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169B1 -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 Google Patents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169B1
KR102570169B1 KR1020210060316A KR20210060316A KR102570169B1 KR 102570169 B1 KR102570169 B1 KR 102570169B1 KR 1020210060316 A KR1020210060316 A KR 1020210060316A KR 20210060316 A KR20210060316 A KR 20210060316A KR 102570169 B1 KR102570169 B1 KR 10257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primary
discharge guide
raw material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857A (ko
Inventor
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플랜텍
Priority to KR102021006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1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0Mixing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mixtures contain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23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discontinuously operating mixing devices, e.g. with consecutiv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4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이 높고 경화시간이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UHPC)의 혼합시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의 1차 혼합과정과 강섬유를 투입하는 2차 혼합과정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로 분리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가 연속된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1차 혼합기에서 중력으로 인한 낙하가 가능하도록 높이차를 두어 구성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로컬(local)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트레일러와; 트레일러의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가 형성되며, 팬믹서가 구성되는 1차 혼합기와; 이동식 트레일러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팬믹서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는 2차 혼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차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배출안내부를 통하여 2차 혼합기로 중력 낙하하여 공급되고 다시 강섬유를 추가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쳐 초고성능콘크리트를 생산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local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mixer}
본 발명은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local)에서 점성이 높고 경화시간이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UHPC)의 혼합시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의 1차 혼합과정과 강섬유를 투입하는 2차 혼합과정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로 분리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가 연속된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1차 혼합기에서 중력으로 인한 낙하가 가능하도록 높이차를 두어 구성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로컬(local)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에 관한 것이다.
초고성능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는 골재를 사용하고 고성능 감수제로 물시멘트비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미분자입자인 실리카 흄을 시멘트 결합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수화반응시 생성되는 수산화칼륨을 포졸란 반응에 의해 규산칼슘 수화물 겔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진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조직 구조를 치밀화 시킴으로써 초고성능를 발현시키는 것이다.
초고층 또는 대형구조물의 수직부재에 초고성능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구조물 부재 단면 축소 및 자중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휨 성능 향상으로 수평 변위의 감소와 콘크리트의 초기강도 증진에 따른 조기 거푸집 탈형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단위면적당 강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경비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다양한 수평 및 수직 구조부재에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경제성 추구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혼합 콘크리트를 공장에서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레미콘 차량을 이용하여 공사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기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였고, 또는 공사 현장에서 직접 상기 재료들을 각각 적재한 모바일 믹서(Mobile mixer)를 이용하여 혼합 콘크리트를 작업장에 공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고성능콘크리트와 같은 경화속도가 빠른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된 콘크리트가 신속히 경화하므로 작업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트레일러에 혼합기를 설치하여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혼합 콘크리트의 생산과 포설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에서도 점성이 높고 경화가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의 경우에는 타설시간을 고려하여 혼합량을 정해야 하며, 시간당 생산량이 적어 시멘트, 골재, 혼합수 등의 원재료의 혼합과정과 강섬유의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나의 혼합기로 원재료를 완벽하게 혼합한 후에 다시 강섬유를 투입하여 혼합하여야 하였지만 강섬유가 한군데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다시 강섬유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걸려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1-0029519호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시멘트와 조골재를 포함한 재료를 혼합하여 혼합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에 있어서, 조골재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조골재 저장부와, 초속경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제조된 레미탈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레미탈 저장부와,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물 저장부와, 콘크리트의 제반성질을 개질하기 위한 폴리머 유화제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폴리머 유화제 저장부와, 혼합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내수성 개선을 위한 혼화제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혼화제 저장부와, 상기 조골재, 레미탈, 물, 폴리머 유화제 및 혼화제를 혼합하는 팬믹서부와, 제조된 혼합 콘크리트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가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구성이 차량에 연결된 로우 베드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이동하며 혼합 콘크리트의 생산과 포설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하나의 혼합기로 원재료를 완벽하게 혼합한 후에 다시 강섬유를 투입하여 혼합하여야 하였지만 강섬유가 한군데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다시 강섬유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걸려 콘크리트가 경화되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2011-0029519호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성이 높고 경화시간이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UHPC)의 혼합시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의 1차 혼합과정과 강섬유를 투입하는 2차 혼합과정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로 분리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가 연속된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1차 혼합기에서 중력으로 인한 낙하가 가능하도록 높이차를 두어 구성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식 트레일러(10)와; 트레일러(10)의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 팬믹서(23)가 구성되는 1차 혼합기(20)와;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내부에 팬믹서(33)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2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는 2차 혼합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배출안내부(22)를 통하여 2차 혼합기(30)로 중력 낙하하여 공급되고 다시 강섬유를 추가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쳐 초고성능콘크리트를 생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local)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에는 리프트(40)가 구성되며, 리프트(40)에 의해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 및 강섬유를 1차 혼합기(20) 및 2차 혼합기에 투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1차 혼합기(20)의 측면에는 여과집진장치(bag filter)(60)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10)로 충진 시 발생되는 분진 및 공기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에는 구동을 위해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로컬(local)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는 점성이 높고 경화시간이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UHPC)의 혼합시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의 1차 혼합과정과 강섬유를 투입하는 2차 혼합과정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로 분리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가 연속된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1차 혼합기에서 중력으로 인한 낙하가 가능하도록 높이차를 두어 구성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의 평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트레일러(10)와; 트레일러(10)의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22)가 형성되며, 팬믹서(23)가 구성되는 1차 혼합기(20)와;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팬믹서(23)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2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는 2차 혼합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초고성능콘크리트 혼합용 배치 플랜트는 일반적인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와 동일하게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을 위한 혼합기가 구성된다.
