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774B1 - 캡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캡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774B1
KR102567774B1 KR1020217033208A KR20217033208A KR102567774B1 KR 102567774 B1 KR102567774 B1 KR 102567774B1 KR 1020217033208 A KR1020217033208 A KR 1020217033208A KR 20217033208 A KR20217033208 A KR 20217033208A KR 102567774 B1 KR102567774 B1 KR 10256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rib
right direction
cap
pil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697A (ko
Inventor
마사요시 노모토
마코토 사사키
히로아키 다나카
다케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3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캡(cab)은, 기둥 부재(43)와, 빔 부재(52)와, 리브 부재(61)를 구비한다. 기둥 부재(4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5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52)는, 기둥 부재(43)의 상단부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매설된다.

Description

캡 및 작업 차량
본 개시는, 캡 및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1-10503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좌우 한 쌍의 필러(pillar)와, 좌우 한 쌍의 필러 사이에 배치되는 빔 부재와, 필러 및 빔 부재가 연결되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를 구비하는 유압 셔블의 캡(cab)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105032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캡에 있어서는, 캡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러 및 빔 부재가 연결되는 코너부에 거싯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거싯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중 서로 직교하는 2변이 필러 및 빔 부재의 내측면에 접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필러 및 빔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캡 내의 공간이, 거싯 플레이트에 의해 크게 침식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본 개시의 목적은, 고강성(高剛性)이며, 또한, 캡 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캡과, 그러한 캡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캡은, 기둥 부재와, 빔 부재와, 리브 부재를 구비한다. 기둥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는,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는, 기둥 부재 및 빔 부재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된다. 리브 부재는, 기둥 부재 및 빔 부재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는, 기둥 부재 및 빔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매설된다.
그리고, 「리브 부재는, 기둥 부재 및 빔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매설되는」이란, 리브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기둥 부재 및 빔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형태를 의미하고 있다.
본 개시를 따른 작업 차량은, 상기한 캡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고강성이며, 또한, 캡 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캡과, 그러한 캡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캡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캡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별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전방 투명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전방 투명 부재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면 및 우측면의 모서리부에서의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2점 쇄선 VII로 둘러싸여진 범위의 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중의 2점 쇄선 VIII로 둘러싸여진 범위의 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캡으로부터 천장 부재 및 도리(girder)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캡으로부터 천장 부재 및 도리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캡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캡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13은 도 7∼도 12 중의 리브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 중의 XIV-XI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 중의 XV-X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이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은,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로의 캡을 구비하는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1)와, 작업기(12)를 가진다. 차량 본체(11)는, 선회체(13)와, 주행 장치(15)를 가진다.
주행 장치(15)는, 한 쌍의 크롤러(15Cr)와, 주행 모터(15M)를 가진다. 유압 셔블(100)은, 크롤러(15Cr)의 회전에 의해 주행 가능하다. 주행 모터(15M)는, 주행 장치(15)의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장치(15)가 차륜(타이어)을 가져도 된다.
선회체(13)는, 주행 장치(15) 상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13)는, 선회 중심(26)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 장치(15)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다. 선회 중심(2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선회체(13)는, 캡(운전실)(30)을 가진다. 캡(30) 내에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에는, 운전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거주 공간(120)에 탑승하고, 운전석(31)에 착석하여 유압 셔블(100)을 조작한다.
선회체(13)는, 엔진 후드(19)와, 선회체(13)의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가진다. 엔진 후드(19)에는, 엔진, 작동유 탱크, 에어 클리너 및 유압 펌프 등이 수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차량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선회체(13)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지면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한다. 작업기(12)는, 붐(16)과, 암(17)과, 버킷(18)을 가진다.
붐(16)은, 붐 핀(23)을 통하여, 차량 본체(11)(선회체(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17)은, 암 핀(24)을 통하여, 붐(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18)은, 버킷 핀(25)을 통하여, 암(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업기(12)는,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와, 암 실린더(21)와, 버킷 실린더(22)를 추가로 구비한다.
붐 실린더(20A), 붐 실린더(20B), 암 실린더(21) 및 버킷 실린더(22)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이다.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는, 붐(16)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붐(16)을 회동 동작시킨다. 암 실린더(21)는, 암(17)을 회동 동작시킨다. 버킷 실린더(22)는, 버킷(18)을 회동 동작시킨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정면 방향이, 전방이며,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배후 방향이, 후방이다. 좌우 방향(측방)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우측이, 오른쪽이며,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좌측이, 왼쪽이다. 상하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지면이 있는 측이, 아래쪽이며, 하늘이 있는 측이, 위쪽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 중의 캡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계속해서, 캡(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전방측면(30A)과, 후방측면(30B)과, 우측면(30C)과, 좌측면(30D)과, 상면(30E)과, 바닥면(30F)을 가지는 직육면체형상의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전방측면(30A)은,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면(30B)은,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측면(30C)은, 우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측면(30C)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작업기(12)와 대향하고 있다. 좌측면(30D)은, 좌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면(30E)은, 위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바닥면(30F)은, 아래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바닥면(30F)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선회체(13)의 프레임체와 대향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바닥 부재(40)와, 좌우 한 쌍의 기둥 부재(42)(42L, 42R)와, 좌우 한 쌍의 기둥 부재(43)(43L, 43R)와, 좌우 한 쌍의 기둥 부재(44)(44L, 44R)와, 빔 부재(51, 52, 53)와, 좌우 한 쌍의 도리 부재(54)(54L, 54R)와, 좌우 한 쌍의 도리 부재(55)(55L, 55R)를 가진다.
