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537B1 -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537B1
KR102569537B1 KR1020170156171A KR20170156171A KR102569537B1 KR 102569537 B1 KR102569537 B1 KR 102569537B1 KR 1020170156171 A KR1020170156171 A KR 1020170156171A KR 20170156171 A KR20170156171 A KR 20170156171A KR 102569537 B1 KR102569537 B1 KR 10256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nsi
fumigation
marquetry
resident
c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846A (ko
Inventor
김종국
문혜경
이슬
이수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52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Elimination of such other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 대체제로 이산화염소로 훈증하여 곶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곶감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존에 훈증제로 문제가 되고 있는 유황을 대체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곶감의 당도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므로 곶감 처리 기술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 dried persimmon by chlorine dioxide gas}
본 발명은 유황 대체체로 이산화염소로 훈증하여 곶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Diospyros kaki. Thunb.)은 아열대로부터 온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곶감의 주요 생산지는 경북 상주, 충북 영동, 경남 함안, 전북 완주 등이며 상주지역이 전국 생산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감의 껍질을 벗겨 말린 감이 곶감이다. 건시 또는 관시라고 하며 우리의 전통 식품의 하나로 소화기능을 돕고, 지혈, 천식, 숙취, 정장작용 및 강장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비만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곶감은 통상적으로 수확한 감을 박피한 다음, 긴 끈에 하나씩 꿰어 처마 밑이나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 일정기간 천일건조(sun drying)하여 반건시 또는 건시상태로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천일건조는 기후에 따라 곶감의 품질이 좌우되고, 외부 공기로 건조함으로 건조 중 이물질의 혼입, 곰팡이 증식, 변색 등으로 상품화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인건비에 의한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열풍건조, 원적외선 건조, 제습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동결 건조 등의 인공 건조하여 곶감의 기능성, 저장성 및 보관성 등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물질의 첨가는 대부분 농축액 또는 추출액을 곶감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곶감 고유의 색과 맛을 변질시키고, 실제 저장성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건조방법 중 동결 건조를 통해 제조된 곶감은 반드시 냉동저장되어야 하므로 상온유통이 어렵고, 열풍건조를 통해 제조된 곶감은 표면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감 표면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져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감의 호흡작용이 충분하지 않아 떫은맛이 남아 기호도가 저하되며, 열풍건조 후 곶감 표면에 백분(시설)을 생성시키기 위해 2~5℃의 저온에서 발한시키는 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므로 처리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곶감의 건조 과정 중 이물질의 혼입, 곰팡이 증식 또는 감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하기 전 감을 박피한 후 유황(원료 100kg 당 15~25g의 유황 사용)을 태워 발생하는 이산화황 가스로 훈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유황을 이용한 훈증처리는 소량이라도 곶감 내에 이산화황 가스가 잔류하기 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황산가스는 미생물의 세포막 기능을 저해시키고 단백질과 mRNA를 불활성화하여 미생물에 직접적인 위해 작용을 한다.
그러나 아황산가스는 미생물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량이 요구되며, 잔류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소비자의 기피 현상이 일어날수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위생적인 처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029007호 2.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51992호 3. 한국 등록특허 제10-162251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곶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황을 대체할 만한 물질을 찾던 중에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처리가 인체에 해를 끼지지 않으면서 관능성 및 보관기간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염소(ClO2)를 훈증처리한 곶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을 박피한 후 이산화염소(ClO2)를 10 ppm 내지 60 ppm으로 10 내지 50분 동안 훈증하는 단계; 및
상기 훈증된 감을 건조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를 1 내지 5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40일 내지 100일 동안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온도는 -2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은 기존에 훈증제로 문제가 되고 있는 유황을 대체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곶감의 당도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므로 곶감 처리 기술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을 박피한 후 이산화염소(ClO2)를 10 ppm 내지 60 ppm으로 10 내지 50분 동안 훈증하는 단계; 및
상기 훈증된 감을 건조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가스 형태로 훈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처리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40일 내지 70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40일 내지 50일이면 반건시가 되고, 60일 내지 70일면 건시가 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보다 온도가 높으면 미생물의 번식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이산화염소"는 농산물의 미생물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소독제 중 하나로, 공기 중에서 쉽게 분해되어 소독제 처리 후 식품에 소독성분이 잔류하지 않고, pH 변화와 관계없이 살균력이 유지되며, 이산화염소는 액체 상태보다 기체형태로 이용될 경우 투과성이 높아 액체보다 살균력이 우수하여 농산물 저장 및 유통시보다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근 유황 훈증의 문제가 제기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유황 대체제를 연구한 결과, 유황대체제로 이산화염소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기를 이용하여 예비실험을 한 결과, 감 건조에 피해가 없는 농도 40 ppm를 선택하였고, 훈증 시간은 30분으로 하여 건조과정 10일 간격으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 1회, 2회, 3회, 4회로 달리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유황 훈증 처리는 실제 농가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각 구간별로 유황 5 g/m3로 20분간 훈증하였으며 건조과정 10일 간격으로 유황 훈증 1회, 2회, 3회, 4회로 달리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비교예로 설정하였다. 감 건조 과정 중의 품종별(상주둥시, 상감둥시)로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중량변화, 색도, 물성, 당도, pH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감에 따른 건조기간의 차이가 있을 뿐 최종 산물에서는 비슷한 수분 함량을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최종 곶감이 완성되었을 때는 0.84∼0.86의 값을 나타내었다. 중량 변화에서 시간이 경과할 수 록 건조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중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과정 중 중량의 변화는 상주둥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상감 둥시에 비해 최종 수율이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어 27~37%의 수율을 보였으며, 이에 반해 상감둥시는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27~29%의 수율을 보였다. 색도는 SO2 훈증 구간이 선명한 밝은 색상을 가져 보기에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훈증방법에 따라 조직감에 경도, 고착성, 탄성, 검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및 당도는 훈증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 ClO2 훈증은 미생물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인체에 무해한 ClO2 훈증이 SO2 훈증(비교예)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 되어 활용성이 기대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분석 방법
<1-1> 수분
수분함량은 AOAC방법에 준하여 각각의 시료 일정량을 105℃ 상압가열건조법으로 동일한 실험구간당 10개의 시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측정한 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1-2> 수분활성도
수분활성도는 수분활성도 측정기(AquaLab LITE, Decagon Devices Inc., Washington, USA)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한다. 동일한 실험 구간당 10개의 시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측정한 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1-3> 중량변화
건조과정중의 중량변화는 각 트랙당 선택한 임의의 시료를 매일 동일한 시간에 선택된 시료를 채취하여 무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4> 이산화황 잔류량 측정
이산화황 분석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법에 따라 (KFDA Notification No. 2011-42, 2011) Monier-Williams 변법에 준하여 정량하며, 이는 식품 중의 아황산 (H2SO3), 차아황산 (H2S2O4) 및 그 염류 등을 산성 상태에서 증류하여 과산화수소 용액으로 포집하고, 생성된 황산을 알칼리로 적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이다. 모니어-윌리암스 증류장치(KFDA Notification No. 2011-42, 2011), 플라스크에 증류수 400 mL 넣고 분액깔때기에 코크를 잠근 채 4 N 염산용액 90 mL를 넣어두었다. 냉각관 (E)에는 물을 공급하고 질소가스를 가스 주입관을 통하여 0.2l L/min의 속도로 주입하면서 15분 동안 예열한다. 이어서 시료 50 g에 5% 에탄올 100 mL와 분액여두를 통해 4 N 염산 90 mL를 플라스크에 넣은 후 1시간 45분 동안 가열하여 메틸레드 지시약이 첨가된 3% 과산화수소용액 30 mL를 넣은 수기에 포집한 후, 이 용액을 0.01 N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황색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아래 식에 의하여 이산화황의 양을 계산한다. 각 실험치는 각각의 시료를 3회 반복하여 얻은 값을 평균값으로 하여 산출한다.
[수학식]
V : 0.01 N 수산화나트륨의 소비량 (mL) (0.01 N NaOH 1 mL = 320㎍ SO2
f : 0.01 N 수산화나트륨의 역가, S : 검체 채취량 (g)
<1-5> 색도
색도는 건조된 과정중의 곶감 제품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색차계(CR-300 Colorimeter,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그 값을 Hunter color value(L value, a value, b value)인 명도(lightness, L), 적색도(redness, a), 황색도(yellowness, b)를 측정하여 나타낸다. 이때 표준백색판의 L, a, b값은 각각 97.22, -0.02, 1.95이다.
<1-6> 조직감
조직감 측정은 식감 analyzer(Stable micro system, TA-XT2, UK)를 이용하여 2회 반복한 puncture test로 얻은 TPA(식감 profile analysis) curve로부터 견고성(경도), 부숴짐성(fracturability), 부착성(고착성), 탄력성(탄성), 응집성(응집성), 뭉치는 성질(검성), 씹힘성(씹힘성)을 측정하고, 측정조건은 pre-test speed 5.0 mm/s, post-test speed 5.0 mm/s, distance 10 mm의 조건으로 하여 직경 5 mm의 cylindrical probe를 사용하여 5회 반복 측정한다.
<1-7> 총 페놀 함량 측정
총페놀성 화합물은 Folin-Denis법으로 측정한다. 즉, 시료 5 g 에 80% 에탄올용액 100 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heating mantle에서 80℃, 2시간 반복추출 후 Whatman No. 5로 여과한다. 여과액은 hexane으로 지질을 제거한 다음 40℃에서 진공농축 건고 후 80% 에탄올용액 5 mL로 정용한 용액 1 mL와 Folin-Denis시약 3 mL를 혼합하여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다음 10% Na2CO3 용액 3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정치시킨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표준검량곡선은 갈산(garlic acid, Sigma Co., St. Louis, USA)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1-8>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용액 1 mL와 diethylene glycol 10 mL를 혼합하고, 여기에 1 N NaOH 용액 1 mL 가하여 잘 혼합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표준검량곡선은 퀘르세틴(Sigma Co., St. Louis, USA)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표준곡선 작성에 이용한 퀘르세틴의 농도는 50, 100, 150 및 200 μg/mL이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100 g중의 mg 퀘르세틴으로 나타낸다.
<1-9> 탄닌 함량 측정
총 탄닌 함량은 시료 0.5 mL에 1% K3F3(CN)6 1 mL와 1% FeCl3 1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72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Tannin acid(Samchun pure chemical Co., Pyeongtaek, Korea)를 이용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한 후, tannin acid equivalent(g TE/100 g)로 나타내었다.
<1-10> DPPH 라디컬 소거 활성능 측정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라디컬 소거활성은 Blios의 방법에 준하여 변형하여 측정한다. 시료 0.2 mL에 0.4 mM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용액 0.8 mL를 가하여 10분간 암소에 방치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며 다음 식에 의하여 나타낸다.
[수학식 2]
<1-11> ABTS 라디컬 소거 활성능 측정
ABTS 라디컬 소거 활성능은 ABTS 자유 라디컬을 생성시키기 위해 7.4 mM ABTS 용액에 2.6 mM 광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1:1로 혼합하여 암소에서 약 24시간 반응시킨 후, ABTS 자유 라디컬이 생성된 용액을 99.9% 에탄올로 희석하여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1.5±0.1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2.7 mL 와 시료 0.3 mL를 혼합하여 7분 동안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ABTS 라디컬 소거 활성능은 소거활성이 50%에 상응하는 시료의 농도를 계산하여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1-12> 미생물 수 측정
곶감은 시료 50 g과 0.1% 멸균 펩톤 수 50 mL를 멸균 bag에 넣고 10분 동안 sonication한 후, 추출액을 Whatman No. 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액을 0.1% 멸균 펩톤 수로 희석한 후 각각의 배지에 분주하여 실험하였다.
총 호기성 세균은 plate count agar (PCA)를 사용하여 37℃에서 2일간 배양하였고, 효모 및 곰팡이는 potato dextrose agar (PDA)를 사용하여 25℃에서 3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검출된 미생물 수는 시료 g당 log colony forming unit (CFU)으로 나타내었고,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 실시예 2>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 방법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을 제조하기 위하여 경북 상주지역에서 2016년 10월 30일 수확한 상주둥시와 상감둥시를 상주시농협공판장에서 구입한 것을 선별한 후 정선하여 감 깎는 과정을 직접 수행한 후 총 11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마다 약 1000여개의 감을 직접 제작한 감 타래에 매달아 시간 경과에 따른 시료를 채취하여 진행하였다. 11개 구간은 1) 감 수확, 2) 작업장 이송 또는 냉장창고 저장, 3) 중량별 감 선별, 4) 중량별 감 깎기, 5) 컨테이너 이송 후 감달기, 6) 유황 훈증(1회), 7) 이산화염소 훈증(40ppm v/v), 8) 자연탈삽 및 건조, 9) 곶감수확, 10) 저장 및 11) 포장한다음 저장 및 유통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의 감 깎기는 세척한 다음 깍고, 7)의 유황 훈증은 자연환경에 따라 훈증하는 횟수가 달라지게 되는데 온도와 습도가 높게 되면 훈증 횟수가 늘어나게 되고, 환경이 적합하면 1회만 훈증을 하여도 무난히 곶감과정이 진행되며, 수확은 반드시 훈증 후 2주 경과 후 수확한다. 그런 다음 이산화염소 훈증은 2주에 1회씩 총 4~5회를 각각 40ppm v/v로 훈증처리한다. 10)의 저장은 가능한 40℃이하를 권장하나, 현재 농가에 설치된 냉동고는 25℃ 이하는 어려우므로 수확 후 간격을 두어 1~2일이 지나기 전에 적재한다. 기온이 높으면 감은 당성분이 표면으로 배출되어 곶감시상이 형성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11)의 포장은 포장전 냉동된 곶감은 하루정도 상온에서 해동 후 작업을 하는 것이 적당하며 포장 작업시에도 위생적으로 작업을 하여 2차 오염의 소지를 가능한 배제해야하며, 계절에 따라 기온이 높을 경우 아이스팩을 추가하여 유통한다.
