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34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534B1
KR102566534B1 KR1020210151758A KR20210151758A KR102566534B1 KR 102566534 B1 KR102566534 B1 KR 102566534B1 KR 1020210151758 A KR1020210151758 A KR 1020210151758A KR 20210151758 A KR20210151758 A KR 20210151758A KR 102566534 B1 KR102566534 B1 KR 10256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ying
control command
replacement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807A (ko
Inventor
김철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5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은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METHOD OF COUPLING WASHER-DRYER USING BLOCKCHAIN AND SERVER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에 관한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정보의 내용이나 유통 과정의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블록들을 연결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검증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가상의 공간에서 현실 세계의 여러 경제, 사회, 문화적 활동에 대응하는 행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 메타버스(Metaverse)가 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문적인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공간이 증가하면서 해당 공간에 배치된 장치들을 원격에서 제어하고 이에 기반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술이 요청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상업 공간은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업 공간 내에서 각각의 장치들이 소정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처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그러한 대처방안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거나 정보를 안내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건조 장치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가 언제든지 메타버스 세계에서 확인하고, 또한 동작중인 장치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메타버스 서버가 세탁-건조 장치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세탁-건조 장치가 제공한 영상과 사진, 소리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세탁-건조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발생된 문제의 해결에 기여한 경우 소정의 가상 자산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은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는 다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세탁-건조 과정에서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와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통신부가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제어부는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통신부가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제어부가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한 후, 통신부는 보상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보상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하는 방법은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1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와 제1세탁-건조 장치 및 제2세탁-건조 장치가 각각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확인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와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세탁-건조 장치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가 언제든지 메타버스 세계에서 확인하고, 또한 동작중인 장치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메타버스 서버가 세탁-건조 장치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세탁-건조 장치가 제공한 영상과 사진, 소리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세탁-건조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발생된 문제의 해결에 기여하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가상 자산으로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들이 쉽게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공간에 다수의 세탁-건조장치가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가 각각의 세탁-건조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건조 장치의 이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는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블록 추가 프로세스는 블록을 생성한 후, 이 블록의 무결성 검증이 완료되면(즉, 정상인 경우) 해당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추가된 블록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블록의 주소)를 응답받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NFT(Non-Fungible Token)은 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이나 내부 부품의 상태, 제어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메타버스 상에서, 혹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거래 가능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들에게 배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자산 또는 NFT를 전송 및 수신한다는 의미는 가상자산이나 NFT가 블록체인에 포함되며 해당 가상자산 또는 NFT를 포함하는 블록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주소)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가상자산은 전자지갑의 형태로 교환될 수 있으며, 각 장치들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전자지갑에서 가상자산이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건조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공간에는 세탁-건조 장치가 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현금, 카드, 가상자산 등을 지불하고 세탁-건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 시간이나 이용 방식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건조 장치와 같은 상업용 가전제품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주요 부품의 이상상태, 그리고 세탁기 또는 건조기 내부에서 돌아가는 옷가지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메타버스 서버가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품상의 하자 또는 세탁/건조 과정 중에 이물질이 세탁기/건조기에 파손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옷의 단추 등이 세탁기/건조기의 앞 유리문을 파손할 가능성이 있으면 안전을 위하여 메타버스 서버가 해당 세탁기/건조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가 자동으로 인접한 가전제품을 지정하여서 고객이 옷가지를 지정된 가전제품으로 옮기면, 자동으로 기존의 가전제품에서 동작 중이던 설정을 그대로 이어받아 지정된 가전제품이 나머지 세탁을 진행하고 고객에게 보상으로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실시예이다.
메타버스 서버는 세탁-건조장치에서 발생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서버는 세탁-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공간에 다수의 세탁-건조장치가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비스 공간(1) 내에는 다수의 세탁-건조 장치들(201a, 201b, ..., 201z)들이 배치되며, 201a~201n은 세탁-건조 장치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를, 201p~201z는 세탁-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건조기를 지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세탁-건조 장치는 세탁기-건조기 일체형인 가전제품을 포함한다.
