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62B1 - 배수 모터 - Google Patents

배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62B1
KR102566462B1 KR1020170010381A KR20170010381A KR102566462B1 KR 102566462 B1 KR102566462 B1 KR 102566462B1 KR 1020170010381 A KR1020170010381 A KR 1020170010381A KR 20170010381 A KR20170010381 A KR 20170010381A KR 102566462 B1 KR102566462 B1 KR 10256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housing
moto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661A (ko
Inventor
최재형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KR102017001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462B1/ko
Priority to PCT/KR2017/014629 priority patent/WO2018135759A1/ko
Priority to CN201780074794.8A priority patent/CN110036150B/zh
Publication of KR2018008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배수 모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는 세탁기의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외부 커넥터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레버, 상기 구동부,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를 보유 지지하는 중지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모터{DRAIN MOTOR}
본 개시는 세탁기의 배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의 배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252호는 전자동 세탁기에 구비되는 배수 모터의 일 예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에 따른 배수 모터는 하우징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수 모터는 세탁기의 세탁조 하부에서 배수 밸브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배수 밸브에 결합되는 레버를 세탁, 헹굼 및 탈수와 관련된 세탁기의 설정 조건에 따라 하우징으로 인입되도록 또는 하우징으로 인출되도록 구동시켜 배수 밸브를 개폐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252호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 모터는 하우징 내에 레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배수 모터의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져서 배수 모터의 제조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부품들이 배수 모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바, 배수 모터의 콤팩트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종래의 배수 모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배수 모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세탁기의 배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는 상기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외부 커넥터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레버, 상기 구동부,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를 보유 지지하는 중지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을 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회로 기판을 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핀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레버에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의 회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자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보유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구동 모터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제3 수용부와, 상기 스위치가 삽입되는 제4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지 제4 수용부들은 상기 제1 수용부 주위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기어 조립체 중 적어도 감속기어들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편의 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4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에는 상기 제4 수용부와 인접하여 상기 기어 조립체 중 출력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양단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 중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핀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압입되는 제1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는 소켓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압입되는 제2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2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1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내면에서 돌출하는 단자 접촉 돌기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스팟 용접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 단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자가 끼워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 모터는,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중지판에 의해 설정된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보유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배수 모터의 제조 시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배수 모터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 모터는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배수 모터를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 모터는 다양한 세탁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외부 커넥터도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수 모터를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수 모터를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부품들의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중지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중지판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중지판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보유 지지된 중지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중지판에 대해 회로 기판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배수 모터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수 모터를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수 모터를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1000)는 세탁기의 배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세탁기의 세탁조 하부에서 배수 밸브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배수 밸브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1에는 배수 모터(1000)의 상방(TD)으로 외부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지만, 배수 모터(1000)는 외부 커넥터(1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접속 해제되도록 세탁기의 세탁조 하부에 설치된다.
배수 모터(1000)는 세탁, 헹굼 및 탈수와 관련된 세탁기의 설정 조건에 맞춰 배수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1단 구동 및 2단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배수 모터(1000)는 세탁 및 헹굼은 가능하지만 배수 밸브는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1단 구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탈수가 가능하도록 배수 밸브를 개방시키는 2단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의 배수 밸브에는,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브레이크 밴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수 모터(1000)는 배수 밸브가 개방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 밴드를 당기는 1단 구동을 수행하고, 1단 구동에 의해 당겨진 브레이크 밴드를 더 당겨 배수 밸브를 개방시키는 2단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 모터(1000)는 세탁기의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레버(100)와, 레버(10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210)를 갖는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배수 모터(1000)는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전원 단자(300), 구동부(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400), 레버(100)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마운팅 플레이트(이하, '중지판'이라 한다)(500) 및 구동 모터(21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6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배수 모터(1000)는 레버(100), 구동부(20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 중지판(500) 및 회로 기판(600)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하우징(700)은 상방(TD) 및 하방(LD)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710)의 전방(FD), 좌측방(LSD), 우측방(RSD) 등을 향하는 복수의 측면에는 'U'자 형상의 복수의 고리부(711), 후크(712)가 구비된다. 또한, 제2 하우징(720)의 전방(FD), 좌측방(LSD), 우측방(RSD) 등을 향하는 복수의 측면에는 복수의 고리부(711) 및 후크(71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돌기(721)가 구비된다. 복수의 고리부(711), 후크(712)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돌기(721)의 걸림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이 결합된다. 하우징(700)에는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의 결합에 의해 전방(FD)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730)가 형성되며, 레버(100)는 개구(730)를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의 일 부분이 하우징(7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700)으로 인입된다.
