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56B1 -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 Google Patents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56B1
KR102572556B1 KR1020210175138A KR20210175138A KR102572556B1 KR 102572556 B1 KR102572556 B1 KR 102572556B1 KR 1020210175138 A KR1020210175138 A KR 1020210175138A KR 20210175138 A KR20210175138 A KR 20210175138A KR 102572556 B1 KR102572556 B1 KR 10257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ral
mount
composition
form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479A (ko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에스
Priority to KR102021017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56B1/ko
Priority to PCT/KR2022/017845 priority patent/WO2023106666A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8Measuring crosslinking rea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 및 불완전경화 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광중합개시 기능과 불완전경화 표시 기능을 모두 갖는다.

Description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Composition for forming intraoral mounting device, method of preparing intraoral mounting device and intraoral mounting device prepared thereby}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3D 프린팅 출력물의 불완전경화 여부를 쉽게 판정할 수 있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이 개시된다.
일 예로, 구강내 장착물의 일종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열가소성이며 판상의 투명한 고분자 복합 수지(이하, 수지)를 열 가압 성형하여 원하는 치아 이동을 달성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일반 교정장치와 같이 치아에 부착되어 돌출되고, 눈에 띄는 구조물이나 금속제 와이어가 없으며, 색상이 거의 투명하여 일반 교정장치에 비해 심미적인 측면에서 탁월하다. 따라서, 교정치료를 받기를 원하지만 교정장치를 치아에 부착하는 것이 직장생활, 대인관계 및 자신감에 악영향을 줄 것을 염려하여 교정치료를 선택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데,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이러한 부담감을 피해서 편안하게 교정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치의 두께가 얇아서 착용이 편안한데다가 식사나 양치질을 위하여 잠시 구강에서 제거할 수도 있어서 일상생활의 불편감도 현저하게 적다. 따라서, 부정교합은 인구에 매우 빈발하므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수요가 클 수 밖에 없어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관련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즉 열 가압 성형된 수지는 통상적으로 얼라이너(aligner)로 불리는데, 치아의 이동을 수지의 탄성한계 내에서 수지에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환자의 구강에 착용시킴으로써 계획된 치아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달성하게 된다. 이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얼라이너를 열 가압 성형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열의 모형(주형(mold))에 치아의 이동 양상이 단계적으로 재현되어 있어야 한다.
주형(mold)에 치아의 단계적 이동 양상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수작업 방식이다. 환자 치열의 석고모형을 채득하고, 상기 채득된 석고모형으로부터 각 치아들을 하나씩 실톱으로 분리한 후, 치아의 이동방향과 수지의 탄성한계를 고려하여 분리된 개별 치아들에 적절한 위치 이동을 시킨 후 접착제나 왁스로 상기 채득된 석고모형에 다시 고정시킨다. 결과적인 석고모형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열 가압 성형을 실시한다. 이렇게 얻어진 얼라이너를 환자 구강 내에 장착하게 되면, 얼라이너에 구현된 치아의 다음 단계 위치 이동 정보가 수지의 탄성 복원력으로 치아에 전달되어 치아이동이 발생한다.
얼라이너는 이에 구현된 치아의 이동이 실제 치아에 나타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착용해야 한다(일반적으로 하루 16~21시간, 7~14일 이상). 그 후, 다음 단계의 치아이동을 위한 얼라이너를 얻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인상을 다시 채득하고 그것에 치과용 석고를 부어서 굳힌 환자 치열의 석고모형을 얻은 후에 위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원하는 치아 배열을 얻는 방식이다.
둘째, 3D 스캐닝 및 3D 프린팅 기술에 기반한 방식이다. 환자 치열의 3차원 영상을 스캐너로 얻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치아이동 방향과 수지의 탄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치아이동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 한다. 개별 치아의 이동이 처음 위치부터 마지막 위치까지 단계적으로 구현된다. 그 후, 각 단계별로 하나씩 수지의 열 가압 성형을 위한 주형(mold)을 3차원 프린터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주형에 열 가압 성형을 실시하여 치아이동을 위한 각 단계의 얼라이너를 얻는다.