< 실시예 3>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곶감의 상태 분석
유황대체제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 처리를 선택하여 이산화염소가스 훈증기를 이용하여 예비실험을 통해 감 건조에 피해가 없는 농도 40 ppm를 선택하였고, 훈증 시간은 30분으로 하여 건조과정 10일 간격으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 1회, 2회, 3회, 4회로 달리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추가적으로, 고체형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팜이톡)를 병용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감 품종 상주둥시, 상감둥시에 이산화염소 무처리 군은 대조군으로 하고, 이산화염소 가스를 40 ppm를 30분간, 1회, 2회, 3회 및 4회로 처리하였으며, 다음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중량변화, 색도, 물성, 당도, pH,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무처리 + 팜이톡 이용 저농도 지속처리한 다음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중량변화, 색도, 조직감, 당도, pH,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탄닌 함량, DPPH 라디컬 소거 활성능, ABTS 라디컬 소거활성능,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 비교예 > 유황 훈증 처리에 따른 곶감의 상태 분석
유황 훈증 처리는 실제 농가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각 구간별로 유황 5 g/m3 로 20분간 훈증하였으며 건조과정 10일 간격으로 유황 훈증 1회, 2회, 3회, 4회로 달리 처리하여 감 건조 과정 중의 품종별로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중량변화, 색도, 조직감, 당도, pH,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탄닌 함량, DPPH 라디컬 소거 활성능, ABTS 라디컬 소거활성능,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감 품종 상주둥시, 상감둥시에 이산화황 무처리 군은 대조군으로 하고, 이산화항을 5 g/m3로 20분간, 1회, 2회, 3회 및 4회로 처리한 다음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중량변화, 색도, 물성, 당도, pH,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 실시예 4>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과 유황 훈증 곶감의 분석 결과
<4-1> 수분함량 변화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수분 함량 변화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 ClO2 훈증구간에 따른 기간별 수분을 조사한 결과 초기 수분은 76~78%로 양구간 비슷한 수분 함량을 가지고 천일 건조를 진행하였다. 양구간의 기간별 수분 함량은 시간이 경과 할수록 비슷한 수준으로 수분이 증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주둥시의 경우 60일째 곶감이 완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최종 수분함량은 32~3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감둥시의 경우는 감의 크기가 상주둥시보다 훨씬커 70일째 완전한 곶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함량은 33~36%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SO2훈증, ClO2훈증구간에 따른 기간별 수분 함량은 감에 따른 건조기간의 차이가 있을 뿐 최종 산물에서는 비슷한 수분 함량을 보였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76.57 ± 1.69 78.45 ± 2.12 75.73 ± 2.09 76.36 ± 2.71 74.25 ± 1.67 77.47 ± 1.93 76.94 ± 2.65 78.88 ± 1.18 74.83 ± 1.54 79.38 ± 0.92 78.34 ± 1.36 79.54 ± 1.62
20 71.43 ± 1.64 73.22 ± 1.59 68.44 ± 2.95 71.56 ± 3.15 67.57 ± 3.78 67.74 ± 2.99 68.22 ± 3.84 73.45 ± 1.37 67.17 ± 4.07 72.67 ± 1.34 68.71 ± 2.67 70.79 ± 2.09
30 59.88± 1.57 63.12± 3.82 59.21 ±1.83 62.95±3.12 59.84±3.52 62.53±2.64 56.86±1.66 61.86±4.42 59.00±3.43 62.34±4.36 58.95±3.56 61.91±2.46
40 56.83 ± 4.34 57.62 ±1.51 55.69 ±3.01 58.72 ±2.57 49.25 ±23.43 56.06 ±3.88 53.94 ±1.67 57.34 ±3.61 52.20 ±3.78 57.11 ±1.46 50.26 ±2.48 56.50 ±1.69
50 44.71 ±4.20 50.53 ±1.97 46.65 ±4.02 51.87 ±6.13 46.24 ±3.49 52.39 ±1.87 45.83 ±0.70 54.93 ±1.51 46.65 ±1.54 50.93 ±10.84 45.55 ±2.86 53.18 ±3.01
60 32.41±4.30 43.36 ±1.88 33.63 ±4.12 43.77 ±2.27 33.53 ±1.68 45.85 ±2.35 34.37 ±2.52 46.48 ±1.02 33.73 ±0.99 42.16 ±2.49 33.74 ±2.59 43.41 ±3.39
70 - 34.70 ±2.70 - 33.26 ±2.56 - 34.35 ±0.47 - 35.05 ±3.94 - 33.53 ±2.25 - 33.97 ±2.15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76.57 ± 1.69 78.45 ± 2.12 78.42 ± 1.75 78.41 ± 0.67 77.38 ± 0.57 78.21 ± 1.02 76.82 ± 0.89 77.56 ± 1.26 78.56 ± 2.21 77.58 ± 1.67
20 71.43 ± 1.64 71.22 ± 1.59 69.88± 2.08 73.39 ± 2.71 70.65 ± 2.20 74.74± 3.28 69.89 ± 1.60 74.57 ± 1.16 69.50±2.31 73.83 ± 2.09
30 59.88± 1.57 63.12± 3.82 61.95 ± 5.91 65.84 ± 3.20 62.19 ± 3.15 64.41 ± 1.82 62.28 ± 10.88 63.65 ± 3.00 58.71 ± 7.67 66.68 ± 2.81
40 56.83 ± 4.34 58.62 ±1.51 53.10 ± 3.05 59.58 ± 1.97 54.43 ± 4.67 58.20 ± 3.00 51.70 ± 7.87 59.79 ± 1.71 51.26 ± 20.23 58.65 ± 0.99
50 44.71 ±4.20 53.53 ±1.97 44.23 ± 4.17 51.18 ± 2.89 47.18 ± 3.10 53.79 ± 4.29 46.45 ± 3.12 56.39 ± 2.67 45.89 ± 3.05 54.61 ± 2.91
60 34.41±4.30 45.36 ±1.88 31.87 ± 3.29 47.10 ± 10.43 34.71 ± 1.41 46.43 ± 3.26 32.24 ± 1.73 42.11 ± 4.17 33.27 ± 10.92 46.69 ± 1.77
70 - 34.70 ±2.70 - 35.01 ± 4.89 - 36.39 ± 1.89 - 34.14 ± 3.77 - 36.12 ± 3.63
<4-2> 수분활성도 변화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수분활성도 변화는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수분활성도에서 초기에는 0.97~0.98의 값을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수분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활성도의 값은 조금씩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최종 곶감이 완성되었을 때는 0.84~ 0.86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론상으로 0.6 이상이면 균이 잘자라는 수치인데 최종 곶감의 수분활성도는 미생물이 잘자라는 수치이다. 그러나 최종 곶감은 당함량이 약 50%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 내당성인 균이 아니면 생존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내부에 해당되고 표면은 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따라서 완성된 곶감은 반드시 냉동 보관을 기본으로 한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98± 0.00 0.98± 0.00 0.97 ± 0.00 0.98 ± 0.00 0.97 ± 0.01 0.97 ± 0.01 0.99 ± 0.01 0.98 ± 0.00 0.98 ± 0.00 0.98 ± 0.00 0.97 ± 0.00 0.97 ± 0.01
20 0.97 ± 0.01 0.96 ± 0.01 0.96 ± 0.00 0.97 ± 0.01 0.95 ± 0.01 0.96 ± 0.01 0.95 ± 0.00 0.97 ± 0.01 0.95 ± 0.01 0.97 ± 0.00 0.96 ± 0.01 0.96 ± 0.01
30 0.92 ± 0.01 0.94± 0.01 0.93 ± 0.02 0.96 ± 0.00 0.92 ± 0.01 0.95 ± 0.01 0.94 ± 0.01 0.96± 0.01 0.93 ± 0.01 0.96 ± 0.01 0.93 ± 0.01 0.94 ± 0.01
40 0.90± 0.02 0.93 ± 0.01 0.87 ± 0.15 0.92± 0.02 0.90 ± 0.01 0.93 ± 0.01 0.92 ± 0.01 0.93 ± 0.01 0.91 ± 0.01 0.92 ± 0.00 0.91 ± 0.01 0.92 ± 0.00
50 0.85± 0.04 0.88 ± 0.02 0.86 ± 0.05 0.90± 0.01 0.85 ± 0.03 0.89± 0.02 0.88 ± 0.01 0.92± 0.02 0.89 ± 0.01 0.90 ± 0.04 0.86 ± 0.04 0.87 ± 0.01
60 0.84± 0.00 0.87 ± 0.01 0.87 ± 0.00 0.88 ± 0.01 0.84 ± 0.00 0.88± 0.01 0.84± 0.01 0.89 ± 0.01 0.86 ± 0.01 0.88 ± 0.01 0.85 ± 0.02 0.86 ± 0.01
70 - 0.86 ± 0.03 - 0.85 ± 0.00 - 0.84 ± 0.02 - 0.84 ± 0.01 - 0.86 ± 0.01 - 0.85 ± 0.01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98± 0.00 0.98± 0.00 0.98 ± 0.00 0.98 ± 0.00 0.97 ± 0.00 0.98 ± 0.00 0.96 ± 0.00 0.98 ± 0.01 0.97 ± 0.00 0.99 ± 0.01
20 0.97 ± 0.01 0.96 ± 0.01 0.96 ± 0.00 0.97 ± 0.01 0.96 ± 0.01 0.97 ± 0.01 0.95 ± 0.00 0.97 ± 0.01 0.95 ± 0.01 0.98 ± 0.00
30 0.92 ± 0.01 0.94± 0.01 0.93± 0.01 0.95 ± 0.01 0.94 ± 0.02 0.95 ± 0.01 0.93 ± 0.02 0.96 ± 0.01 0.95 ± 0.00 0.96 ± 0.00
40 0.90± 0.02 0.93 ± 0.01 0.92 ± 0.00 0.94 ± 0.01 0.93 ± 0.01 0.94 ± 0.01 0.92 ± 0.00 0.94 ± 0.01 0.93 ± 0.01 0.95 ± 0.01
50 0.85± 0.04 0.88 ± 0.02 0.88 ± 0.01 0.90 ± 0.01 0.87 ± 0.02 0.88 ± 0.01 0.86 ± 0.01 0.89 ± 0.00 0.86 ± 0.01 0.92 ± 0.02
60 0.84± 0.00 0.87 ± 0.01 0.87 ± 0.01 0.87 ± 0.00 0.86 ± 0.02 0.89 ± 0.01 0.85 ± 0.01 0.88 ± 0.02 0.85 ± 0.01 0.90 ± 0.01
70 - 0.85 ± 0.03 - 0.84 ± 0.01 - 0.86 ± 0.01 - 0.86 ± 0.02 - 0.85 ± 0.00
<4-3> 중량 변화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훈증에 따른 중량 변화는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중량 변화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중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과정 중 중량의 변화는 생감의 물성에 따라 조금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생감의 완숙 정도, 내부 씨앗의 개수, 감나무의 연령 등에 따라 최종 중량 수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주둥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상감 둥시에 비해 최종 수율이 조금높은 값을 나타내어 27~37%의 수율을 보였으며, 이에 반해 상감둥시는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27~29%의 수율을 보였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106.07 ± 4.92 197.39 ± 26.54 112.27 ± 9.72 189.42 ± 26.85 109.42 ± 26.85 194.40 ± 17.85 112.52 ± 5.28 182.26 ± 19.15 118.82 ± 5.24 207.35 ± 17.05 117.23 ± 6.12 209.41 ± 16.02
20 79.81 ± 2.45 148.67 ± 17.62 82.12 ± 6.24 137.94 ± 21.39 84.12 ± 6.12 144.35 ± 15.50 83.20 ± 4.25 136.78 ± 16.37 82.64 ± 4.44 156.63 ± 18.05 81.48 ± 3.20 156.61 ± 25.23
30 68.45 ± 3.07 121.30 ± 6.25 62.99 ± 1.10 121.20 ± 11.23 68.04 ± 8.44 115.53 ± 14.14 63.48 ± 4.41 117.57 ± 9.68 68.49 ± 2.50 119.84 ± 19.24 63.75 ± 4.12 105.90 ± 11.12
40 51.23 ± 3.72 97.77 ± 6.03 47.54 ± 1.29 98.18 ± 10.88 53.04 ± 7.35 93.26 ± 11.27 48.68 ± 3.55 88.16 ± 19.66 52.71 ± 1.90 97.67 ± 17.25 52.70 ± 3.840 85.43 ± 10.36
50 39.95 ± 2.64 74.47 ± 6.26 39.38 ± 0.95 73.15 ± 8.43 41.95 ± 5.67 71.48 ± 8.43 38.15 ± 2.07 71.25 ± 6.82 41.08 ± 1.65 74.10 ± 13.47 40.86 ± 2.65 68.44 ± 10.75
60 36.91 ± 2.28 60.42 ± 31.17 35.32 ± 1.12 68.3 ± 8.04 39.14 ± 5.42 64.36 ± 7.67 37.52 ± 1.76 63.04 ± 5.79 39.12 ± 1.41 68.76 ± 11.66 39.68 ± 2.21 62.94 ± 7.09
70 - 58.89 ± 4.91 - 62.25 ± 7.29 - 59.66 ± 7.02 - 60.51 ± 4.95 - 53.07 ± 27.94 - 57.96 ± 6.01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106.07 ± 4.92 197.39 ± 26.54 111.95 ± 7.16 216.50 ± 24.07 116.35 ± 5.26 218.34 ± 21.02 118.29 ± 6.14 206.61 ± 11.23 117.37 ± 5.83 209.86 ± 16.52
20 79.81 ± 2.45 148.67 ± 17.62 82.56 ± 4.55 148.99 ± 15.12 88.27 ± 7.28 178.54 ± 33.95 86.16 ± 5.36 160.19 ± 30.08 83.42 ± 5.45 169.78 ± 23.06
30 68.45 ± 3.07 121.30 ± 6.25 53.55 ± 4.66 118.48 ± 9.52 59.54 ± 5.46 121.09 ± 21.81 57.02 ± 4.86 114.39 ± 26.18 53.72 ± 5.31 121.84 ± 9.19
40 51.23 ± 3.72 97.77 ± 6.03 45.38 ± 8.56 88.10 ± 3.21 45.96 ± 4.45 87.06 ± 14.10 43.36 ± 4.49 87.65 ± 21.36 40.14 ± 2.93 96.87 ± 17.36
50 39.95 ± 2.64 74.47 ± 6.26 36.01 ± 2.77 71.52 ± 7.11 38.31 ± 3.49 65.55 ± 9.45 34.02 ± 4.75 66.73 ± 13.77 33.99 ± 2.26 75.31 ± 13.34
60 38.91 ± 2.28 55.42 ± 31.17 35.18 ± 2.55 66.25 ± 6.00 36.37 ± 3.39 63.22 ± 9.27 32.18 ± 3.78 62.95 ± 12.00 31.67 ± 2.23 66.71 ± 11.52
70 - 52.89 ± 4.91 - 60.30 ± 4.63 - 59.62 ± 9.15 - 58.33 ± 10.61 - 59.97 ± 9.745
<4-4> 색도 변화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색도 변화는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색도 변화에서 L 값은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구간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L 값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SO2 훈증의 경우 초기 L 값은 60~66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40~47의 값을 나타내었다. ClO2 훈증은 초기 59~63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37~39의 값을 나타내었다.