바닥 부재(40),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는 것에 의해 캡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 부재(40)는, 바닥면(30F)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 부재(40)는, 판재(예를 들면, 강판)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일방향으로 장척형(長尺形)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진다.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은,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에 의해 에워싸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바닥 부재(40) 상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바닥 부재(40)에 접속되어 있다. 기둥 부재(42),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상면(30E) 및 바닥면(30F)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및 기둥 부재(42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및 기둥 부재(42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는, 전방측면(30A)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R)는, 전방측면(30A)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는, 좌측면(30D)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R)는, 우측면(30C)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및 기둥 부재(42R)는, 도 1에 나타내는 운전석(31)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도 1에 나타내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는, 좌측면(30D)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는, 우측면(30C)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기둥 부재(42L) 및 기둥 부재(42R)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는, 좌측면(30D) 및 후방측면(30B)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는, 좌측면(30D)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R)는, 우측면(30C) 및 후방측면(30B)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R)는, 우측면(30C)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도 1에 나타내는 운전석(31)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상면(30E)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 빔 부재(52) 및 빔 부재(5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빔 부재(51)는, 전방측면(30A)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의 좌단부는, 기둥 부재(42L) 및 후술하는 도리 부재(54L)의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1)의 우측단부는, 기둥 부재(42R) 및 후술하는 도리 부재(54R)의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2)는, 빔 부재(51)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2)의 우측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2)의 좌단부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3)는, 상면(30E) 및 후방측면(30B)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3)는, 빔 부재(52)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3)의 우측단부는, 기둥 부재(44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3)의 좌단부는, 기둥 부재(44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 및 도리 부재(5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 및 도리 부재(5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는, 좌측면(30D)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2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 및 기둥 부재(42L)는, 일체의 프레임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리 부재(54L)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4R)는, 우측면(30C)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4R)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2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4R) 및 기둥 부재(42R)는, 일체의 프레임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리 부재(54R)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 및 도리 부재(55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 및 도리 부재(55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는, 좌측면(30D)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4L)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5R)는, 우측면(30C)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5R)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리 부재(55L)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4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천장 부재(45)와, 도어 부재(32)를 추가로 구비한다. 천장 부재(45)는, 상면(30E)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 부재(45)는, 판재(예를 들면, 강판)로 구성되어 있다. 천장 부재(45)는, 빔 부재(51, 52, 53),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 부재(32)는, 좌측면(30D)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 부재(32)는, 오퍼레이터가 거주 공간(120)에 대하여 입실 및 퇴실할 때 개폐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전방 투명 부재(46)와, 아래쪽 투명 부재(47)와, 측방 투명 부재(48)를 추가로 구비한다. 전방 투명 부재(46), 아래쪽 투명 부재(47) 및 측방 투명 부재(48)는, 광이 투과 가능한 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아래쪽 투명 부재(47) 및 측방 투명 부재(48)는,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아크릴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아래쪽 투명 부재(47)는, 전방측면(30A)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아래쪽 투명 부재(47)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L) 및 기둥 부재(42R)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아래쪽 투명 부재(47)는, 기둥 부재(43)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아래쪽 투명 부재(47)는, 운전석(31)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아래쪽 투명 부재(47)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우측면(30C)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R), 기둥 부재(43R) 및 기둥 부재(44R)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R) 및 기둥 부재(43R)의 사이에만 걸쳐 설치되어도 된다.
도 4는, 도 2 중의 전방 투명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전방 투명 부재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 투명 부재(47) 및 측방 투명 부재(48)가, 고정식인 데 반해, 전방 투명 부재(46)는, 개폐 동작 가능한 가동식이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전방측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와, 전방측면(30A)을 폐쇄 상태로 하는 위치 사이에서 개폐 동작한다.
전방 투명 부재(46)에는, 프레임체(91)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체(91)는, 전방 투명 부재(46)의 둘레를 따라 주회(周回)하는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체(91)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체(91)에는, 복수의 롤러(92)가 장착되어 있다. 각 롤러(9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복수의 롤러(92)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체(91)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다.