제2 하우징(720)의 일측에는, 외부 커넥터(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724H)을 형성하는 커넥터 수용부(724)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710)의 일측에는, 커넥터 수용부(72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 커버부(714)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의 결합 시, 커넥터 커버부(714)와 커넥터 수용부(724)는 상하로 맞대어져 결합되며, 커넥터 커버부(714)는 하방(LD)에서 개방되는 구멍(724H)을 폐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고리부(7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걸림돌기(721)에 강하게 결합되는 후크(712)가 커넥터 커버부(714)에 구비된다. 후크(712)에 대응하는 걸림돌기(721)는 커넥터 수용부(724)에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 커넥터(10)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 시 배수 모터(10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우징(710)에는 복수의 하부 러그(716)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720)에는 복수의 하부 러그(716)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부 러그(726)가 구비된다.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의 결합 시 하부 러그(716)와 상부 러그(726)는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700H)을 형성한다. 배수 모터(1000)는, 하부 러그(716)와 상부 러그(726)가 형성하는 구멍(700H)에 스크류 등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세탁기의 세탁조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수 모터(1000)는 세탁기에 설치될 때, 제1 하우징(710)이 세탁조의 하부에 맞대어지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커넥터 수용부(724)에 형성되는 구멍(724H)은 하방을 향해 개방되므로, 세탁조 하부에서 생기는 수분이 상기 구멍(724H)을 통해 배수 모터(1000)의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700) 내부에 배치되는 중지판(500)을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하우징(710)의 내부에는 제2 하우징(720)을 향해 개방되는 핀 구멍(718)이 형성되며, 제2 하우징(720)의 내부에는 핀 구멍(71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하우징(710)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핀(728)이 구비된다. 중지판(500)은 복수의 핀(728)에 끼워져 하우징(700) 내에서 위치 고정되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이 결합될 때 복수의 핀(728)이 복수의 핀 구멍(718)에 끼워짐에 따라 하우징(700) 내에서 흔들림 없이 보유 지지된다.
제1 하우징(710)에 있어서, 제2 하우징(720)을 향하는 내면에는, 후술하는 기어 조립체(220)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홈이 형성되며, 기어홈 내에는 기어 조립체(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 회전축 일단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하우징(700)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부품들의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700) 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부품들, 즉 레버(100), 구동부(20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 중지판(500) 및 회로 기판(600)은 배수 모터(1000)를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우징(700) 내에서 배치되며, 간편한 조립을 위해 하우징(700) 내의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보유 지지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레버(100)는 대략 바(bar)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선단부(100F)와, 구동부(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랙기어(110)가 구비되는 후단부(100R)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버(100)의 후단부(100R)에는, 레버(100)가 중지판(500) 상에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방(LD) 및 전후방(FD/RD)으로 개방되어 레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홈(120)이 형성된다.
구동부(200)는 구동 모터(210)의 구동력을 레버(100)에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220)와, 기어 조립체(220)의 회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30)를 더 포함한다. 외부 커넥터(10)를 통해 배수 모터(1000)에 공급되는 전원은 구동 모터(210)와 솔레노이드 밸브(23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30)는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모터(21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모터 본체(211)와, 모터 본체(211)의 일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단자(212) 및 모터 본체(211)의 타단에 구비되는 구동축(213)을 포함한다.
