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238A -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238A
KR20110065238A KR1020090122139A KR20090122139A KR20110065238A KR 20110065238 A KR20110065238 A KR 20110065238A KR 1020090122139 A KR1020090122139 A KR 1020090122139A KR 20090122139 A KR20090122139 A KR 20090122139A KR 20110065238 A KR20110065238 A KR 2011006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methanol extract
vegetables
extract
lett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종방
천선화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 성 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 성 군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238A/ko
Publication of KR2011006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녹차를 이용하여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고추와 상추에 처리함으로써, 성장 중인 채소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수확 후 채소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작물보호제 및 저장연장제의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제품화하여 기존의 화학유제들이 가지는 환경파괴 및 잔류성에 대한 위험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소류에 500∼2000 ppm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분무처리하여 재배하는 경우 경도와 비타민 C, Capsaicinoids 함량, 클로로필 함량 등이 증가하고 관능적으로 우수하며 수확한 채소류에 2500∼10000 ppm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경우 신선도와 경도, 색도, 비타민 C, 클로로필 함량, 미생물 수의 변화가 적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녹차, 메탄올, 녹차 추출물, 녹차 메탄올 추출물, 고추, 상추, 생장, 성장, 저장, 작물보호제, 저장연장제

Description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reen tea methanol extract for improving quality and shelf-life of vegetables}
채소류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CA (controlled atomosphere)저장, MA(modified atmosphere)저장, 천연 항균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산지 농가에서 저온 창고와 같은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의 경비를 들이지 않고도 비교적 손쉽게 채소류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천연 항균 물질을 직접 처리하는 것이다. 천연 항균제는 합성보존료에 비하여 소비자들이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채소류에 처리하는 것도 비교적 간단하여 사용에 큰 어려움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성지역의 특산물이면서 항균 또는 항미생물 기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녹차를 이용하여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채소류에 살포함으로써 기존의 화학유제들이 가지는 환경 파괴 및 잔류 농약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녹차 추출물을 채소류에 처리한 뒤 포장하여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고 채소류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 편의식품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축시키고자 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민 생활수준의 급격한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고품질의 신선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채소류의 경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즐겨먹는 식품으로 대부분 생채 형태로 소비되기 때문에 선도가 소비자의 구매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채소류는 수확 후 저장이나 유통하는 동안 호흡작용, 증산작용 등의 생리작용이 활발해지고 곰팡이를 비롯한 미생물의 오염 및 성장 때문에 부패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패가 진행되는 동안 채소류 자체의 경도가 저하되는 물리적인 변화 뿐만 아니라 비타민, 유기산, 당분 등이 감소하는 영양적인 변화도 동반된다. 뿐만 아니라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수분, 색소함량 등도 감소함으로써 외관, 맛, 신선도 등이 낮아져서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채소류의 품질과 선도에는 품종, 재배 및 수확조건, 수확 후 처리, 저장 유통의 조건 등이 밀접하게 관련되나 적정 포장의 사용에 의하여 유통기간 중의 선도를 향상시키고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MAP포장, CA (controlled atomosphere)저장, MA(modified atmosphere)저장, CO2 처리, 천연 항균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지만 그 중에서 저온 창고와 같은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의 경비를 들이지 않고도 비교적 손쉽게 채소류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녹차와 같은 천연 항균 물질을 직접 채소류에 처리하는 것이다. 천연 항균제는 화학유기인제나 합성 보존료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며 비교적 안정하여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법도 매우 간단하다. 