캡(30)은, 좌우 한 쌍의 레일 부재(56)(56L, 56R)를 추가로 구비한다. 레일 부재(56)는, 개폐 동작하는 전방 투명 부재(46)를 안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전방측면(30A)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와, 상면(30E)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전방측면(30A)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전방측면(30A)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기둥 부재(42L)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상면(30E)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상면(30E)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도리 부재(54L), 기둥 부재(43L) 및 도리 부재(55L)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 부재(56L)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L)로부터 기둥 부재(43L)까지의 사이에 걸쳐, 또한 기둥 부재(43L)로부터 기둥 부재(44L)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전방측면(30A)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와, 상면(30E)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전방측면(30A)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전방측면(30A)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기둥 부재(42R)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상면(30E)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상면(30E) 및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도리 부재(54R), 기둥 부재(43R) 및 도리 부재(55R)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R)로부터 기둥 부재(43R)까지의 사이에 걸쳐, 또한 기둥 부재(43R)로부터 기둥 부재(44R)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레일 부재(56)는, 롤러(92)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 형상을 가진다. 레일 부재(56L) 및 레일 부재(56R)에는, 프레임체(91)의 좌우로 장착된 롤러(92)가 각각 끼워맞추어져 있다. 롤러(92)가 레일 부재(56)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전방 투명 부재(46)는, 전방측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와, 전방측면(30A)을 폐쇄 상태로 하는 위치 사이에서 개폐 동작한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전방측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동작했을 때, 상면(30E)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기둥 부재(43)와, 빔 부재(52),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와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기둥 부재(43R)와, 빔 부재(52), 도리 부재(54R) 및 도리 부재(55R)와의 접속 구조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지만, 기둥 부재(43L)와, 빔 부재(52), 도리 부재(54L) 및 도리 부재(55L)와의 접속 구조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6은, 상면 및 우측면의 모서리부에서의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단면 위치는, 도 2 중의 VI-VI선 상의 화살표 방향에서 보는 단면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도 6 중에는, 전방측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동작했을 때의 전방 투명 부재(46)와, 오퍼레이터 보호 공간(130)이 나타나 있다. ISO 규격에는, 유압 셔블(100)의 전도(顚倒) 시에 오퍼레이터가 변형하는 캡(30)에 의해 찌뿌러지지 않도록 오퍼레이터의 주변에 확보해야 할 공간이 정해져 있고, 오퍼레이터 보호 공간(130)은, 이것에 대응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부재(52)의 우측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빔 부재(52)는, 기둥 부재(43R)와 함께 90°의 각도를 이루는 모서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기둥 부재(43R)의 측방으로서, 빔 부재(52)의 아래쪽으로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에 설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에 빔 부재(52) 및 기둥 부재(43R)의 코너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빔 부재(52)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기둥 부재(43R)에 장착되어 있다.
캡(30)은, 덕트 부재(96)를 추가로 구비한다. 덕트 부재(96)는, 냉기가 유통하는 에어컨용의 덕트이다. 덕트 부재(96)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에 설치되어 있다. 덕트 부재(96)는, 천장 부재(45)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덕트 부재(9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덕트 부재(96)는,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에, 상하 방향으로 짧고, 좌우 방향으로 긴 편평 단면을 가진다.
덕트 부재(96)는, 빔 부재(52) 및 기둥 부재(43R)의 모서리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덕트 부재(96)는, 기둥 부재(43R)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빔 부재(52)에 장착되어 있다. 덕트 부재(9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빔 부재(52)와, 전방측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동작했을 때의 전방 투명 부재(4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3 중의 2점 쇄선 VII로 둘러싸여진 범위의 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중의 2점 쇄선 VIII로 둘러싸여진 범위의 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캡으로부터 천장 부재 및 도리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캡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7∼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리브 부재(61)를 추가로 구비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에 접속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빔 부재(52)의 우측단부와,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판재(예를 들면, 강판)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전후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용접에 의해,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에 접속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 중 적어도 한쪽에 매설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에 매설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리브 부재(61) 중 적어도 일부가,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에 형성된 오목부로서의 슬릿(85) 및 슬릿(86)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브 부재(61)는, 리브 부재(61) 중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기둥 부재(43R) 및 빔 부재(52)와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도 7∼도 12 중의 리브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 부재(61)는, 세로 리브부(62)와, 가로 리브부(63)를 가진다.
세로 리브부(6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의 우측단부)는, 세로 리브부(62)의 상단부에 이어져 있다. 리브 부재(61)는, 전체로서,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세로 리브부(62)와 가로 리브부(63)가 교차하는 위치에 모서리부(70)를 가지는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4는, 도 10 중의 XIV-XI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리브부(62)는, 기둥 부재(43R)에 매설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는, 중공(中空)의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는, 수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에,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기둥 부재(43R)는, 내측판부(74)와, 외측판부(73)를 가진다. 내측판부(74)는,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판부(73)는,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는 판재(71)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판부(74) 및 외측판부(7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내측판부(74)는, 기둥 부재(43R)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외측판부(73)는, 기둥 부재(43R)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에는, 슬릿(85)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85)은, 세로 리브부(62)를 받아들일 수 있는 개구 형상을 하고 있다. 슬릿(8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릿(85)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서의 선단에 도달하고 있다. 슬릿(85)은, 전후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슬릿 형상을 가진다. 슬릿(85)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R)를 관통하고 있다. 슬릿(85)은, 내측판부(74) 및 외측판부(73)에 개구되어 있다.
