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59B1 - 홀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홀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59B1
KR102572259B1 KR1020230027815A KR20230027815A KR102572259B1 KR 102572259 B1 KR102572259 B1 KR 102572259B1 KR 1020230027815 A KR1020230027815 A KR 1020230027815A KR 20230027815 A KR20230027815 A KR 20230027815A KR 102572259 B1 KR102572259 B1 KR 10257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fixed
ball
holding
ho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무생
Original Assignee
고무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무생 filed Critical 고무생
Priority to KR102023002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59B1/ko
Priority to KR1020230110627A priority patent/KR10266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69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universal joint, cardan j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료기구 등과 같은 고정대상물을 파지하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고정대상물의 위치 및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고정대상물과 연결된 볼조인트의 볼부가 전단 내부에 구비되고 볼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홀딩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본체는, 볼부와 맞닿을 수 있는 고정가압부재와, 탄성력을 통해 고정가압부재를 전방으로 힘을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후방으로 수축시키거나 전방으로 신장시키는 고정제어수단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홀딩 컨트롤러{Holding controller}
본 발명은 홀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료기구 등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홀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치료 행위를 함에 있어 내시경, 드릴, 석션, 미러 등과 같은 다양한 의료기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의료기구는 주로 치료를 행하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나, 필요한 의료기구를 모두 파지할 수 없기에 보조인력의 도움을 받거나 의료기구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보조기구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보조인력의 도움을 받는 경우 치료를 행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의료기구를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 의료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기는 하나, 단순히 고정 및 고정 해제만이 가능하므로 치료과정에서 의료기구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변경하고 의료기구를 파지하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없어 불편이 따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4159호 '치료 보조 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기구 등과 같은 고정대상물을 파지하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고정대상물의 위치 및 각도 변경이 용이한 홀딩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는, 고정대상물과 연결된 볼조인트의 볼부가 전단 내부에 구비되고 볼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홀딩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본체는, 볼부와 맞닿을 수 있는 고정가압부재와, 탄성력을 통해 고정가압부재를 전방으로 힘을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후방으로 수축시키거나 전방으로 신장시키는 고정제어수단을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제어수단은, 전후방향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되게끔 구성되되, 상기 고정제어수단이 축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탄성부재가 수축되거나 신장됨으로써 고정가압부재가 볼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제어수단은, 고정가압부재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수축시키는 가드부(410)와,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도록 가드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홀딩본체의 후단과 나사결합되는 제어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부는, 외측단이 탄성부재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전단에 마련되어 고정가압부재의 후단과 가드부가 맞닿는 조절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본체는, 고정가압부재 내부에서 고정제어수단의 전방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보조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제어수단에 의한 탄성부재의 신장이나 수축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가압부재가 볼부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므로, 고정대상물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거나 고정대상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에서 고정제어수단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볼부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될 수 있는바 의료기구 등과 같은 고정대상물을 파지하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용이하게 고정대상물의 위치 및 각도 변경을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볼부에 대한 고정 및 고정해제가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볼부에 대한 고정력이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의료기구 등과 같은 고정대상물을 파지하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고정대상물의 위치 및 각도 변경이 용이하도록, 고정대상물과 연결된 볼조인트의 볼부가 전단 내부에 구비되고 볼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홀딩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본체는, 볼부와 맞닿을 수 있는 고정가압부재와, 탄성력을 통해 고정가압부재를 전방으로 힘을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후방으로 수축시키거나 전방으로 신장시키는 고정제어수단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홀딩 컨트롤러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상물(10)을 특정 위치 및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해당 위치에서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홀딩본체(A)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고정대상물(10)은 의료기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와 같은 작동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구일 수 있다.
홀딩본체(A)는, 외형이 내부가 빈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a1)와, 케이스(a1)의 전단에 결합되며 케이스(a1)의 전단을 덮는 전방커버(a2)와, 케이스(a1)의 후단에 결합되며 케이스(a1)의 후단을 덮는 후방커버(a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딩본체(A)에는, 볼조인트(100)가 전단에 구비되는데, 여기서의 볼조인트(100)는, 고정대상물(10)의 일부일 수 있음은 물론, 고정대상물(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처럼 고정대상물(10)의 일부이거나 고정대상물(10)과 결합될 수 있는 볼조인트(100)는 구 형태를 이루는 볼부(110)와, 막대 형태를 이루면서 볼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된 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부(110)는 홀딩본체(A)의 전단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암부(120)는 홀딩본체(A)의 전단을 관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홀딩본체(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1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고정가압부재(200), 탄성부재(300) 및 고정제어수단(400)을 내부에 포함한다.