세탁-건조 장치들(201a, 201b, ..., 201z)은 메타버스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세탁-건조 장치들(201a, 201b, ..., 201z)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이다. 사용자의 전자 지갑을 유지 또는 저장하거나 전자지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장치이다.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사용자의 휴대폰, 태블릿PC, 스마트 와치, 노트북 등을 일 실시예로 포함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건조 장치들(201a, 201b, ..., 201z)의 동작 사항을 모니터링하고, 동작 사항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블록체인 노드(500)는 블록체인에 추가되는 블록들의 무결성을 검증한 후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하며, 추가된 블록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주소)를 장치들 또는 서버들에게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는 NFT 블록의 추가 프로세스 또는 정보나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블록체인 노드(500)는 블록 추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추가된 블록의 식별 정보를 블록 추가를 요청한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추가되는 블록은 암호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추가되는 블록은 해당 블록을 확인할 장치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다. 또는 장치들이 약속한 방식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또는 블록은 암호화 없이 블록체인에 추가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하는 프로세스로 표시된 부분들은 서버-클라이언트의 메시지 송수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메시지 송수신의 보안성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에 추가된 블록의 식별정보(주소)를 수신한 장치는 블록체인 노드(500)에게 해당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을 요청하여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는 수신한 블록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상업용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안전상의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메타버스 서버(300)가 전조 증상을 파악하여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타버스 서버(300)는 특정 제품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가전제품(고장 제품)을 인접 타 가전제품(후속 제품)이 대체하여 고장 제품의 동작이 멈춘 프로세스부터 동작을 시작하며 추후에는 다른 지점의 상업용 가전제품에서 유사하게 생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의류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투입을 배제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제품의 부품이 고장난 경우에는 서비스 기사가 직접 방문하여 해당 제품을 작동시켜보면서 눈으로 보고 소리를 들어보면서 문제의 원인이 되는 부품상의 하자를 찾아서 잘못된 원인분석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상업용 가전제품들이 메타버스 서버(300)와 통신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세탁-건조 장치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며 세탁/건조 과정이 촬영되어 서버(300)가 실시간으로 사진이나 동영상, 그리고 동작 과정에서 센싱된 정보 등을 수신하여 분석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품의 동작 소음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각 부품 별 정상 주파수 특성과 하자 발생 주파수 특성을 구분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문제의 원인이 부품 자체의 마모 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투입된 의류에 의해서 발생한 것인지 분석하여 제품이 파손되기 전에 부품의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 또는 서비스 공간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투입할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사고를 유발시켰던 세탁류와 동일한 종류의 세탁물이 세탁-건조 장치로 유입될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품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사용자에게 해당 세탁물을 열외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통해 경고/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서비스 공간(1)에 배치된 스피커, 또는 세탁-건조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경고/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가 각각의 세탁-건조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게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11).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2세탁-건조 장치(200b)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2세탁-건조 장치(200b)에게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12).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된 교체 원인(세탁 또는 건조 과정에서의 교체)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보상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13). S13은 메타버스 서버(300)가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고 가상자산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상업용 가전제품을 활용하는 전문 서비스 공간은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가전제품이 다수 배치된다. 여기에 배치된 가전제품들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들보다 특화된 제품들을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를 수행할 경우, 활용 목적에 맞추어서 각 제품의 특화된 제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제품들이 매장에서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제품상의 하자와 고객들의 불편사항을 가전제품을 통해서 수집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수집한 정보들 중에서 동일하게 문제가 되는 현상을 3D입체적인 형상과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 재현하여 문제점을 생성하게 표시할 수 있다.
매장의 진열대에 맞추어서 하루에도 여러번 작동하는 대형이불 세탁기, 대형이불 건조기, 신발전용세탁기, 신발전용건조기, 세제투입장치, 이불포장비닐 판매장치 등의 현황을 메타버스 서버(300)는 메타버스 세계의 가상의 제품들을 통해 3차원적으로 렌더링한다. 해당 제품의 동작 상태(세탁, 건조과정, 세제투입현황 등)를 촬영한 동영상은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휴대폰(클라이언트 장치, 1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폰으로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 서비스 공간을 가상적으로 구현한 가상의 빨래방에 접속하였을 때에 실제 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선택한 세탁-건조 장치 내부의 사진과 동영상에 포함된 객체(Object)에 대해 메타버스 서버(300)가 객체 탐지를 수행하여 분석된 현황을 다시 메타버스 세계 내의 3D 오브젝트로 재현하고, 이를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장치(휴대폰)의 UX에서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확대/상세보기 등을 할 수 있다.
상업용 제품은 가정용 제품에 비해서 세탁, 탈수의 강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세탁시간을 비용을 지불하는데 비례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용에 대한 지불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100) 등이 메타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세탁시간과 세탁모드 및 세제종류, 세제 용량을 선택하고 가상자산을 지불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매장에 설치된 세탁기, 건조기 등에 동작시간과 세탁모드, 세제의 투입량을 지정하고 사용자가 지불한 가상자산을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교체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가상자산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건조 장치의 이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서비스 공간에서 사용할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 비용에 해당하는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블록 BLK_1을 생성한다(S21).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투입한 옷(세탁물)의 종류(단추 여부, 지퍼 여부, 세탁물의 섬유 특성)나 작동 시간, 세탁 코스(세탁 횟수, 헹굼 횟수, 탈수 횟수), 세제량, 사용자의 연락처(폰 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입력된 정보와 함께, 서비스 비용으로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블록인 BLK_1을 생성한다(S21).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BLK_1을 메타버스 서버(3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 여부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1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1의 식별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22).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1을 블록체인 노드(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하여(S23), BLK_1의 내용을 확인하고 제1세탁-건조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인 CMD_1을 포함하는 블록인 BLK_2를 생성한다(S24).
S21에서 BLK_1이 서버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개인키로 BLK_1을 복호화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1에 포함된 세탁 관련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세탁 시작시간, 세탁횟수, 헹금횟수, 탈수횟수, 세제량을 확인하고, BLK_1에 포함된 가상 자산, 예를 들어 가상화폐를 수령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명령인 CMD_1을 생성한다. CMD_1은 BLK_1에 포함된 사용자의 설정 사항을 포함하거나 이를 충족시키도록 제1세탁-건조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이다. CMD_1은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세제 투입량, 세탁시작시간, 세탁/헹굼/탈수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가 CMD_1을 포함하는 BLK_2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BLK_2를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공개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 여부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2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2의 식별 정보를 제1세탁-건조장치(200a)에게 전송한다(S25). 이에,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BLK_2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26).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BLK_2에 포함된 CMD_1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 수행 과정에서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센서들이 센싱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BLK_3을 생성한다(S27).