세로 리브부(62)는, 슬릿(85)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부(62)는, 모서리부(70)를 제외한 위치에 있어서, 내측판부(74)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부(62)는, 외측판부(73)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측판부(74) 및 외측판부(73)는, 슬릿(85)에 배치된 세로 리브부(62)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협지하고 있다. 세로 리브부(6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R)에 삽통(揷通)되어 있다.
세로 리브부(62)는, 용접에 의해 기둥 부재(43R)에 접속되어 있다. 세로 리브부(62) 및 기둥 부재(43R)는, 예를 들면, 내측판부(74) 및 외측판부(73)에서의 슬릿(85)의 개구 에지를 따라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 부재(43R)는, 상기한 파이프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중실재(中實材)로 구성되어도 된다. 기둥 부재(43R)에는, 세로 리브부(62)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바닥이 있는 홈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15는, 도 10 중의 XV-X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리브부(63)는, 빔 부재(52)에 매설되어 있다.
빔 부재(52)는, 중공의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있다. 빔 부재(52)는, 좌우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에,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빔 부재(52)는, 상판부(76)와, 하판부(77)를 가진다. 상판부(76) 및 하판부(77)는, 상하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부(76) 및 하판부(77)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판부(76)는, 빔 부재(52)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하판부(77)는, 빔 부재(52)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2)에는, 슬릿(86)과, 개구부(87)가 설치되어 있다. 슬릿(86) 및 개구부(87)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릿(86) 및 개구부(87)는, 전후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슬릿 형상을 가진다. 슬릿(86)은, 하판부(77)를 관통하고 있다. 슬릿(86)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하판부(77)의 우측단부에서의 선단에 도달하고 있다. 개구부(87)는, 상판부(76)를 관통하고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슬릿(86)에 배치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모서리부(70)를 제외한 위치에 있어서, 빔 부재(5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빔 부재(5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슬릿(86)을 통하여 빔 부재(5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하판부(77)는, 슬릿(86)에 배치된 가로 리브부(63)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협지하고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빔 부재(52)의 내부에 있어서, 상판부(76)와 맞닿아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개구부(87)를 통하여 빔 부재(52)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용접에 의해 빔 부재(52)에 접속되어 있다. 가로 리브부(63) 및 빔 부재(52)는, 예를 들면, 하판부(77)에서의 슬릿(86)의 개구 에지와, 상판부(76)에서의 개구부(87)의 개구 에지를 따라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빔 부재(52)는, 상기한 파이프재로 한정되지 않고, 중실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빔 부재(52)에는, 가로 리브부(63)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바닥이 있는 홈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로 리브부(63)가 빔 부재(52)에 매설되는 형태가, 세로 리브부(62)가 기둥 부재(43R)에 매설되는 형태로 변경되어도 되고, 세로 리브부(62)가 기둥 부재(43R)에 매설되는 형태가, 가로 리브부(63)가 빔 부재(52)에 매설되는 형태로 변경되어도 된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는 세로 리브부(62)의 면적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지 않는(기둥 부재(43R)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 및/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세로 리브부(62)의 면적 이상이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는 세로 리브부(62)의 면적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지 않는 세로 리브부(62)의 면적보다 작아도 된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빔 부재(52)와 중첩되는 가로 리브부(63)의 면적은, 빔 부재(52)와 중첩되지 않는(빔 부재(5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 및/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로 리브부(63)의 면적 이상이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빔 부재(52)와 중첩되는 가로 리브부(63)의 면적은, 빔 부재(52)와 중첩되지 않는 가로 리브부(63)의 면적보다 작아도 된다.
세로 리브부(62)는, 기둥 부재(43R)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 및/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가로 리브부(63)는, 빔 부재(5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 및/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작업 목적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부정지(不整地) 또는 경사지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작업 장소에 있어서 전도할 가능성이 있다. 유압 셔블(100)이 전도하면, 캡(30)에는, 과대한 외력(특히, 좌측면(30D)으로의 수평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캡(30) 내의 오퍼레이터를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캡(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6∼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에 대하여,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는, 기둥 부재(43)(43L, 43R)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리브 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의 접속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유압 셔블(100)의 전도 시에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의 접속부에서 좌굴(座屈)이 생기고, 캡(30)이 크게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주변에서 문형(門型) 형상을 이루는 상기한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의해, 고강성(高剛性)의 전도 시 보호 구조(ROPS)가 실현되고 있다. 이로써, 캡(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브 부재(61)가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만일, 리브 부재가 기둥 부재(43)에 매설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레일 부재(56)와 리브 부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레일 부재(56)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레일 부재(56)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크게 침식되거나, 좌우 방향에서의 전방 투명 부재(46)의 폭이 작아지게 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시야성이 악화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만일, 리브 부재가 빔 부재(52)에 매설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덕트 부재(96)와 리브 부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덕트 부재(96)를 빔 부재(52)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덕트 부재(96)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크게 침식될 우려가 있다.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는, 리브 부재(61)가, 세로 리브부(62)가 기둥 부재(43)에 매설되고, 가로 리브부(63)가 빔 부재(52)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캡(30) 내에, 유압 셔블(100)의 전도 시에 오퍼레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보호 공간(130)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부재(43)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를 관통하는 슬릿(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85)에 세로 리브부(6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둥 부재(43) 및 세로 리브부(62)의 일체성이 높아지므로, 리브 부재(61)를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 사이의 접속 강도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시킬 수 있다.