a 값은 SO2 훈(비교예)증, ClO2 훈증 양구간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a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의 경우 초기 a 값은 27~32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21~25의 값을 나타내었다. ClO2 훈증은 초기 28~32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23~27의 값을 나타내었다.
b 값은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 양구간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b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의 경우 초기 b 값은 52~58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31~42의 값을 나타내었다. ClO2 훈증은 초기 50~60의 값을 나타내고 최종 곶감의 경우 26~38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L 값은 SO2훈증(비교예) 구간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a 값은 ClO2훈증 구간이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 값은 최종 곶감의 경우 SO2 훈증(비교예) 구간이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색도면에서는 SO2 훈증(비교예) 구간이 선명한 밝은 색상을 가져 보기에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건조 기간 (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L 10 59.95 ± 1.80 62.84 ± 5.76 58.64 ± 4.11 64.80 ± 8.61 61.63 ± 1.71 62.40 ± 2.24 62.98 ± 1.75 58.81 ± 4.32 62..22 ± 2.00 60.02 ± 4.09 58.64 ± 2.36 60.44 ± 3.28
20 44.18 ± 3.91 49.75 ± 2.79 49.72 ± 3.56 49.79 ± 2.81 48.42 ± 4.26 53.98 ± 3.51 51.32 ± 1.57 49.25 ± 4.40 49..36 ± 2.56 49.49 ± 1.97 53.32 ± 4.23 48.23 ± 1.32
30 43.87 ± 2.14 47.11 ± 2.31 47.68 ± 2.50 47.32 ± 3.80 44.64 ± 2.76 48.16 ± 1.97 48.21 ± 2.62 46.05 ± 1.52 47.92 ± 1.48 48.13 ± 2.18 46.47 ± 2.45 45.96 ± 1.87
40 41.56 ± 4.19 46.95 ± 1.57 45.32 ± 2.69 48.15 ± 1.50 43.22 ± 2.73 46.20 ± 1.04 46.18 ± 3.89 45.54 ± 1.68 46.39 ± 2.22 46.38 ± 3.10 45.18 ± 3.09 45.02 ± 1.42
50 37.88 ± 4.35 44.04 ± 2.75 43.29 ± 5.44 45.80 ± 3.64 42.22 ± 3.02 44.66 ± 2.30 42.92 ± 2.59 43.76 ± 1.44 45.22 ± 1.78 44.22 ± 2.88 42.41 ± 3.43 42.55 ± 2.13
60 33.11 ± 2.72 39.33 ± 1.29 41.45 ± 1.45 43.77 ± 3.59 39.67 ± 2.69 39.75 ± 2.44 37.89 ± 1.72 40.72 ± 1.18 42.91 ± 3.42 43.29 ± 3.12 38.91 ± 1.66 41.88 ± 2.71
70 - 32.75 ± 2.09 - 38.17 ± 2.72 - 37.14 ± 2.31 - 37.83 ± 2.81 - 39.45 ± 0.88 - 36.51 ± 3.05
a
10 28.24 ± 1.51 32.25 ± 2.98 28.54 ± 2.08 30.24 ± 0.88 28.13 ± 1.42 31.55 ± 1.69 29.72 ± 3.19 31.10 ± 2.20 29.33 ± 2.09 32.79 ± 1.84 28.613 ± 2.18 31.62 ± 1.72
20 20.12 ± 3.02 26.01 ± 2.24 21.05 ± 2.04 24.54 ± 1.52 21.98 ± 2.10 25.03 ± 1.69 23.59 ± 1.97 24.12 ± 1.60 24.87 ± 2.26 24.63 ± 0.69 26.52 ± 3.72 26.01 ± 0.32
30 25.61 ± 2.58 28.54 ± 1.79 27.31 ± 1.47 28.32 ± 1.20 26.78 ± 4.19 28.76 ± 1.76 28.26 ± 1.90 29.72 ± 0.54 26.82 ± 1.92 30.68 ± 0.91 26.59 ± 1.37 30.46 ± 1.15
40 24.31 ± 4.28 29.15 ± 1.95 25.85 ± 1.50 29.60 ± 1.61 27.64 ± 1.52 28.18 ± 2.03 28.91 ± 3.62 30.49 ± 0.95 28.57 ± 2.96 29.81 ± 1.73 24.94 ± 1.94 29.19 ± 1.93
50 23.76 ± 4.26 29.75 ± 1.91 23.76 ± 3.75 28.86 ± 1.89 25.38 ± 2.27 28.81 ± 1.25 25.79 ± 2.21 29.43 ± 0.51 27.66 ± 1.75 30.36 ± 1.48 24.02 ± 2.23 28.27 ± 1.65
60 24.90 ± 2.80 26.95 ± 2.17 23.38 ± 1.99 27.56 ± 2.54 25.03 ± 1.22 26.72 ± 2.99 24.31 ± 2.04 27.71 ± 1.71 25.45 ± 2.11 29.40 ± 1.36 23.97 ± 3.81 28.05 ± 3.32
70 - 26.05 ± 1.42 - 25.80 ± 1.58 - 25.60 ± 2.65 - 25.02 ± 2.10 - 27.05 ± 2.06 - 24.36 ± 3.91
b 10 50.67 ± 1.08 57.26 ± 4.21 50.21 ± 2.09 49.59 ± 8.34 52.65 ± 2.12 59.92 ± 1.52 51.96 ± 0.74 52.12 ± 6.30 51.77 ± 0.60 55.82 ± 4.99 50.86 ± 1.35 53.08 ± 1.52
20 45.55 ± 5.40 44.83 ± 3.79 46.92 ± 3.63 46.62 ± 3.23 48.96 ± 5.75 46.65 ± 4.84 45.36 ± 2.18 43.60 ± 3.71 42.99 ± 3.49 46.68 ± 2.72 40.17 ± 5.93 43.34 ± 1.09
30 35.08 ± 3.75 38.98 ± 1.83 43.34 ± 2.78 43.52 ±4.89 41.82 ± 5.53 42.42 ± 1.84 43.84 ± 3.75 41.49 ± 1.59 39.94 ± 1.12 44.13 ± 2.68 35.63 ± 2.33 39.85 ± 3.41
40 33.54 ± 6.22 39.80 ± 2.05 43.12 ± 2.73 40.20 ± 1.40 38.59 ± 2.29 39.69 ± 1.59 41.01 ± 6.23 41.04 ± 2.17 38.93 ± 4.04 41.15 ± 3.47 31.89 ± 3.36 37.45 ± 1.42
50 32.30 ± 6.57 36.48 ± 2.81 34.50 ± 6.64 39.70 ± 4.01 33.00 ± 3.78 38.40 ± 1.51 33.95 ± 4.06 37.03 ± 1.77 37.98 ± 1.89 40.16 ± 3.78 28.89 ± 4.37 35.83 ± 3.30
60 31.02 ± 4.12 34.41 ± 1.87 33.48 ± 1.97 39.43 ± 4.36 32.40 ± 3.19 33.39 ± 3.11 29.44 ± 1.97 35.10 ± 2.05 36.88 ± 4.44 39.35 ± 3.69 27.30 ± 4.09 34.37 ± 4.36
70 - 33.34 ± 0.67 - 37.58 ± 3.54 - 29.70 ± 3.96 - 30.55 ± 3.70 - 33.66 ± 0.77 - 26.36 ± 4.70
Color value 건조 기간 (day) 샘플 (SO2 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L 10 59.95 ± 1.80 62.84 ± 1.76 65.92 ± 1.73 64.08 ± 2.19 66.31 ± 2.34 65.82 ± 2.12 62.62 ± 1.82 66.23 ± 1.64 63.51 ± 1.72 65.16 ± 2.03
20 47.18 ± 3.91 48.75 ± 2.79 55.79 ± 3.12 46.65 ± 3.13 55.25 ± 1.49 55.94 ± 1.49 56.16 ± 1.51 55.69 ± 5.07 55.53 ± 3.86 55.76 ± 1.52
30 45.87 ± 2.14 47.11 ± 2.31 48.95 ± 1.80 47.38 ± 1.88 51.59 ± 1.88 50.35 ± 2.37 52.32 ± 3.19 53.74 ± 2.03 52.73 ± 2.59 50.85 ± 2.35
40 44.56 ± 4.19 46.95 ± 1.57 46.65 ± 2.01 46.15 ± 2.26 49.66 ± 0.86 46.37 ± 0.68 51.29 ± 1.39 50.10 ± 2.29 51.88 ± 2.43 49.73 ± 1.17
50 39.88 ± 4.35 44.04 ± 2.75 42.88 ± 5.24 44.95 ± 2.24 48.74 ± 1.25 44.59 ± 0.59 49.33 ± 1.79 45.75 ± 2.17 50.79 ± 2.32 46.58 ± 2.65
60 32.11 ± 2.72 42.33 ± 1.29 41.36 ± 1.18 42.19 ± 3.03 45.83 ± 1.89 44.02 ± 1.40 46.64 ± 3.93 43.75 ± 1.52 47.41 ± 2.59 46.61 ± 2.21
70 - 33.75 ± 2.09 - 40.25 ± 2.86 - 41.24 ± 2.08 - 40.79 ± 2.45 - 42.91 ± 2.09
a
10 28.24 ± 1.51 32.25 ± 2.98 27.06 ± 1.63 30.63 ± 1.40 28.64 ± 1.71 31.03 ± 1.49 28.11 ± 1.76 30.72 ± 1.51 28.056 ± 2.32 31.08 ± 2.37
20 20.12 ± 3.02 26.01 ± 2.24 28.18 ± 2.99 25.15 ± 1.95 27.68 ± 2.36 23.52 ± 0.73 26.76 ± 3.28 23.26 ± 3.44 21.12 ± 2.14 23.89 ± 0.54
30 25.61 ± 2.58 28.54 ± 1.79 25.06 ± 0.98 38.41 ± 1.93 28.83 ± 2.77 29.20 ± 1.14 28.19 ± 2.62 28.26 ± 3.67 27.61 ± 4.22 28.07 ± 1.00
40 24.31 ± 4.28 29.15 ± 1.95 25.91 ± 3.21 30.19 ± 0.74 27.65 ± 1.98 31.25 ± 2.21 27.70 ± 3.20 29.82 ± 1.20 26.52 ± 2.03 30.89 ± 2.00
50 23.76 ± 4.26 29.75 ± 1.91 23.81 ± 4.31 25.07 ± 3.82 29.92 ± 2.30 30.52 ± 1.50 30.99 ± 2.14 30.38 ± 0.88 26.63 ± 2.93 31.13 ± 1.69
60 22.90 ± 2.80 26.95 ± 2.17 22.66 ± 1.78 24.54 ± 5.15 27.60 ± 2.10 27.86 ± 1.18 27.86 ± 3.91 28.60 ± 1.27 25.74 ± 0.94 29.44 ± 1.10
70 - 24.05 ± 1.42 - 21.23 ± 3.18 - 24.21 ± 0.94 - 24.94 ± 2.13 - 28.32 ± 2.88
b 10 50.67 ± 1.08 57.26 ± 4.21 53.61 ± 1.71 58.44 ± 3.36 53.64 ± 1.32 57.61 ± 2.31 52.841 ± 2.64 58.23 ± 2.14 51.471 ± 1.92 56.29 ± 2.03
20 45.55 ± 5.40 44.83 ± 3.79 48.19 ± 5.13 47.93 ± 4.06 47.02 ± 2.24 46.58 ± 2.39 47.04 ± 2.45 47.90 ± 5.23 44.07 ± 4.67 46.09 ± 1.30
30 39.08 ± 3.75 38.98 ± 1.83 38.87 ± 1.45 40.77 ± 2.61 44.19 ± 3.16 44.62 ± 2.40 42.97 ± 4.17 43.84 ± 1.21 44.70 ± 4.55 45.30 ± 2.68
40 33.54 ± 6.22 39.80 ± 2.05 37.23 ± 3.33 40.45 ± 2.68 42.08 ± 1.08 40.98 ± 0.94 44.19 ± 3.23 42.15 ± 2.58 43.88 ± 3.88 43.35 ± 2.07
50 32.30 ± 6.57 36.48 ± 2.81 35.83 ± 6.95 35.16 ± 3.18 39.28 ± 2.68 38.58 ± 1.05 43.20 ± 2.95 39.72 ± 3.95 42.66 ± 2.80 41.20 ±3.77
60 31.02 ± 4.12 34.41 ± 1.87 33.36 ± 1.52 32.02 ± 5.25 37.92 ± 2.39 37.87 ± 1.46 39.51 ± 5.41 37.92 ± 1.57 41.70 ± 2.81 40.51 ± 1.41
70 - 33.34 ± 0.67 - 31.10 ± 3.22 - 32.76 ± 1.90 - 32.51 ± 2.37 - 36.36 ± 3.42
<4-5> 조직감 측정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는 표 9 내지 표 12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경도는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 구간에서 20일 30일차에서는 대부분 탈삽과정을 거치면서 연화되는 과정으로 경도가 낮아지고 40일차부터는 경도가 큰 값으로 변화는 것을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구간의 최종 경도 값은 482~533의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453~485의 값을 나타내 SO2 훈증(비교예) 구간이 경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고착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조금씩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다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는 값이 조금 상승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SO2 훈증(비교예) 구간의 최종 고착성 값은 0.97~1.34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0.83~1.225의 값을 나타내 SO2훈증 구간이 고착성 값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응집성 값은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 구간 모두 불규칙적인 값을 나타내었으며,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0.25~0.43의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0.32~0.75 값을 나타내 ClO2 훈증 구간이 응집력이 조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탄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조금씩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8.14~8.72의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8.03~8.30 값을 나타내 SO2훈증 구간이 탄성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검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조금씩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149~190의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160~188 값을 나타내 ClO2 훈증 구간이 평균적으로 검성 값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씹힘성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조금씩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7.27~8.61의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7.56~8.53 값을 나타내 훈증 구간별 유의적인 차이는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에서 탄성력은 측정값이 미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훈증방법에 따라 조직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감 건조 기간 (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경도