이동식 트레일러(10)는 다양한 형상 및 크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에 연결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바퀴(11)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혼합기를 1차 혼합기(20)와 2차 혼합기(30)로 별도로 구성하여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치도록 하는데, 1차 혼합기(20)는 트레일러(10)의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도록 하고 2차 혼합기(20)는 1차 혼합기(20)의 바로 측면에 인접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콘크리트가 2차 혼합기(30)로 연속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1차 혼합기(20)는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하여 원재료를 혼합하는 팬믹서(23)가 구성된다.
유입구(21)로는 시멘트, 배합수, 골재, 혼화재, 결합재 등을 포함한 원재료들이 투입되며, 팬믹서(23)에 의해 혼합된 원재료는 배출안내부(22)를 통해 2차 혼합기(30)로 투입되게 된다.
따라서, 배출안내부(22)는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2차 혼합기(3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배출안내부(22)에는 1차 혼합기(20)의 내부와 개폐되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는 2차 혼합기(30)의 유입구(21)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부에 별도의 투입구를 구성하고 연결하여 이를 통해 혼합된 원재료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2차 혼합기(30)는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팬믹서(23)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2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여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2차 혼합기(30)로 투입되면 강섬유를 유입구(21)로 투입하여 2차 혼합을 실시하여 초고성능콘크리트를 생산하도록 한다.
2차 혼합기(3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2차 혼합기(30)에서 생산된 초고성능콘크리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도 형성될 수 있다.
1차 혼합기(20)와 2차 혼합기(30)는 모터(M)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재료를 혼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배출안내부(22)를 통하여 2차 혼합기(30)로 중력 낙하하여 공급되고 다시 강섬유를 추가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쳐 초고성능콘크리트의 생산량을 늘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초고성능콘크리트는 섬유 보강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강섬유를 콘크리트 전체 질량의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요구되는 강도와 물성을 얻기 위하여 별도의 혼화재 등 다른 재료들이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차 혼합기(20)의 측면에는 여과집진장치(bag filter)(60)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10)로 충진 시 발생되는 분진 및 공기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1차 혼합기(10)로 충진 시 발생되는 분진 및 공기를 처리하기 위해 여과집진장치(bag filter)(6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진동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등에 대한 선진국 수준의 국가 대기 환경기준의 강화와 더불어, 2010년부터 사업장의 대기 오염 배출 허용기준을 강화하였습니다.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의 시행으로 대기환경기준의 주요 지표가 되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허용기준이 크게 강화 됨에 따라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여과집진장치(bag filter)(6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에는 구동을 위해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70)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발전기(70)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들의 구동을 위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먼저 발전기(70)를 가동한 다음 작업에 알맞은 배합비와 동작 시간 등의 설정값을 제어부(90)를 통해 입력한다. 제어부(90)의 스위치를 통해 구동이 시작되면 각각의 저장부에 저장된 재료들이 각각 이송되고, 계량이 이루어진 각 재료들이1차 혼합기(20) 및 2차 혼합기(30)에 투입되고, 재료들이 혼합되면서 초고성능콘크리트가 제조된다.