도 6,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부재(43R)는, 위기둥부(81)와, 아래기둥부(82)를 가진다. 아래기둥부(82)는, 위기둥부(8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아래기둥부(82)의 하단부는, 도 2 중에 나타내는 바닥 부재(40)에 접속되어 있다. 위기둥부(81)의 상단부는, 빔 부재(52)에 접속되어 있다.
아래기둥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B2)을 가진다. 위기둥부(8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B2)보다 작은 폭(B1)을 가진다(B1<B2). 수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의 위기둥부(81)의 단면적은, 수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 아래기둥부(82)의 단면적보다 작다.
위기둥부(81)는, 상하 방향에서의 빔 부재(52) 및 아래기둥부(82)의 사이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을 하고 있다. 캡(30)의 내측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내측에 대응하고, 캡(30)의 외측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에 대응하고 있다. 기둥 부재(43R) 위기둥부(81)와, 기둥 부재(43L)의 위기둥부(81) 사이의 좌우 방향에서의 거리는, 기둥 부재(43R)의 아래기둥부(82)와, 기둥 부재(43L)의 아래기둥부(82) 사이의 좌우 방향에서의 거리보다 크다.
슬릿(85)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슬릿(85)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로부터 아래기둥부(82)의 상단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기둥부(81)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기둥 부재(43)(43L, 43R)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아래기둥부(82)의 폭(B2)은, 좌우 방향에서의 위기둥부(81)의 폭(B1)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바닥 부재(40)에 접속되는 밑동 측에 있어서 기둥 부재(4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위기둥부(81)는, 기둥 내측면(84)을 가진다. 기둥 내측면(84)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둥 내측면(84)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기둥 내측면(84)은, 좌우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레일 부재(56R)는, 기둥 내측면(84)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레일 부재(56R)는, 기둥 내측면(84)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일 부재(56)(56L, 56R)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내측면(84)을 따라 설치되므로, 레일 부재(56)를 안정된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내측면(84)의 측방에는, 위기둥부(81)가 이루는 오목 형상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일 부재(5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기둥 내측면(84)으로부터의 레일 부재(56R)의 길이(높이)(H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段差)의 길이(높이)(H2) 이하이다(H1≤H2). 좌우 방향에서의 기둥 내측면(84)으로부터의 레일 부재(56R)의 길이(높이)(H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높이)(H2)와 동일해도 된다(H1=H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일 부재(56)(56L, 56R)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아래기둥부(82)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레일 부재(5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기둥 내측면(84)으로부터의 레일 부재(56R)의 길이(높이)(H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높이)(H2)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에, 길이(H1)와, 길이(H2)의 차이의 절대값(|H1-H2|)은, H2의 1/10의 값 이하이다(|H1-H2|≤H2×1/1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아래기둥부(82)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레일 부재(56)(56L, 56R)의 길이가, 현저하게 커지지는 않기 때문에, 레일 부재(5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리브부(62)는, 폭광부(幅廣部)(65)와, 폭협부(幅狹部)(64)를 가진다.
폭광부(65)는, 폭협부(6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폭광부(65)는, 아래기둥부(82)에 매설되어 있다. 폭광부(65)는, 아래기둥부(82)의 상단부에 설치된 슬릿(85)에 배치되어 있다. 폭협부(64)는, 위기둥부(81)에 매설되어 있다. 폭협부(64)는, 위기둥부(81)에 설치된 슬릿(85)에 배치되어 있다.
폭광부(6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B4)을 가진다. 폭협부(6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B4)보다 작은 폭(B3)을 가진다(B3<B4).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은, 폭광부(65)로부터 폭협부(64)를 향할수록 작아진다.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은, 폭협부(64)에서 극소값이 되고, 폭협부(64)로부터 위쪽을 향할수록 커진다.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은, 폭광부(65)에서 극대값이 되고, 폭광부(65)로부터 아래쪽을 향할수록 작아진다.
위기둥부(81)는, 상하 방향에서의 빔 부재(52) 및 아래기둥부(82)의 사이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을 이루므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의 경계부에는, 좌우 방향에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세로 리브부(62)는,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이, 폭광부(65)로부터 폭협부(64)로 향할수록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의 형상에 맞추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로 리브부(62)가 기둥 부재(43)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리브부(62)는, 세로 리브 내측면(68)을 가진다. 세로 리브 내측면(68)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 내측면(68)은, 좌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 내측면(68)은, 폭협부(64)에 있어서, 캡(30)의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골(谷) 형상을 하고 있다. 세로 리브 내측면(68)은, 폭광부(65)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산 형상을 하고 있다.
