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69B1 -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0669B1 KR102570669B1 KR1020210095656A KR20210095656A KR102570669B1 KR 102570669 B1 KR102570669 B1 KR 102570669B1 KR 1020210095656 A KR1020210095656 A KR 1020210095656A KR 20210095656 A KR20210095656 A KR 20210095656A KR 102570669 B1 KR102570669 B1 KR 102570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fixed state
- vehicle hose
- unit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그부와, 기 지그부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에 상하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와,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캔 유닛과, 상기 고정상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장치 시험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양한 계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브레이크 라인, 연료 라인, 파워스티어링 라인, 에어컨 라인, 저압 라인 등의 계통을 포함하며, 이러한 계통에는 차량용 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호스의 경우, 그 계통에 따라 관로로서 요구되는 기본 성능 외에 각 계통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과 관체로서 유동성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주행 시,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 작동에 의한 차륜의 조향 또는 서스펜션 작동에 의한 차륜 진동에 의해, 차륜 휠에 연결되는 차량용 호스의 위치, 방향 또는 형상이 변하는 현상인, 차량용 호스의 요동(fluctu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좌우 회전 가동 범위 및 상하 수직 가동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의 조향 장치 및 서스펜션의 모션을 모사(模寫)한 요동 시험이 수행되고 있다. 다만, 차량용 호스를 고정시키는 고정용 지그 등과 같은 고정 장치의 가공 또는 설치 등의 정확도에 따라, 요동 시험의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호스의 요동 시험에 앞서, 차량용 호스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의 가공, 설치 및 작동 정확성에 대한 사전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은,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에 상하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와,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캔 유닛과, 상기 고정상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스캔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상태 이미지를 상기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정렬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기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운동부와, 상기 지지대의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선형운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운동부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에 힘을 가하거나, 상기 선형운동부가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선형 이동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에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태는, 상기 가동부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른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유닛은, 상기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각각 촬영하여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는, 상기 선형운동부가 상사점(上死點)에 위치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1 고정상태와, 상기 선형운동부가 하사점(下死點)에 위치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2 고정상태와, 상기 회전운동부가 제1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3 고정상태와, 상기 회전운동부가 제2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4 고정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의 복수개의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은 가동부를 이용하여,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를 변경하여, 다양한 고정상태에 대한 3D이미지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각 고정상태 별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용 호스의 요동 시험 실시에 앞서,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후속하여 실시되는 요동 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1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2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3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4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1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2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3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4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1)에 이용되는 차량용 호스(100)는 차량 실내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파이프(60)의 끝단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마스터 실린더(70)와, 마스터 실린더(70)로부터 압유가 유입되도록 하는 휠 실린더를 연결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70)에서 유압이 발생되고, 유압에 의해 차량용 호스(100)를 통해 휠 실린더로 압유가 압송된다. 이때, 휠 실린더가 압유에 의해 확장되어 브레이크 슈를 드럼(50)에 압착되게 함으로써, 차량이 제동 상태가 된다.
차량용 조향장치(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는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의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가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동되는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에 의해, 좌우측 타이로드(tie rod)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우측 차륜 휠에 설치된 너클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차륜은 그 선단이 좌측을 향하거나 우측을 향하게 조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향 장치 작동에 따라 차륜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조향될 때, 차륜 휠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에 차륜의 조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차량용 호스(1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는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최대 회전 가동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호스(100)의 최대 회전 가동 범위는, 차륜의 좌측 및 우측 회전 가동 범위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서스펜션(suspension; 미도시)은 차체와 차륜 휠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 주행 중에 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하고, 운전자의 조향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는 작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용 서스펜션은 특히,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차륜 휠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행 시 서스펜션 작동에 따라 차륜 및 차륜 휠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도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차량용 호스(1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는 