기어 조립체(220)는 구동 모터(210)의 구동축(213)에 결합되는 입력기어(221A)를 포함하는 복수의 감속기어(221)와, 복수의 감속기어(221)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는 출력기어(222)를 포함한다. 출력기어(222)는 감속기어(221)와 맞물리는 평기어(222A)와, 평기어(222A)에 축결합된 피니언기어(222B)를 포함하며, 피니언기어(222B)는 레버(100)의 랙기어(110)와 맞물린다. 평기어(222A)와 피니언기어(22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조립체(220)는 출력기어(222)에 축결합되는 캠링(223)을 더 포함한다. 캠링(223)은 피니언기어(222B)를 기준으로 평기어(222A)와 반대되는 출력기어(222)의 단부에 축결합되며, 출력기어(2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스위치(400)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조립체(220) 중 적어도 감속기어들(221)은 중지판(500)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30)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편의 측에 배치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230)가 중지판(500)의 상방(TD)에 배치되는 경우, 감속기어들(221)은 중지판(500)의 하방(LD)에 배치된다. 출력기어(222)의 경우는, 감속기어들(2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부[평기어(222A)]가 중지판(500)의 하방(LD)에 배치되고, 전달받은 회전력을 레버(1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나머지 일부[피니언기어(222B)]가 중지판(500)의 상방(TD)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출력기어(222)는 중지판(5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기어 조립체(220)는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움직임에 의해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는 클러치(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224)는 솔레노이드 밸브(230)에 의해 눌리는 경우, 클러치(224)와 동일 회전축 상에 있는 감속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동되며,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클러치(224)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서로 맞물린 감속기어들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동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3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231), 바디(231) 내에서 이동하는 샤프트(232), 샤프트(232)의 일단에 연결되는 플런저(233), 자기력을 통해서 샤프트(232)를 이동시키는 코일(234) 및 코일(234)이 감기는 보빈(235)을 포함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230)는 코일(2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보빈(235)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단자(236)를 가진다. 솔레노이드 밸브(230)는 한 쌍의 단자(236)를 통해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단자(300)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300)는 중간부(310)와, 중간부(310)의 양단에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중간부(310)를 기준으로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는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전원 단자(300)는 비대칭 형상을 가진다. 전원 단자(300)는 중지판(500)에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전원 단자(300)는 중지판(500)에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고, 압입 과정에서 휘어짐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 굵기의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 단자(300) 중 적어도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는 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위치(400)는 접점식 스위치로서, 금속 재질의 고정편(410)과, 고정편(410)으로 휘어져 고정편(410)에 접촉되거나 휘어지기 전의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어 고정편(410)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금속 재질의 가동편(420)을 포함한다. 고정편(410)의 일단에는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절곡부(411)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가동편(420)의 일단에는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절곡부(421)가 구비된다. 고정편(410)에 구비되는 절곡부(411)의 길이, 가동편(420)에 구비되는 절곡부(421)의 길이는, 회로 기판(600)에 대한 고정편(410), 가동편(42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
일 실시예의 배수 모터(1000)는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과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부품들이 중지판(500)을 기준으로 하우징(700) 내에서 다른 공간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배수 모터(1000)에 있어서,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및 스위치(400)는 중지판(500)의 상방이나 측방에 배치되고, 기어 조립체(220)의 감속기어들(221)은 중지판(500)의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배치 구조를 채용하여, 중지판(500)은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의 단자(즉, 절곡부(411, 421))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를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600)을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의 단자와 바로 접촉하도록 하우징(700) 내부에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는, 횡방향으로의 면적이 작은 중지판(500)에 의해서도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 및 기어 조립체(220)를 보유 지지할 수 있어서, 배수 모터(1000)를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에 채용되는 중지판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중지판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지판(500)은 솔레노이드 밸브(230)가 삽입되는 제1 수용부(510), 구동 모터(210)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520), 전원 단자(300)가 삽입되는 제3 수용부(530) 및 스위치(400)가 삽입되는 제4 수용부(5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지판(500)은 제1 수용부(510) 주위에 제2 수용부(520), 제3 수용부(530), 제4 수용부(5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수용부(510)는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부(510)는 제1 측벽(511) 내지 제4 측벽(514), 바닥벽(515)을 갖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측벽(511)과 제2 측벽(512)은 레버(1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전후방향(FD/RD)]에서 서로 대향하고, 제3 측벽(513)과 제4 측벽(514)은 레버(10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우 방향(LSD/RSD)]에서 서로 대향한다. 바닥벽(51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샤프트(232) 또는 샤프트(232)에 결합되는 부품이 클러치(224)를 누를 수 있도록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구(515H)가 형성된다.