가로 리브부(63)는, 가로 리브 내측면(67)을 가진다. 가로 리브 내측면(67)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로 리브 내측면(67)은, 아래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 내측면(68) 및 가로 리브 내측면(67)은, 만곡면(69)을 통하여 서로 이어져 있다. 만곡면(69)은, 리브 부재(61)의 모서리부(70)에 설치되어 있다. 만곡면(69)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만곡면(69)이 이루는 원호형상의 중심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로 리브 내측면(68) 및 가로 리브 내측면(67)이, 만곡면(69)을 통하여 서로 이어져 있으므로,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의 접속부에 과대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리브 부재(61)의 모서리부(70)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캡(30)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리 부재(54R) 및 도리 부재(55R)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R)(위기둥부(81))의 상단부에 맞대어져 있다. 도리 부재(54R) 및 도리 부재(55R)는, 그 맞대어진 위치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기둥 부재(43R)에 접속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는, 접속부(72)(72P, 72Q)를 추가로 구비한다. 접속부(72)는,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72)는, 외측판부(73)와 함께 판재(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7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72)는, 외측판부(73)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팔 형상을 가진다.
접속부(72P) 및 접속부(72Q)는, 전후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72P)는, 외측판부(73)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72P)는, 도리 부재(54R)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4R)는, 용접에 의해, 접속부(72P)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72Q)는, 외측판부(73)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72Q)는, 도리 부재(55R)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리 부재(55R)는, 용접에 의해, 접속부(72Q)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리 부재(54R)가,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뿐만 아니라, 접속부(72P)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접속되고, 도리 부재(55R)가,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뿐만 아니라, 접속부(72Q)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접속된다. 이 때문에, 기둥 부재(43R)와, 도리 부재(54R) 및 도리 부재(55R)와의 사이의 접속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72)(72P, 72Q) 및 외측판부(73)가 일체의 판재(71)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접속부(72)(72P, 72Q)를 가지는 판재가, 외측판부(73)를 구성하는 판재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외측으로부터 접합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로의 캡(30) 및 유압 셔블(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한다.
캡(30)은, 기둥 부재(43)와, 빔 부재(52)와, 리브 부재(61)를 구비한다. 기둥 부재(4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5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빔 부재(52)는, 기둥 부재(43)의 상단부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접속된다.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서의,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매설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리브 부재(61)를 설치함으로써,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의 접속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로써, 과대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변형하기 어려운 고강성의 캡(30)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에 매설되므로, 리브 부재(61)가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로부터 캡(30) 내의 공간인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61)는, 기둥 부재(43)에 매설된다. 기둥 부재(43)는, 위기둥부(81)와, 아래기둥부(82)를 가진다. 위기둥부(81)는, 빔 부재(52)에 접속된다. 아래기둥부(82)는, 위기둥부(8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위기둥부(8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아래기둥부(82)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위기둥부(81)는, 상하 방향에서의 빔 부재(52) 및 아래기둥부(82)의 사이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브 부재(61)가 기둥 부재(43)에 매설되고 또한, 위기둥부(81)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아래기둥부(82)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보다 큰 폭을 가지게 되므로, 아래기둥부(82)에 있어서 기둥 부재(4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위기둥부(81)는, 기둥 내측면(84)을 가진다. 기둥 내측면(84)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다. 기둥 내측면(84)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캡(30)은, 레일 부재(56)를 더 구비한다. 레일 부재(5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둥 내측면(84)을 따라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일 부재(56)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내측면(84)을 따라 설치되므로, 레일 부재(56)를 안정된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내측면(84)의 측방에는, 위기둥부(81)가 이루는 오목 형상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일 부재(5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기둥 내측면(84)으로부터의 레일 부재(56)의 길이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 이하이다. 또한, 좌우 방향에서의 기둥 내측면(84)으로부터의 레일 부재(56)의 길이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와 동일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일 부재(5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61)는, 세로 리브부(62)를 가진다. 세로 리브부(62)는, 기둥 부재(43)에 매설된다. 세로 리브부(62)는, 폭광부(65)와, 폭협부(64)를 가진다. 폭광부(65)는, 아래기둥부(82)에 매설된다. 폭협부(64)는, 위기둥부(81)에 매설된다. 폭협부(6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광부(65)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은, 폭광부(65)로부터 폭협부(64)로 향할수록 작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우 방향에서의 세로 리브부(62)의 폭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기둥부(81) 및 아래기둥부(82)가 이루는 단차 형상에 맞추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로 리브부(62)가 기둥 부재(43)로부터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61)는, 세로 리브부(62)를 가진다. 세로 리브부(62)는, 기둥 부재(43)에 매설된다. 기둥 부재(43)에는, 슬릿(85)이 설치된다. 슬릿(85)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3)를 관통한다. 슬릿(8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세로 리브부(62)는, 슬릿(85)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둥 부재(43) 및 세로 리브부(62)의 일체성이 높아지므로, 리브 부재(61)를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 사이의 접속 강도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시킬 수 있다.