상하방향으로의 최대 수직 가동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호스(100)의 최대 수직 가동 범위는, 서스펜션의 상하방향으로의 가동 범위와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10)은, 차량용 호스(100)의 요동 시험에 앞서, 요동 시험에 이용되는 차량용 호스 고정 장치(200)의 가공, 설치 및 작동 정확성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10)은 고정대상체인 차량용 호스(100)와, 고정 장치(200)와, 스캔 유닛(300)과,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10)은 기준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200)는 차량용 호스(10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고정 장치(200)는 차량용 호스(100)의 일단(이하, 제1 단부)이 연결되는 지그부(210)와, 차량용 호스(100)의 타단(이하, 제2 단부)이 연결되는 가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는, 제1 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지그부(210)에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그부(210)는 바디(211)와, 돌출부(212)와, 고정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211)는 지그부(210)의 몸체 부분으로, 돌출부(212)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21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프레임 또는 기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부재는 외부의 물체 또는 건물 내벽, 지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12)에는 고정부(213)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12)는 바디(21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12)는 가동부(220)와 마주보는 바디(211)의 측면에서, 가동부(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220)를 향하는 방향은, 바디(211)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212)는 제1 표점(gauge mark; m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표점(m1)은, 후술할 스캔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복수개의 차량용 호스(100)의 부분 이미지를 정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준점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표점(m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표점(m1)은 돌출부(212)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1 표점(m1)은 돌출부(212)의 둘레를 따라 외전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표점(m1)은 돌출부(212)의 외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13)에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13)의 일단(이하, 상단)은 돌출부(212)에 결합되고, 고정부(213)의 타단(이하, 하단)은 돌출부(212)의 아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13)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고정부(213)의 중간바디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태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고정부(213)가 만곡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은, 고정부(213)의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에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13)는 차량용 호스(100)가 삽입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부(213)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동부(220)는 차량의 조향 장치 또는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모사(模寫)하여 가동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의 변형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가 지그부(210)에 연결된 상태로, 가동부(220)에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동부(220)는 상하방향(A방향) 또는 회전방향(R방향)을 따라 가동함으로써, 가동부(220)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를 통해 차량용 호스(1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용 호스(10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가동부(220)는 지그부(2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부(220)는 지그부(21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동부(220)는 지지대(221)와, 회전운동부(222)와, 선형운동부(223)와, 연결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21)는 외부의 물체 또는 건물 내벽, 지면 등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또는 다양한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지지대(221)가 원기둥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대(221)는, 전술한 바디(21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회전운동부(222)는 회전방향(R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향 장치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회전운동부(222)는 지지대(221)의 상단에, 지지대(22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부(222)는 지지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지지대(221)는 회전운동부(222)의 하단 중심부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부(222)와 동일한 가상의 중심축(C1)을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운동부(222)는 가상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방향(R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운동 시, 회전운동부(222)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각도는, 모사 대상인 조향 장치 및 차량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는, 모사 대상이 되는 차량의 차륜 조향 각도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차륜 조향 각도는, 차륜의 최대 회전 각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륜 조향 각도는 0°(차륜이 차체와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 또는 차량 직진 시, 차륜 배열 상태)와, 차륜의 최대 회전 각도 사이의 각도일 수도 있다.
선형운동부(223)는 상하방향(A방향)으로 선형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주행 시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선형운동부(223)는 회전운동부(222)의 상측에 선형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운동부(222)는,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부(222)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21)는 내부에, 회전운동부(222)의 관통홀과 연통하는 수용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형운동부(223)는 그 하단이 회전운동부(222)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대(221)의 아래 방향(도 4의 A2방향)을 따라 선형 운동하여 수용홈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위 방향(도 3의 A1방향)을 따라 선형 운동하여 회전운동부(222)의 상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선형운동 시, 선형운동부(223)는 미리 설정된 높이로 이동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높이는, 모사 대상인 서스펜션 및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높이는, 모사 대상인 서스펜션의 상하방향 움직임에 따른 차륜의 최대 높이 또는 최소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륜 높이는, 주행 시 서스펜션의 움직임에 따른 차륜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 사이의 높이일 수도 있다.
연결부(224)에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는, 전술한 고정부(213)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제1 단부의 반대측에 단부일 수 있다.