수작업 방식 대비 이것의 장점은, 환자를 반복적으로 불러서 인상을 채득할 필요가 없고, 치열의 3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컴퓨터 화면에 구현된 치아이동의 단계별 시뮬레이션을 확인하여 사전에 치아 이동이 합리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치료결과와 치료과정에 대하여 환자와 의사, 또는 의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행여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방식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Invisalign (Align Technology)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장치의 심미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탁월하여 일반적인 와이어 교정장치에 비해 교정치료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굉장히 매력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는 불완전경화 상태로 제작되어 환자의 치아에 장착될 경우 수지 용출물이 스며 나와서 환자에게 불쾌한 맛을 주게 되고, 강도가 낮은 등 목표 물성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3D 프린팅 출력물의 불완전경화 여부를 쉽게 판정할 수 있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경화성 화합물 및 불완전경화 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광중합개시 기능과 불완전경화 표시 기능을 모두 갖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14중량부,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0.5~8중량부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8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별도의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2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안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300~8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액상의, 광경화성의, 3D 프린팅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완전경화시켜 최종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은 인공치아,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서지컬 가이드 또는 스플린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불완전경화 여부를 쉽게 판정할 수 있어서 완전경화되어 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구강내 장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 및 불완전경화 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광중합개시 기능과 불완전경화 표시 기능을 모두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 물(즉, 광경화성 화합물)의 경화시 불완전경화 상태이면 형광색을 띠고, 완전경화 상태이면 형광색이 사라져서 육안 관찰에 의해 불완전경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나 올리고머로서 불완전경화 여부를 쉽게 판정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이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예를 들어, Bomar®BR-952), 비스페놀 A 글리세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14중량부,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0.5~8중량부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8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의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시 불완전경화 상태이면 형광색을 띠고, 완전경화 상태이면 형광색이 사라져서 육안 관찰에 의해 불완전경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별도의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시 불완전경화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개시제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광개시제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2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충분한 산화방지 효과를 얻으면서도 구강내 장착물의 다른 물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2,6-디-터셔리-부틸-파라-크레졸, 4,4'-메틸렌비스(6-터셔리-부틸-오르쏘-크레졸)과 같은 힌더드페놀계 화합물; 디옥틸디페닐아민, 페닐알파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아민계 화합물; 황 화합물; 인화합물; 황과인의 복합물인 디알킬디티오인산염(예를 들어, 황화지방, 디세틸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알킬디티오인산염); 디살리실리딘 디아미노프로판; 디도데실티오 벤즈이미다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안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300~800cps(centipoise)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Brookfield사의 DV-?Rheometer RPM(shear rate: 25/s)을 사용하여 상온(25
Figure 112021142587037-pat00001
에서 측정된 점도를 의미한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물, 메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메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톨루엔, 벤젠, 디에틸 에테르, 벤질 알코올,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안정화제,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벤조페논, 옥사닐리드, 벤조트리아졸, 할로겐화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은 액상(또는 현탁액)이고, 광경화성이며, 3D 프린팅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은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완전경화시켜 최종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10)에서는 목표 물성을 갖는 완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얻으면서도 불완전경화 상태에서는 형광색을 띠고 완전경화 상태에서는 형광색이 사라지도록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의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는 3D 프린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3D 프린팅 공정 중에 프린팅된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에 자외선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부분경화시켜 구강내 장착물의 형상을 만들어 간다. 