또한, 기둥 부재(43)는, 판재(71)를 가진다. 판재(71)는,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된다. 판재(71)에는, 슬릿(85)이 개구된다. 판재(71)는, 접속부(72)(72P, 72Q)를 가진다. 접속부(72)(72P, 72Q)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캡(30)은,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를 더 구비한다.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는, 기둥 부재(43)의 상단부 및 접속부(72)(72P, 72Q)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리 부재(54)가 접속부(72P)에 대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접속되고, 도리 부재(55)가 접속부(72Q)에 대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접속되므로, 기둥 부재(43)와, 도리 부재(54) 및 도리 부재(55)와의 사이의 접속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61)는, 빔 부재(52)에 매설된다. 캡(30)은, 덕트 부재(96)를 더 구비한다. 덕트 부재(96)는, 빔 부재(52)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브 부재(61)가 빔 부재(52)에 매설되므로, 덕트 부재(96)를 빔 부재(52)의 바로 아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덕트 부재(96)가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을 크게 침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부재는, 세로 리브부(62)와, 가로 리브부(63)를 가진다. 세로 리브부(62)는, 기둥 부재(43)에 매설된다. 가로 리브부(63)는, 세로 리브부(62)의 상단부에 이어진다. 가로 리브부(63)는, 빔 부재(52)에 매설된다. 세로 리브부(62)는, 세로 리브 내측면(68)을 가진다. 세로 리브 내측면(68)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다. 가로 리브부(63)는, 가로 리브 내측면(67)을 가진다. 가로 리브 내측면(67)은, 캡(3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다. 가로 리브 내측면(67)은, 만곡면(69)을 통하여 세로 리브 내측면(68)에 이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로 리브 내측면(67)이, 만곡면(69)을 통하여 세로 리브 내측면(68)에 이어져 있으므로, 세로 리브부(62) 및 가로 리브부(63)가 교차하는 리브 부재(61)의 모서리부(70)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30)은, 기둥 부재(43)로서, 제1 기둥 부재로서의 기둥 부재(43R)와, 제2 기둥 부재로서의 기둥 부재(43L)를 구비한다. 기둥 부재(43R) 및 기둥 부재(43L)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좌우 방향에서의 빔 부재(52)의 한쪽 끝은,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된다. 좌우 방향에서의 빔 부재(52)의 다른 쪽 끝은,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브 부재(61)에 의해, 빔 부재(52)와, 기둥 부재(43R) 및 기둥 부재(43L)와의 접속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때문에, 기둥 부재(43R), 빔 부재(52) 및 기둥 부재(43L)에 의해, 고강성의 전도 시 보호 구조(ROPS)를 실현할 수 있다.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00)은, 캡(3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압 셔블(100)의 전도 시에 캡(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캡(30) 내에, 오퍼레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보호 공간(130)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 부재(61)가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의 양쪽에 매설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리브 부재(61)가, 기둥 부재(43) 및 빔 부재(52) 중 어느 한쪽에만 매설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캡은, 유압 셔블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크레인, 휠 로더 또는 모터 그레이더 등의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금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1: 차량 본체 12: 작업기
13: 선회체 15: 주행 장치
15Cr: 크롤러 15M: 주행 모터
16: 붐 17: 암
18: 버킷 19: 엔진 후드
20A, 20B: 붐 실린더 21: 암 실린더
22: 버킷 실린더 23: 붐 핀
24: 암 핀 25: 버킷 핀
26: 선회 중심 30: 캡
30A: 전방측면 30B: 후방측면
30C: 우측면 30D: 좌측면
30E: 상면 30F: 바닥면
31: 운전석 32: 도어 부재
40: 바닥 부재
42, 42L, 42R, 43, 43L, 43R, 44, 44L, 44R: 기둥 부재
45: 천장 부재 46: 전방 투명 부재
47: 아래쪽 투명 부재 48: 측방 투명 부재
51, 52, 53: 빔 부재 54, 54L, 54R, 55, 55L, 55R: 도리 부재
56, 56L, 56R: 레일 부재 61: 리브 부재
62: 세로 리브부 63: 가로 리브부
64: 폭협부 65: 폭광부
67: 가로 리브 내측면 68: 세로 리브 내측면
69: 만곡면 70: 모서리부
71: 판재 72, 72P, 72Q: 접속부
73: 외측판부 74: 내측판부
76: 상판부 77: 하판부
81: 위기둥부 82: 아래기둥부
84: 기둥 내측면 85, 86: 슬릿
87: 개구부 91: 프레임체
92: 롤러 96: 덕트 부재
100: 유압 셔블 120: 거주 공간
130: 오퍼레이터 보호 공간

Claims (12)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부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빔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 및 상기 빔 부재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 부재 및 상기 빔 부재에 접속되는 리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기둥 부재 및 상기 빔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매설되고,
    상기 리브 부재는, 또한 상기 기둥 부재에 매설되고,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빔 부재에 접속되는 위기둥부와, 상기 위기둥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아래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위기둥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아래기둥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빔 부재 및 상기 아래기둥부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을 이루는,
    캡(ca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둥부는, 캡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내측면을 가지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부재를 구비하는, 캡.
  3. 제2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기둥 내측면으로부터의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기둥부 및 상기 아래기둥부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 이하인, 캡.
