하는 것을 통해 두 개의 너트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2. 두 개의 조절부재가 모두 스크류인 것인데, 스크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동기적으로 이동하고, 두 개의 스크류 사이에는 하나의 나사산 슬리브가 연결되며, 나사산 슬리브를 회전하는 것을 통해 두 개의 스크류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3. 두 개의 조절부재에서 하나는 스크류이고 하나는 너트인 것인 것, 스크류는 두 개의 인접한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서의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너트는 인접한 두 개의 인접한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서의 다른 하나에 고정 연결되며, 너트가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으므로 스크류를 회전함으로써 스크류의 끝단이 너트에 회전 삽입되어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11)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4. 두 개의 조절부재가 모두 너트인 것인데, 너트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동기적으로 이동하고, 너트를 제외하고 두 개의 너트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스크류가 더 설치되며, 두 개의 너트의 나사산의 회전 방향은 반대인 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크류(두 개의 너트의 회전 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상이하다)를 회전시키면 두 개의 제1 지지 플레이트(11)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제2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에는 상기 제2 통공과 하나하나 대응되는 다수의 제2 나사 구멍이 개설되며, 상기 제2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1)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70)는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되는 다수의 제2 볼트(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제2 통공의 직경이 상기 제2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큰 이유는 제1 통공의 직경이 제1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큰 이유와 동일하지 않은 바, 본 발명에서 제2 통공의 직경이 제2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크다고 설치하는 이유는 제1 지지 플레이트(11)가 제2 지지 플레이트(70)에 대하여 충분한 이동 공간을 갖도록 담보하기 위함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는데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의 모든 특징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응용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설명에 근거하여 개선하거나 변화시킬 수 있으며, 모든 이러한 개선과 변화는 모두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인접하는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한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하나의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이동 연결되며;
    상기 조절기구는 조절 지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 지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두 개의 나사산이 연결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조절부재 사이의 나사산의 연결 길이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을 조절하도록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와 멀리한 일면의 각 가장자리에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중공부에 의해 노출되며, 상기 조절 지그와 상기 조절 버클은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 버클에는 모두 요홈이 개설되고, 상기 조절 지그가 포함하는 두 개의 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조절 버클에 인접하는 요홈에 클램핑되어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부재는 모두 상기 요홈과 클램핑하기 위한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양단에 설치되는 리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U형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조절 지그와 배합하여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종방향 조절 버클과,
    상기 조절 지그와 배합하여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횡방향 조절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일면에는 제3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의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이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에는 모두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고정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마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의 중부에는 제1 나사 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중부에는 제1 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통공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되는 제1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모두 두 개의 조절 버클이 설치되되, 상기 조절 버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중공부에 의해 노출되고, 동일한 일측의 두 개의 조절 버클은 평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제2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통공과 하나하나 대응되는 다수의 제2 나사 구멍이 개설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나사 구멍에 회전 삽입되는 제2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 나사 구멍의 공칭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14. 적어도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및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사이의 갭은 상기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15. 삭제
KR1020217030750A 2020-04-09 2020-09-04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3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75409.XA CN113450660B (zh) 2020-04-09 2020-04-09 一种拼接显示屏的调节机构及拼接显示装置
CN202010275409.X 2020-04-09
PCT/CN2020/113591 WO2021203617A1 (zh) 2020-04-09 2020-09-04 一种拼接显示屏的调节机构及拼接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490A KR20210124490A (ko) 2021-10-14
KR102573239B1 true KR102573239B1 (ko) 2023-08-31

Family

ID=7780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750A KR102573239B1 (ko) 2020-04-09 2020-09-04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07525A1 (ko)
KR (1) KR102573239B1 (ko)
CN (1) CN113450660B (ko)
WO (1) WO2021203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082A (ko) * 2020-10-13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 조립형 표시 장치, 그 제조를 위한 표시 패널 정렬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3958815B (zh) * 2021-10-27 2023-08-25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040601B (zh) * 2021-10-29 2023-05-26 深圳市高展光电有限公司 拼接装置及拼接显示屏