예를 들어, BLK_2가 암호화된 경우,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자신의 개인키로 BLK_2를 복호화하여 CMD_1의 내용을 확인한다.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CMD_1에 포함된 세제 투입량, 세탁시작시간, 세탁/헹굼/탈수 횟수 등에 따라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 등을 센싱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의 단추나 혹은 세탁물 주머니에 있는 동전 등의 물체가 세탁기통 또는 입구의 유리문을 가격하는 경우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내부음향센서와 진동센서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하는 BLK_3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3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3의 식별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28).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3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29).
도 4를 참조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3을 확인한 후, 새로운 제어명령인 CMD_2와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인 BLK_4를 생성한다(S31). CMD_2는 교체 제어명령의 일 실시예이다.
이 과정에서 BLK_3을 서버의 개인키로 복호화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3에 포함된 로우 데이터를 수신한다. 로우 데이터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음향 센서(PCM파일을 생성), 진동 센서(진동 수치 생성)로 측정 또는 생성한 데이터이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세탁물이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 충격을 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또는 사진을 확인하여 충격을 가한 세탁물을 특정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수신한 음향 데이터(음향 센서가 생성한 데이터, PCM 파일 등)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세탁-건조장치(200a)의 동작 별로 주파수의 특성(중심주파수, 주파수 Variation 등)을 분석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기존의 동일 또는 유사한 옷들이 세탁-건조장치(200a)내에 유입되었을 때의 정상적인 과거의 주파수 패턴과 BLK_3에 포함된 로우 데이터를 변환하여 산출한 주파수 패턴을 비교하여 갑작스러운 피크(Peak)값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피크값이 제품의 하자를 유발할 수 있는 수준을 넘는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명령(CMD_2)과 사용자에게 안내할 메시지를 포함하는 BLK_4를 생성한다(S31). 안내 메시지란,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xxx사유로 제품파손이 우려되니 작동 중지 후에 다시 문제를 유발시키는 옷은 제외시키고, 다시 다른 세탁기로 옷을 옮겨서 넣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문구를 일 실시예로 한다.
사용자가 안내 문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또는 영상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제1세탁-건조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한 CMD_2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후속 작업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세탁기인 경우 CMD_2는 물배수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건조기인 경우 CMD_2는 냉각공기 주입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CMD_2와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블록 BLK_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BLK_4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찍은 동영상을 메타버스 세계에서 재생해주거나 오브젝트 탐지결과를 바탕으로 3D 형상으로 제1세탁-건조장치(200a)내부의 동작을 재현하여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메타버스 세계에 접속한 경우,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장치(200a)에 투입된 옷의 특성, 예를 들어 옷에 붙어있는 단추, 지퍼, 가방의 장신구 등이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내부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지 여부를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평균적인 주파수의 특성과 다른 특성이 보이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해당 소음에 해당하는 문제의 원인을 확인하여 메타버스 세계 내에 3차원으로 렌더링된 세탁기가 특정한 동작을 하는 것을 3D 입체적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세탁-건조장치(200a) 내에 진동을 과도하게 일으키는 금속류가 포함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메타버스 세계 내에 제1세탁-건조장치(200a)를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과정에서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진동으로 흔들리는 모습을 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통해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이상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S32 단계를 살펴본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4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4의 식별 정보를 제1세탁-건조장치(200a)에게 전송한다(S32). 이에,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BLK_4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하고(S33), BLK_4에 포함된 CMD_2를 적용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BLK_4에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S34). 안내 메시지의 출력은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S34 단계를 상세히 살펴본다.
BLK_4가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경우 제1세탁-건조장치(200a)는 BLK_4를 개인키로 복호화한다. 그리고 제1세탁-건조장치(200a)의 제어명령인 CMD_2를 확인하고,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고 세탁통 내부의 물을 배수하고 고객에게 음성으로 문제를 유발시킨 옷을 배제시키고, 나머지 옷가지들을 인접한 제2세탁-건조장치(200b)로 옮길 것을 음성 또는 영상으로 안내한다.
즉,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 투입된 세탁물 중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 과정에서 제외시킬 세탁물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 세탁물에 대해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세탁 과정에서 제외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2세탁-건조장치(200b)에 전송할 CMD_3을 포함하는 블록인 BLK_5를 생성한다(S35). CMD_3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의 일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로 BLK_5는 제2세탁-건조장치(200b)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가 생성하는 CMD_3은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수행하다가 정지된 제어명령인 CMD_1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기존에 문제를 발생시켰던 세탁물(예를 들어 단추가 달린 옷)의 오브젝트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인 CMD_3을 생성하여 이를 블록 BLK_5에 포함시킨다. 메타버스 서버(300)가 생성한 CMD_3은 제2세탁-건조장치(200b)가 제1세탁-건조장치(200a)가 하던 작업을 그대로 이어받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5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5의 식별 정보를 제2세탁-건조장치(200b)에게 전송한다(S36). 이에,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5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하고(S37), BLK_5에 포함된 CMD_3을 적용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센싱된 정보를 포함하는 BLK_6을 생성한다(S38).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5가 암호화된 경우 개인키로 복호화하고 내용을 확인한다.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문제를 유발한 단추가 달린 옷의 오브젝트 특성이 반영된 CMD_3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옷을 세탁통에 투입하면, 옷들의 모양을 내부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촬영한 영상/사진의 전송을 위해 메타버스 서버(300)의 공개키로 촬영한 동영상을 암호화하여 블록 BLK_6을 생성할 수 있다(S38). 암호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6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6의 식별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39).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6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40).