고정가압부재(200)는, 볼부(110)와 맞닿을 수 있게끔 볼부(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따라 홀딩본체(A) 내를 이동하며 전방을 향해 이동시 볼부(110)와 맞닿을 수 있다. 일 예로, 볼부(110)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고정가압부재(200)의 전단은, 볼부(1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압부재(200)는 종단면이 후방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거나 전후방을 향해 개방된 관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210)와, 실린더(210)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전단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볼부(1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볼케이싱(22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탄성력을 통해 고정가압부재(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는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단이 실린더(210)와 후술할 가드부(410)에 맞닿고 후단이 후방커버(a3)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가압부재(200)의 후단, 즉 실린더(210)의 후단 내경은 탄성부재(300) 전단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가드부(410)의 직경은 탄성부재(300) 전단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제어수단(400)은, 탄성부재(300)를 수축시키거나 신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고정제어수단(4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압부재(200)를 구성하는 실린더(2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00)의 전단과 맞닿는 가드부(410)와, 탄성부재(300)를 관통하도록 가드부(4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홀딩본체(A)의 후단과 나사결합되는 제어봉(4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드부(410)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판이나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단이 탄성부재(300)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드부(410)는 탄성부재(300)의 전단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바, 탄성부재(300)와의 마찰을 줄이면서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이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봉(420)은 탄성부재(3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홀딩본체(A)의 후단을 구성하는 후방커버(a3)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봉(420)에서 홀딩본체(A)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어봉(420)의 손쉬운 회전을 위해 모터(미도시)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제어수단(400)은, 전후방향을 이루는 축인, 제어봉(42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는바, 회전됨에 따라 탄성부재(300)의 길이가 조절되고 고정가압부재(200)가 이동되어, 볼부(110)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거나, 볼부(110)에 대한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제어수단(400)이 축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탄성부재(300)가 수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으며, 고정제어수단(400)이 축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고정가압부재(200)가 볼부(110)를 가압하는 정도가 달리져 볼부(110)의 고정력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어봉(420)을 회전시, 탄성부재(300)는 가드부(410)에 의해 수축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고정가압부재(200)는 볼부(110)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부(110)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고정대상물(1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를 이루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가압부재(200)와 볼부(110) 간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제어봉(420)을 회전시, 탄성부재(300)는 가드부(410)가 이동된 만큼 신장되며, 탄성부재(300)에 의해 전달된 힘(탄성력)으로 인해 고정가압부재(200)는 볼부(110)와 맞닿으면서 볼부(110)를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볼부(110)는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고정대상물(10)을 특정 위치에서 특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00)가 신장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어봉(420)을 미세하게 회전시, 가드부(410)보다 외경이 큰 탄성부재(300)의 전단은 가드부(410)가 미세 이동되면서 하방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굽힘 현상이 발생된다. 이 경우 볼부(110)에 대한 고정력이 다소 줄어든 상태(예를 들어, 최대 고정력의 30%, 50%, 70% 등)에서 고정대상물(10)을 움직여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홀딩본체(A)는, 고정가압부재(200) 내부에서 고정제어수단(400)의 전방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보조탄성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탄성부재(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0)보다 탄성력이 작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서, 실린더(210) 내부에서 가드부(4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전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탄성부재(500)는, 급격한 고정 해제를 방지하고 미세한 고정력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탄성부재(500)는 탄성에 의해 전단이 실린더(210)에 지지되고 후단이 가드부(410)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바, 탄성부재(300)가 신장된 상태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어봉(420)을 회전하더라도 보조탄성부재(500)가 실린더(210)를 탄성력으로 밀고 있는바, 급격하게 