US11922834B2 (en) 2021-12-08 2024-03-05 Tcl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plicing component and spliced display screen
CN114151423B (zh) * 2021-12-08 2022-12-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组件及拼接显示屏
CN114399954B (zh) * 2022-02-08 2023-12-22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拼接显示面板
CN114387888B (zh) * 2022-02-23 2024-04-05 南京酷彩数码科技有限公司 小间距led屏幕显示系统及其安装方法
CN114545685B (zh) * 2022-02-24 2022-10-11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N114719166A (zh) * 2022-03-24 2022-07-08 北京龙翼风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led显示屛城市干道交通模拟装置
CN114842756B (zh) * 2022-04-14 2023-08-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显示屏
CN114999336A (zh) * 2022-06-24 2022-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子显示面板组件和拼接显示装置
WO2024002246A1 (zh) * 2022-06-29 2024-01-04 惠州市聚飞光电有限公司 拼接片、拼接片组件、拼接显示屏、中框及灯板组件
CN115076197B (zh) * 2022-07-27 2023-03-10 常州市凯迪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旋拨连接结构、快速安装支架、升降组件及安装方法
CN115450994A (zh) * 2022-08-26 2022-12-09 湖南新亚胜光电股份有限公司 弧形连接件及led显示屏
WO2024041342A1 (zh) * 2022-08-26 2024-02-29 成都辰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6189553B (zh) * 2022-12-28 2024-01-12 北京网格蔚来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模组安装结构
CN117711274B (zh) * 2023-12-20 2024-05-14 广东德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模块化led显示屏模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79855U (zh) * 2014-04-03 2014-10-15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模组拆装结构
CN206478081U (zh) * 2016-12-05 2017-09-08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箱体的连接装置及led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00840U (zh) * 2009-10-09 2010-10-06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led箱体
CN103065559B (zh) * 2012-12-28 2015-01-14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网格屏
CN103528553B (zh) * 2013-09-27 2015-12-23 浙江时代计量科技有限公司 一种三坐标测量机的超长导轨
CN103531104B (zh) * 2013-10-12 2016-01-13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间距调节装置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CN103883860B (zh) * 2014-03-17 2016-05-25 深圳市创维群欣安防科技有限公司 液晶拼接支架及液晶拼接系统
US10706770B2 (en) * 2014-07-16 2020-07-07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Display system having module display panel with circuitry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N204148842U (zh) * 2014-08-12 2015-02-11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屏体固定拼装的间隙调节装置及led显示系统
US10529260B2 (en) * 2015-12-29 2020-01-07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CN205582404U (zh) * 2016-04-19 2016-09-14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的拼接装置
EP3319072B1 (en) * 2016-10-28 2019-08-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N107578714B (zh) * 2017-10-17 2023-09-29 深圳市创显光电有限公司 一种智能led显示屏
CN207489384U (zh) * 2017-11-17 2018-06-12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led显示屏结构
CN108510898A (zh) * 2018-03-23 2018-09-07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装置
CN108682313A (zh) * 2018-05-14 2018-10-19 威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前维护结构
KR102489223B1 (ko) * 2018-09-28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CN209586876U (zh) * 2018-12-09 2019-11-05 深圳市雷凌显示技术有限公司 锁具及拼接屏
CN209118678U (zh) * 2018-12-17 2019-07-16 深圳市品晶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模组
CN110307225B (zh) * 2019-07-19 2020-09-01 深圳市科米三悠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拼装间隙调节装置及拼装方法
CN112384705B (zh) * 2020-03-02 2022-08-02 深圳市艾比森光电股份有限公司 支撑架以及包括该支撑架的led显示屏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79855U (zh) * 2014-04-03 2014-10-15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模组拆装结构
CN206478081U (zh) * 2016-12-05 2017-09-08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箱体的连接装置及led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0660B (zh) 2022-07-29
KR20210124490A (ko) 2021-10-14
WO2021203617A1 (zh) 2021-10-14
CN113450660A (zh) 2021-09-28
US20220007525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239B1 (ko)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US10529260B2 (en)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KR102100446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62141B (zh) 陰影遮罩伸張方法及裝置
US7262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semiconductor wafers
KR20200036490A (ko)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US20190157562A1 (en) Tension mask fram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9546757B2 (en) Support structure for an article, method of mount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US20200355314A1 (en) Led screen support
US6298783B1 (en) Printhead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2955273A (zh) 液晶面板组件和具有该液晶面板组件的液晶显示设备
US20190323733A1 (en) Mounting device for photovoltaic device and photovoltaic device assembly
JP2013232686A (ja) 太陽電池パネル体
KR20150012536A (ko)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BR112018069637B1 (pt) Módulo de lcd totalmente laminado e método para montar o mesmo
JP3560233B2 (ja) 表示装置の位置調整機構
JP2007257839A (ja) テンション付加装置及び金属テープ取り付け装置
US10565902B2 (en) Display panel support and support assembly
KR10260230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지그
JP2009230023A (ja) 基板検査装置用カメラ調整機構
CN102284917B (zh) 一种背光模组的组装设备及方法
KR102466835B1 (ko) 풀 사이즈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CN209723506U (zh) 一种轻便快速led地砖屏安装架
CN219571302U (zh) 一种拉力机安装座机构
KR102544342B1 (ko) 풀 사이즈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