도 3, 4에서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며, 메타버스 서버(300)는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사진, 또는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의 정지를 결정한다(S27~S31).
도 5를 참조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6을 확인하고 현재 제2세탁-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 후, 새로운 제어명령 CMD_3을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BLK_7을 생성한다(S41).
일 실시예로,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6을 서버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제2세탁-건조장치(200b)가 촬영한 동영상과 해당 장치에 투입된 물품들에 대하여 오브젝트 탐지한 내용을 비교하면서 동영상 분석결과 기존에 문제를 유발했던 단추달린 옷이나 지퍼 달린 옷 등이 제외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메타버스 서버(300)가 판단한 결과 여전히 문제를 유발시키는 물품들이 제2세탁-건조장치(200b)에 투입된 경우에는 제2세탁-건조장치(200b)의 세탁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명령인 CMD_3과 안내 메세지를 생성하여 BLK_7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블록인 BLK_7은 제2세탁-건조장치(200b)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7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7의 식별 정보를 제2세탁-건조장치(200b)에게 전송한다(S42). 이에,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7 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43).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7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CMD_3에 따라 동작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BLK_8을 생성한다(S44). 일 실시예로,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7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개인키로 BLK_7을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CMD_3에 포함된 제어동작정지에 따라 동작을 중단하고 안내 메시지를 음성/영상 등으로 출력, 재생한다.
사용자가 문제를 유발시킨 옷을 빼고 다시 세탁을 시작버튼을 누르면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내부 동영상/사진을 포함하는 블록 BLK_8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추가로 설정한 세탁 메뉴가 있는 경우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BLK_8에 추가 설정된 세탁 메뉴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킨다. 일 실시예로 BLK_8은 메타버스 서버(300)의 공개키로 암호화될 수 있다.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8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8의 식별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45).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8 를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46).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8을 확인하고 제2세탁-건조장치(200b)의 동작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메타버스 세계 내에 동작 상태를 렌더링하고, 사용자에게 가상자산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BLK_9를 생성한다(S47).
S47 단계를 상세히 살펴본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8이 암호화된 경우 개인키로 복호화하고 제2세탁-건조장치(200b)에서 문제를 유발시킨 옷이 제거된 상황을 사진/동영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추가 설정으로 변경한 세탁 메뉴(헹굼횟수 증가, 탈수, 건조 횟수 증가, 세탁 물온도 상승 등)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제2세탁-건조장치(200b)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 3D 입체적 형상으로 표시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2세탁-건조장치(200b)가 동작하는 모습을 메타버스 세계 내의 빨래방과 같은 가상 공간에서 표현하며 특히 제2세탁-건조장치(200b)를 반투명하게 표현하여 내부 동작을 해당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하자의 발생이 사용자의과실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제품 자체의 문제에 의해서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세탁-건조장치(200b)로 물품을 다시 투입하도록 한 대가로 가상자산을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자산의 전송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가상자산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BLK_9을 생성한다.
도 6을 참조한다.
이후,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9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9의 식별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48). 이에,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500)에게 BLK_9를 요청하여 BLK_9를 수신한다(S49).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개인키로 BLK_9을 복호화하여 가상자산을 수령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100) 또는 제2세탁-건조장치(200b)는 세탁/건조 동작의 시작, 종료 등의 상태를 통지 받으면 각 장치의 UX을 통해서 시작/종료 상태를 표시한다(S51).
또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이용하여 세탁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요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BLK_10을 생성한다(S52).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이용하여 투입했던 물품 중에서 단단한 금속, 부품이 붙어있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 등록하기 위해 메타버스 서버(3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BLK_10을 생성한다(S52). 암호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10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10의 식별 정보를 메타버스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53). 이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10을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54).
메타버스 서버(300)는 BLK_10을 확인한 결과 세탁-건조 장치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분류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정보 제공의 보상으로 사용자의 전자지갑,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전자지갑의 공개키로 소정의 가상자산을 암호화하여 BLK_11을 생성한다(S55).
메타버스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500)와 함께 BLK_11의 블록체인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추가된 블록인 BLK_11의 식별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56). 이에,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BLK_11을 블록체인 노드들(500)에게 요청하여 수신한다(S57).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BLK_11을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가상자산을 수령한다(S58).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다수의 가전제품들이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서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고 해결에 기여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가상자산을 제공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각 제품의 내부 부품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정상 소음의 주파수 특성과 부품의 하자로 인해 발생한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품 내에 특정한 의류 등이 투입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건조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부품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인지, 혹은 투입된 물품(세탁물)의 딱딱한 부분이 제품 내부에서 충돌하여 발생한 것인지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에 부착된 견고한 재질의 부속물(예를 들어 금속 단추 등)이 세탁-건조장치(200)의 앞면 유리창을 부딪혀서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동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해당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문제를 발생시킨 의류 또는 그와 유사한 의류를 추후에 세탁-건조장치(200)에 투입하는 경우에 메타버스 서버(300)는 음성/영상 경고를 한다.