그러나 천연 항균제에 대한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어서 무농약 및 유기농으로 재배한 식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유기농의 경우 세정단계를 충분히 거치지 않았을 경우 분변에 의한 미생물 오염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선채소에는 대략 104∼106 CFU/g의 총균수, 103 CFU/g 의 품질 열화와 관계하는 미생물 및 101∼103 CFU/g 의 부패균 fluorescent pseudomonas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여러 채소류는 저온성 세균 및 중온성 총 세균수가 108 CFU/g을 넘어 오염도가 심하였으며 혼합샐러드의 경우 오염도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여성의 사회 진출로 인한 맞벌이 부부의 증가, 독신자의 증가에 따라 박피, 절단, 세척 등의 최소가공 공정을 거친 신전절단 채소나 과일의 간편성과 합리성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또한 최근, 채소류의 소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시설원예의 발달로 생산량이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저온저장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농촌실정 때문에 매년 수확기에 일시적으로 홍수 출하하는 많은 양의 채소류를 병충해로 폐기처분하게 되고 변패되기 전에 낮은 가격으로나마 수확 즉시 신속하게 판매 처리해야 할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 화학 유기인제들의 사용으로 야기되는 근본적인 환경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녹차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로 제조하고 성장 중인 채소류에 처리함으로써 채소류의 경도 및 신선도, 비타민 C 등의 물리, 화학적인 품질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화학 농약 등의 사용을 감소시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소류의 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이용하여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항균제를 개발함으로써 채소류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 소비자들에게 더욱 오랫동안 우수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은 건조된 녹차잎의 가지를 제거한 뒤 분쇄기에 넣고 미세하게 분말화함으로써 메탄올로부터 녹차 성분의 추출수율을 향상시키는 공정과 여과, 농축, 건조, 분쇄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녹차 메탄올 추출물에 유해하지 않은 용매인 에탄올에 용해시켜 증류수로 희석시키기 때문에 오로지 녹차 고유의 성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은 생장 중인 채소류에 적용 시 색도, 경도 및 비타민 C함량, 클로로필 함량,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화학 유기인제 농약 및 살균제의 사용을 감소시켜 나아가 환경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등품의 녹차를 이용하여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녹차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저장 중 채소류의 품질 저하 및 선도 유지와 함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저장연장제로써 큰 영향을 미쳐 앞으로 채소류의 신선편의식품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 녹차 메탄올 추출 분말의 제조
가지를 제거한 건 녹차잎을 분쇄한 뒤 40 mesh로 다시 분쇄하여 녹차 가루 100 g의 10배에 해당하는 용매(Methanol) 1L로 실온에서 12시간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감압여과한 뒤 다시 농축한 다음 50℃ 오븐에서 15시간 정도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였다.
생장 중인 채소류에 처리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는 500∼2000 ppm으로 하여 이에 해당하는 녹차 메탄올 추출 분말의 양을 100ml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1L의 증류수로 희석시켜 사용하였다. 채소류 중 고추는 1주일 간격으로 처리하였고, 상추는 3일 간격으로 각각 5회에 걸쳐 전면 분무 처리하였다.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로 인해 품질향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경도, 비타민 C 함량, capsaicinoids, 클로로필, 관능검사(외관, 색, 향,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을 측정하였다. 수확 한 채소류에 처리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는 2500∼10000 ppm으로 이에 해당하는 녹차 메탄올 추출 분말의 양을 100ml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1L의 증류수로 희석시켜 사용하였다. 채소류 중 상추의 경우 각각의 농도를 분무기(MAROLEX, PM1500P, EU)를 이용하여 분무 처리(약 7 mL/ 횟수)한 다음 5분간 자연건조 시켜 발포 폴리스틸렌 tray에 놓고 PVC랩(Polyvinyl chloride, Lucky Co., Korea)으로 stretch wrapping하여 5±1℃에서 7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고, 고추는 각각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 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다음 5분간 자연 건조시켜 물기를 제거한 뒤 발포 폴리스틸렌 tray에 PVC wrap을 이용하여 포장하여 7±1℃에서 14일 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품질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경도, 당도, 비타민 C함량, 클로로필 함량, 미생물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성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경도의 변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고추 열매의 경도 변화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GT 2500 ppm의 처리구가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하면 L*값과 b*값이 감소하고, a*값이 증가하여 고추의 품질 척도인 녹색도가 뚜렷해지고 경도가 증가함으로써 고추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1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1
실험예 2: 성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비타민 C 함량의 변화 (mg/100g)
표 2는 생장 중인 고추에 농도를 달리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 시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Vitamin C 함량은 처리구와 비처리구가 초기 45.2±2.45∼61.10±4.81 mg% 범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52.86±1.76∼92.47±9.93 mg% 범위에 이르렀다. 즉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비처리구보다 Vitamin C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횟수에 의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처리구와 GT 2000 ppm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C는 엽록체에 존재하는 잘 알려진 항산화 물질이다. 유리산소에 의해 손상된 식물세포를 보호해주는 비타민 C는 식물이 환경 스트레스에 인하여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저항할 때 직접적으로 유리산소를 없애고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따라서 식물이 환경스트레스로 인하여 손상될 때 총 비타민 C는 항상 반발적인 형태로 증가를 한다.