볼부(110)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으며, 미세 고정력 조절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탄성부재(500)로 인해 볼조인트(100)가 구비된 홀딩본체(A)의 전단이 어떠한 방향을 이루는지와 무관하게 볼부(100)에 대한 고정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홀딩본체(A)는 탄성부재(300)의 전단에 마련되어 고정가압부재(200)의 후단과 가드부(410)가 맞닿는 조절유도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유도판(6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00)의 횡단면에 대응되게끔 링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 고정력 조절시 굽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400)의 전단이 가드부(410)와 직접 맞닿으면서 지속적인 굽힘 현상 발생시 탄성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A : 홀딩본체 a1 : 케이스
a2 : 전방커버 a2 : 후방커버
10 : 고정대상물
100 : 볼조인트 110 : 볼부
120 : 암부
200 : 고정가압부재 210 : 실린더
220 : 볼케이싱
300 : 탄성부재
400 : 고정제어수단 410 : 가드부
420 : 제어봉
500 : 보조탄성부재
600 : 조절유도판

Claims (6)

  1. 고정대상물(10)과 연결된 볼조인트(100)의 볼부(110)가 전단 내부에 구비되고 볼부(1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홀딩본체(A);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본체(A)는, 볼부(110)와 맞닿을 수 있는 고정가압부재(200);
    상기 고정가압부재(20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드부(410) 및 상기 가드부(4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홀딩본체(A)의 후단과 나사결합되는 제어봉(420)을 포함하는 고정제어수단(400);
    상기 고정제어수단(400)의 제어봉(420)이 내부를 관통하고, 전단이 고정가압부재(200)에 힘을 전달하고 가드부(410)에 의하여 수축되며 후단이 홀딩본체(A)에 지지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제어수단(400)이 전후방향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함으로써 가드부(41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수축되거나 신장되어 고정가압부재(200)가 볼부(110)를 가압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부(410)는, 외측단이 탄성부재(300)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의 전단에 마련되어 고정가압부재(200)의 후단과 가드부(410)가 맞닿는 조절유도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본체(A)는, 고정가압부재(200) 내부에서 고정제어수단(400)의 전방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보조탄성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컨트롤러.
  5. 삭제
  6. 삭제
KR1020230027815A 2023-03-02 2023-03-02 홀딩 컨트롤러 KR10257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815A KR102572259B1 (ko) 2023-03-02 2023-03-02 홀딩 컨트롤러
KR1020230110627A KR102660408B1 (ko) 2023-03-02 2023-08-23 홀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815A KR102572259B1 (ko) 2023-03-02 2023-03-02 홀딩 컨트롤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627A Division KR102660408B1 (ko) 2023-03-02 2023-08-23 홀딩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59B1 true KR102572259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815A KR102572259B1 (ko) 2023-03-02 2023-03-02 홀딩 컨트롤러
KR1020230110627A KR102660408B1 (ko) 2023-03-02 2023-08-23 홀딩 컨트롤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627A KR102660408B1 (ko) 2023-03-02 2023-08-23 홀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2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3120A1 (en) * 2005-04-29 2006-11-09 Sdgi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implant during surgery
KR102204159B1 (ko) 2020-08-19 2021-01-18 고무생 치료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3120A1 (en) * 2005-04-29 2006-11-09 Sdgi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implant during surgery
KR102204159B1 (ko) 2020-08-19 2021-01-18 고무생 치료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408B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349A (en) Endoscope with acutely angled handle and associated focus adjustment mechanism
EP2628435B1 (en) Insertion apparatus
US20150165162A1 (en) Control mechanism for steerable medical device
JP2002503131A (ja) 外科用器具
JP5881908B1 (ja) 内視鏡
JP5371497B2 (ja) 回転力伝達機構、力量緩和装置、及び、医療用デバイス
WO2015156046A1 (ja) 内視鏡
CA2045018A1 (en) Biopsy forceps
CN108601600B (zh) 内窥镜工具
US20200179651A1 (en) Medical device with flexible tip
CN108601601B (zh) 外科工具
KR102572259B1 (ko) 홀딩 컨트롤러
US20230248218A1 (en) Medical device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US10918833B2 (en) Modular handle assembly for a steerable catheter
JP4412432B2 (ja) 内視鏡用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023041714A (ja) 内視鏡器具
CN117320608A (zh) 包括铰链长度变化的弯曲区段的内窥镜
JP3029671B2 (ja) 内視鏡
US7662167B2 (en) Medical instrument
JP2022018904A (ja) 関節機能部
JP2010252842A (ja) 内視鏡の湾曲装置
JP2613003B2 (ja) 内視鏡保持装置
JP2004290459A (ja)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装置
WO2022029833A1 (ja)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JP3757660B2 (ja) 対物レンズ移動機構付き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