그 후에도 해당 세탁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품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문제를 유발시키는 물품(세탁물)의 종류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국의 서비스 공간에 안내하여 사전에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서 문제를 유발시키거나 문제를 발생시킨 것으로 특정된 하나 이상의 세탁물을 제외시키고 세탁을 지속할 경우, 제2세탁-건조 장치(200b)와 제1세탁-건조 장치(200a)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세탁물이 포함된 최초의 서비스 제공 시점에서 해당 장치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로 동작하다가 정지한다. 그리고 정지된 후 특정 세탁물이 제거된 후 세탁을 지속하는 해당 장치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동작을 지속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이와 같이 동일 장치라 하여도 특정 세탁물의 투입/제거 상태에 따라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및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지칭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교체 제어명령(예를 들어 CMD_2) 및 후속작업 제어명령(CMD_3)는 각각 블록에 포함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교체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공개키가 블록을 암호화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의 공개키가 블록을 암호화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또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를 메타버스 세계에 3차원으로 렌더링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또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가 전송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장치의 동작 상황을 3차원으로 렌더링된 가상의 장치 위에 표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메타버스 서버(300)는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제1세탁-건조 장치(200a)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세탁-건조 장치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모델, 혹은 B라는 노후도를 가진 세탁-건조 장치에 투입된 제1세탁물이 세탁 과정에서 교체 원인으로 특정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동일한 모델 A의 세탁-건조 장치 또는 동일한 노후도 B의 세탁-건조 장치들에게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동작 과정에서 문제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세탁물에 대해서는 회전 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어명령이 적용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세탁-건조 장치들에게 해당 세탁물과 동일/유사 범위 내의 세탁물이 투입될 경우 회전 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어명령을 적용하도록 지시한다. 이는 동일 서비스 공간에 배치된 세탁-건조 장치들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 공간에 배치된 세탁-건조 장치들에게도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타버스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310), 세탁-건조 과정에서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세탁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50), 그리고 통신부(310) 및 데이터베이스부(350)를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제어부(35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31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게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350)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310)가 제2세탁-건조 장치(200b)에게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35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310)는 보상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보상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한다.
제어부(350)는 전술한 과정에서 메타버스 서버(300)의 판단/결정/렌더링/블록이나 메시지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메타버스 서버(300),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20)는 도 2의 과정을 진행한 후,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후,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또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에 투입되는 제2세탁물의 영상 또는 사진을 메타버스 서버(300), 보다 상세하게 통신부(310)가 수신한다.
메타버스 서버(300),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20)는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된 제1세탁물의 정보와 제2세탁물의 영상 또는 사진을 비교하여 제2세탁물에 대한 세탁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과 제2세탁물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20)는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또는 제2세탁-건조 장치(200b)에게 제2세탁물을 제외시킬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세탁-건조 장치(200)의 센서는 장치의 동작시에 내부 통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한다. 음향센서는 제품 내의 모터가 돌아가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한다. 센서들이 측정하거나 녹음한 정보들을 수신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통, 건조기 회전통 내부에 물품이 없을 때에 세탁통, 건조기통이 돌아가면서 발생시키는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기/건조기 내부의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을 분석하여 고객의 옷의 종류와 무게를 추측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의류가 세탁통 안에 쌓인 과정을 촬영한 영상에 대해 오브젝트 탐지를 하여 패턴을 분석한 후에 해당 세탁통/건조통이 회전 시 각 시간대별/동작별로 발생하는 소리들을 녹음한다.
이후 메타버스 서버(300)는 물소리, 세탁통 회전 소리, 모터 회전소리, 물에 젖은 옷들 간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 등을 각각 주파수별 특성값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매장에서 해당 제품이 설치된 위치, 세탁기, 건조기가 설치된 높이(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인접한 세탁-건조 장치들 간에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제품 몸체의 진동을 각 제품별로 데이터베이스부(350)에 기록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매장의 도면뿐만 아니라 다른 매장의 도면에서 각 제품들이 설치된 위치, 각 제품별 id(식별 정보), 일련번호, 제품의 모델번호, 각 제품에 탑재된 부품들의 고유번호/모델번호 등의 정보들 역시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한다. 또한, 각 제품별로 고객이 가져오는 빨래의 옷가지의 종류, 개수, 무게 등에 따라서 세탁기/건조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 등의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하고 추가적으로 블록체인에 해당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다수의 매장에 각 제품들이 설치된 현황고, 각 매장의 온도, 습기, 에어컨 가동 현황(송풍방향, 송풍속도, 송풍온도 등) 정보를 취득하여 각 제품이 설치된 공간별로 제품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각 제품 내부의 모터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각 부품이 생산된 연월일부터 해당 부품이 매장에 설치된 기간 동안에 온도와 습도에 노출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부품이 부식되고 마모되는 평균적인 수치를 기준으로 해당 제품에 탑재된 부품들의 부식률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부식률에 따라서 발생하는 각 부품의 소음들의 주파수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품들이 매장에서 동작을 시작한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품 내부의 음향센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음향센서는 자동으로 턴온 되어 녹음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여 내부에서 동작하는 각 부품의 동작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녹음파일에서 세탁/건조 동작 중간에 다른 소음들이 포함된 경우에는 제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인지 제품 외부의 매장에서 사용자들의 움직임나 부수 활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인지 혹은 다른 제품에서 발생한 소음인지 등을 확인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전술한 소음의 출처를 주파수의 분포상태를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가 각 부품별 주파수 분포상태를 판단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부품이 동작하는 전시간대에서 일반적으로 각 세탁/건조 단계마다 정의된 시간(세탁: 20분, 탈수: 20분, 건조: 100분 등)동안 내부 음향센서가 측정-녹음한 소리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주파수 도메인로 신호 변환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신호의 진폭(amplitude)가 일정하게 오르거나 내리는 범위를 벗어나서 피크(Peak)가 급상승하거나 급하강하는 등의 주파수 특성이 발생하는지 분석을 한다. 세탁통/건조통에 세탁물이나, 신발이 없는 경우의 주파수 특성값들은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된 상태이다.