표 2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2
실험예 3: 성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Capsaicinoids 함량의 변화
녹차메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풋고추의 매운맛 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capsaicinoids 함량은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 녹차 메탄올 추출물 2000 ppm을 5회 처리한 시험구에서 10.0±0.3 mg/100g의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고추 과실의 과폭과 경도가 두꺼워졌는 데 고추과 식물의 경우 씨를 내포하고 있어 외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표피조직이 두꺼워지는 특성으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과피가 두꺼워져 capsaicinoids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태좌도 커졌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고 생각된다.
표 3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3
실험예 4: 성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엽면 시비하여 재배한 상추의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또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 높은 값을 보였다. 생장 초기에 비처리구와 처리구의 총 클로로필 함량이 12.46∼23.94 ㎍/g의 범위였으나 녹차 메 탄올 추출물을 총 5회에 걸쳐 처리 한 뒤 총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는 32.40∼40.10 ㎍/g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즉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5회 처리한 시험구 중 GT 2000 ppm의 처리구가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총 클로로필 함량이 각각 26.52±0.05 ㎍/g, 13.58±0.06 ㎍/g, 40.10±0.11 ㎍/g 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GT 1000 ppm 처리구, GT 500 ppm 처리구 순으로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식물 체내의 수분 함량에 의한 팽압과 경도와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데, 상추에서도 재배 방식에 따라 삼투압 등의 변화로 세포 내 수분 함량에 다소 차이가 생겼으며 세포 조직에도 영향을 미쳐 클로로필 함량 등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표 4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4
실험예 5: 성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관능검사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상추의 관능적인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았다. 외관적 품질은 전반적으로 처리구 및 처리횟수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2회 처리구에서 GT 1000 ppm 처리구와 2000 ppm 처리구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고, 상추의 색택은 4회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즉 비처리구 보다 처리구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처리구 중에서도 농도가 높을수록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GT 2000 ppm 처리구에서는 가장 좋은 값을 보여주었다. 상추의 향은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 5회 처리구에서 GT 1000 ppm과 2000 ppm의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직감은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회 처리구에서만 GT 500 ppm 처리구가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맛에 의한 품질 평가에서는 2회 처리구와 4회 처리구에서 GT 500 ppm과 1000 ppm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처리구와 비처리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2회 처리구에서만 GT 1000 ppm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추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1000 ppm을 처리 시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색택과 외관적 품질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
표 5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5
실험예 6: 저장 중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색도의 변화
상추의 외부 색은 외관상 품질을 판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상추의 5℃에 저장 중 변화한 색상차이를 표 6, 7, 8에 나타내었다. 백색도(L*값)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전체적으로 L*값이 감소하여 유의적으로 어두운 색으로 변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 7일째에 가장 변화가 적었던 GT 10000 ppm 처리구가 가장 밝은 색을 띄었고 그 다음으로 GT 5000 ppm, GT 2500 ppm, 대조구, 비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저장 초기에 비처리구 및 대조구, 처리구가 -9.77∼-11.08 범위였으나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9.37∼9.72의 범위로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b*값)의 경우에는 저장 초기에 비처리구와 대조구가 각각 22.43, 23.12로 처리구에 비해 황색빛이 더 감돌았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처리구와 대조구 및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1000 ppm의 녹차메탄올 추출물의 처리가 저장 중의 색상 변화와 이에 따른 상품성 저하 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6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6