(g)
10 234.67 ± 153.49 197.6± 9.44 180.45 ± 78.00 193.25± 4.05 196.77 ± 103.30 187.80 ± 2.69 226.47 ± 160.55 191.27 ± 6.12 226.08 ± 145.63 185.73 ± 57.49 187.36 ± 56.25 193.57 ± 55.26
20 210.20 ± 138.73 179.10 ± 128.86 175.45 ± 76.23 182.50 ± 34.61 186.77 ± 95.82 182.55 ± 68.20 184.78 ± 104.04 185.73 ± 30.69 216.47 ± 119.01 171.20 ± 52.86 149.90 ± 0.16 158.00 ± 49.79
30 198.84 ± 113.80 168.20 ± 83.84 165.90 ± 61.91 164.13 ± 137.25 148.93 ± 47.32 178.77 ± 44.23 173.60 ± 43.97 165.80 ± 51.21 207.57 ± 58.50 243.47 ± 24.62 178.70 ± 20.25 226.17 ± 70.79
40 328.33 ± 98.93 288.33 ± 121.35 255.20 ± 46.23 299.93 ± 110.14 230.70 ± 64.58 333.50 ± 118.65 285.93 ± 129.02 231.57 ± 102.67 314.17 ± 148.31 308.77 ± 20.79 333.13 ± 105.81 354.73 ± 98.26
50 421.67 ± 88.00 312.20 ± 54.31 419.00 ± 124.59 325.90 ± 100.32 382.20 ± 66.74 386.47 ± 60.17 376.27 ± 110.87 364.00 ± 95.11 374.27 ± 46.39 362.23 ± 31.93 402.00 ± 74.65 379.93 ± 33.49
60 463.47± 73.41 433.40 ± 68.71 472.20 ± 125.92 462.11 ± 70.21 472.40 ± 71.01 448.63 ± 59.43 470.03 ± 104.35 421.40 ± 45.10 421.30 ± 72.40 446.20 ± 68.37 421.50 ± 174.08 457.40 ± 166.64
70 462.70 ± 95.10 485.97 ± 64.47 460.77± 92.01 452.62 ± 22.29 461.27 ± 93.33 481.33 ± 59.27
고착성
(mJ)
10 1.35 ± 0.34 1.63 ± 0.72 1.68 ± 0.34 1.26 ± 5.07 1.55 ± 0.39 1.40 ± 0.+61 1.44 ± 0.40 1.11 ± 0.41 1.81 ± 1.08 1.12 ± 0.76 1.37 ± 0.45 1.32 ± 0.65
20 1.12 ± 0.30 1.43 ± 0.74 1.38 ± 0.20 1.06 ± 3.17 1.15 ± 0.24 1.10 ± 0.17 1.08 ± 6.42 1.02 ± 0.64 1.14 ± 0.25 1.06 ± 0.19 1.15 ± 0.16 1.25 ± 0.48
30 1.01 ± 0.60 0.82 ± 0.08 1.08 ± 0.50 0.86 ± 0.27 1.01 ± 0.16 0.76 ± 0.28 0.83 ± 0.20 0.80 ± 0.27 0.84 ± 0.44 0.81 ± 0.29 0.82 ± 0.29 0.896 ± 0.41
40 0.51 ± 0.29 0.83 ± 1.39 0.58 ± 0.15 0.75 ± 0.44 0.79 ± 0.28 0.70 ± 0.33 0.76 ± 0.35 0.61 ± 0.31 0.78 ± 0.46 0.77 ± 0.21 0.81 ± 0.35 0.85 ± 0.25
50 0.68 ± 0.16 0.88 ± 0.06 0.87 ± 0.11 0.85 ± 0.07 0.93 ± 0.51 0.83 ± 1.86 0.80 ± 0.17 0.83 ± 0.35 0.87 ± 0.22 0.85 ± 0.06 0.87 ± 0.20 0.85 ± 0.70
60 0.89 ± 0.23 0.92 ± 0.15 0.93 ± 0.23 0.92 ± 0.16 1.22 ± 1.07 0.85 ± 0.13 0.84 ± 0.26 0.87 ± 0.35 0.93 ± 0.29 0.92 ± 0.09 0.94 ± 0.72 0.93 ± 0.16
70 0.83 ± 0.29 0.93 ± 0.06 0.97 ± 0.31 0.91 ± 0.21 0.96 ± 0.08 0.98 ± 0.29
응집성
10 0.28 ± 0.07 0.38 ± 0.18 0.60 ± 0.75 0.52 ± 0.36 0.24 ± 0.07 0.57 ± 0.89 0.32 ± 0.22 0.55 ± 0.18 0.36 ± 0.21 0.40 ± 0.17 0.39 ± 0.15 0.46 ± 0.18
20 0.27 ± 0.05 0.38 ± 0.15 0.60 ± 0.57 0.52 ± 0.28 0.24 ± 0.04 0.57 ± 0.57 0.40 ± 0.16 0.40 ± 0.08 0.32 ± 0.14 0.55 ± 0.16 0.38 ± 0.16 0.45 ± 0.25
30 0.37 ± 1.55 0.27 ± 0.13 0.11 ± 0.08 0.35 ± 0.05 0.03 ± 0.02 0.30 ± 0.04 0.04 ± 0.04 0.27 ± 0.07 0.05 ± 0.03 0.03 ± 0.02 0.27 ± 0.04 0.31 ± 0.11
40 0.49 ± 0.55 0.29 ± 0.05 0.32 ± 0.06 0.35 ± 0.08 0.22 ± 0.08 0.30 ± 0.12 0.24 ± 0.10 0.62 ± 0.94 0.24 ± 0.04 0.32 ± 0.08 0.27 ± 0.08 0.26 ± 0.11
50 0.62 ± 0.48 0.43 ± 0.03 0.44 ± 0.09 0.54 ± 0.05 0.45 ± 0.10 0.44 ± 0.03 0.45 ± 0.04 0.66 ± 0.92 0.38 ± 0.03 0.45 ± 0.06 0.96 ± 1.33 0.36 ± 0.11
60 0.49 ± 0.55 0.30 ± 0.06 0.32 ± 0.23 0.36 ± 0.06 0.32 ± 0.06 0.35 ± 0.07 0.34 ± 0.05 0.76 ± 0.43 0.35 ± 0.11 0.35 ± 0.06 0.27 ± 0.10 0.11 ± 0.20
70 0.34 ± 0.11 0.46 ± 0.03 0.32 ± 0.10 0.47 ± 0.01 0.41 ± 0.02 0.75 ± 0.52
식감 건조 기간 (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탄성 (mm) 10 1.45 ± 1.23 -1.60 ± 1.44 -2.12 ± 1.68 -0.18 ± 2.05 2.65 ± 1.31 1.97 ± 1.69 1.52 ± 1.39 -2.06 ± 6.12 1.77 ± 1.15 -2.00 ± 1.51 0.59 ± 1.03 2.76 ± 1.19
20 0.48 ± 1.84 -2.60 ± 9.16 -3.12 ±3.60 -1.02 ± 2.68 1.65 ± 1.84 1.80 ± 1.59 -0.29 ± 2.82 -2.00 ± 3.24 0.99 ± 8.26 -2.27 ± 3.16 -0.78 ± 3.66 2.53 ± 3.16
30 2.26 ± 1.22 3.00 ± 1.09 3.33 ± 1.05 2.72 ± 1.96 3.28 ± 1.07 2.99 ± 4.16 2.27 ± 0.09 2.30 ± 1.57 3.30 ± 0.10 2.01 ± 1.06 2.26 ± 0.10 3.60 ± 2.88
40 3.35 ± 1.45 4.33 ± 2.34 5.51 ± 0.77 5.43 ± 2.69 4.92 ± 2.42 4.91 ± 2.41 4.99 ± 2.39 5.34 ± 1.21 5.60 ± 2.27 4.91 ± 1.92 5.42 ± 2.60 4.86 ± 2.23
50 7.51 ± 1.22 7.68 ± 0.49 7.72 ± 1.44 7.06 ± 0.88 7.81 ± 1.85 7.12 ± 0.98 7.85 ± 0.66 6.20 ± 1.85 7.10 ± 0.67 7.17 ± 1.06 7.27 ± 2.48 7.41 ± 0.67
60 7.95 ± 2.45 7.75 ± 1.66 8.23 ± 1.69 7.56 ± 1.06 8.03 ± 1.42 7.43 ± 1.24 8.24 ± 1.82 7.82 ± 1.92 8.07 ± 2.11 7.74 ± 1.38 8.24 ± 2.83 7.61 ± 2.20
70 8.12 ± 2.91 8.26 ± 0.45 8.13 ± 4.12 8.30 ± 0.29 8.46 ± 0.26 8.25 ± 1.14
검성
(g)
10 56.53 ± 41.46 58.43 ± 33.79 45.47 ± 25.25 55.87 ± 20.95 43.69 ± 26.15 44.67 ± 30.30 57.15 ± 36.03 64.90 ± 21.62 59.04 ± 29.59 49.65 ± 19.34 56.42 ± 16.21 53.26 ± 16.23
20 58.68 ± 31.77 61.43 ± 31.73 56.47 ± 17.92 71.87 ± 10.64 58.69 ± 17.77 64.67 ± 23.99 61.57 ± 18.50 69.65 ± 7.07 67.15 ± 19.64 64.90 ± 13.55 65.81 ± 6.05 59.38 ± 16.52
30 73.50 ± 63.25 70.39 ± 55.20 82.01 ± 3.31 91.01 ± 55.89 84.50 ± 5.75 89.65 ± 20.54 87.23 ± 1.92 87.09 ± 21.37 82.85 ± 3.10 95.59 ± 10.19 91.37 ± 0.81 69.86 ± 33.95
40 123.17 ± 50.95 94.78 ± 43.35 97.43 ± 20.45 113.51 ± 59.14 98.25 ± 19.50 99.15 ± 61.92 91.12 ± 43.17 123.94 ± 40.99 92.85 ± 22.62 120.89 ± 19.08 96.71 ± 36.88 94.35 ± 46.54
50 139.67 ± 53.88 144.72 ± 20.01 134.46 ± 57.29 138.18 ± 72.00 135.05 ± 75.67 140.25 ± 71.57 137.59 ± 74.99 138.46 ± 69.85 122.55 ± 21.15 128.83 ± 55.30 136.64 ± 99.66 132.33 ± 15.09
60 159.89 ± 40.77 150.25 ± 37.41 159.71 ± 28.72 153.57 ± 34.83 167.67 ± 30.01 152.58 ± 51.31 182.43 10.93 151.57 ± 34.64 168.43 ± 43.32 154.73 ± 42.28 164.51 ± 3.31 149.19 ± 70.46
70 169.61 ± 57.49 187.75 ± 34.80 176.72 ± 61.12 164.07 ± 13.68 175.65 ± 31.09 174.71 ± 35.14
씹힘성
(mJ)
10 0.81 ± 4.06 -1.53 ± 3.61 0.39 ± 1.95 -1.68 ± 3.38 0.92 ± 1.70 1.13 ± 2.38 1.36 ± 5.51 -1.93 ± 5.05 1.27 ± 3.61 -1.90 ± 3.51 -1.12 ±
2.13
1.03 ±
1.06
20 0.86 ± 1.90 -1.03 ± 1.45 0.62 ± 8.68 -1.56 ± 3.54 1.03 ± 1.35 1.29 ± 1.40 0.47 ± 2.95 -1.10 ± 1.99 1.36 ± 3.56 -1.13 ± 2.62 -0.52 ± 2.25 3.78 ± 4.67
30 6.48 ± 2.40 3.98 ± 2.23 5.51 ± 1.64 4.91 ± 5.70 3.92 ± 2.20 4.28 ± 3.48 5.01 ± 1.70 2.10 ± 2.21 4.15 ± 2.49 3.01 ± 0.78 4.07 ± 1.15 4.05 ± 3.63
40 7.25 ± 2.11 5.98 ± 2.54 5.60 ± 1.45 6.56 ± 5.14 6.78 ± 1.64 6.46 ± 2.91 6.00 ± 3.54 6.13 ± 3.30 6.05 ± 2.44 6.82 ± 2.19 6.70 ± 3.30 6.20 ± 3.76
50 8.30 ± 32.00 6.20 ± 2.12 6.78 ± 9.77 7.33 ± 2.54 7.13 ± 8.87 6.72 ± 3.81 7.70 ± 31.47 7.17 ± 2.67 7.52 ± 1.94 7.57 ± 2.67 7.27 ± 2.24 6.98 ± 1.25
60 8.40 ± 2.10 7.96 ± 2.89 7.80 ± 3.20 7.58 ± 2.79 7.56 ± 2.41 7.35 ± 2.02 8.28 ± 0.73 7.34 ± 2.65 8.13 ± 4.75 7.95 ± 3.78 8.14 ± 3.31 7.46 ± 2.62
70 8.49 ± 2.10 8.52 ± 2.66 8.47 ± 2.51 8.26 ± 1.66 8.33 ± 2.04 8.53 ± 2.88
탄성력
10 0.03 ± 0.03 0.04 ± 0.05 0.02 ± 0.02 0.01 ± 0.01 0.03 ± 0.02 0.03 ± 0.03 0.03 ± 0.02 0.01 ± 0.01 0.02 ± 0.02 0.05 ± 0.03 0.03 ± 0.01 0.02 ± 0.02
20 0.03 ± 0.01 0.04 ± 0.05 0.02 ± 0.01 0.01 ± 0.01 0.03 ± 0.02 0.03 ± 0.03 0.02 ± 0.01 0.45 ± 0.83 0.03 ± 0.01 0.01 ± 0.01 0.03 ± 0.01 0.02 ± 0.01
30 0.13 ± 0.15 0.06 ± 0.02 0.29 ± 0.32 0.07 ± 0.05 0.21 ± 1.07 0.07 ± 0.03 0.99 ± 1.96 0.04 ± 0.03 2.78 ± 2.03 0.03 ± 0.02 0.51 ± 0.59 0.05 ± 0.02
40 0.15 ± 0.13 0.07 ± 0.03 0.10 ± 0.05 0.09 ± 0.05 0.04 ± 0.05 0.07 ± 0.04 0.04 ± 0.03 0.14 ± 0.13 0.04 ± 0.03 0.09 ± 0.03 0.04 ± 0.03 0.06 ± 0.04
50 0.19 ± 0.11 0.12 ± 0.01 0.12 ± 0.02 0.16 ± 0.02 0.11 ± 0.02 0.14 ± 0.01 0.12 ± 0.02 0.14 ± 0.01 0.10 ± 0.01 0.13 ± 0.02 0.08 ± 0.03 0.10 ± 0.05
60 0.15 ± 0.13 0.07 ± 0.02 0.08 ± 0.02 0.09 ± 0.02 0.06± 0.02 0.09 ± 0.01 0.08 ± 0.02 0.14 ± 0.13 0.09 ± 0.04 0.10 ± 0.01 0.04 ± 0.02 0.09 ± 0.05
