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937B1 -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 Google Patents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937B1
KR102566937B1 KR1020210121668A KR20210121668A KR102566937B1 KR 102566937 B1 KR102566937 B1 KR 102566937B1 KR 1020210121668 A KR1020210121668 A KR 1020210121668A KR 20210121668 A KR20210121668 A KR 20210121668A KR 102566937 B1 KR102566937 B1 KR 10256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front fixing
drywal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805A (ko
Inventor
조용선
오건
백나람
박홍규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유창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9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04B2/6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고정판, 전면 고정판의 양측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판 및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의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배면이 개방된 보강대의 각 측면 결합판을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서 스터드 내측면에 고정함으로써,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용접이 필요 없으며, 기구물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 가능한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는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홀이 형성된 전면 고정판; 상기 전면 고정판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연장판; 상기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의 외측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스터드의 내측면에 복수의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측면 결합판; 상기 전면 고정판의 상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부 연결판; 및 상기 상부 연결판의 배면 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홀이 형성된 후면 고정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C-shaped reinforcement for dry walls}
본 발명은 전면 고정판, 전면 고정판의 양측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판 및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의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배면이 개방된 보강대의 각 측면 결합판을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서 스터드 내측면에 고정함으로써,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용접이 필요 없으며, 기구물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 가능한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에 대한 것이다.
기존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에서 세대 내 벽체는 외벽과 함께 시공하여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습식 공법으로 시공되거나 조적 또는 ALC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그러나 습식 공법은 인건비 비중이 높아 공사비가 증가되고, 균질한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동절기에 공기 지연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조적 또는 ALC 공법은 인력 의존도가 높아 인건비 비중이 크고, 공기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ALC 블록은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욕실 등 물을 사용하는 공간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세대 내 벽체 시공을 위해 습식 공법이나 조적 또는 ALC 공법을 대신하여 건식 공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건식 벽체는 하부 슬래브 상부와 상부 슬래브 하부에 각각 런너(10)를 설치하고,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스터드(20)를 시공한 후 스터드(20)의 전후면에 경량 벽패널(30)을 부착하여 시공한다(도 1).
이러한 건식 벽체는 세면대나 보일러 등과 같은 중량의 기구물(器具物)이 부착되는 경우, 건식 벽체 내부에 각파이프 등의 보강재(40)를 덧대 보강하여 기구물의 하중을 지지시킨다.
이때, 각파이프는 용접 등에 의해 스터드나 런너에 고정하므로, 현장 화기 작업이 필요하여 화재 위험성이 있다. 또한, 별도의 용접 장비가 소요되어 시공성이 매우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수직 부재 및 수평 부재를 일체화한 프레임형 보강대의 경우, 구조 보강이 불필요한 구간까지 각파이프가 설치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KR 10-1644876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기존 수장 공구를 이용하여 시공 가능하고, 기구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홀이 형성된 전면 고정판; 상기 전면 고정판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연장판; 상기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의 외측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스터드의 내측면에 복수의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측면 결합판; 상기 전면 고정판의 상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부 연결판; 및 상기 상부 연결판의 배면 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홀이 형성된 후면 고정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다각형 단면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판의 제2볼트홀은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이 걸려 고정볼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면 고정판, 전면 고정판의 양측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판 및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의 외측 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배면이 개방된 보강대의 각 측면 결합판을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서 스터드 내측면에 피스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면서도 용접 공정 없이 간단하게 시공 가능한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측면 연장판이 전면 고정판과 하부 연장판에서 연장되므로, 스터드와의 충분한 접합 면적 확보로 기구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셋째, 금속판을 절곡하는 것만으로도 보강대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뛰어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보강대 제작을 위한 금속판의 전개도.
도 6은 고정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스페이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장공인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장공인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보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보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보강대 제작을 위한 금속판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는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홀(311)이 형성된 전면 고정판(31);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연장판(32);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하부 연장판(32)의 외측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스터드(2)의 내측면에 복수의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측면 결합판(33);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상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부 연결판(34); 및 상기 상부 연결판(34)의 배면 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홀(351)이 형성된 후면 고정판(3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기존 수장 공구를 통하여 시공이 가능하며, 기구물(O)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대(3)는 기구물(O)이 설치될 위치의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스터드(2)는 상하부 런너(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된다.
상기 보강대(3)는 전면 고정판(31), 하부 연장판(32), 측면 결합판(33), 상부 연결판(34) 및 후면 고정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고정판(31)은 세면대나 보일러 등의 기구물(O)이 부착된다.