본 명세서에서, "부분경화(partial curing)"란 "불완전경화"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경화율이 40%~90%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별도의 경화장치를 사용하여 완전경화시킴으로써 최종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완전경화" 여부는 구강내 장착물이 형광색을 띠는지 여부에 따라 판정할 수 있으며, 크로스체크를 위해 별도의 경화도 측정장치로 검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내 장착물이 형광색을 띠면 불완전경화로 판정하고, 형광색이 사라지면 완전경화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완전경화(complete curing)"란 경화율이 99%~100%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은 형광색이 사라질 때까지 경화를 진행하여 확실히 완전경화된 것이므로, 사용상의 안전성(용출물의 미용출)이 높고, 의도한 물성과 쉐이드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장착물은 인공치아,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서지컬 가이드 또는 스플린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1-12 및 비교예 1-1~1~6: 투명 치아 교정 장치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PP1), 이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Bomar®BR-952)(PP2), 비스페놀 A 글리세롤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PP3) 및 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톨루엔(PP4), 불완전경화 표시제로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D1),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ID2)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ID3), 및 산화방지제로서 2,6-디-터셔리-부틸-파라-크레졸을 포함하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물질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또한, 불완전경화 표시제 및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4종의 광중합성 화합물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한 함량이다.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광중합성 화합물 PP1 30 30 30 30 30 30 30 40 0
PP2 50 50 50 50 50 50 50 40 50
PP3 10 10 10 10 10 10 10 10 30
PP4 10 10 10 10 10 10 10 10 20
불완전경화 표시제 ID1 7 0.5 14 7 7 7 7 7 7
ID2 4 4 4 0.5 8 4 4 4 4
ID3 4 4 4 4 4 0.5 8 4 4
산화방지제 1 1 1 1 1 1 1 1 1
실시예 비교예
1-10 1-11 1-12 1-1 1-2 1-3 1-4 1-5 1-6
광중합성 화합물 PP1 50 50 50 30 30 30 30 30 30
PP2 0 30 30 50 50 50 50 50 50
PP3 30 0 20 10 10 10 10 10 10
PP4 20 20 0 10 10 10 10 10 10
불완전경화 표시제 ID1 7 7 7 0.2 16 7 7 7 7
ID2 4 4 4 4 4 0.2 10 4 4
ID3 4 4 4 4 4 4 4 0.2 10
산화방지제 1 1 1 1 1 1 1 1 1
실시예 2-1~2-12 및 비교예 2-1~2~6: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3D 프린터로 프린팅하고 부분경화시켜 부분경화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부분경화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경화장치를 사용하여 완전경화시켜 최종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3D 프린터와 경화장치는 한 세트로 제작된 것으로서, Ray Dent Studio社 제품이다. 여기서, 완전경화되었는지 여부는 별도의 경화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투명 치아 교정 장치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3개씩의 투명 치아 교정 장치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불완전경화 여부 평가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3D 프린터로 프린팅되어 부분경화된 투명 치아 (DV1) 및 경화장치를 사용하여 완전경화된 최종 투명 치아 교정 장치(DV2)의 색상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는 형광색을 띠는 것을 의미하고, "×"는 형광색을 띠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1 2-2 2-3 2-4 2-5 2-6 2-7 2-8 2-9
형광색
존부
DV1
DV2 × × × × × × × × ×
실시예 비교예
2-10 2-11 2-12 2-1 2-2 2-3 2-4 2-5 2-6
형광색
존부
DV1 × × × × × ×
DV2 × × × × × × × ×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1~2-12에서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불완전경화 상태에서는 형광색을 띠고, 완전경화 상태에서는 형광색을 띠지 않아 작업자가 3D 프린터의 출력물을 경화장치로 후속경화할 경우 완전경화되었는지 여부를 육안 관찰에 의해 쉽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후속경화시 불완전경화 상태로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작을 완료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완전경화 표시제의 불완전경화 여부 판정 기능은 광경화성 화합물의 조성이 변하더라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2-1~2-6에서는 투명 치아 교정 장치가 불완전경화 상태인 경우나 경화 상태인 경우나 외관상 아무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완전경화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어서 불완전경화 상태로 제작을 완료하여 불완전경화로 인한 문제점에 직면하게 되거나, 매번 별도의 경화도 측정장치로 완전경화된 시점을 확인하여 제작을 완료해야 하므로 반복적인 경화도 측정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현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광경화성 화합물 및 불완전경화 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불완전경화 표시제는 광중합개시 기능과 불완전경화 표시 기능을 모두 갖는 것으로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14중량부, 상기 페닐글리옥실산메틸에스테르 0.5~8중량부 및 상기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8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별도의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300~800cps의 점도를 갖는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액상의, 광경화성의, 3D 프린팅용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부분경화된 구강내 장착물을 완전경화시켜 최종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장착물은 인공치아, 투명 치아 교정 장치, 서지컬 가이드 또는 스플린트인 구강내 장착물.