중지판(500)은 제1 수용부(510)의 상방(TD)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600)을 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한다. 이를 위해 중지판(500)은 제1 수용부(510)의 가장자리에서 상방(TD)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핀(516c)을 가진다. 회로 기판(600)에는 위치 결정용 핀(516c)에 대응하는 구멍(632)이 형성된다(도 12 참조). 회로 기판(600)은 한 쌍의 위치 결정용 핀(516c)에 끼워져 중지판(500) 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중지판(500)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핀(516c)과 함께 회로 기판(600)을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돌기(516a, 516b)가 구비된다. 지지돌기(516a, 516b) 및 위치 결정용 핀(516c)에 의해 지지되는 회로 기판(600)은, 그 아래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플런저(233)가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수용부(5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제2 수용부(520)는 제1 수용부(510)의 제1 측벽(511)에서 후방(RD)으로 돌출한다. 제2 수용부(520)는 구동 모터(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동 모터(210)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2 수용부(520)의 바닥벽(521)에는, 구동 모터(210)의 구동축(213)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구(521H)가 형성된다.
제3 수용부(530)는 제1 수용부(510)의 제3 측벽(513)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전원 단자(300)를 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수용부(530)는 제1 수용부(510)의 일 측면, 즉 제3 측벽(513)에 형성되는 제1 단자 고정부(531)와, 제1 수용부(510)의 제3 측벽(513)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 커넥터(10)가 접촉될 수 있는 소켓홈(532H)을 형성하는 제2 단자 고정부(532)와, 제2 단자 고정부(532)를 제1 수용부(51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533)를 포함한다. 제1 단자 고정부(531)에는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가 압입되며, 제2 단자 고정부(532)에는 전원 단자(300)의 제2 연장부(330)가 압입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원 단자(300)를 지지 보유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510)의 제3 측벽(513)에 3개의 제1 단자 고정부(53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단자 고정부(532)는 하우징(700) 내에서 커넥터 수용부(724)와 커넥터 커버부(714)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4 수용부(540)는 제1 수용부(510)의 제4 측벽(514)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4 수용부(540)는, 중지판(500)에 형성되는 제1 고정 블록(541)과, 제1 고정 블록(541)에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 블록(542)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541)과 제2 고정 블록(542) 각각에 하나씩의 스위치(4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4 수용부(540)는 한 쌍의 스위치(400)를 상하로 이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블록(541) 및 제2 고정 블록(542) 각각에는, 스위치(400)의 고정편(410)과 가동편(420) 각각을 끼울 수 있는 2개의 끼움홈(543)이 형성된다. 고정편(410)과 가동편(420) 각각은 절곡부(411, 421)가 형성된 일단이 제1 수용부(510)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끼움홈(543)에 끼워진다. 끼움홈(543)에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부(543A)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편(410)과 가동편(420)은 벤딩부(543A)에서 구부러진 상태로 끼움홈(543)에 끼워진다. 따라서, 얇은 두께의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고정편(410)과 가동편(420)은 구부러지기 전의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끼움홈(543) 내에 밀착되어 끼움홈(543)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중지판(500)에는, 캠링(223)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400)의 가동편(420)이 고정편(410)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도록, 제4 수용부(540)와 인접한 위치에서 출력기어(222)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56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의 중지판(500)에는, 제4 수용부(540)의 전방(FD)으로 구멍(560)이 형성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지판(500)에는 하우징(700)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700) 내에 형성되는 핀(728)이 끼워질 수 있는 장착구(570)가 중지판(500)의 코너부 각각에 형성된다.