1차 혼합기(20)와 2차 혼합기(30)에 재료 투입을 위하여,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에는 리프트(40)가 구성되며, 리프트(40)에 의해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 및 강섬유를 1차 혼합기(20) 및 2차 혼합기에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멘트, 강섬유 등은 톤백이나 지대포장 제품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로컬(local)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는 점성이 높고 경화시간이 빠른 초고성능콘크리트(UHPC)의 혼합시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의 1차 혼합과정과 강섬유를 투입하는 2차 혼합과정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로 분리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1차 혼합기와 2차 혼합기가 연속된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1차 혼합기에서 중력으로 인한 낙하가 가능하도록 높이차를 두어 구성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이동식 트레일러 20 : 1차 혼합기
21 : 유입구 22 : 배출안내부
23 : 팬믹서 30 :2차 혼합기
31 : 유입구 33 : 팬믹서
40 : 리프트 60 : 여과집진장치(bag filter)
70 : 발전기

Claims (4)

  1. 이동식 트레일러(10)와; 트레일러(10)의 상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 팬믹서(23)가 구성되는 1차 혼합기(20)와;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내부에 팬믹서(33)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2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는 2차 혼합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배출안내부(22)를 통하여 2차 혼합기(30)로 중력 낙하하여 공급되고 다시 강섬유를 추가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쳐 초고성능콘크리트를 생산하도록 하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기(20)는 상부에 시멘트를 포함한 원재료를 투입하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로 돌출하도록 배출안내부(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하여 원재료를 혼합하는 팬믹서(23)가 구성되고,
    유입구(21)로는 시멘트, 배합수, 골재, 혼화재, 결합재를 포함한 원재료들이 투입되며, 팬믹서(23)에 의해 혼합된 원재료는 배출안내부(22)를 통해 2차 혼합기(30)로 투입되게 되고,
    배출안내부(22)는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2차 혼합기(3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며, 배출안내부(22)에는 1차 혼합기(20)의 내부와 개폐되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는 2차 혼합기(30)의 유입구(21)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부에 별도의 투입구를 구성하고 연결하여 2차 혼합기를 통해 혼합된 원재료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2차 혼합기(30)는 이동식 트레일러(10)의 상부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부에 감섬유를 투입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팬믹서(23)가 구성되어 1차 혼합기(2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여 배출안내부(22)의 하단부가 상부에서 내부로 연통하도록 위치하여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2차 혼합기(30)로 투입되면 강섬유를 유입구(21)로 투입하여 2차 혼합을 실시하여 2차 혼합기(30)에서 생산된 초고성능콘크리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도 형성될 수 있고,
    1차 혼합기(20)와 2차 혼합기(30)는 모터(M)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재료를 혼합하도록 하고,
    1차 혼합기(20)에서 혼합된 원재료가 배출안내부(22)를 통하여 2차 혼합기(30)로 중력 낙하하여 공급되고 다시 강섬유를 추가 혼합하는 2단계의 혼합과정을 거쳐 초고성능콘크리트의 생산량을 늘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60316A 2021-05-10 2021-05-10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KR10257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16A KR102570169B1 (ko) 2021-05-10 2021-05-10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316A KR102570169B1 (ko) 2021-05-10 2021-05-10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57A KR20220152857A (ko) 2022-11-17
KR102570169B1 true KR102570169B1 (ko) 2023-08-25

Family

ID=8423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316A KR102570169B1 (ko) 2021-05-10 2021-05-10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5820B (zh) * 2021-12-29 2024-05-10 贵州互惠混凝土机械服务有限公司 一种工作高效的四级混凝土搅拌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064B1 (ko) * 2015-05-27 2016-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76Y1 (ko) * 2009-02-02 2012-02-15 대명산업(주) 도심형 배처플랜트
KR101128050B1 (ko) 2009-09-15 2012-03-29 박남일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1195573B1 (ko) * 2010-05-10 2012-10-29 유한회사 금영토건 초속경 특수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플랜트
KR20130042102A (ko) * 2011-10-18 2013-04-26 서주은 이동식 배치 플랜트와 이를 포함하는 배치 플랜트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064B1 (ko) * 2015-05-27 2016-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57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8562A (zh) 微膨胀高性能低含气量自密实混凝土及其配制方法
CN105948649A (zh) 施工现场养护条件下200MPa级防爆裂活性粉末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575889B1 (ko) 기포 숏크리트를 이용한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 시공방법
CN103304206A (zh) 超高强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093669B1 (ko) 자갈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모르타르 공급장비
KR102570169B1 (ko) 로컬 초고성능콘크리트 믹싱기
CN105016670A (zh) 一种混凝土环形电杆及其制备方法
CN104499498B (zh) 一种大体积混凝土建筑的施工方法
CN208133256U (zh) 一种制造混凝土路面预制板的装置
JPH10100117A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方法並びに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品質管理された製造及び施工方法
CN112209683A (zh) 一种自密实c120预拌干料混凝土及其制备方法
EP37604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concrete parts
CN104821534B (zh) 侧沟电缆槽组合单体、及制备方法和侧沟电缆槽组合结构
CN104817307A (zh) 隧道中心水沟单体、及制备方法和隧道中心水沟
CN204661568U (zh) 隧道中心水沟单体及隧道中心水沟
WO2016060944A1 (en) Flexible polymer concrete and methods for making flexible polymer concrete
CN111088804A (zh) 一种赤道高温地区高流态细石混凝土堆石坝的施工方法
CN204532368U (zh) 仰拱预制单体、仰拱
KR102547030B1 (ko)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초고강도 각형 pc부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CN204668889U (zh) 侧沟电缆槽组合单体及侧沟电缆槽组合结构
CN107253281A (zh) 一种建筑用混凝土搅拌机
RU2010020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бетона или железобетона,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л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сооружений, способ подбора состава бетона
CN114988808B (zh) 一种可替代传统砖胎膜的泡沫混凝土板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164515B2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装置
CN106626053A (zh) 一种机制砂预应力混凝土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