70 0.08 ± 0.04 0.14 ± 0.02 0.10 ± 0.02 0.15 ± 0.01 0.12 ± 0.01 0.08 ± 0.02
식감 건조 기간 (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경도
(g)
10 214.67 ± 153.49 203.26 ± 9.44 179.92 ± 70.18 198.03 ± 49.79 223.09 ± 71.18 148.46 ± 39.21 213.12 ± 54.32 211.56 ± 55.17 168.31 ± 48.23 211.28± 61.21
20 206.20 ± 138.73 186.10 ± 128.86 167.40 ± 100.08 183.47 ± 9.47 201.60 ± 118.02 97.47 ± 27.14 202.17 ± 80.88 195.87 ± 41.97 150.23 ± 96.40 201.17± 83.28
30 198.84 ± 113.80 176.20 ± 83.84 158.67 ± 91.51 195.43 ± 161.02 230.37 ± 125.90 176.47 ± 57.06 131.47 ± 18.11 185.13 ± 60.56 142.18 ± 81.69 149.93 ± 36.92
40 328.33 ± 98.93 212.33 ± 121.35 293.70 ± 77.21 206.53 ± 56.53 323.33 ± 98.29 279.67 ± 117.13 220.33 ± 86.54 243.87 ± 56.38 290.77 ± 79.70 283.10 ± 59.43
50 421.67 ± 88.00 312.20 ± 54.31 362.10 ± 89.42 310.53 ± 163.01 437.97 ± 57.18 320.98 ± 68.56 376.93 ± 63.52 321.23 ± 67.72 386.67 ± 100.33 387.53 ± 637.93
60 563.47± 73.41 407.40 ± 68.71 482.20 ± 67.47 462.83
± 125054
489.27 ± 111.06 457.73 ± 144.32 491.97 ± 71.21 459.73 ± 90.72 516.60 ± 74.06 460.07 ± 88.80
70 514.70 ± 95.10 532.57 ± 84.22 512.30 ± 78.73 526.25 ± 49.71 528.90 ± 53.19
고착성
(mJ)
10 1.35 ± 0.34 1.63 ± 0.72 1.15 ± 0.16 2.07 ± 0.48 1.51 ± 0.38 1.58 ± 0.42 1.76 ± 0.52 1.68 ± 0.64 1.86 ± 0.86 1.79 ± 0.39
20 1.40 ± 0.30 1.63 ± 0.74 1.86 ± 0.19 1.73 ± 0.44 1.35 ± 0.22 1.76 ± 0.27 1.67 ± 0.35 1.78 ± 0.36 1.83 ± 0.58 1.82 ± 0.14
30 1.01 ± 0.60 1.21 ± 0.08 1.60 ± 1.02 1.24 ± 0.15 1.12 ± 0.45 1.26 ± 0.55 1.34 ± 0.37 1.18 ± 0.43 1.23 ± 0.78 1.27 ± 0.34
40 0.81 ± 0.29 1.01 ± 0.39 0.76 ± 0.28 0.94 ± 0.22 0.86 ± 0.37 1.06 ± 0.46 1.04 ± 0.29 0.89 ± 0.46 0.80 ± 0.20 0.90 ± 0.33
50 0.68 ± 0.16 0.92 ± 0.06 0.79 ± 0.44 1.05 ± 0.59 0.83 ± 0.23 0.59 ± 0.20 1.09 ± 0.10 0.67 ± 0.31 1.18 ± 0.29 0.98 ± 0.54
60 0.96 ± 0.23 0.98 ± 0.15 1.05 ± 0.38 1.19 ± 0.41 0.97 ± 0.20 0.94 ± 0.20 1.16 ± 0.10 1.04 ± 0.92 1.46 ± 0.89 1.02 ± 0.29
70 1.18 ± 0.29 1.34 ± 0.57 1.08 ± 0.21 1.16 ± 0.32 1.13 ± 0.10
응집성
10 0.28 ± 0.07 0.38 ± 0.18 0.38 ± 0.16 0.45 ± 0.25 0.31 ± 0.27 0.51 ± 0.61 0.41 ± 0.27 0.46 ± 0.35 0.38 ± 0.45 0.37 ± 0.24
20 0.27 ± 0.05 0.38 ± 0.15 0.25 ± 0.06 0.52 ± 0.16 0.27 ± 0.07 0.91 ± 2.72 0.36 ± 0.18 0.41 ± 0.12 0.36 ± 0.12 0.42 ± 0.23
30 0.37 ± 1.55 0.27 ± 0.13 0.11 ± 0.10 0.07 ± 0.10 0.05 ± 0.02 0.04 ± 0.03 0.01 ± 0.01 0.07 ± 0.04 0.09 ± 0.10 0.20 ± 0.03
40 0.49 ± 2.55 0.29 ± 0.05 0.31 ± 0.04 0.19 ± 0.03 0.30 ± 0.08 0.29 ± 0.13 0.29 ± 0.04 0.30 ± 0.06 0.30 ± 0.11 0.23 ± 0.08
50 0.62 ± 2.48 0.43 ± 0.03 0.39 ± 0.07 0.30 ± 0.02 0.29 ± 0.10 0.08 ± 0.03 0.30 ± 0.08 0.33 ± 0.04 0.30 ± 0.07 0.33 ± 0.03
60 0.49 ± 2.55 0.30 ± 0.06 0.25 ± 0.15 0.65 ± 0.96 0.31 ± 0.08 0.37 ± 0.04 0.39 ± 0.03 0.31 ± 0.10 0.32 ± 0.06 0.68 ± 0.86
70 0.34 ± 0.11 0.35 ± 0.08 0.29 ± 0.07 0.38 ± 0.03 0.43 ± 0.04
식감 건조 기간 (week)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상주둥시 상감둥시
탄성 (mm) 10 1.65 ± 2.44 -2.60 ± 1.44 -0.78 ± 3.66 2.53 ± 3.16 -0.62 ± 1.21 -2.18 ± 2.34 1.08 ± 3.13 -0.97 ± 1.47 -0.31 ± 2.17 -0.08 ± 1.12
20 0.48 ± 1.84 -2.60 ± 9.16 0.68 ± 3.74 -3.52 ± 5.07 0.83 ± 4.96 -1.67 ± 2.34 1.37 ± 3.74 -0.75 ± 1.59 0.98 ± 1.40 0.77 ± 3.88
30 3.26 ± 1.22 3.00 ± 1.09 0.39 ± 0.18 0.34 ± 0.08 0.35 ± 0.05 0.29 ± 0.08 0.31 ± 0.06 0.30 ± 0.08 0.26 ± 0.16 0.34 ± 0.08
40 6.35 ± 1.45 4.33 ± 2.34 4.86 ± 1.68 1.63 ± 0.93 5.10 ± 1.83 1.41 ± 1.58 2.94 ± 1.59 3.74 ± 2.46 4.06 ± 2.73 3.08 ± 2.64
50 6.51 ± 1.22 4.68 ± 0.49 7.01 ± 1.64 4.19 ± 1.33 6.08 ± 1.86 4.76 ± 1.78 6.02 ± 1.65 5.27 ± 1.14 6.87 ± 0.29 5.76 ± 2.30
60 8.35 ± 2.45 5.75 ± 1.66 8.23 ± 1.08 6.05 ± 1.84 8.57 ± 1.17 6.78 ± 1.58 8.45 ± 0.73 6.94 ± 1.30 8.14 ± 2.47 6.28 ± 2.36
70 7.65 ± 2.91 8.72 ± 0.81 8.40 ± 2.78 8.23 ± 1.20 8.48 ± 0.81
검성
(g)
10 56.53 ± 41.46 58.43 ± 33.79 45.81 ± 6.05 51.38± 16.52 58.61± 14.23 55.23± 15.41 56.87± 16.32 58.35± 15.42 58.298± 14.12 56.34± 15.21
20 58.68 ± 31.77 58.43 ± 31.73 54.75 ± 17.76 52.08 ± 7.77 68.89 ± 16.80 57.05 ± 15.38 65.73 ± 25.06 65.79 ± 20.05 45.67 ± 13.87 76.04 ± 15.81
30 73.50 ± 63.25 70.39 ± 55.20 72.98 ± 4.38 71.11 ± 3.05 74.31 ± 5.55 73.15 ± 6.57 75.23 ± 4.45 73.91 ± 2.60 78.22 ± 12.19 81.25 ± 3.24
40 93.17 ± 50.95 94.78 ± 43.35 94.21 ± 34.71 97.89 ± 11.64 102.23 ± 51.47 93.27 ± 20.84 92.65 ± 24.49 94.88 ± 21.82 90.65 ± 49.84 90.14 ± 28.69
50 129.67 ± 53.88 124.72 ± 20.01 145.16 ± 52.36 114.80 ± 38.83 12690 ± 39.47 110.54 ± 54.54 116.23 ± 18.47 119.17 ± 20.96 118.97 ± 19.51 118.27 ± 31.41
60 149.89 ± 40.77 130.25 ± 37.41 152.17 ± 21.26 165.85 ± 42.37 154.85 ± 31.96 147.27 ± 46.26 151.39 ± 30.95 149.25 ± 55.6 148.55 ± 22.90 149.57 ± 28.28
70 169.61 ± 57.49 190.15 ± 56.88 162.44 ± 37.34 171.66 ± 19.86 165.33 ± 35.16
씹힘성
(mJ)
10 0.81 ± 1.06 -1.03 ± 6.61 -0.52 ± 2.25 3.78 ± 4.67 1.05 ± 1.05 0.53± 1.12 0.86 ± 2.13 -0.86 ± 1.08 1.37 ± 1.25 -0.31 ± 1.07
20 0.86 ± 1.90 -1.03 ± 6.45 -0.61 ± 3.58 -2.45 ± 3.97 1.45 ± 5.18 0.30 ± 1.77 1.06 ± 2.89 -1.09 ± 1.75 0.75 ± 1.02 -0.24 ± 3.70
30 5.48 ± 1.40 3.98 ± 1.23 5.14 ± 1.85 5.32 ± 1.90 5.55 ± 2.18 5.60 ± 1.11 5.88 ± 1.72 5.32 ± 2.07 5.48 ± 23.23 5.42 ± 3.51
40 6.25 ± 2.11 5.98 ± 3.54 5.81 ± 2.44 6.24 ± 1.04 6.35 ± 3.81 6.14 ± 1.79 5.95 ± 1.73 5.68 ± 2.64 6.04 ± 3.65 5.52 ± 2.45
50 7.30 ± 2.00 6.20 ± 2.12 6.94 ± 2.43 6.16 ± 3.33 7.14 ± 3.21 6.86 ± 2.25 7.53 ± 1.49 6.33 ± 0.04 6.27 ± 1.73 6.32 ± 3.29
60 8.40 ± 3.10 6.96 ± 2.89 7.75 ± 2.92 7.55 ± 3.22 7.48 ± 2.42 7.29 ± 2.35 7.55 ± 2.42 7.72 ± 4.33 7.27 ± 4.48 7.90 ± 2.44
70 7.49 ± 1.10 8.61 ± 2.93 8.24 ± 2.30 8.57 ± 2.16 8.42 ± 3.68
탄성력
10 0.03 ± 0.03 0.04 ± 0.05 0.03 ± 0.01 0.02 ± 0.01 0.04 ± 0.01 0.06 ± 0.01 0.02 ± 0.01 0.03 ± 0.02 0.04 ± 0.01 0.03 ± 0.01
20 0.03 ± 0.01 0.04 ± 0.05 0.02 ± 0.01 0.01 ± 0.01 0.03 ± 0.01 0.15 ± 0.30 0.03 ± 0.01 0.01 ± 0.01 0.02 ± 0.02 0.01 ± 0.01
30 0.13 ± 0.15 0.06 ± 0.02 0.09 ± 0.41 0.23 ± 0.33 0.08 ± 0.71 0.62 ± 0.10 0.43 ± 0.97 0.03 ± 0.26 0.86 ± 1.48 0.61 ± 1.77
40 0.15 ± 0.13 0.07 ± 0.03 0.07 ± 0.01 0.03 ± 0.01 0.08 ± 0.03 0.02 ± 0.01 0.05 ± 0.01 0.07 ± 0.03 0.06 ± 0.03 0.04 ± 0.03
50 0.19 ± 0.11 0.12 ± 0.01 0.09 ± 0.01 0.06 ± 0.02 0.06 ± 0.02 0.08 ± 0.03 0.06 ± 0.02 0.08 ± 0.03 0.06 ± 0.07 0.07 ± 0.03
60 0.15 ± 0.13 0.07 ± 0.02 0.07 ± 0.03 0.03 ± 0.02 0.08 ± 0.03 0.08 ± 0.02 0.10 ± 0.01 0.08 ± 0.04 0.06 ± 0.02 0.07 ± 0.04
70 0.08 ± 0.04 0.08 ± 0.03 0.41 ± 0.64 0.10 ± 0.03 0.12 ± 0.02
<4-6> pH 측정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조직감 변화는 표 13 및 표 14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훈증에 따른 pH 변화에서 훈증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조과정중의 pH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pH는 5.38~5.95 값을 나타내었고 ClO2훈증 구간은 5.13~5.90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pH 변화는 훈증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5.27 ± 0.00 6.08 ± 0.01 5.80 ± 0.01 6.05 ± 0.00 5.84 ± 0.01 6.04 ± 0.00 6.01 ± 0.00 5.94 ± 0.00 5.89 ± 0.01 5.73 ± 0.01 5.78 ± 0.01 5.87 ± 0.01
20 5.29 ± 0.01 5.94 ± 0.01 5.70 ± 0.01 5.59 ± 0.01 5.70 ± 0.01 5.90 ± 0.01 5.97 ± 0.01 5.91 ± 0.01 5.62 ± 0.01 5.64 ± 0.01 5.65 ± 0.00 5.91 ± 0.01
30 5.68 ± 0.01 5.66 ± 0.02 5.31 ± 0.02 5.54 ± 0.01 5.67 ± 0.03 5.80 ± 0.01 5.51 ± 0.01 5.71 ± 0.01 5.68 ± 0.01 5.70 ± 0.01 5.51 ± 0.02 5.80 ± 0.01
40 5.38 ± 0.00 5.14 ± 0.01 5.56 ± 0.01 5.49 ± 0.01 5.60 ± 0.01 5.36 ± 0.01 5.56 ± 0.01 5.67 ± 0.01 5.55 ± 0.01 5.79 ± 0.01 5.40 ± 0.01 5.62 ± 0.00
50 5.82 ± 0.01 5.58 ± 0.01 5.15 ± 0.01 5.43 ± 0.06 5.49 ± 0.01 5.39 ± 0.01 5.37 ± 0.01 5.39 ± 0.01 5.51 ± 0.02 5.47 ± 0.01 5.18 ± 0.01 5.69 ± 0.01
60 5.39 ± 0.00 5.56 ± 0.01 5.44 ± 0.03 5.50 ± 0.01 5.59 ± 0.01 5.72 ± 0.01 5.55 ± 0.01 5.62 ± 0.03 5.32 ± 0.58 5.61 ± 0.01 5.13 ± 0.01 5.72 ± 0.01
70 - 5.56 ± 0.01 - 5.43 ± 0.00 - 5.90 ± 0.02 - 5.63 ± 0.02 - 5.13 ± 0.02 - 5.62 ± 0.02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5.27 ± 0.00 6.08 ± 0.01 5.84 ± 0.01 5.74 ± 0.01 5.36 ± 0.01 5.57 ± 0.01 5.68 ± 0.01 5.71 ± 0.01 5.81 ± 0.01 5.67 ± 0.01
20 5.29 ± 0.01 5.94 ± 0.01 5.94 ± 0.02 5.81 ± 0.01 5.63 ± 0.02 6.04 ± 0.06 5.71 ± 0.01 5.96 ± 0.02 5.77 ± 0.01 5.91 ± 0.02
30 5.68 ± 0.01 5.66 ± 0.02 5.48 ± 0.01 586 ± 0.02 0.49 ± 0.06 5.97 ± 0.02 5.65 ± 0.02 5.83 ± 0.01 0.66 ± 0.01 5.88 ± 0.01