표 7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7
표 8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8
실험예 7: 저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비타민 C 함량의 변화
7℃에서 풋고추의 저장 중 비타민 C(Ascorbic acid) 함량의 변화는 표 9와 같았다. 저장 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대조구에 비해서 처리구 모두에서 ascorbic aicd의 파괴가 지연되는 것으로 보여지고 비타민 C 보존성이 높게 나타났다. 즉. 대조구에 비해서 5000 ppm 녹차메탄올 추출물 용액에 침지한 뒤 포장한 시험구가 ascorbic acid의 보존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다음이 10000 ppm 녹차 메탄올 추출물 용액에 침지한 시험구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녹차메탄올 추출물에 고추를 침지처리한 후 포장시키는 것이 ascorbic acid 함량을 유지시켜준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9
Figure 112009504686248-PAT00009
실험예 8: 저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상추의 저장 기간에 따른 클로로필 함량은 표 10과 같았다. 짙은 녹색 및 청록색을 나타내는 상추의 클로로필 a 함량은 초기에 27.37∼ 28.13 mg/100 g의 범위였으나 저장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어 저장 7일에 21.64∼ 25.60 mg/100 g의 범위에 있었다. 그러나 녹차 메탄올 추출물 2500 ppm 용액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초기 27.37 mg/100 g에서 저장 7일 후에도 25.6 mg/100g 으로 가장 변화가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녹황색 및 연두색을 나타내는 상추의 클로로필 b 함량은 초기 15.15∼21.83mg/100 g의 범위였으나 클로로필 b 또한 클로로필 a처럼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클로로필 b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2500 ppm과 5000 ppm 용액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가장 변화가 적었다.
일반적으로 클로로필 함량이 70% 정도가 소실되면 저장 한계점으로 보는데 본 연구에서는 저장기간 중 클로로필 함량 변화의 한계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저장 중 상추의 색상변화와 색상변화에 따른 상품성 저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0
Figure 112009504686248-PAT00010
실험예 9: 저장 중인 채소류에 녹차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미생물 수의 변화
녹차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구와 비처리구의 총균수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1과 같았다.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시험구에서의 오염수준은 5. 0 log10CFU/g 이상의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오염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구는 GT 25000 ppm에서 가장 높은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 5000, 10000 ppm 순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적인 기준에서 신선 채소의 유통기한은 총균수 107∼108/g 의 수준에서 끝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 사용된 녹차메탄올 추출물은 미생물 증식이 낮은 저장 초기에 상추에서 미생물 증식을 제한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상추의 냉장 저장 중 효모 및 곰팡이 수는 GT 10000 ppm에서 가장 뛰어난 생육 억제 효과를 보여 살균제인 차아염소산 나트륨 100 ppm을 처리한 대조구와 거의 비슷한 억제 수준에 이르렀으나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항균성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미생물이 번식한 것이라고 생각된다(도 2).
풋고추의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었다(도 3). 녹차 메탄올 추출물 용액에 침지한 시험구와 대조구 및 비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저장 5일까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장 7일 이후부터는 대조구에 비해서 처리구가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포장 내부의 풋고추가 가지고 있는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용이한 조건이 되어 거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고추의 냉장저장(7℃) 중 효모 및 곰팡이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는 도 4와 같다. 이 실험결과도 총균수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저장 5일까지는 살균제인 대조구와 GT 10000ppm의 처리구가 거의 비슷한 미생물 억제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7일 이후부터는 대조구에 반해서 GT 10000 ppm의 처리구가 낮은 값을 보였다.