상기 전면 고정판(31)은 기구물(O) 고정을 위해 고정볼트(36)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고정볼트(36) 체결을 위한 제1볼트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 고정판(31)은 기구물(O)의 중량에 따라 상하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하부 연장판(32)은 전면 고정판(31)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 고정판(31)은 보강대(3)의 전면에 형성되고, 전면 고정판(31)의 양측 하단에는 전면 고정판(3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연장판(32)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결합판(33)은 일체로 형성된 전면 고정판(31)과 하부 연장판(32)의 외측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 결합판(33)은 보강대(3)를 좌우 스터드(2)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측면 결합판(33)은 스터드(2)의 내측 측면에 복수의 피스 등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대(3)는 전면 고정판(31)과 하부 연장판(32) 및 측면 결합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개방된 개단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기존 수장 공구를 이용하여 피스 체결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3)를 스터드(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측면 결합판(3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넓은 면적에서 스터드(2)에 밀착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전면 고정판(31)은 하부 연장판(32)과 함께 측면 결합판(3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측면 결합판(33)을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 연결판(34)은 전면 고정판(31)의 상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 고정판(35)은 상부 연결판(34)의 배면 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연장판(32)은 전면 고정판(31)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측면 결합판(33)과 상부 연결판(34)은 전면 고정판(31)에서 절곡 형성되며, 후면 고정판(35)은 상부 연결판(34)에서 절곡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강대(3)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용접 공정이나 볼트 체결 없이 금속판을 절곡하는 것만으로 보강대(3)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뛰어나고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대(3)는 얇은 금속 박판을 절곡하여 제작 가능하므로, 전면 고정판(31)에 중량의 기구물(O)을 고정할 경우 기구물(O)의 하중으로 인해 전면 고정판(31)에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상단을 절곡하여 상부 연결판(34)을 형성함으로써 전면 고정판(31)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판(34)은 전면 고정판(31)의 배면 측 수평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고, 양단이 측면 결합판(33)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36)가 전면 고정판(31)에만 체결될 경우, 고정볼트(36)에 하중 작용 시 고정볼트(36)가 하부로 회전하면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배면에 전면 고정판(31)과 이격되도록 후면 고정판(35)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볼트(36)를 2점 지지하여 고정볼트(36)의 처짐 없이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36)는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을 관통하여 2점에서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후면 고정판(35)이 전면 고정판(3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후면 고정판(35)은 상부 연결판(34)의 단부를 하부로 수직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6)의 결합을 위해 후면 고정판(35)에는 제1볼트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홀(35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6)는 헤드부(361)가 후면 고정판(35) 측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볼트(36)의 몸체부(362)는 후면 고정판(35)과 전면 고정판(31)의 볼트홀(311, 351)을 관통하여 건식 벽체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며, 전면 고정판(31)의 전면 측에서 너트(N) 및 와셔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고정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와 몸체부(362) 사이에는 다각형 단면의 걸림부(363)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판(35)의 제2볼트홀(351)은 상기 걸림부(363)의 외주면이 걸려 고정볼트(36)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3)의 전면에 마감패널 시공을 완료한 후 건식 벽체 전면에 돌출된 고정볼트(36)에 기구물(O)을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 측이 건식 벽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고정볼트(36)에 기구물(O)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트(36)에 기구물(O) 고정을 위한 너트 체결 시, 고정볼트(36)가 같이 회전하면 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와 몸체부(362) 사이에 다각형 단면의 걸림부(36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363)가 제2볼트홀(35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너트 체결 시 고정볼트(36)가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 도 7에서 상기 걸림부(363)는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었으나, 4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2볼트홀(351)은 다각형 단면의 걸림부(363)의 각 면 중 어느 2면 이상이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볼트홀(351)은 걸림부(363)의 외측면과 평행한 면을 2개 이상 형성하여 고정볼트(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에는 4각형 형상의 제2볼트홀(351)이 도시되었으나, 육각형 등 고정볼트(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 8은 스페이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의 볼트홀(311, 351) 위치에는 상기 고정볼트(36)가 관통되는 스페이서(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6)를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에 고정하기 위해 너트(N)를 체결하여 과도한 힘으로 조이면,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에 변형이 발생하여 고정볼트(36)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 간격을 유지하고, 고정볼트(36)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에 스페이서(37)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7)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여 양측 볼트홀(311, 351)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7)에 고정볼트(36)를 관통시키면, 스페이서(37)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 스페이서(37)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7)는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양단이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장공인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장공인 볼트홀과 고정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홀(311, 351)은 수평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311, 351)에는 상기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 및 스페이서(37)의 외경보다 지름이 큰 삽입홀(312, 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6)는 몸체부(362)의 일단이 건식 벽체 외부로 돌출되므로, 건식 벽체의 마감패널보다 선 시공되면 건식 벽체 시공 시 간섭되어 시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36)는 후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건식 벽체의 외부에서 일방향으로 고정볼트(36)를 보강대(3)에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37)는 미리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에 설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하지 않는 이상 마감패널 시공 후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6) 또는 스페이서(37)를 나중에 결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들 부재를 보강대(3)의 외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볼트홀(311, 351)은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장공으로 형성하고, 볼트홀(311, 351)의 중간에 헤드부(361) 및 스페이서(37)의 외경보다 지름이 큰 삽입홀(312, 35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6)와 스페이서(37)가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6)를 삽입홀(312, 352)을 통해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는 후면 고정판(35)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스페이서(37)는 후면 고정판(35)과 전면 고정판(31)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볼트홀(311, 351)을 따라 측방으로 고정볼트(36)를 이동시켜 헤드부(361)는 후면 고정판(35)에 걸리고, 스페이서(37)는 후면 고정판(35)과 전면 고정판(31)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36)가 선 시공되는 경우에도 볼트홀(311, 351)을 장공으로 형성하고, 볼트홀(311, 351)의 중간에 삽입홀(312, 352)을 형성하면 고정볼트(36) 및 스페이서(37)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6)에 걸림부(363)가 형성된 경우에는 장공인 볼트홀(311, 351)의 상면과 하면에 걸림부(363)가 걸려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1은 보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보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 사이 공간에는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을 지지하는 보강구(38)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을 보강하여 기구물(O)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의 사이 공간에는 보강구(38)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강구(38)는 전후면 고정판(31, 35)을 보강할 뿐 아니라 전면 고정판(31)과 후면 고정판(35)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의 역할도 한다.