연결부(224)는 선형운동부(223)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24)는 선형운동부(223)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224)는 선형운동부(223) 상단에 배치되어, 선형운동부(223)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224)는 차량용 호스(100)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25)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재(225)는 연결부(224)의 돌출된 단부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225)는 하단에, 연결홈(미도시)을 구비하고, 이러한 연결홈 내로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연결홈에는 잠금부재(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는 연결부(224)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부(220)의 가동 중에, 차량용 호스(100)가 연결부(22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224)는 제2 표점(m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표점(m2)은, 후술할 스캔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복수개의 차량용 호스(100)의 부분 이미지를 정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준점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표점(m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표점(m2)은 연결부(224)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2 표점(m2)은 연결부(224)의 둘레를 따라 외전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2 표점(m2)은 연결부(224)의 외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1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2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3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의 제4 고정상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호스(100)는 제1 단부가 지그부(210)에 연결되고, 제2 단부가 가동부(220)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장치(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는, 가동부(220)의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따라 달라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상태로 가동부(220)가 상하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는 경우,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부(220)의 가동에 의해, 고정상태의 차량용 호스(100)의 위치, 방향 또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는 가동부(220)에 의해 가해진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적어도 4개 이상인, 복수개의 고정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는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를 제1 고정상태, 제2 고정상태, 제3 고정상태 및 제4 고정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상태는 선형운동부(223)가 상사점(上死點)에 위치 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선형운동부(223)가 상사점에 위치한다는 것은, 최초 높이(d1)로 배치되었던 선형운동부(223)가, 위 방향(A1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형운동부(223)의 상단이, 상하방향(A방향)으로의 가동 범위 내에서 최고 높이(d2)에 위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상태로, 선형운동부(223)가 최초 높이(d1)에서, 위 방향(A1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최대 높이(d2)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4)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단부도 선형운동부(223)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에 위 방향(A1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선형운동부(223)에 의해 가해진 A1방향으로의 힘으로 인해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제1 고정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고정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부는 선형운동부(223)의 최대 높이(d2)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고, 제1 단부는 제2 단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상태의 경우, 차량용 호스(100)가 '제1 단부에서, 더 높은 위치의 제2 단부를 향해 경사진 U형상'으로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상태는 선형운동부(223)가 하사점(下死點)에 위치 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선형운동부(223)가 하사점에 위치한다는 것은, 최초 높이(d1)로 배치되었던 선형운동부(223)가, 아래 방향(A2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형운동부(223)의 상단이, 상하방향(A방향)으로의 가동 범위 내에서 최저 높이(d3)에 위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상태의 경우,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상태로, 선형운동부(223)가 최초 높이(d1)에서, 아래 방향(A2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최저 높이(d3)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4)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단부도 선형운동부(223)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에 아래 방향(A2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선형운동부(223)에 의해 가해진 A2방향으로의 힘으로 인해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제2 고정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고정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제1 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부는 선형운동부(223)의 최저 높이(d3)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고, 제1 단부는 제2 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호스(100)는 제2 고정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 더 낮은 위치의 제2 단부를 향해 경사진 U'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동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운동부(223)의 상하방향(A방향)으로의 선형운동을 통해,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유발된 차량용 호스(100)의 변형을 확인함으로써, 서스펜션의 작동에 따라 차륜이 상하로 진동할 때, 차량용 호스(100)의 변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호스(100)의 형상 변형 예측을 위해 이용되는 선형운동부(223)의 최대 높이(d2) 및 최저 높이(d3)는 모사 대상인 서스펜션 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상태는 회전운동부(222)가 제1 최대 회전각도(θ1)로 회전 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최대 회전각도(θ1)는, 회전운동부(222)가 최초 상태로부터, 회전방향(R방향)으로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1 회전방향(R1방향)으로 최대 회전범위까지 회전한 제1 회전상태일 때의 회전각도일 수 있다.
최초 위치는, 연결부(224)의 길이방향이 가상의 제1 기준선(L1)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상태는 제1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즉, 제1 회전방향; R1방향)으로 최대 회전범위까지 회전하여, 연결부(224)의 길이방향이, 가상의 제2 기준선(L2)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선(L1)과 제2 기준선(L2)이 이루는 각도가, 제1 최대 회전각도(θ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상태의 경우,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운동부(222)는 최초 상태에서 제1 회전방향(R1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제1 최대 회전각도(θ1)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4)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단부도 회전운동부(222)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에 제1 회전방향(R1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회전운동부(222)에 의해 가해진 R1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인해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제3 고정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3 고정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제1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제1 단부보다 제1 최대 회전각도(θ1)만큼 더 우측으로 회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호스(100)는 제3 고정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 더 우측에 배치된 제2 단부로 돌아간 U'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고정상태는 회전운동부(222)가 제2 최대 회전각도(θ2)로 회전 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최대 회전각도(θ2)는, 회전운동부(222)가 최초 상태로부터, 회전방향(R방향)으로의 가동 범위 내에서 제2 회전방향(R2방향)으로 최대 회전범위까지 회전한 제1 회전상태일 때의 회전각도일 수 있다.