40 5.38 ± 0.00 5.14 ± 0.01 5.53 ± 0.01 5.57 ± 0.01 5.57 ± 0.01 5.71 ± 0.01 5.44 ± 0.09 5.85 ± 0.02 5.56 ± 0.01 5.94 ± 0.01
50 5.82 ± 0.01 5.58 ± 0.01 5.42 ± 0.01 5.83 ± 0.01 5.38 ± 0.01 5.97 ± 0.01 5.87 ± 0.01 5.72 ± 0.01 5.65 ± 0.01 5.78 ± 0.01
60 5.39 ± 0.00 5.56 ± 0.01 5.42 ± 0.06 5.71 ± 0.01 5.36 ± 0.01 5.33 ± 0.06 5.38 ± 0.03 5.65 ± 0.01 5.48 ± 0.03 5.85 ± 0.0
70 - 5.56 ± 0.01 - 5.95 ± 0.02 - 5.51 ± 0.02 - 5.86 ± 0.01 - 5.33 ± 0.02
<4-7> 당도 측정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당도 변화는 표 15 및 표 16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당도 변화에서 건조기간이 경과 할수록 당의 함량은 축척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 구간 모두 상주둥시는 40일 정도에서 반건시가 되었고 상감둥시는 50일쯤에 반건시가 되었다. 최종 곶감은 상주둥시가 60일, 상감둥시가 70일 소요되었다.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당도는 49.85~52.21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49.93~51.23의 값을 나타내 두 구간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최총 곶감의 당도는 훈증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20.00± 0.20 16.600 ± 0.17 20.947 ± 0.06 17.22 ± 0.10 20.86 ± 0.06 18.40 ± 0.10 21.14 ± 0.06 16.20 ± 0.10 19.94± 0.12 18.56 ± 0.06 20.15± 0.10 18.26± 0.14
20 23.64 ± 0.00 21.32 ± 0.06 25.34 ± 0.06 20.53 ± 0.03 27.74 ± 0.06 21.97 ± 0.06 27.40 ± 0.10 20.47 ± 0.06 25.747 ± 0.06 22.53 ± 0.06 27.06 ± 0.06 22.77 ± 0.23
30 33.85 ± 0.25 27.23 ± 0.06 34.063 ± 0.15 25.20 ± 0.00 35.200 ± 0.10 25.23 ± 0.06 36.10 ± 0.10 28.10 ± 0.00 32.90 ± 0.10 26.47 ± 0.06 35.10 ± 0.00 27.83 ± 0.06
40 37.20 ± 0.10 32.33 ± 0.12 37.23 ± 0.15 33.70 ± 0.00 38.40 ± 0.20 33.20 ± 0.10 39.40 ± 0.10 34.73 ± 0.06 40.00 ± 0.00 30.77 ± 0.06 42.30 ± 0.10 17.43 ± 3406
50 46.10 ± 0.17 38.23 ± 0.15 46.03 ± 0.06 38.10 ± 0.30 48.10 ± 0.30 40.37 ± 0.06 44.49 ± 0.06 38.17 ± 0.15 44.00 ± 0.00 38.60 ± 0.15 47.63 ± 0.21 40.43 ± 0.32
60 49.57 ± 0.06 45.63 ± 0.15 50.00 ± 0.10 44.30 ± 0.10 51.70 ± 0.10 46.04 ± 0.07 50.53 ± 0.15 46.73 ± 0.23 51.03 ± 0.15 45.37 ± 0.12 51.10 ± 0.10 46.87 ± 0.12
70 - 49.23 ± 0.15 - 50.07 ± 0.06 - 51.23 ± 0.15 - 50.93 ± 0.15 - 50.33 ± 0.15 - 49.93 ± 0.06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20.00± 0.20 16.60 ± 0.17 17.66 ± 0.06 16.86 ± 0.06 21.12± 0.21 16.26 ± 0.16 19.54± 0.28 18.60 ± 0.19 19.36 ± 0.35 16.34 ± 0.21
20 23.64 ± 0.00 20.14 ± 0.06 30.54 ± 0.15 25.06 ± 0.06 27.66 ± 0.06 23.21 ± 0.20 26.40 ± 0.00 25.26 ± 0.06 28.86 ± 0.15 23.14 ± 0.15
30 32.56 ± 0.25 30.23 ± 0.06 34.54 ± 0.21 27.86 ± 0.06 33.24 ± 0.17 27.54 ± 0.06 32.74 ± 0.06 30.00 ± 0.10 31.14 ± 0.15 27.00 ± 0.00
40 37.20 ± 0.10 34.66 ± 0.12 38.20 ± 0.10 33.23 ± 0.06 36.26 ± 0.06 33.400 ± 0.10 37.20 ± 0.00 31.40 ± 0.10 37.20 ± 0.06 32.62 ± 0.12
50 48.20 ± 0.17 40.46 ± 0.15 46.26 ± 0.15 40.40 ± 0.17 43.00 ± 0.30 40.46 ± 0.21 45.00 ± 0.10 37.46 ± 0.15 46.20 ± 0.10 38.66 ± 0.23
60 49.65 ± 0.06 45.63 ± 0.15 51.23 ± 0.15 44.14 ± 0.21 49.86 ± 0.06 45.86 ± 0.06 51.23 ± 0.06 44.56 ± 0.10 49.74 ± 0.12 45.66 ± 0.12
70 - 49.58 ± 0.15 - 52.21 ± 0.10 - 50.64 ± 0.20 - 51.24 ± 0.06 - 49.85 ± 0.15
<4-8> 총 페놀 함량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페놀의 함량 변화는 표 16 및 표 17에 나타내었다.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은 식물계에 분포되어 있는 물질 하나로, 페놀성 화합물의 phenolic hydroxyl기 가 단백질과 같은 거분자와 결합해 산화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자유 라디컬 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으로 항산화, 항암 항균 등의 생리기능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식물에 널리 존재하는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중 폴리페놀 화합물은 천연항산화제로의 작용이 우수하며, 각종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Phenol 변화에서 40일까지는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 구간 모두 페놀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50일 이후에는 값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페놀 함량은 SO2 훈증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0.41~0.46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0.42~0.45의 값을 나타내 두 구간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페놀 함량은 훈증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95 ± 0.00 0.71 ± 0.02 0.83 ± 0.00 0.69 ± 0.02 0.82 ± 0.01 0.76 ± 0.02 0.85 ± 0.00 0.69 ± 0.03 0.85 ± 0.00 0.80 ± 0.00 0.87 ± 0.00 0.82 ± 0.00
20 1.37 ± 0.00 1.15 ± 0.00 1.29 ± 0.00 0.79 ± 0.01 1.27 ± 0.01 0.86 ± 0.00 1.14 ± 0.03 0.78 ± 0.00 1.04 ± 0.00 0.87 ± 0.00 1.35 ± 0.00 0.93 ± 0.00
30 1.13 ± 0.00 0.75 ± 0.00 1.28 ± 0.00 0.80 ± 0.00 1.08 ± 0.01 0.80 ± 0.02 1.37 ± 0.00 0.81 ± 0.00 1.18 ± 0.00 0.86 ± 0.00 1.08 ± 0.03 0.97 ± 0.00
40 0.98 ± 0.01 0.71 ± 0.01 1.11 ± 0.00 0.72 ± 0.01 1.11 ± 0.01 0.76 ± 0.01 1.22 ± 0.00 0.78 ± 0.00 1.14 ± 0.00 0.79 ± 0.00 1.23 ± 0.00 0.74 ± 0.01
50 0.46 ± 0.00 0.40 ± 0.00 0.44 ± 0.00 0.39 ± 0.00 0.47 ± 0.00 0.39 ± 0.00 0.46 ± 0.00 0.41 ± 0.00 0.44 ± 0.00 0.39 ± 0.00 0.45 ± 0.00 0.37 ± 0.00
60 0.41 ± 0.00 0.43 ± 0.00 0.45 ± 0.00 0.42 ± 0.00 0.48 ± 0.00 0.43 ± 0.00 0.44 ± 0.00 0.42 ± 0.00 0.45 ± 0.00 0.40 ± 0.00 0.43 ± 0.00 0.42 ± 0.01
70 - 0.43 ± 0.00 - 0.42 ± 0.00 - 0.43 ± 0.00 - 0.41 ± 0.00 - 0.43 ± 0.00 - 0.44 ± 0.00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95 ± 0.00 0.71 ± 0.02 0.87 ± 0.01 0.79 ± 0.00 0.97 ± 0.01 0.67 ± 0.01 0.85 ± 0.01 0.72 ± 0.01 0.87 ± 0.01 0.87 ± 0.01
20 1.37 ± 0.00 1.15 ± 0.00 1.09 ± 0.00 0.67 ± 0.01 1.41 ± 0.21 0.70 ± 0.00 1.40 ± 0.00 0.79 ± 0.00 1.45 ± 0.00 0.84 ± 0.00
30 1.13 ± 0.00 0.75 ± 0.00 1.29 ± 0.01 0.84 ± 0.00 1.31 ± 0.00 1.00 ± 0.00 1.36 ± 0.00 0.94 ± 0.02 1.46 ± 0.01 1.02 ± 0.00
40 0.98 ± 0.01 0.71 ± 0.01 1.25 ± 0.00 1.05 ± 0.01 1.27 ± 0.00 1.08 ± 0.00 1.56 ± 0.01 1.03 ± 0.01 1.56 ± 0.01 1.07 ± 0.00
50 0.46 ± 0.00 0.40 ± 0.00 0.46 ± 0.00 0.45 ± 0.00 0.42 ± 0.00 0.44 ± 0.00 0.44 ± 0.00 0.44 ± 0.00 0.43 ± 0.00 0.42 ± 0.00
60 0.41 ± 0.00 0.43 ± 0.00 0.43 ± 0.00 0.42 ± 0.00 0.44 ± 0.00 0.41 ± 0.00 0.48 ± 0.00 0.41 ± 0.00 0.46 ± 0.00 0.41 ± 0.00
70 - 0.43 ± 0.00 - 0.46 ± 0.00 - 0.45 ± 0.00 - 0.45 ± 0.00 - 0.45 ± 0.00
<4-9>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플라보노이드 변화는 표 18 및 19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플라보노이드 변화에서 초기값은 상주둥시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 할수록 상감둥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기간이 경과 할수록 함량이 축척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0.17~0.20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0.17~0.20의 값을 나타내 두 구간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훈증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13 ± 0.01 0.05 ± 0.01 0.09 ± 0.00 0.05 ± 0.01 0.09 ± 0.00 0.06 ± 0.00 0.10 ± 0.01 0.06 ± 0.01 0.10 ± 0.01 0.04 ± 0.01 0.09 ± 0.01 0.06 ± 0.01
20 0.15 ± 0.01 0.07 ± 0.00 0.13 ± 0.01 0.06 ± 0.01 0.11 ± 0.02 0.07 ± 0.00 0.13 ± 0.01 0.09 ± 0.00 0.12 ± 0.01 0.08 ± 0.01 0.10 ± 0.01 0.07 ± 0.00
30 0.16 ± 0.01 0.13 ± 0.00 0.15 ± 0.01 0.13 ± 0.01 0.14 ± 0.00 0.13 ± 0.01 0.15 ± 0.01 0.13 ± 0.01 0.15 ± 0.01 0.15 ± 0.01 0.12 ± 0.01 0.13 ± 0.02
40 0.16 ± 0.01 0.14 ± 0.02 0.16 ± 0.01 0.15 ± 0.01 0.15 ± 0.00 0.14 ± 0.01 0.16 ± 0.01 0.14 ± 0.01 0.17 ± 0.01 0.17 ± 0.01 0.13 ± 0.01 0.15 ± 0.00
50 0.17 ±0.01 0.16 ± 0.01 0.17 ± 0.01 0.16 ± 0.01 0.16 ± 0.01 0.16 ± 0.00 0.18 ± 0.01 0.16 ± 0.01 0.18 ± 0.01 0.18 ± 0.01 0.16 ± 0.02 0.17 ± 0.00
60 0.18 ± 0.00 0.16 ± 0.02 0.17 ± 0.01 0.17 ± 0.01 0.19 ± 0.01 0.17 ± 0.01 0.19 ± 0.01 0.16 ± 0.01 0.20 ± 0.01 0.18 ± 0.00 0.18 ± 0.00 0.18 ± 0.00
70 - 0.18 ± 0.01 - 0.18 ± 0.00 - 0.18 ± 0.01 - 0.18 ± 0.02 - 0.19 ± 0.01 - 0.19 ± 0.01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08 ± 0.01 0.05 ± 0.01 0.14 ± 0.01- 0.07 ± 0.00- 0.09 ± 0.01 0.06 ± 0.01 0.10 ± 0.01 0.06 ± 0.01 0.11 ± 0.01 0.08 ± 0.01
20 0.16 ± 0.01 0.07 ± 0.00 0.15 ± 0.01 0.08 ± 0.00 0.12 ± 0.01 0.07 ± 0.01 0.14 ± 0.01 0.06 ± 0.00 0.15 ± 0.00 0.04 ± 0.01
30 0.17 ± 0.01 0.12 ± 0.00 0.16 ± 0.01 0.09 ± 0.00 0.14 ± 0.00 0.09 ± 0.01 0.15 ± 0.01 0.09 ± 0.00 0.17 ± 0.01 0.08 ± 0.01
40 0.17 ± 0.01 0.13 ± 0.02 0.15 ± 0.01 0.10 ± 0.01 0.14 ± 0.01 0.09 ± 0.01 0.16 ± 0.01 0.11 ± 0.02 0.17 ± 0.01 0.12 ± 0.01
50 0.16 ±0.01 0.13 ± 0.01 0.16 ± 0.01 0.13 ± 0.00 0.18 ± 0.02 0.12 ± 0.01 0.19 ± 0.01 0.13 ± 0.01 0.19 ± 0.02 0.13 ± 0.01
60 0.18 ± 0.00 0.15 ± 0.02 0.17 ± 0.01 0.16 ± 0.01 0.19 ± 0.01 0.14 ± 0.01 0.19 ± 0.01 0.14 ± 0.01 0.20 ± 0.02 0.16 ± 0.01