중지판(500)은 제1 수용부(510)와 제4 수용부(540) 사이에 배치되어 레버(100)의 슬라이딩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550)를 더 포함한다. 중지판(500)의 일면에서 상방(TD)으로 돌출하는 레일부(550)는 전후 방향(FD/RD)으로 연장한다. 레일부(550)는 레버(100)의 후단부(100R)에 형성되는 레일홈(1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레일홈(120)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레버(100)는 구동 시 레일부(550)에 의해 직선 이동이 가이드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지판(500)에는, 중지판(500)의 좌우측 방향(LSD/RSD)에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레일부(550)가 전후 방향(FD/RD)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중지판(500)에는, 레일부(550)의 우측방(RSD)으로 제4 수용부(540)와, 출력기어(222)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560)이 형성되고, 레일부(550)의 좌측방(LSD)으로는 제2 수용부(520)와 제3 수용부(530)가 주위에서 돌출되는 제1 수용부(5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지판(500)의 구조에 따르면, 하우징(700)의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하우징(700)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레버(100)가 인출 또는 인입되므로, 세탁기의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레버(10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30)를 중심으로 그 주위에 구동 모터(21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즉, 회로 기판(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공간상 서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되지 않으므로, 배수 모터(1000)를 용이하게 콤팩트화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 중 솔레노이드 밸브(230)가 중앙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수용부(510) 아래쪽에 클러치(224) 및 감속기어들(221)을 하우징(700) 내에서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모터(1000)는 하우징(700) 내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콤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다.
중지판(500)에 있어서, 제1 수용부(510), 제2 수용부(520), 제4 수용부(540)는 각각에 대응하는 부품을 삽입시킬 수 있는 부분이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중지판(500)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솔레노이드 밸브(230), 구동 모터(210), 스위치(400)를 한 방향에서 중지판(500)에 삽입시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230)를 중심으로 그 주위에 구동 모터(21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이들 부품들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600)에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의 단자를 바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도선을 사용하여 부품들의 단자와 회로 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수 모터(1000)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배수 모터(1000)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중지판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보유 지지된 중지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중지판(500)에 있어서, 제1 수용부(51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가 상방(TD)을 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30)가 삽입된다. 또한, 제2 수용부(520)에는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가 상방(TD)을 향하도록 구동 모터(210)가 삽입된다. 또한, 제3 수용부(530)에는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가 상방(TD)을 향하도록 압입된다. 또한, 제4 수용부(540)에는 스위치(400)의 고정편(410)과 가동편(420) 각각에 형성되는 절곡부(411, 421)가 상방(TD)을 향하도록 삽입된다. 즉,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 스위치(400)의 단자[절곡부(411, 421)]가 모두 일 방향을 향하도록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는 중지판(500)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중지판(500)에 의해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그 위쪽으로 회로 기판(600)이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 스위치(400)의 절곡부(411, 421)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도 5 참조). 회로 기판(600)의 위치는 중지판(500)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핀(516c)에 의해 정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단자(300)를 중지판(500)에 고정시킬 때, 제1 연장부(320)는 중지판(500)의 하방(LD)에서 제1 단자 고정부(531)로 압입된다. 제1 연장부(320)는 그 선단이 제1 단자 고정부(531)의 상방(TD)으로 빠져나와 회로 기판(6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압입된다(도 5 참조). 제2 연장부(330)는 중지판(500)의 하방(LD)에서 제2 단자 고정부(532)로 압입된다. 제2 연장부(330)는 외부 커넥터(10)와의 접속을 위해 소켓홈(532H) 내에 노출된다(도 13 참조). 연결부(533)를 가로지르는 전원 단자(300)의 중간부(310)는 연결부(533)의 하방(LD)으로 노출된다(도 11 참조). 전원 단자(300)의 조립 시, 중간부(310)에 힘을 가해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를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단자 고정부(531)와 제2 단자 고정부(532)에 동시에 압입시킬 수 있다.