제품의 각 부품별 주파수 특성값은 공장에서 제조 당시에 미리 분석될 수 있으므로, 메타버스 서버(30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다수의 매장의 각 부품들이 세탁물을 투입하고 동작할 때의 주파수 피크(Peak)값들이 급격히 변동하는지 각 제품별로 비교한다.
매장 내부의 도면, 설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서버(300)는 매장 내부에 존재하는 타 장비(선풍기, 에어컨, TV, 동전교환기 등)들의 배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부(350)가 해당 장비의 특성값을 저장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장비의 고유일련번호, 모델번호 등을 파악하여 해당 제품이 동작 중에 만들어내는 고유주파수 특성을 미리 확보한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자가 세탁-건조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에서 발생한 주파수 특성과 전술한 타장비의 고유 주파수를 구별한다.
만약 타 장비의 고유 주파수 특성이 미리 확보되지 않은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매장에 최초로 제품들을 설치한 후, 그 타 장비만을 동작시켰을 때의 소음들을 녹음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소음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세탁―건조 장치의 소음인지 아니면 타 장비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공간이 24시간 운영 매장의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매장에 사람들이 없고 모든 세탁-건조 장치들이 동작하지 않을 때 해당 매장에서 발생하는 소음들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각 날짜별/시간별로 매장에 사람이 없을 때에 매장 내부의 선풍기, 에어컨, 등과 매장 외부의 소음(차량, 광고소음, 사람소음 등)을 측정하여 일반적인 주변 소음으로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외부 소음의 소리의 세기(예를 들어 진폭, Amplitude)와 매장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외부 발생 소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외부 소음에 관한 분석 기록으로 저장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매장에 설치된 세탁-건조 장치가 동작 중에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소음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인지 세탁물/건조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인지 구별하기 위하여 로우 데이터를 세탁-건조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350)에 저장된 기존의 주파수 특성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예를 들어 핸드폰)에 문자, 영상 등으로 문제가 발생했음을 안내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 해당 세탁-건조 장치의 작동 동영상과 소리가 3차원으로 표시되고 소리가 출력되도록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타버스 세계에 접속하면 현재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와 관련한 동영상/소리가 있음을 통지하고, 사용자가 시청을 수락한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과 소리를 재생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메타버스 세계에 접속한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세탁-건조 장치(200a) 내부의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세탁-건조 장치(200a)에 투입된 세탁물 중에서 옷의 단추, 동전, 딱딱한 물체, 옷의 장식용 기구 등이 세탁통/건조통과 충돌하거나 드럼세탁기/건조기 앞 문의 유리창(플리스틱창)과 지속적으로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가 먼저 주파수 특성 분석을 통해서 옷의 단추 부분이 앞 창문과 충돌하고 있음을 탐지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문제를 발생시키는 동작이 발생하는 시간구간의 동영상을 재생해서 보여주고, 사용자가 추후에 단추가 있는 옷을 넣는 방식의 문제점을 자각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충돌 소음의 강도를 파악하여 세탁시간의 지속시간과 제품내부의 파손 가능성 등을 분석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건조 장치(200a)가 전송한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소음 파일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며 세탁/건조시 문제점을 확인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충돌 소음의 강도를 확인하여 세탁시간의 지속 과정에서 제품 내부 파손의 발생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유리전면부 창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면 해당 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명령을 세탁-건조 장치(200a)에게 전송한다.
아울러,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문제점을 사용자 및 매장의 운영자, 또는 제품 수리 서비스 센터로 사고나 파손에 대한 후속 조치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세탁-건조 장치(200a)를 재가동 시키는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세탁-건조 장치(200a)에서 동일한 문제점(옷의 부품이 전면 플라스틱 투명 입구창을 가격하는지 여부)이 동일하게 재연되는지 소음과 동영상을 분석하여 파손 가능성을 판단한다.
또한, 서비스 공간(1)의 CCTV가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CCTV에게 세탁-건조 장치(200a)에 대해 촬영을 지시한다. 그 결과 문제가 발생한 세탁-건조 장치(200a)의 전면부 플라스틱 창에 내부의 옷의 단추나 지퍼 등의 물체가 충돌하는지를 영상분석을 통해서 판단한다.