제2 회전상태는 제1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즉, 제2 회전방향; R2방향)으로 최대 회전범위까지 회전하여, 연결부(224)의 길이방향이 가상의 제3 기준선(L3)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선(L1)과 제3 기준선(L3)이 이루는 각도가, 제2 최대 회전각도(θ2)일 수 있으며, 제2 최대 회전각도(θ2)는 제1 최대 회전각도(θ1)와 방향은 반대이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고정상태의 경우,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운동부(222)는 최초 상태에서 제2 회전방향(R2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제2 최대 회전각도(θ2)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4)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도 회전운동부(222)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차량용 호스(100)에 제2 회전방향(R2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회전운동부(222)에 의해 가해진 R2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인해,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제4 고정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4 고정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호스(100)의 제2 단부가 제1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제1 단부보다 제2 최대 회전각도(θ2)만큼 더 좌측으로 회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호스(100)는 제4 고정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 더 좌측에 배치된 제2 단부로 돌아간 U'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동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운동부(222)의 회전방향(R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통해, 조향 장치의 움직임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유발된 차량용 호스(100)의 변형을 확인함으로써, 조향 장치의 작동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의 변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호스(100)의 형상 변형 예측을 위해 이용되는 회전운동부(222)의 제1 최대 회전각도(θ1) 및 제2 최대 회전각도(θ2)는 모사 대상인 조향 장치 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정상태의 종류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외에, 추가로 다른 고정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가, 전술한 바와 같은 4개의 고정상태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캔 유닛(300)은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상태 이미지는, 고정 장치(200)에 의해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가, 가동부(220)의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의해 방향, 위치 또는 형상이 변형된 상태를 촬영한 3차원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고정상태 이미지에는, 고정 장치(200) 및 이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 그리고 기준 유닛(400)이 포함될 수 있다.
스캔 유닛(300)은 촬영부(310)와, 이송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310)는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를 촬영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310)는 예를 들어, 3D 카메라 또는 3D 스캐너일 수 있다.
이송부(320)는 촬영부(31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320)는 고정 장치(200)와 이격된 상태로, 지그부(210)에서 가동부(220)까지 왕복하여 선형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320)의 이송방향(B방향)은, 동일 선상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된 지그부(210)와 가동부(220)의 배열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촬영부(310)는 고정 장치(200) 및 이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를 사선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촬영함으로써, 3차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 2차원 이미지를 복수회 촬영할 필요 없이, 한번의 촬영만으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용 호스(100)의 길이가 길어 스캔 유닛(300)이 차량용 호스(100)의 전체 길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없는 경우, 스캔 유닛(300)은 이송 방향(B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를 복수회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의 어느 하나의 고정상태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유닛(300)은 총 3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유닛(300)은 우선, 돌출부(212) 및 이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100)의 일부, 기준 유닛(400)의 일부를 촬영하여 제1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스캔 유닛(300)은 이송방향(B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차량용 호스(100)의 다른 일부와, 기준 유닛(400)의 다른 일부를 촬영하여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유닛(300)은 다시 이송방향(B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차량용 호스(100)의 나머지 일부와, 기준 유닛(400)의 나머지 일부 및 연결부(224)를 촬영하여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는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는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차량용 호스(100)의 길이가 짧아 스캔 유닛(300)이 차량용 호스(100)의 전체 길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경우, 스캔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캔 유닛(300)은 획득한 고정상태 이미지를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스캔 유닛(300)은 차량용 호스(100)의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각각 촬영하여, 각 고정상태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캔 유닛(300)은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를 각각 촬영하여,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유닛(300)은 제1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제1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2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제2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유닛(300)은 제3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제3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4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제4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유닛(300)은 획득한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를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복수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서로 다른 적어도 4개의 고정상태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유닛(300)은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마다,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유닛(300)은 획득한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각각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들을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유닛(400)은, 제어부(500)가 고정상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정렬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유닛(400)은 고정 장치(200)와 스캔 유닛(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유닛(400)은 지그부(210)와 가동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캔 유닛(300)이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 촬영 시, 기준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촬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유닛(300)에 의해 획득된 고정상태 이미지에는 기준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캔 유닛(300)이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를 촬영하는 경우, 기준 유닛(400)이 함께 촬영되어,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 각각에 기준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에 포함된 기준 유닛(400)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기준 유닛(400)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준 유닛(400)을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부(210) 및 가동부(220)보다 작은 크기의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 유닛(400)은 제3 표점(m3)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표점(m3)은 스캔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복수개의 차량용 호스(100)의 부분 이미지를 정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준점 중 하나일 수 있다.