전원 단자(300)는 별도의 도선 없이 제1 연장부(320)가 회로 기판(600)에 바로 연결된다. 배수 모터(1000)에는 외부 커넥터(10)가 자주 접속되거나 접속 해제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전원 단자(300)와 회로 기판(600)의 연결 부위에 접촉 불량을 야기시키는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도선 없이 전원 단자(300)를 중지판(500)에 고정시키고, 회로 기판(600)에 대해서는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전원 단자(300)의 다른 부품과의 접속 또는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에워싸는 에워싸는 압입 구조로 중지판(500)이 형성된다. 즉, 중지판(500)의 제3 수용부(530)에 형성된 제1 단자 고정부(531)는 전원 단자(300) 중 회로 기판(600)과 접촉되는 제1 연장부(320)의 선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에워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중지판(500)의 제3 수용부(530)에 형성된 제2 단자 고정부(532)는 외부 커넥터(10)와의 접속을 위해 소켓홈(532H) 내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2 연장부(330)를 에워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 13 참조).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300)는, 배수 모터(10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외부 커넥터(10)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제2 연장부(330)가 제1 연장부(320)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를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단자 고정부(531)와 제2 단자 고정부(532)에 동시에 압입시킬 수 있도록,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3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 단자(300)를 채용하는 배수 모터(1000)의 경우, 외부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제2 연장부(330)는 세탁기에 설치되는 배수 모터(1000)에 있어서 그 선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원 단자(300)와 외부 커넥터(10)의 접속 부위 및 배수 모터(1000)의 내부에 대한 침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중지판(500)에는 한 쌍의 스위치(400)가 상하로(TD/LD)로 이격된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한 쌍의 스위치(400) 중 상방(TD)에 배치되는 스위치(400A)는 중지판(500)으로부터 하방(LD)에 배치되는 스위치(400B)보다 회로 기판(600)에 더 가깝게 위치되므로, 스위치(400A)의 고정편(410)과 가동편(420) 각각에 구비되는 절곡부(411, 421)의 길이는 스위치(400B)의 고정편(410)과 가동편(420) 각각에 구비되는 절곡부(411, 4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도 6 참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회로 기판(600)에는, 중지판(500)의 제1 수용부(510)에 대응하는 중앙부(610)에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가 접촉되는 구멍(611)이 형성된다. 또한, 회로 기판(600)에는 중지판(500)의 제2 내지 제4 수용부(520 내지 540)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부(620 내지 640)에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가 접촉되는 구멍(621),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가 접촉되는 구멍(631), 스위치(400)의 절곡부(411, 421)가 접촉되는 구멍(641)이 각각 형성된다. 회로 기판(600)과의 접촉 시,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20), 스위치(400)의 절곡부(411, 421)는 대응하는 구멍(611, 621, 631, 641)에 적어도 일부가 회로 기판(600)의 상방(TD)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1000)의 조립 시, 중지판(500)에 의해 구동 모터(210), 솔레노이드 밸브(230),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가 견고하게 보유 지지되고, 구동 모터(210)의 단자(212), 솔레노이드 밸브(230)의 단자(236), 전원 단자(300), 스위치(400)의 단자가 흔들림 없이 회로 기판(600)에 접촉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을, 예컨대 자동 용접 장치를 사용하여 한 번에 스팟 용접시킬 수 있어서, 배수 모터(1000)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배수 모터(1000)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배수 모터(1000)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700)은 연결부(533)와 대향하는 내면에서 돌출하는 단자 접촉 돌기(7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700)의 커넥터 커버부(714)에 단자 접촉 돌기(740)가 구비된다(도 2 참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의 결합 시, 단자 접촉 돌기(740)는 전원 단자(300)의 중간부(310)에 접촉된다. 이러한 단자 접촉 돌기(740)는, 배수 모터(1000)에 외부 커넥터(10)가 접속될 때 제3 수용부(530)에 압입된 전원 단자(300)가 외부 커넥터(1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3 수용부(530)로부터 임의로 (압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원 단자(300)와 회로 기판(600)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레버 110: 랙기어
200: 구동부 210: 구동 모터
220: 기어 조립체 222: 출력기어
230: 솔레노이드 밸브 300: 전원 단자
400: 스위치 410: 고정편
420: 가동편 500: 중지판
510: 제1 수용부 520: 제2 수용부
530: 제3 수용부 540: 제4 수용부
600: 회로 기판 700: 하우징
710: 제1 하우징 720: 제2 하우징
740: 단자 접촉 돌기 1000: 배수 모터

Claims (14)

  1. 세탁기의 배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로서,