물론 보강구(38)와 스페이서(37)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구(38)는 ㄷ형강 또는 각파이프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강구(38)에는 볼트홀(311, 351)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36) 또는 스페이서(37)가 선 시공된 상태에서 보강구(38)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강구(38)는 ㄷ형강과 같은 개방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고정볼트(36)의 위치에 고정볼트(36)나 스페이서(37)의 삽입이 가능한 절개홈(381)을 형성할 수 있다.
기존에 보강대로 사용되는 각파이프는 타공 작업이 어렵고, 원형 타공만 가능하나, 본 발명의 보강대(3)는 박판인 금속판을 사용하므로 타공이 용이하고, 타공 위치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1: 런너 2: 스터드
3: 보강대 31: 전면 고정판
311: 제1볼트홀 312: 삽입홀
32: 하부 연장판 33: 측면 결합판
34: 상부 연결판 35: 후면 고정판
351: 제2볼트홀 352: 삽입홀
36: 고정볼트 361: 헤드부
362: 몸체부 363: 걸림부
37: 스페이서 38: 보강구
381: 절개홈 N: 너트
O: 기구물

Claims (2)

  1.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볼트홀(311)이 형성된 전면 고정판(31);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연장판(32);
    상기 전면 고정판(31)과 하부 연장판(32)의 외측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스터드(2)의 내측면에 복수의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측면 결합판(33);
    상기 전면 고정판(31)의 상단에서 배면 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부 연결판(34); 및
    상기 상부 연결판(34)의 배면 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볼트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홀(351)이 형성된 후면 고정판(3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2. 제1항에서,
    고정볼트(36)의 헤드부(361)와 몸체부(362) 사이에는 다각형 단면의 걸림부(363)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고정판(35)의 제2볼트홀(351)은 상기 걸림부(363)의 외주면이 걸려 고정볼트(36)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KR1020210121668A 2021-09-13 2021-09-13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KR10256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68A KR102566937B1 (ko) 2021-09-13 2021-09-13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68A KR102566937B1 (ko) 2021-09-13 2021-09-13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05A KR20230039805A (ko) 2023-03-22
KR102566937B1 true KR102566937B1 (ko) 2023-08-14

Family

ID=8600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68A KR102566937B1 (ko) 2021-09-13 2021-09-13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9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9140A (ja) 2017-09-11 2019-03-28 日動電工株式会社 間柱用固定金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997B2 (ja) * 1994-01-21 2001-07-23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軽量間柱用配線金具
JP3293053B2 (ja) * 1994-06-30 2002-06-17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間仕切パネルの配線装置
JPH0813824A (ja) * 1994-07-01 1996-01-16 Toto Ltd 壁パネルの補強構造
JP3122624B2 (ja) * 1997-01-08 2001-01-09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壁パネル用補強部材
KR20080004391U (ko) * 2007-04-02 2008-10-08 (주)상진전기 경량 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대
KR101644876B1 (ko) 2015-11-11 2016-08-03 (주)유창 건식벽체용 금속 스터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9140A (ja) 2017-09-11 2019-03-28 日動電工株式会社 間柱用固定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05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62B1 (ko)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US20050188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KR101066613B1 (ko)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KR20180092677A (ko) 건축물 외장 마감재 고정구조
JP2010522294A (ja) 複合及び支持構造
JP6748470B2 (ja) インサートを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に取付け下部に下階の天井設備類を吊設支持する吊込構造体、及び前記インサートを用いた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下部の天井設備類取付方法。
KR20230039804A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102566937B1 (ko) 건식 벽체용 c형 보강대
KR20100066661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20070035288A (ko) 천장틀 지지구조
KR20110037663A (ko)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220146721A (ko)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JP2008038355A (ja) 既存外壁の改修構造
KR20200083091A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TWI835346B (zh) 全方位隔柵裝設固定系統
JP7349677B2 (ja) 仮設手摺の支柱構造
JP7350550B2 (ja) 固定構造、固定具、及び固定方法
TWM639207U (zh) 全方位隔柵裝設固定系統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KR101117961B1 (ko) 지지대 고정부재를 갖는 플라스틱 패널 물탱크
KR200296952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TW202415848A (zh) 全方位隔柵裝設固定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