메타버스 서버(300)가 세탁-건조 장치(200a)가 전송한 데이터 또는 서비스 공간(1)에 배치된 CCTV가 전송한 영상 등을 분석하여 세탁-건조 장치(200a)의 특정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여 더이상 작동시키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안내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장치(100), 세탁-건조 장치(200a), 그리고 서비스 공간(1)에 배치된 스피커 등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 메시지의 일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직접 세탁-건조 장치(200a)를 구동시키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안내하고 세탁-건조 장치(200a)의 작동을 중단시킴을 안내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서비스 공간(1)을 관리하는 제품 수리 센터에게 해당 서비스공간(1) 및 세탁-건조 장치(200a)의 위치와 고장난 부품의 모델명을 통지하고 현재 파손된 부위의 동영상, 사진 등을 전달한다.
부품이 파손된 상황에서 세탁-건조 장치(200a)의 세탁 또는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세탁-건조 장치(200a) 내부의 물을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잠겨있던 전면부의 드럼 세탁기의 입구문의 잠김을 풀어주거나 내부 건조기통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냉풍을 분사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세탁-건조 장치(200a)에게 전송한다. 충분히 내부 온도가 낮아진 이후에 건조기의 앞 유리문의 잠김이 풀리도록 하여 내부의 세탁물을 사용자가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파손에 의하여 고객의 세탁 또는 건조작업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인접한 타 세탁-건조 장치(200b)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영상 등으로 안내한다. 새로운 세탁-건조 장치(200b)에 고객이 옷을 투입하면 이전에 세탁기/건조기가 수행하던 동작의 연장선상에서 중단된 행위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메타버스 서버(300)가 새로운 동작설정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세탁-건조 장치(200b)에게 전송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탁/건조 시간이 지연되므로, 지연된 시간에 비례하여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가상자산을 보상으로 지급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파손을 유발시킨 물품, 옷의 종류를 파악하고 추후에 동일 또는 다른 매장에서 동일 세탁기/건조기 모델에 파손유발 세탁물을 사용자가 투입할 경우에는 세탁/건조 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해당 의류를 제거하고 재구동하라는 안내 메세지를 해당 제품(세탁기/건조기)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문제를 유발한 의류에 대한 공고문과 사고발생 동영상을 메타버스 세계 내의 가상 빨래방에 공지를 하여 다른 사용자가 해당 가상 빨래방에 방문하여 재생을 시키면 해당 사고 영상을 재생해주고 세탁/건조 금지 물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공간(1)의 세탁-건조 장치(200)의 메뉴를 선택하여 세탁/건조하려는 의류의 특성들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UX을 통해서 메타버스 세계의 가상의 빨래방에 접속하여 가상으로 렌더링된 제품(세탁기/건조기)에 사용자가 세탁/건조하려는 의류의 세부정보를 직접 UX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의류의 종류와 딱딱한 물체가 부착된 특성을 입체적 형상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의류에 관한 세부정보를 수신한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세탁-건조 장치(200) 모델의 각 부품이 해당 물체(딱딱한 물체)를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세부 의류정보가 제품 파손을 예방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이 되면, 메타버스 서버(300)는 다른 매장에 위치한 동일 또는 유사한 세탁-건조 장치(200)들에게 사용자가 제공한 세부 의류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세부 의류정보는 세탁-건조 장치(200)의 유리를 파손할 수 있는 단추, 지퍼, 금속성 물체가 많이 붙은 의류, 딱딱한 재질의 물체가 많이 붙어있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대가로서 가상자산을 사용자의 전자지갑(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세부의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옷을 판매한 의류업체에서 모델정보를 입력하여 옷에 붙어있는 딱딱한 물체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세탁통/건조기통 내부에 의류를 투입시 내부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옷에 붙어있는 금속성 물체의 견고성, 의류에 부착된 위치와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단단한 부속물이 충격에 취약한 부품들(유리문, 모터의 축 부분 등)을 어느 정도의 세기와 횟수로 충돌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충돌 과정에서 해당 부품의 파손이 없고 견딜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한다. 메타버스 서버(300)는 초당 충돌 횟수와 충돌 강도를 횟수를 계산하고 세탁/건조 과정의 세탁통/건조통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힘과 초당 회전 횟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제품이 파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세탁/건조 전체적인 동작의 강도와 시간을 변경한다.
사용자가 문제가 되는 금속성 부품이 장착된 세탁물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세탁통/건조통에 투입한 경우, 메타버스 서버(300)는 변경된 제품의 동작 제어에 맞추어서 세탁/건조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세탁통/건조통의 회전을 시키는 모터의 속도를 유리문이 파손되지 않는 수준으로 낮춘다.
세탁-건조 장치(200)의 동작 과정에서 내부 음향센서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충돌 소음을 녹음하고, 메타버스 서버(300)는 해당 소음이 저장된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주파수의 진폭(amplitude)이나 세기가 세탁-건조 장치(200)의 파손을 유발하는 수준으로 높아지면 모터의 회전 속도를 한단계 더 낮추고, 세탁-건조 장치(200)의 외부의 패널에 잔여 세탁시간을 다시 계산하여 표시한다.