도 1은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분무처리한 상추의 냉장 저장(5℃) 중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분무처리한 상추의 냉장 저장(5℃) 중 효모 및 곰팡이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고추의 냉장저장(7℃) 중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다른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고추의 냉장저장(7℃) 중 효모 및 곰팡이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가지를 제거한 건 녹차잎을 40mesh로 분말화 하는 단계;
    상기의 시료와 메탄올을 10:90(w/w)으로 혼합한 뒤 상온에서 12시간씩, 3회 반복 교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감압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농축액을 50℃ 오븐에서 15시간 건조한 뒤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각 농도에 맞는 녹차 메탄올 추출 분말을 100 ml 에탄올에 녹인 후 증류수로 정용하여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 중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500∼2500 ppm의 농도로 희석하여 채소류(고추, 상추)에 분무 처리하여 재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채소류 중 고추와 상추는 전면적으로 분무처리하는 방법;
    고추는 1주일 주기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
    상추는 3∼4일 주기로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
  3. 수확한 채소류(고추, 상추)에 2500∼ 10000 ppm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방법;
    고추의 경우 각각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 용액에 1분간 침지 한 뒤 5분 간 자연건조 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추의 경우 각각 농도의 녹차 메탄올 추출물 용액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분무한 뒤 5분간 자연건조 하여 포장하는 단계.
KR1020090122139A 2009-12-08 2009-12-08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KR20110065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39A KR20110065238A (ko) 2009-12-08 2009-12-08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39A KR20110065238A (ko) 2009-12-08 2009-12-08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238A true KR20110065238A (ko) 2011-06-15

Family

ID=4439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39A KR20110065238A (ko) 2009-12-08 2009-12-08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2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367A (ko) * 2014-02-25 2015-09-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 가공 처리시 녹색야채에 포함된 클로로필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KR20170088660A (ko) * 2016-01-25 2017-08-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마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선편이 채소 세척용 세척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채소의 미생물 저감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367A (ko) * 2014-02-25 2015-09-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 가공 처리시 녹색야채에 포함된 클로로필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KR20170088660A (ko) * 2016-01-25 2017-08-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마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선편이 채소 세척용 세척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채소의 미생물 저감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ven et al. Prolonging the shelf life of Papaya (Carica papaya L.) using Aloe vera gel at ambient temperature
CN101194646B (zh) 一种鲜切蔬菜专用的天然防腐保鲜剂
CN101326929B (zh) 草莓复合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20100133575A (ko) 식물발효추출액 제조방법
Habeeb Rahman Quality aspects of cauliflower during storage
Garuba et al. Shelf life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fruits as influenced by storage methods
CN110934183A (zh) 一种鲜切果蔬保鲜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Zhang et al. High-voltage electrostatic field-assiste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long-term storage of pakchoi and avoidance of off-flavors
CN103478239B (zh) 一种草莓的保鲜方法
Ergun et al. Maintaining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pomegranate arils by honey treatments
CN104012647B (zh) 一种枇杷果实纳米包装复合植物精油处理保鲜方法
CN103704332A (zh) 新鲜果实的保鲜方法
Rudra et al. Natural additives with antimicrobial and flavoring potential for fresh-cut produce
Ertan et al. Effects of different postharvest storage methods on the quality parameters of chestnuts (Castanea sativa Mill.)
CN113729075A (zh) 一种卡利比克毕赤酵母用于樱桃番茄采后病害控制及贮藏保鲜的方法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KR20110065238A (ko) 채소류의 품질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녹차 메탄올 추출물 제조 및 처리방법
Vyas et al. Chemical elicitors improve the shelf life of phalsa (Grewia asiatica L.) by inducing antioxidants and controlling microbes
CN114468036B (zh) 一种秋葵的保鲜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Phanumong et al. Quality and shelf-life of minimally-processed litchi fruit
CN108739992B (zh) 一种番木瓜保鲜剂和番木瓜贮藏保鲜方法
Sivakumar et al.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CN104782750A (zh) 一种芒果果实的天然防腐保鲜方法及其保鲜剂
Junping et al. Biocontrol of pear postharvest decay by Kombucha
KR102656722B1 (ko) 마이크로플라즈마 활성종을 이용한 신선편이 새싹채소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