제3 표점(m3)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표전(m3)은 기준 유닛(4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3 표전(m3)은 기준 유닛(400)의 둘레를 따라, 외전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3 표점(m3)은 기준 유닛(400)의 외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캔 유닛(300)으로부터 수신한 고정상태 이미지를 기초로 고정 장치(2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길이의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에 대한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촬영한 경우, 제어부(500)는 고정 장치(200)의 이상 여부 판단에 앞서,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합(matching)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에 포함된 표점들(m1, m2, m3)을 기초로 하여,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들을 정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가 총 3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500)는 우선, 제1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의 중첩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제3 표점(m3)들 중 중첩되는 제3 표점(m3)들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중첩된 제3 표점(m3)들을 기준으로 제1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렬시켜, 제1 및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의 중첩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제3 표점(m3)들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중첩된 제3 표점(m3)들을 기준으로 제2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와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렬시켜, 제2 및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위의 두번의 정합 결과를 이용해 제1 내지 제3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종합하여, 차량용 호스(100)의 어느 하나의 고정상태 전체가 포함된, 고정상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술한 고정상태 이미지를 정합 및 생성하는 과정을,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 각각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각각에 대한, 부분 이미지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500)는 각 고정상태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 이미지(즉,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용 호스(100)의 길이가 짧아, 스캔 유닛(300)이 한번의 촬영만으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500)는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들을 정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캔 유닛(30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제어부(500)에서 생성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량용 호스(100)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입력된 이미지는, 고정 장치(200)가 그 설계와 동일하게 제작, 설치 및 작동되어 차량용 호스(100)가 고정된 상태(이하, 정상적으로 제작, 설치 및 작동되는 상태)를, 별도의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 모델링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3D 모델링 대상이 되는 고정 장치(200)의 설계는, 모사 대상인 차량의 종류 및 이에 설치되는 조향 장치와 서스펜션의 종류 또는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고정상태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고정 장치(200) 및 이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를 포함하여 3차원 모델링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에는, 비교 이미지를 고정상태 이미지와 정렬하기 위한 비교 기준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비교 기준 유닛은 비교 대상인 고정상태 이미지에 포함된 기준 유닛(4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서로 다른 4개의 고정상태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4개의 비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차량용 호스(100)의 제1 고정상태를 3차원 모델링한 제1 비교 이미지와, 차량용 호스(100)의 제2 고정상태를 3차원 모델링한 제2 비교 이미지와, 차량용 호스(100)의 제3 고정상태를 3차원 모델링한 제3 비교 이미지와, 차량용 호스(100)의 제4 고정상태를 3차원 모델링한 제4 비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고정상태 이미지 사이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고정 장치(200)에 고정된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판단 결과를 기초로, 고정 장치(2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를,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비교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고정상태 이미지가, 제1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와, 제2 고정상태 이미지가 제2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와, 제3 고정상태 이미지가 제3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 그리고 제4 고정상태 이미지가 제4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고정상태 이미지가 대응되는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 경우, 고정상태는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가 모두, 각각에 대응되는 비교 이미지와 동일한 경우, 제어부(500)는 모든 고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고정 장치(200)가 정상적으로 제작, 설치 및 작동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500)는 고정상태 이미지가 대응되는 비교 이미지와 상이한 경우, 고정상태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4 고정상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비교 이미지와 상이한 경우, 해당 고정상태에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해당 고정 상태에서, 고정 장치(200)가 제작, 설치 또는 작동에 이상이 존재하는 비정상 상태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00)는 적어도 4개의 고정상태 별로, 고정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문제가 존재하는 고정상태를 특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고정 상태를 위한 필요한 고정 장치(200)의 부품, 설치 상태 또는 작동 상태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장치(200)의 이상 유무를 고정상태 별로 세분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표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 장치(200)의 제작, 설치 및 작동 상태 시험 결과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10)의 관리자는, 고정 장치(200)에 대한 시험 결과를 확인하고, 고정 장치(200)가 비정상 상태라면, 해당 고정 장치(200)에 대한 수리 또는 재설치 등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10)은 가동부(220)를 이용하여, 차량용 호스(100)의 고정상태를 변경하여, 다양한 고정상태에 대한 3D이미지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각 고정상태 별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용 호스(100)의 요동 시험 실시에 앞서, 고정 장치(200)의 이상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후속하여 실시되는 요동 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브레이크 시스템
