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903B1 - 판재 절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판재 절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903B1
KR102568903B1 KR1020200153609A KR20200153609A KR102568903B1 KR 102568903 B1 KR102568903 B1 KR 102568903B1 KR 1020200153609 A KR1020200153609 A KR 1020200153609A KR 20200153609 A KR20200153609 A KR 20200153609A KR 102568903 B1 KR102568903 B1 KR 10256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plate
cut
support
cut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185A (ko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영진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65H2404/1521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와, 상기 레벨러 및 상기 시어 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함으로써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포함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 절단 시스템 {Plate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판재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와, 상기 레벨러 및 상기 시어 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함으로써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포함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강판이나 알루미늄 판재와 같은 금속 판재는 압연에 의해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고 길이가 긴 상태로 제조되며, 운송을 위하여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수요처에 공급된다.
이러한 코일 형태의 금속 압연재는 그 수요에 맞추어 권취 상태로부터 풀려다시 편평하게 가공되고, 필요로 하는 치수에 맞추어 그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는데, 이를 과정에서 사용되는 설비가 판재 절단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판재 절단 시스템(9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판재 절단 시스템(90)은 언코일러(Uncoiler,91)와, 레벨러(Leveller,93)와, 시어(Shear,95))를 포함한다.
상기 언코일러(91)는, 판재가 롤 형태로 감긴 코일을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레벨러(93)는, 상기 언코일러(91)의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언코일러(91)로부터 풀린 판재를 전달받아 수평하게 펼쳐주는 구성으로,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 사이로 교정할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롤러들이 판재에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판재의 진행방향 휨이나 변형을 교정하게 된다.
상기 시어(95)는, 상기 레벨러(93)의 후측에 위치하여 사전에 계획된 크기에 따라 판재를 절단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2는 종래의 판재 절단 시스템(90)에 의해 잘린 판재(P)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판재 절단 시스템(90)에 의해 잘린 판재(P)의 대각 길이(a,b)는 동일해야 함(a=b)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와 워크 사이드(Work Side)의 직진도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대각 길이가 동일하지 않게 되는(a≠b)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러(93)와 시어(95) 사이에 루프(Loop,97)를 추가로 포함하여, 대각 불량을 교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루프(97)를 사용하는 경우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와, 작업 절차가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판재 절단 시스템 내에서 절단되는 판재의 대각 길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0366호(2017.1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 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함으로써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될 판재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 앞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판재의 대각 길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 후측에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기 위한 루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 라인의 길이를 절반 이상으로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프 없이도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수 있어 작업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설치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은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제공하여 장비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재 안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를 구성해, 절단될 판재가 상기 베이스부 위를 이동해 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판재의 직진도를 보상해야 할 경우, 상기 판재 안치면의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하측에 서포트부를 구성하고,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베이스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어느 일측의 직진도가 부족해 절단된 판재의 일측 대각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판재 안치면 중 해당 일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판재 안치면을 기울여 절단될 판재를 당김으로써 직진도를 보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이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어느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하여, 상기 승하강부의 승하강 정도에 따라, 판재 안치면과, 베이스부가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 사이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직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해 판재 안치면의 경사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하강부를 서포트부로부터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일측으로 오프셋된 곳에 위치시켜, 회전 중심이 되는 서포트부로부터 승하강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이격된 거리에 비례하는 토크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베이스부를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과 같은 측에 승하강부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승하강부를 상승시키고,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의 반대 측에 승하강부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승하강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앞으로 당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의 드라이브 사이드 및 워크 사이드 측이 양단을 자유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가 승하강부에 의해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구성하여, 레벨러로부터 전달되는 판재가 시어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힌지부를 구성하여, 베이스부가 서포트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서포트부를 구성하여, 서포트부에 연결되어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부의 회전 가능 범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재 대각 보정장치는,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판재 대각 보정장치는, 판재 안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재 안치면이,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과 직각을 이루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직축과 직각을 이루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재 안치면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연직축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는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재 대각 보정장치는, 상기 판재 안치면과,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하강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직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하강부는, 상기 서포트부로부터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일측으로 오프셋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하강부는, 상기 판재 안치면이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판재 안치면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하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는 드라이브 사이드 및 워크 사이드 측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 안치면을 형성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벨러로부터 전달되는 판재를 상기 시어를 향해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서포트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 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함으로써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절단될 판재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 앞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판재의 대각 길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 후측에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기 위한 루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 라인의 길이를 절반 이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루프 없이도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수 있어 작업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설치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은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제공하여 장비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판재 안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를 구성해, 절단될 판재가 상기 베이스부 위를 이동해 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판재의 직진도를 보상해야 할 경우, 상기 판재 안치면의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하측에 서포트부를 구성하고,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베이스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의 판재 안치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어느 일측의 직진도가 부족해 절단된 판재의 일측 대각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판재 