  4. 제2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기둥 내측면으로부터의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위기둥부 및 상기 아래기둥부가 이루는 단차의 길이와 동일한,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기둥 부재에 매설되는 세로 리브부를 가지고,
    상기 세로 리브부는, 상기 아래기둥부에 매설되는 폭광부(幅廣部)와, 상기 위기둥부에 매설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광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폭협부(幅狹部)를 가지고,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세로 리브부의 폭은, 상기 폭광부로부터 상기 폭협부로 향할수록 작아지는,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기둥 부재에 매설되는 세로 리브부를 가지고,
    상기 기둥 부재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를 관통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설치되고,
    상기 세로 리브부는, 상기 슬릿에 배치되는,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는, 좌우 방향이 두께 방향이 되고, 상기 슬릿이 개구하는 판재를 가지고,
    상기 판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 부재의 상단부 및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도리(girder) 부재를 구비하는,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빔 부재에 매설되고, 또한,
    상기 빔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덕트 부재를 구비하는,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기둥 부재에 매설되는 세로 리브부와, 상기 세로 리브부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상기 빔 부재에 매설되는 가로 리브부를 가지고,
    상기 세로 리브부는, 캡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세로 리브 내측면을 가지고,
    상기 가로 리브부는, 캡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만곡면을 통하여 상기 세로 리브 내측면에 이어지는 가로 리브 내측면을 가지는,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로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기둥 부재 및 제2 기둥 부재를 구비하고,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빔 부재의 한쪽 끝은, 상기 제1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빔 부재의 다른 쪽 끝은, 상기 제2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캡.
  11. 제1항에 기재된 캡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
  12. 삭제
KR1020217033208A 2019-06-19 2020-06-18 캡 및 작업 차량 KR102567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3948 2019-06-19
JP2019113948A JP7213762B2 (ja) 2019-06-19 2019-06-19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PCT/JP2020/023904 WO2020256049A1 (ja) 2019-06-19 2020-06-18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697A KR20210138697A (ko) 2021-11-19
KR102567774B1 true KR102567774B1 (ko) 2023-08-16

Family

ID=7399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208A KR102567774B1 (ko) 2019-06-19 2020-06-18 캡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79230B2 (ko)
JP (1) JP7213762B2 (ko)
KR (1) KR102567774B1 (ko)
CN (1) CN113727906B (ko)
DE (1) DE112020001289T5 (ko)
WO (1) WO2020256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2322B (zh) * 2023-06-13 2023-08-11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校核卡车上车体翻转过程与下车体间隙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604A (ja) * 2007-04-23 2008-11-06 Komatsu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ダクトの配置構造
JP2008273410A (ja) * 2007-04-27 2008-11-13 Komatsu Ltd キャブ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2010090567A (ja) * 2008-10-06 2010-04-2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364A (en) * 1976-10-26 1978-05-09 Deere & Company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cab combination
US6032980A (en) * 1998-09-25 2000-03-07 Caterpillar Inc. Corner assembly for a protective rollover structure for a work machine
CN1140675C (zh) * 2000-09-18 2004-03-03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用驾驶室
JP2004042739A (ja) * 2002-07-10 2004-02-12 Komatsu Ltd 作業車両における運転室
KR100903981B1 (ko) 2005-05-13 2009-06-25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기계용 캡
JP5558080B2 (ja) 2009-11-12 2014-07-23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JP2015221973A (ja) 2014-05-22 2015-12-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7031633A (ja) 2015-07-31 2017-02-09 共和産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604A (ja) * 2007-04-23 2008-11-06 Komatsu Ltd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ダクトの配置構造
JP2008273410A (ja) * 2007-04-27 2008-11-13 Komatsu Ltd キャブ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2010090567A (ja) * 2008-10-06 2010-04-2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0699A1 (en) 2022-07-14
CN113727906B (zh) 2023-09-29
KR20210138697A (ko) 2021-11-19
US11879230B2 (en) 2024-01-23
WO2020256049A1 (ja) 2020-12-24
CN113727906A (zh) 2021-11-30
DE112020001289T5 (de) 2021-12-16
JP7213762B2 (ja) 2023-01-27
JP2021000853A (ja)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641B1 (ko) 건설 기계의 캡 구조
KR102567774B1 (ko) 캡 및 작업 차량
EP1449966B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70004815A (ko) 작업 차량의 캡 및 그 제조 방법
US8070334B2 (en) Working machine
KR102627878B1 (ko) 작업 차량
JP7105645B2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CN103485376A (zh) 工程机械
CN112236561B (zh) 作业机械及驾驶室
JP7157091B2 (ja) 作業用車両
JP4415698B2 (ja)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JP3489951B2 (ja) スイング式油圧ショベル
JP2001180412A (ja) 作業車両
JP2013053520A (ja) ホイールローダ
US11479210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JP6332325B2 (ja) 建設機械
JP2021169710A (ja) キャブを備えた作業機械
JP2000233701A (ja) 掘削作業車の運転部保護構造
JP2005088654A (ja) 作業機械
JP5094650B2 (ja) ローダ作業機
JP2020056271A (ja) 作業機
JPH10140594A (ja) バックホウ
JPH09228416A (ja) バックホウ
JP2012149420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