10: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100: 차량용 호스
200: 고정 장치
210: 지그부
220: 가동부
300: 스캔 유닛
400: 기준 유닛
500: 제어부
10: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100: 차량용 호스
200: 고정 장치
210: 지그부
220: 가동부
300: 스캔 유닛
400: 기준 유닛
500: 제어부
Claims (9)
-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에 상하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를 촬영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캔 유닛; 및
상기 고정상태 이미지를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차량용 호스의 전체 길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스캔 유닛은 상기 차량용 호스의 어느 하나의 고정상태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 부분 이미지를 정합하여 고정상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스캔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상태 이미지를 상기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정렬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기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운동부;
상기 지지대의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선형운동부; 및
상기 선형운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운동부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에 힘을 가하거나, 상기 선형운동부가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선형 이동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에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높이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태는, 상기 가동부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른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유닛은, 상기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정상태를 각각 촬영하여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는,
상기 선형운동부가 상사점(上死點)에 위치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1 고정상태;
상기 선형운동부가 하사점(下死點)에 위치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2 고정상태;
상기 회전운동부가 제1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3 고정상태; 및
상기 회전운동부가 제2 최대 회전각도로 회전 시, 상기 차량용 호스의 고정상태인 제4 고정상태;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 이미지를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입력된 비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호스의 복수개의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고정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656A KR102570669B1 (ko) | 2021-07-21 | 2021-07-21 |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656A KR102570669B1 (ko) | 2021-07-21 | 2021-07-21 |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4380A KR20230014380A (ko) | 2023-01-30 |
KR102570669B1 true KR102570669B1 (ko) | 2023-08-25 |
Family
ID=8510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5656A KR102570669B1 (ko) | 2021-07-21 | 2021-07-21 |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66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6448B1 (ko) * | 2017-06-22 | 2019-01-30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차 리어램프용 자동 검사 시스템 |
KR102014702B1 (ko) * | 2018-03-12 | 2019-10-22 |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 브레이크 호스의 내구시험 장치 |
-
2021
- 2021-07-21 KR KR1020210095656A patent/KR102570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6448B1 (ko) * | 2017-06-22 | 2019-01-30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차 리어램프용 자동 검사 시스템 |
KR102014702B1 (ko) * | 2018-03-12 | 2019-10-22 |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 브레이크 호스의 내구시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4380A (ko) | 202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514712B (zh) | 物体的姿势计算系统 | |
US10598481B2 (en) | Crankshaft shape insp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JP5292998B2 (ja) | 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及びロボット装置 | |
EP2980552A1 (en) | Method for pre-balancing a crankshaft | |
CN1678937A (zh) | 工作工具或传感器的机器人定位技术和与之相关的技术的改进 | |
WO2015019535A1 (ja) | 加振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ミュレーター用加振システム | |
JP4802967B2 (ja) | 画像処理による車両のホイル中心位置計測装置 | |
CN107687465A (zh) | 横截面中在外侧多边形构造的管组成的模块化构造的装置 | |
KR102570669B1 (ko) | 고정 장치 시험 시스템 | |
US20070081147A1 (en) | Method for dynamic measuring the position and the orientation of a wheel | |
CN108470360A (zh) | 利用非平面投影图像产生深度图的图像装置及其相关方法 | |
JP6804419B2 (ja) | タイヤ変位量取得方法及びタイヤ変位量取得装置 | |
JP4661555B2 (ja) | エンジンアッシの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バランス測定方法 | |
JP4837538B2 (ja) | 端部位置測定方法および寸法測定方法 | |
KR100934404B1 (ko) | 자동차용 크랭크축의 정밀 측정 시스템 | |
JP7000254B2 (ja) | ホイールアライメント調整システム | |
KR101295320B1 (ko) | 밸브시험모듈 및 이를 적용한 중력추종시험장치 | |
US1109242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s | |
CN205483601U (zh) | 台架试验加载装置 | |
WO2020049973A1 (ja) | 加工装置、加工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加工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JP7055144B2 (ja) | 組立誤差を特定する方法 | |
JP2015009253A (ja) | 溶接ボルト検査ユニット及び溶接ボルト検査装置 | |
JP2013103249A (ja) | 打鋲装置及び打鋲位置決め方法 | |
JP2004132975A (ja) | 回転本体、特に自動車のホイール用の釣合い試験機 | |
KR102427754B1 (ko) | 하중 측정 모듈 및 하중 측정 모듈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