안치면 중 해당 일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판재 안치면을 기울여 절단될 판재를 당김으로써 직진도를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이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어느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하여, 상기 승하강부의 승하강 정도에 따라, 판재 안치면과, 베이스부가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 사이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연직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해 판재 안치면의 경사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하강부를 서포트부로부터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일측으로 오프셋된 곳에 위치시켜, 회전 중심이 되는 서포트부로부터 승하강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이격된 거리에 비례하는 토크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베이스부를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과 같은 측에 승하강부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승하강부를 상승시키고,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의 반대 측에 승하강부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승하강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앞으로 당기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승하강부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드라이브 사이드 및 워크 사이드 측이 양단을 자유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가 승하강부에 의해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구성하여, 레벨러로부터 전달되는 판재가 시어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힌지부를 구성하여, 베이스부가 서포트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서포트부를 구성하여, 서포트부에 연결되어 서포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부의 회전 가능 범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판재 절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판재 절단 시스템에 의해 잘린 판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루프가 추가된 종래의 판재 절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워크 사이드가 올라가도록 경사진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드라이브 사이드가 올라가도록 경사진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절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U)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L)와, 상기 레벨러(L)의 후측에 위치하여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절단될 판재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 앞으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판재의 대각 길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판재를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L) 후측에 절단된 판재(P)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기 위한 루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바, 작업 라인의 길이를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루프 없이도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수 있어 작업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게 되고, 별도의 설치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아 장비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베이스부(10), 서포트부(30), 승하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판재 안치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절단될 판재가 상기 베이스부(10) 위를 이동해 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판재의 직진도를 보상해야 할 경우, 상기 판재 안치면의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판재 안치면은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부(10)가 후술할 서포트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O)에 수직한 연직축(X)과 직각을 이루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직축(X)과 직각을 이루지 않는다.
즉,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판재 안치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어느 일측의 직진도가 부족해 절단된 판재의 일측 대각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판재 안치면 중 해당 일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판재 안치면을 기울여 절단될 판재를 당김으로써 직진도를 보상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재 안치면은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상기 연직축(X)에 대해 기울어 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이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어느 일측이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및 워크 사이드(Work Side) 측이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주변과 간섭되는 것 없이, 상기 베이스부(10)가 후술할 승하강부(50)에 의해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10)는, 바디부(11), 롤러부(13), 받침부(15), 힌지부(17)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는, 상기 베이스부(10) 중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바디부(11)의 상측에는 후술할 롤러부(13)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11)의 하측에는 후술할 받침부(15)가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절단될 판재가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될 판재의 폭과 대략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3)는, 상기 바디부(11) 상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 안치면을 형성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벨러(L)로부터 전달되는 판재를 상기 시어(S)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롤러부(13)는 복수 개의 유닛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5)는, 상기 바디부(1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그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의 중심부를 떠받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5)는 후술할 힌지부(17)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5)의 중심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서포트부(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힌지부(17)와 서포트부(3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힌지부(17)에 결합된 상기 받침부(15)는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기 받침부(15)의 상측에 결합된 상기 바디부(11)가 상기 받침부(15)의 움직임에 동기화되어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부(30)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의 판재 안치면이 수평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회전시 서포트부(30)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포트부(30)에 연결되어 서포트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부(10)의 회전 가능 범위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50)는, 상기 판재 안치면과, 상기 베이스부(10)가 상기 서포트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O)에 수직한 연직축(X)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베이스부(10)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상기 승하강부(50)를 구성하여, 상기 승하강부(50)의 승하강 정도에 따라, 판재 안치면과, 상기 베이스부(10)가 상기 서포트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O)에 수직한 연직축(X) 사이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부(5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직축(X)에 나란한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작업자는 판재 안치면의 경사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부(50)는 상기 서포트부(30)로부터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일측으로 오프셋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서포트부(30)로부터 상기 승하강부(5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이격된 거리에 비례하는 토크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상기 베이스부(10)를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부(50)는 상기 판재 안치면이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판재 안치면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과 같은 측에 승하강부(50)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승하강부(50)를 상승시키고,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또는 워크 사이드(Work Side)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의 반대 측에 상기 승하강부(50)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승하강부(50)를 하강시킴으로써,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앞으로 당기게 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승하강부(50)는, 연결부(51), 샤프트부(53), 동력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샤프트부(53)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51)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워크 사이드가 올라가도록 경사진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드라이브 사이드가 올라가도록 경사진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51)는 후술할 샤프트부(5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도 5의 연직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샤프트부(53)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51)가 샤프트부(53)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바디부(11)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부(53)는, 일측은 상기 연결부(51)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할 동력부(55)에 연결되어, 후술할 동력부(55)에 의해 도 5의 연직축(X)에 나란한 방향으로 수직 승하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샤프트부(53)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부(53)와 후술할 동력부(55)는 스크류 모터로 볼 수 있다.