메타버스 세계에서 렌더링되는 가상의 빨래방의 세탁기/건조기의 남은 세탁시간도 변경된 시간으로 다시 표시하며, 수정된 세탁-건조 장치(200)의 제어명령을 유사한 세탁물(단단한 부품이 붙어있는 의류)을 세탁/건조하는 다른 매장에 있는 세탁-건조 장치(200)에도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메타버스 서버(300)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또한 보상에 따른 가상자산 역시 블록체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1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한다. 그리고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2세탁-건조 장치(200b)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한다. 이후, 이들 제1블록 및 제2블록의 식별정보가 각각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및 제2세탁-건조 장치(200b)에게 제공되면, 제1세탁-건조 장치(200a) 및 제2세탁-건조 장치(200b)가 각각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확인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메타버스 서버(300)가 제1세탁-건조 장치(200a)에서 제2세탁-건조 장치(200b)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과 변형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각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클라이언트 장치 200: 세탁-건조 장치
300: 메타버스 서버 500: 블록체인 노드

Claims (19)

  1.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블록의 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사진, 또는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의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세탁물이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 충격을 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영상 또는 사진을 확인하여 상기 충격을 가한 세탁물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2.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블록의 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 투입된 세탁물 중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 과정에서 제외시킬 세탁물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3.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블록의 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세탁물이 제외된 후의 장치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4.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블록의 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 투입되는 제2세탁물의 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세탁물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세탁물에 대한 세탁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5. 둘 이상의 세탁-건조 장치가 배치된 서비스 공간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블록의 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세탁-건조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제어명령 및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은 각각 블록에 포함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를 메타버스 세계에 3차원으로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가 전송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장치의 동작 상황을 상기 3차원으로 렌더링된 가상의 장치 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8. 삭제
  9. 삭제
  10. 다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세탁-건조 과정에서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세탁-건조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게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상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상기 보상 블록의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송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교체 제어명령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사진, 또는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의 정지를 결정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세탁물이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 충격을 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영상 또는 사진을 확인하여 상기 충격을 가한 세탁물을 특정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 투입된 세탁물 중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 과정에서 제외시킬 세탁물을 특정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세탁물이 제외된 후의 장치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제어명령 및 상기 후속작업 제어명령은 각각 블록에 포함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를 메타버스 세계에 3차원으로 렌더링하고,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가 전송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장치의 동작 상황을 상기 3차원으로 렌더링된 가상의 장치 위에 표시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또는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에 투입되는 제2세탁물의 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세탁물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세탁물에 대한 세탁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교체 원인에 해당하는 제1세탁물의 처리를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세탁-건조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을 구현하는 서버.
  19. 메타버스 서버가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를 안내하는 교체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1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의 후속 동작을 지시하는 후속작업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 및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가 각각 상기 제1블록 및 상기 제2블록을 확인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세탁-건조 장치로 교체된 교체 원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제공할 가산자산을 포함하는 보상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1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로부터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사진, 또는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의 동작의 정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세탁물이 상기 제1세탁-건조 장치에 충격을 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 서버가 상기 영상 또는 사진을 확인하여 상기 충격을 가한 세탁물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하는 방법.
KR1020210151758A 2021-11-05 2021-11-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KR10256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58A KR102566534B1 (ko) 2021-11-05 2021-11-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758A KR102566534B1 (ko) 2021-11-05 2021-11-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807A KR20230065807A (ko) 2023-05-12
KR102566534B1 true KR102566534B1 (ko) 2023-08-10

Family

ID=8638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758A KR102566534B1 (ko) 2021-11-05 2021-11-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5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1771A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Tosei ランドリ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10B1 (ko) * 2001-01-31 2007-07-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KR102019096B1 (ko) * 2017-09-25 2019-11-14 (주)군월드 결합형 사이버 모델 하우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81274B1 (ko) * 2018-07-25 2020-02-25 (주)유비벨록스모바일 블록체인망을 이용한 iot 가전 상태 관제 시스템
KR102573034B1 (ko) * 2018-10-24 2023-09-01 주식회사 빅스터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1771A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Tosei ランドリ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807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78B1 (ko)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250776B2 (en) Method of managing operation of laundry room machine and dryer therefor
KR20150105844A (ko)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50097282A (ko) 임대 세탁기의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9413629B2 (en) Electronic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CN105847243A (zh) 访问智能摄像头的方法及装置
US10275746B1 (en) Remote controlled washer, dryer, laundry product dispenser and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8033823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KR20090056944A (ko) 세탁수행 과정의 근거정보 생성 방법
KR10256653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JP2024015209A (ja) ランドリー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80047377A (ko) 의류 세탁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N111051594A (zh) 用于改善洗涤物处理的手持装置、具有该手持装置的系统和用于其运行的方法
KR20020055206A (ko) 통신망을 이용한 임대 가전제품의 사용 내역 관리 방법
KR20150026207A (ko) 무인 세탁물 수거 장치
KR102323701B1 (ko) 세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4566B1 (ko) 스마트 가방 보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가방 보관 서비스 제공 방법
US7768416B2 (en) Method of managing operation of laundry room machine and machine therefor
JP2023042283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2021094465A (ja) コインランドリーの洗濯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90136876A (ko) 직물 종류에 기반한 세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9498A (ko) 세탁 코스를 가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121479A (ja) コイン式洗濯機、該洗濯機を備えたコインランドリー店舗システム、及びコインランドリー店舗の運営方法
JP7350024B2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20240160870A1 (en) Self-service laund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