  12. 삭제
KR1020210175138A 2021-12-08 2021-12-08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KR10257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38A KR102572556B1 (ko) 2021-12-08 2021-12-08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PCT/KR2022/017845 WO2023106666A1 (ko) 2021-12-08 2022-11-14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38A KR102572556B1 (ko) 2021-12-08 2021-12-08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79A KR20230086479A (ko) 2023-06-15
KR102572556B1 true KR102572556B1 (ko) 2023-08-29

Family

ID=867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138A KR102572556B1 (ko) 2021-12-08 2021-12-08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2556B1 (ko)
WO (1) WO20231066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555A (ja) 2002-07-19 2004-02-19 Noritake Co Ltd 歯科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2010519257A (ja) 2007-02-23 2010-06-03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相光硬化材料を用いる歯科修復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010A (ja) * 1994-03-29 1995-10-17 Olympus Optical Co Ltd 蛍光性色素を含有した光硬化性樹脂、これらの硬化方法、及びこれらの硬化物の製造装置
KR100685153B1 (ko) * 1998-12-03 2007-02-22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광개시제 혼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53544B1 (ko) * 2020-04-08 2022-01-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알루미나 부품 제조용 세라믹 3d 프리팅 기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555A (ja) 2002-07-19 2004-02-19 Noritake Co Ltd 歯科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2010519257A (ja) 2007-02-23 2010-06-03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相光硬化材料を用いる歯科修復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79A (ko) 2023-06-15
WO2023106666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ssell et al. Crowns and other extra-coronal restorations: provisional restorations
Donovan et al. A review of contemporary im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s
KR101547112B1 (ko)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EP2676633B1 (de) Formkörper aus weichbleibendem Dentalmaterial, insbesondere Zahnfleischmask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mittels Rapid-Prototyping
KR20200046153A (ko) 투명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3d 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Jurado et al. Digitally fabricated immediate complete dentures: case reports of milled and printed dentures
JP6153934B2 (ja) 暫間補綴物の作製方法
CN102670340B (zh) 稳定咬合板一次压膜同步咬合面成形的方法
JP4566263B2 (ja) 歯の代替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と材料キット
KR102572556B1 (ko) 구강내 장착물 형성용 조성물, 구강내 장착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내 장착물
US20030091959A1 (en) Artificial tooth holder and preparation method of denture
KR102091571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EP3886054B1 (en)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KR102193852B1 (ko) 수직고경 측정장치
KR102121992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397444B1 (ko) 투명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 장치
KR102422823B1 (ko) 투명 치아 교정장치 형성용 조성물,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치아 교정장치
KR102454378B1 (ko) 투명 미백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미백 트레이
US20160000524A1 (en) Process for producing dental restoration
WO2014050309A1 (ja) 暫間連結人工歯用型、暫間連結人工歯の作製方法、暫間有床義歯の作製方法、及び暫間連結人工歯
Curinga et al. Fabrication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of injectable poly (ether-ether-ketone)(PEEK) made partially by a digital workflow: case report
JP20091783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用のステント
Young Bond Strength of Resilient Denture Liners to Printed Denture Base Resin
AU20182242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s for teeth
KR101806138B1 (ko) 유기계 점증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과용 수복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