상기 동력부(55)는, 상기 샤프트부(53)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53)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모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판재 대각 보정장치(1)는 절단된 판재의 대각선의 길이가 상이할 때 베이스부(10)를 어느 정도 기울이면 상이한 대각선 길이를 보상할 수 있는지를 데이터로 기록해 저장할 수 있는바,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경사 정도를 수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상기 동력부(55)를 제어해 상기 승하강부(50)의 상승 또는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판재 대각 보정장치
10: 베이스부
11: 바디부
13: 롤러부
15: 받침부
17: 힌지부
30: 서포트부
50: 승하강부
51: 연결부
53: 샤프트부
55: 동력부
U: 언코일러
L: 레벨러
S: 시어
P: 판재
O: 지지점
X: 연직축

Claims (16)

  1. 권취된 상태의 판재를 풀어 절단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에 있어서,
    판재가 롤 형태로 감긴 코일을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권취된 판재를 풀어주는 언코일러의 후측에 위치해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풀린 판재를 전달받아 수평하게 펼쳐주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의 후측에 위치하여 사전에 계획된 크기에 따라 판재를 절단하는 시어와,
    상기 레벨러와 상기 시어 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판재 대각 보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 대각 보정장치는, 판재 안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부와, 상기 판재 안치면과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재 안치면은,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서포트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에 수직한 연직축과 직각을 이루고,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리되 그 반대편 타측을 내리는 방향으로 상기 연직축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려 직진도를 보상해 절단된 판재의 대각 길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절단될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직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서포트부로부터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일측으로 오프셋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판재 안치면이 절단될 판재의 드라이브 사이드 또는 워크 사이드 중 직진도가 부족한 판재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판재 안치면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샤프트부가 승하강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드라이브 사이드 및 워크 사이드 측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판재 안치면을 형성하되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벨러로부터 전달되는 판재를 상기 시어를 향해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심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시 서포트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절단 시스템.
KR1020200153609A 2020-11-17 2020-11-17 판재 절단 시스템 KR10256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609A KR102568903B1 (ko) 2020-11-17 2020-11-17 판재 절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609A KR102568903B1 (ko) 2020-11-17 2020-11-17 판재 절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85A KR20220067185A (ko) 2022-05-24
KR102568903B1 true KR102568903B1 (ko) 2023-08-22

Family

ID=8180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609A KR102568903B1 (ko) 2020-11-17 2020-11-17 판재 절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58Y1 (ko) 1995-08-02 1999-12-15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자동 교정장치
KR101810366B1 (ko) 2017-05-16 2017-12-18 박대병 강판코일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13U (ko) * 1988-06-27 1990-01-18
KR20120045885A (ko) * 2010-11-01 2012-05-09 주식회사 케이씨텍 대면적 기판의 반송장치 및 방법
KR20150107044A (ko) * 2014-03-13 2015-09-23 김용훈 경사조절가능한 볼어레이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58Y1 (ko) 1995-08-02 1999-12-15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자동 교정장치
KR101810366B1 (ko) 2017-05-16 2017-12-18 박대병 강판코일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85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KR102568903B1 (ko) 판재 절단 시스템
JP2002137895A (ja) 精密制御用フリーリンク装置
JP3164285B2 (ja) 電極板搬送装置の吊垂装置
JP6272532B1 (ja) 柱状材支持装置
JP4315564B2 (ja) 物体昇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セグメント供給装置
AU2020381749B2 (en) Mounting frame for displacing and fixing in a shaft
JPH09142614A (ja) 保管移送装置
JP2021045767A (ja) 板金曲げ加工に於けるワーク支持機
US4383398A (en) Insulation dispensing cage
JP3372431B2 (ja) 湾曲状建築用板の施工支持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6709115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部材の施工方法
JP6481949B2 (ja) 壁面ボードリフターおよび壁面ボード設置方法
JP4759120B2 (ja) ジブクレーン
CN210701769U (zh) 一种钢卷上料装置
JP4910387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CN218087648U (zh) 一种立屏装置
CN216881053U (zh) 一种热轧薄材平整加工线的工作辊打磨后的装配系统
JP5131787B2 (ja) 自動搬送車
JP4330611B2 (ja) ケーブルドラム支持装置
CN219585426U (zh) 一种整平机的自动送料装置
JP3857282B2 (ja)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最上昇位置決め装置
CN218091880U (zh) 瓷砖顶高器
CN209799409U (zh) 一种新型楼层板支架
CN218252148U (zh) 一种矫正机用的托料瓦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