70 - 0.17 ± 0.01 - 0.18 ± 0.01 - 0.17 ± 0.01 - 0.17 ± 0.00 - 0.18 ± 0.01
<4-10> 총 탄닌 함량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탄닌 변화는 표 19 및 표 20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탄닌변화에서 초기값은 상주둥시가 조금 높은값을 나타내었으나 최종 곶감에서는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탄닌 함량은 건조기간이 경과 할수록 함량이 축척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2 훈증(비교예)은 최종 곶감 완성 단계에서 0.62~0.77 값을 나타내었고 ClO2 훈증 구간은 0.69~0.72의 값을 나타내 두 구간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탄닌 함량은 훈증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36 ± 0.02 0.13 ± 0.03 0.29 ± 0.05 0.06 ± 0.02 0.24 ± 0.00 0.27 ± 0.03 0.24 ± 0.04 0.09 ± 0.02 0.35 ± 0.01 0.15 ± 0.02 0.31 ± 0.01 0.14 ± 0.02
20 0.41 ± 0.03 0.25 ± 0.05 0.34 ± 0.03 0.21 ± 0.03 0.38 ± 0.06 0.32 ± 0.01 0.45 ± 0.02 0.26 ± 0.01 0.42 ± 0.02 0.35 ± 0.02 0.46 ± 0.68 0.29 ± 0.03
30 0.49 ± 0.03 0.35 ± 0.04 0.55 ± 0.02 0.32 ± 0.03 0.46 ± 0.04 0.48 ± 0.02 0.55 ± 0.02 0.49 ± 0.03 0.56 ± 0.03 0.55 ± 0.02 0.51 ± 0.02 0.50 ± 0.02
40 0.55 ± 0.01 0.18 ± 0.02 0.61 ± 0.01 0.43 ± 0.12 0.52 ± 0.02 0.55 ± 0.01 0.59 ± 0.03 0.53 ± 0.04 0.56 ± 0.01 0.55 ± 0.02 0.56 ± 0.01 0.55 ± 0.01
50 0.64 ± 0.02 0.52 ± 0.04 0.67 ± 0.02 0.55 ± 0.04 0.69 ± 0.03 0.62 ± 0.00 0.66 ± 0.03 0.59 ± 0.02 0.61 ± 0.02 0.59 ± 0.05 0.62 ± 0.02 0.61 ± 0.02
60 0.68 ± 0.02 0.58 ± 0.04 0.69 ± 0.04 0.58 ± 0.02 0.71 ± 0.02 0.69 ± 0.04 0.72 ± 0.04 0.66 ± 0.04 0.72 ± 0.03 0.67 ± 0.02 0.72 ± 0.02 0.64 ± 0.02
70 - 0.65 ± 0.03 - 0.67 ± 0.01 - 0.71 ± 0.03 - 0.69 ± 0.01 - 0.70 ± 0.03 - 0.71 ± 0.01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0.16 ± 0.02 0.13 ± 0.03 0.29 ± 0.06 0.16 ± 0.03 0.25 ± 0.03 0.15 ± 0.03 0.28 ± 0.03 0.21 ± 0.03 0.19 ± 0.03 0.16 ± 0.03
20 1.17 ± 0.03 0.25 ± 0.05 0.31 ± 0.03 0.21 ± 0.04 0.36 ± 0.02 0.32 ± 0.03 0.43 ± 0.05 0.33 ± 0.02 0.38 ± 0.02 0.31 ± 0.02
30 0.19 ± 0.03 0.35 ± 0.04 0.35 ± 0.04 0.32 ± 0.04 0.47 ± 0.03 0.42 ± 0.02 0.48 ± 0.04 0.47 ± 0.04 0.49 ± 0.05 0.50 ± 0.02
40 0.25 ± 0.01 0.38 ± 0.02 0.43 ± 0.01 0.38 ± 0.01 0.52 ± 0.02 0.45 ± 0.01 0.55 ± 0.02 0.52 ± 0.02 0.58 ± 0.02 0.61 ± 0.02
50 0.34 ± 0.02 0.42 ± 0.04 0.60 ± 0.03 0.50 ± 0.04 0.65 ± 0.02 0.55 ± 0.02 0.67 ± 0.02 0.60 ± 0.03 0.68 ± 0.02 0.64 ± 0.01
60 0.68 ± 0.02 0.58 ± 0.04 0.62 ± 0.04 0.65 ± 0.02 0.72 ± 0.02 0.57 ± 0.01 0.71 ± 0.03 0.64 ± 0.03 0.72 ± 0.03 0.71 ± 0.03
70 - 0.65 ± 0.03 - 0.66 ± 0.02 - 0.68 ± 0.02 - 0.69 ± 0.02 - 0.77 ± 0.01
<4-11> DPPH 라디컬 소거 활성능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DPPH 변화는 표 21 및 표 22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페놀 변화에서 초기에는 상주둥시가 상감둥시보다 많이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종 곶감에서도 상주둥시가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SO2 훈증(비교예)에서 상주 둥시는 92.08~94.43 상감둥시는 52.99~59.89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ClO2 훈증 에서는 상주 둥시는 87.48~93.59 상감둥시는 62.86~72.35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DPPH는 훈증방법에 따른 영향보다는 생감의 품종에 따라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86.87 ± 0.84 45.92 ± 0.73 85.78 ± 0.69 45.67 ± 2.10 86.93 ± 1.37 39.14 ± 172 84.33 ± 1.06 43.74 ± 1.31 85.24 ± 1.69 43.25 ± 1.06 83.25 ± 1.06 40.28 ± 1.08
20 92.62 ±0.52 60.13 ± 2.46 93.53 ± 0.28 55.23 ± 1.54 93.89 ± 0.21 68.06 ± 1.13 91.47 ± 1.61 66.36 ± 1.41 89.35 ± 0.90 66.49 ± 1.00 94.01 ± 0.00 66.06 ± 1.61
30 90.02 ± 0.65 71.75 ± 0.10 91.53 ± 0.10 69.75 ± 1.09 87.78 ± 1.03 72.78 ± 2.36 92.01 ± 0.31 75.98 ± 0.64 91.29 ± 0.54 80.28 ± 0.69 91.23 ± 0.10 86.51 ± 1.05
40 86.81 ± 1.03 62.86 ± 0.64 89.23 ± 1.37 56.87 ±1.36 90.14 ± 0.93 65.76 ± 1.27 90.02 ± 0.65 58.14 ± 0.82 89.17 ± 1.51 60.13 ± 0.93 89.05 ± 1.72 56.26 ± 0.91
50 66.06 ± 1.49 59.35 ± 1.19 69.63 ± 1.24 51.42 ± 0.58 79.79 ± 0.86 48.46 ± 0.83 60.19 ± 0.38 56.02 ± 0.55 69.29 ± 1.69 47.13 ± 1.24 67.70 ± 1.61 49.14 ± 0.82
60 87.60 ± 1.06 66.61 ± 1.31 93.65 ± 0.48 61.65 ± 0.64 93.16 ± 0.38 65.46 ± 0.82 87.48 ± 0.96 61.65 ± 0.73 93.59 ± 0.21 59.53 ± 0.54 92.50 ± 0.91 62.13 ± 0.73
70 - 69.99 ± 0.86 - 68.54 ± 0.90 - 62.86 ± 0.69 - 72.29 ± 0.42 - 72.35 ± 0.46 - 70.05 ± 0.73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86.87 ± 0.84 45.92 ± 0.73 65.58 ± 1.51 42.47 ± 1.19 87.65 ± 0.94 43.92 ± 0.79 87.54 ± 0.82 46.93 ± 0.76 85.87 ± 0.86 46.91 ± 0.82
20 92.62 ±0.52 60.13 ± 2.46 93.95 ± 0.42 68.24 ± 0.36 93.95 ± 0.10 68.36 ± 0.82 93.83 ± 0.00 71.51 ± 1.63 93.77 ± 0.10 70.18 ± 0.64
30 90.02 ± 0.65 71.75 ± 0.10 90.87 ± 0.21 70.66 ± 2.06 91.41 ± 0.10 83.06 ± 1.29 91.83 ± 0.00 79.37 ± 1.37 90.62 ± 0.21 83.67 ± 1.45
40 86.81 ± 1.03 62.86 ± 0.64 87.78 ± 1.89 56.26 ± 1.75 90.87 ± 0.28 74.23 ± 1.44 91.41 ± 0.46 76.77 ± 1.13 91.05 ± 0.10 79.37 ± 1.41
50 66.06 ± 1.49 59.35 ± 1.19 81.31 ± 2.06 58.02 ± 1.52 86.87 ± 2.00 49.79 ± 0.64 93.28 ± 0.36 50.70 ± 1.11 93.22 ± 0.28 52.69 ± 1.39
60 87.60 ± 1.06 66.61 ± 1.31 92.08 ± 0.86 67.51 ± 0.54 93.16 ± 0.10 64.07 ± 0.73 74.07 ± 0.10 74.65 ± 0.64 94.43 ± 0.10 76.29 ± 0.82
70 - 69.99 ± 0.86 - 58.98 ± 0.73 - 52.99 ± 0.31 - 60.80 ± 0.48 - 59.89 ± 1.01
<4-12> ABTS 라디컬 소거활성능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ABTS 변화는 표 23 및 표 24에 나타내었다.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ABTS 변화에서 ABTS 값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큰변화 없이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훈증방법에 따른 ABTS 값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곶감 건조 과정 중의 ABTS 값은 건조시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99.94 ± 0.00 96.84 ± 0.10 99.94 ± 0.00 90.10 ± 0.39 99.98 ± 0.04 94.84 ± 0.10 100.00 ± 0.00 98.46 ± 0.16 99.94 ± 0.00 93.49 ± 0.10 - -
20 99.57 ± 0.04 92.98 ± 0.13 99.57 ± 0.04 92.74 ± 0.10 99.59 ± 0.04 98.16± 0.10 99.61 ± 0.11 98.38 ± 0.06 99.81 ± 0.00 93.24 ± 0.13 99.37 ± 0.04 93.45 ± 0.06
30 99.70 ± 0.07 91.27 ± 0.13 99.81 ± 0.06 96.07 ± 0.06 99.29 ± 0.13 94.08 ± 0.13 100.00 ± 0.00 92.61 ± 0.10 99.85 ± 0.04 94.61 ± 0.10 99.81 ± 0.06 91.49 ± 0.21
40 100.00 ± 0.00 96.48 ± 0.10 99.74 ± 0.06 94.52 ± 0.20 99.98 ± 0.04 93.61 ± 0.20 99.89 ± 0.04 93.80 ± 0.13 99.98 ± 0.04 92.02 ± 0.20 100.00 ± 0.00 92.15 ± 0.10
50 99.33 ± 0.10 99.94 ± 0.00 99.83 ± 0.07 89.89 ± 0.17 100.00 ± 0.00 93.06 ± 0.10 91.57 ± 0.06 92.76 ± 0.10 99.27 ± 0.10 93.26 ± 0.10 99.98 ± 0.10 94.31 ± 0.10
60 99.20 ± 0.10 94.71 ± 0.13 99.65 ± 0.10 95.57 ± 0.10 99.22 ± 0.06 95.22 ± 0.13 99.63 ± 0.07 96.02 ± 0.21 99.52 ± 0.04 94.51 ± 0.13 99.59 ± 0.04 92.44 ± 0.06
70 - 94.79 ± 0.10 - 92.65 ± 0.10 - 92.89 ± 0.22 - 96.59 ± 0.13 - 98.51 ± 0.13 - 99.07 ± 0.07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99.94 ± 0.00 76.84 ± 0.10 96.61 ± 0.21 75.01 ± 0.13 - - - - - -
20 99.57 ± 0.04 92.98 ± 0.13 99.76 ± 0.04 80.90 ± 0.10 99.74 ± 0.06 93.86 ± 0.10 99.61 ± 0.00 94.08 ± 0.10 99.55 ± 0.00 93.39 ± 0.17
30 99.70 ± 0.07 91.27 ± 0.13 99.55 ± 0.00 87.79 ± 0.10 99.68 ± 0.00 98.60 ± 0.10 99.70 ± 0.04 95.94 ± 0.13 99.55 ± 0.00 98.36 ± 0.10
40 100.00 ± 0.00 86.48 ± 0.10 99.89 ± 0.04 91.83 ± 0.10 99.83 ± 0.04 97.95 ± 0.10 99.89 ± 0.04 99.01 ± 0.10 99.68 ± 0.00 98.64 ± 0.06
50 99.33 ± 0.10 99.94 ± 0.00 99.57 ± 0.10 98.42 ± 0.10 99.37 ± 0.10 92.05 ± 0.13 99.61 ± 0.06 94.71 ± 0.06 99.05 ± 0.04 97.92 ± 0.10
60 99.20 ± 0.10 94.71 ± 0.13 99.18 ± 0.04 96.87 ± 0.10 99.57 ± 0.04 97.92 ± 0.16 98.81 ± 0.10 98.64 ± 0.17 99.33 ± 0.07 99.61 ± 0.06
70 - 94.79 ± 0.10 - 94.75 ± 0.10 - 95.41 ± 0.13 - 95.07 ± 0.10 - 92.43 ± 0.10
<4-13> 미생물 수 측정
상주둥시와 상감둥시의 곶감 제조 중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에 따른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수 측정은 표 24 내지 표 27에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에서 SO2 훈증(비교예) 대조군 구간은 초기 균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다가 40일 이후에는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SO2훈증 1구간은 10일 이후 균의 수가 조금씩 증가는 경향을 보이면서 4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에는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SO2훈증 2구간은 1구간보다는 증식 속도가 느리지만 40일 까지는 조금씩 증식을 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SO2 훈증(비교예) 3구간도 2구간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SO2 훈증(비교예) 4구간은 보다 안정적인 균수를 유지 하면서 건조가 진행 되었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훈증 control 구간은 SO2훈증 control 구간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훈증 1구간은 10일 이후 균의 수가 조금씩 증가는 경향을 보이면서 4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에는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 훈증 2구간은 20일 이후 1구간 보다는 증식 속도가 느리지만 40일까지는 조금씩 증식을 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 훈증 3구간은 30일 이후 조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40일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 훈증 4구간은 보다 안정적인 균수를 유지하면서 건조가 진행되었으며, 일반세균, 곰팡이 및 효모 균수 측정에서 ClO2 훈증 저용량 지속형구간도 ClO2 훈증 4구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SO2 훈증(비교예), ClO2 훈증은 미생물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인체에 무해한 ClO2 훈증이 SO2 훈증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 되어 활용성이 기대된다.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1.8×104 1.6×104 1.2×103 1.6×103 1.8×103 1.7×103 1.6×103 1.8×103 1.5×103 1.7×103 1.6×103 1.8×103