    상기 배수 밸브와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외부 커넥터와 접속되기 위한 전원 단자와,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상기 레버, 상기 구동부,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를 보유 지지하는 중지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레버에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와,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의 회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자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중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구동 모터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제3 수용부와, 상기 스위치가 삽입되는 제4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지 제4 수용부들은 상기 제1 수용부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양단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 중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압입되는 제1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는 소켓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압입되는 제2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2 단자 고정부와 상기 제1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수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을 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배수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회로 기판을 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핀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배수 모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기어 조립체 중 적어도 감속기어들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편의 측에 배치되는, 배수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은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4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지판에는 상기 제4 수용부와 인접하여 상기 기어 조립체 중 출력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는, 배수 모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대향하는 내면에서 돌출하는 단자 접촉 돌기를 갖는, 배수 모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스팟 용접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의 단자,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스위치 단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자가 끼워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배수 모터.
KR1020170010381A 2017-01-23 2017-01-23 배수 모터 KR10256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81A KR102566462B1 (ko) 2017-01-23 2017-01-23 배수 모터
PCT/KR2017/014629 WO2018135759A1 (ko) 2017-01-23 2017-12-13 배수 모터
CN201780074794.8A CN110036150B (zh) 2017-01-23 2017-12-13 排水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81A KR102566462B1 (ko) 2017-01-23 2017-01-23 배수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61A KR20180086661A (ko) 2018-08-01
KR102566462B1 true KR102566462B1 (ko) 2023-08-11

Family

ID=6290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81A KR102566462B1 (ko) 2017-01-23 2017-01-23 배수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66462B1 (ko)
CN (1) CN110036150B (ko)
WO (1) WO201813575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360A (ja) * 2005-07-26 2007-02-08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893A (ja) * 2000-03-02 2001-09-14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ギヤードモータ
KR100781253B1 (ko) * 2001-12-27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배수모터 구조
KR100781252B1 (ko) 2001-12-27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배수모터 구조
CN1521349A (zh) * 2003-02-14 2004-08-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全自动洗衣机的排水电机的构造
KR20060085804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44282B1 (ko) * 2012-04-02 2013-12-23 주식회사 에스 씨디 프릭션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JP6446196B2 (ja) * 2014-07-28 2018-12-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排水弁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360A (ja) * 2005-07-26 2007-02-08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61A (ko) 2018-08-01
CN110036150B (zh) 2021-07-27
CN110036150A (zh) 2019-07-19
WO2018135759A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537B2 (ja) 電磁弁
JP6191794B1 (ja)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08041665A (ja) リレー
US6140896A (en) Electro-mechanical reversing contactor with a single, common base
JP2022141410A (ja) 電磁継電器
KR100561294B1 (ko) 전자 계전기
KR102566462B1 (ko) 배수 모터
WO2015122266A1 (ja) コネクタ
JP6929821B2 (ja) 電気コネクタ
US4969844A (en) Electromagnetic contector
CN110970266A (zh) 电磁继电器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KR100924878B1 (ko) 전자계전기
KR101093380B1 (ko) 스위치 장치
US6870450B2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in particular a contactor
WO2011021333A1 (ja) 電磁接触器
JP4575849B2 (ja) シフトスイッチ
JP2002056744A (ja) スイッチ装置
CN102598186A (zh) 可逆电磁接触器
KR100507361B1 (ko) 전자접촉기
KR20180104470A (ko) 배수 모터
CN101276706B (zh) 电动机械的开关装置
JP5104825B2 (ja) 電磁接触器
KR20160003380U (ko) 기판 조립체의 유동 방지 기능을 갖는 전자 접촉기
KR10257095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