20 2.2×105 1.9×105 1.7×105 1.6×105 1.7×103 6.2×103 3.2×103 5.7×103 3.8×103 7.5×103 1.4×103 3.5×103
30 1.0×106 1.0×106 2.6×105 2.0×105 2.7×104 2.1×104 3.2×103 1.8×103 3.3×103 8.7×103 1.6×104 1.1×104
40 5.4×106 1.3×106 5.1×104 7.0×104 1.7×104 6.7×104 2.5×104 1.3×104 1.1×103 2.0×103 5.3×103 3.3×103
50 2.1×105 3.2×105 1.0×104 3.7×104 3.5×104 4.2×104 2.5×104 3.3×104 9.9×104 1.1×104 6.3×103 1.4×103
60 6.3×104 3.3×104 3.9×103 3.6×103 7.3×103 1.9×103 3.7×103 7.0×103 3.9×103 7.7×103 9.3×103 1.7×103
70 - 1.8×104 - 1.7×103 - 4.6×103 - 7.4×103 - 7.2×103 - 1.4×103
건조 기간 (10day) 샘플 (Cl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저용량 지속형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1.9×104 2.2×104 1.8×103 1.9×103 1.7×103 2.5×103 1.8×103 2.1×103 1.7×103 1.5×103 1.8×103 1.6×103
20 1.5×105 4.4×105 1.5×104 5.8×10⁴ 1.5×103 1.9×103 1.5×103 4.5×103 1.5×103 13.3×103 9.6×103 6.5×103
30 1.5×106 3.3×106 2.5×104 1.0×104 2.6×104 3.3×104 2.2×103 1.8×103 3.4×103 7.7×103 1.7×103 1.0×103
40 7.1×106 1.3×106 1.4×105 1.2×105 2.9×104 3.8×104 1.2×104 1.1×10⁴ 2.4×103 1.7×103 1.1×103 1.3×103
50 2.6×105 5.2×105 2.3×104 2.5×104 1.2×104 1.3×104 3.8×103 3.4×103 2.0×103 1.3×103 2.8×103 1.4×103
60 6.3×104 1.1×104 6.0×103 2.5×103 2.6×103 1.6×103 3.0×103 3.1×103 1.5×103 1.9×103 1.8×103 1.8×103
70 - 1.3×104 - 2.7×103 - 2.8×103 - 1.0×103 - 1.0×103 - 1.7×103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1.8×104 1.7×104 1.2×103 1.3×103 1.3×103 1.3×103 1.2×103 1.3×103 1.3×103 1.4×103
20 2.2×10 1.9×10 2.1×105 1.5×105 2.0×103 1.4×103 1.8×103 1.3×103 1.5×103 1.0×103
30 2.1×106 2.3×106 1.9×104 1.8×104 1.8×104 2.1×104 1.7×103 1.7×103 1.6×103 1.8×103
40 5.4×106 1.3×106 2.5×104 1.6×104 2.2×104 1.3×104 1.6×104 1.2×104 1.5×103 1.2×103
50 5.6×10 3.2×105 5.0×104 2.5×104 1.3×104 1.9×104 1.5×103 2.4×103 1.5×104 1.4×104
60 6.3×104 3.3×104 4.8×103 2.8×103 4.1×103 2.7×103 2.1×103 2.5×103 1.3×103 1.7×103
70 - 2.8×104 - 2.3×103 - 2.1×103 - 1.9×103 - 1.2×103
건조 기간 (10day) 샘플 (SO2훈증 처리횟수)
대조구 1 2 3 4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상주
둥시
상감
둥시
10 2.4×10⁴ 3.1×104 1.7×103 1.6×103 1.4×103 2.1×103 1.9×103 1.6×103 1.8×103 1.6×103
20 4.1×105 3.4×105 2.0×104 3.6×104 8.8×103 1.4×103 1.6×103 2.1×103 3.2×103 1.6×103
30 1.5×106 3.3×106 2.4×105 2.1×105 5.2×104 4.3×104 1.5×103 1.0×103 2.8×103 2.0×103
40 7.1×106 1.3×106 3.1×105 2.6×105 5.6×104 7.7×104 1.2×104 1.3×104 1.9×103 3.2×103
50 2.6×105 5.2×105 3.8×10⁴ 1.4×104 1.6×104 2.1×104 2.0×103 3.1×103 1.6×103 1.6×103
60 6.3×104 1.1×104 3.9×103 2.0×103 8.4×103 3.2×103 1.2×103 2.7×103 1.4×103 1.4×103
70 - 1.3×104 - 1.4×103 - 1.2×103 - 1.9×103 - 1.1×103

Claims (5)

  1. 감을 박피한 후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를 40 ppm으로 30분 동안 1회 내지 5회 처리하는 것이며, 상기 이산화염소 처리는 10일 간격으로 시행하는 것인 훈증하는 단계; 및
    상기 훈증된 감을 40일 내지 70일 동안 건조하여 -20℃ 내지 -50℃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훈증된 감을 건조 시, 곶감을 반건시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40일 내지 50일 동안 건조하고, 건시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60일 내지 70일 동안 건조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KR1020170156171A 2017-11-22 2017-11-22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KR10256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71A KR102569537B1 (ko) 2017-11-22 2017-11-22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71A KR102569537B1 (ko) 2017-11-22 2017-11-22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46A KR20190058846A (ko) 2019-05-30
KR102569537B1 true KR102569537B1 (ko) 2023-08-24

Family

ID=6667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71A KR102569537B1 (ko) 2017-11-22 2017-11-22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09B1 (ko) * 2021-11-29 2022-11-25 최안나 친환경 곶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10B1 (ko) 2013-06-10 2014-07-1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장치 및 훈증방법
KR101455719B1 (ko) 2013-05-23 2014-11-04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559B1 (ko) * 1995-10-17 1999-02-01 김강권 떫은 감을 이용한 반건시의 제조방법
KR20100051992A (ko) 2008-11-10 2010-05-19 오소서 참솔곶감의 제조방법
KR101029007B1 (ko) 2010-05-11 2011-04-14 전종일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69943B1 (ko) * 2013-03-25 2014-12-09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훈증장치, 및 이에 의한 훈증방법
KR101658484B1 (ko) * 2014-12-08 2016-09-21 김경남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KR20160108743A (ko) * 2015-03-06 2016-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 병합 살균 처리를 이용한 채소 및 과일의 미생물 제어 기술
KR101622517B1 (ko) 2015-06-26 2016-05-18 이태호 곶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곶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19B1 (ko) 2013-05-23 2014-11-04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장치
KR101417910B1 (ko) 2013-06-10 2014-07-11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가스 훈증장치 및 훈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46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ven et al. Prolonging the shelf life of Papaya (Carica papaya L.) using Aloe vera gel at ambient temperature
Xiao et al. Combined effects of sodium chlorite dip treatment and chitosan coatings on the quality of fresh-cut d’Anjou pears
Marpudi et al. Enhancement of storage life and quality maintenance of papaya fruits using Aloe vera based antimicrobial coating
Naeeji et al.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physico‐mechan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basil seed mucilage‐chitosan films containing Ziziphora clinopodioides essential oil and MgO nanoparticles for rainbow trout packaging
CN101176481B (zh) 樱桃生物抗菌保鲜剂及其保鲜方法
KR102569537B1 (ko) 이산화염소 훈증 곶감 제조방법
KR101312936B1 (ko)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곶감
Oluwaseun et al. Effects of Opuntia cactus mucilage extract and storage under evaporative coolant system on the shelf life of Carica papaya fruits
KR101065494B1 (ko) 동결건조를 이용한 고추장 굴비 제조방법
KR101622517B1 (ko) 곶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곶감
CN107889884A (zh) 一种鲜莲子酸败胀袋的控制方法
KR101188798B1 (ko) 저장성이 우수한 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면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umar Postharvest application of moringa gum and cinnamon essential oil as edible herbal coating for extending shelf life and quality of guava (Psidium Guajava)
KR101289730B1 (ko) 유용성 미생물로 발효된 쌀뜨물발효액을 이용한 곶감과 그 제조방법
KR100963072B1 (ko) 저온 건조를 이용한 친환경 반건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반건시
KR101499908B1 (ko) 생약제 추출물 함유 연육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4752A (ko) 천연 보존제 및 선도 유지제 기능을 가지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 그에 의한 동충하초 추출물 및 그에 의한 천연복합물
KR101292246B1 (ko) 저염 단감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0436997B1 (ko) 송이버섯 함유 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3779B1 (ko) 홍삼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곶감제조방법
Jahanbin et al. Quality improvement and post-harvest decay reduction of tomato fruits by application of Aloe vera gel and hot water treatment.
KR101269545B1 (ko) 감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곶감 제조 방법
KR20110065238A (ko)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KR102513550B1 (ko)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