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86B1 - 튀김기 - Google Patents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86B1
KR102564486B1 KR1020230018900A KR20230018900A KR102564486B1 KR 102564486 B1 KR102564486 B1 KR 102564486B1 KR 1020230018900 A KR1020230018900 A KR 1020230018900A KR 20230018900 A KR20230018900 A KR 20230018900A KR 102564486 B1 KR102564486 B1 KR 10256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fryer
heat storage
oil tan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훈수
구영숙
Original Assignee
(주)바른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른씨엔씨 filed Critical (주)바른씨엔씨
Priority to KR102023001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조의 튀김 공간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히팅봉과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를 내장하며 히팅봉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 축열부를 구비하여, 히팅봉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가열과 축열부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리고기와 같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은 튀김 재료를 부분적으로 타거나 덜 익지 않고 재료 전체에 걸쳐서 고른 튀김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튀김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튀김기 {FRYER}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조의 튀김 공간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히팅봉과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를 내장하며 히팅봉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 축열부를 구비하여, 히팅봉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가열과 축열부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리고기와 같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은 튀김 재료를 부분적으로 타거나 덜 익지 않고 재료 전체에 걸쳐서 고른 튀김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오리는 깃털이 물에 잘 젖지 않고 물 위에 잘 떠다닐 수 있도록 몸에 지방층의 비율이 높다. 이로 인해 식용으로 이용되는 오리고기에는 지방층의 비율이 높다. 일반적으로 오리고기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돼지고기의 두 배, 닭고기의 다섯 배, 소고기의 열 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층의 비율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오리고기는 구이, 탕, 훈제, 수육 등과 같이 기름을 제거하기 용이한 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날개 부위 이외에는 튀김 방식으로 조리하는 경우가 흔하지 않다.
한편, 프라이드 치킨과 같은 튀김 요리의 경우, 튀김 재료가 타지 않을 정도의 높은 기름온도에서 빠른 시간내에 튀기고, 튀김 중에는 튀김용 기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요리의 맛을 살릴 수 있다.
그런데, 프라이드 치킨 등에 사용하는 종래의 튀김기는 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고 가스 가열식으로 제작되어 히터 조작에 의한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이뤄지므로, 오리고기를 튀김 조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오리고기는 닭고기보다 더욱 고온에서 더 긴 시간동안 튀김 조리를 해야하는데, 종래의 튀김기를 이용하는 경우 오리고기의 살코기 부분이 골고루 익기 전에 주로 피하에 위치한 지방층이 고온의 튀김용 기름에 의해 쉽게 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튀김기를 이용하는 경우 냉장 상태의 오리고기를 고온의 튀김용 기름에 투입 시에 튀김용 기름의 온도가 갑작스럽게 낮아지게 되어 기름의 온도를 원상태로 올리기 위해 열원 소모가 많아지고 튀김의 맛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자동 온도 제어 방식의 튀김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자동 온도 제어 방식의 튀김기는 온도 제어의 편리함 및 정확함을 위해 가스 가열식이 아닌 전기 가열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기 가열식 튀김기는 가열 성능의 차이로 인해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가스 가열식 튀김기에 비해 1.5 배 정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74607 (2022.03.10)의 튀김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튀김기는 튀김 본체부의 튀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히팅봉과 상기 히팅봉의 상부 측 위치에서 상기 튀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축열봉을 포함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튀김기는 축열봉이 히팅봉의 상부 측 위치에 설치되므로, 히팅봉의 열이 튀김 대상물을 가열하기 전에 축열봉을 먼저 가열하게 되며, 이로 인해 튀김 대상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하는데 한계점이 있었으며, 유조 내에서의 튀김용 기름의 열순환 흐름이 복잡하여 튀김 대상물의 조리 상태가 부분적으로 균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74607 (2022.03.10)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39229호(2013.0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조의 튀김 공간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히팅봉과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를 내장하며 히팅봉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 축열부를 구비하여, 히팅봉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가열과 축열부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리고기와 같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은 튀김 재료를 부분적으로 타거나 덜 익지 않고 재료 전체에 걸쳐서 고른 튀김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측벽부와 바닥부로 둘러싸이고 상부 측이 개방된 튀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에 튀김용 기름을 저장하는 유조; 상기 튀김 공간의 하부 측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봉 구간이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 히팅봉; 및 상기 히팅봉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튀김 공간의 하부 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봉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를 내장한 구조로 구성된 축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튀김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봉은, 세라믹 발열체를 가지며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의 튀김용 기름에 상기 세라믹 발열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밀봉 처리된 전기 히팅봉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 소재는 장석(長石)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조는 적어도 4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는 상기 유조의 내측면 중 적어도 3개의 내측면과 횡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구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히팅봉을 적어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조는 4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4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는 "ㄷ" 자형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히팅봉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봉은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여 상기 튀김 공간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도록 하며, 상기 축열부는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고 상기 유조의 내측면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튀김용 기름과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봉은 상기 축열부와 열전달을 하고 횡방향 이동한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여 상기 튀김 공간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부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유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의 상하 폭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부의 상하 폭 및 좌우 폭은 각각,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의 상하 폭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유조가 내설되는 튀김기 본체; 상기 유조의 일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튀김망의 거치가 가능하고,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이 가능한 튀김망 거치대; 및 상기 유조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기 튀김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튀김망 거치대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튀김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체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보다 더 상부 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체인을 지지하는 피동 스프로켓; 상기 튀김기 본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상하 이동 시에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튀김기 본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튀김망 거치대는, 상기 유조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승강부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봉; 상기 구동봉과 연결되며 튀김망의 거치를 위해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 내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과 연결되며 튀김망의 걸고리가 거치 결합 가능하도록 횡방향 배치된 거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 소재는 장석(長石), 맥반석 및 반려암 중의 어느 하나에 기반한 축열 소재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히팅봉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가열과 축열부에 의한 튀김용 기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리고기와 같이 지방층의 비율이 높은 튀김 재료를 부분적으로 타거나 덜 익지 않고 재료 전체에 걸쳐서 고른 튀김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좌측 방향 단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배면 방향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축열부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히팅봉의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제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튀김 상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 소재로 사용되는 장석 파쇄물(a) 및 장석 입자(b)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a)와 비교예의 튀김기(b)를 통해 오리고리를 튀김 조리하는 과정의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a)와 비교예의 튀김기(b)를 통해 튀긴 오리고기 튀김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좌측 방향 단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배면 방향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축열부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히팅봉의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튀김기(F)는 유조(10), 튀김기 본체(40), 히팅봉(20) 및 축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조(10)는 측벽부(11)와 바닥부(12)로 둘러싸이고 상부 측이 개방된 튀김 공간(10a)을 구비하며, 상기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튀김용 기름(2)을 저장한다. 일예로, 상기 유조(10)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튀김기 본체(40)에는 상기 유조(10)가 내설된다. 일예로, 상기 튀김기 본체(40)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유조(10)를 둘러싸는 외벽체의 내부에 단열재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기 본체(40)는 조리 편의를 위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튀김기 본체(40)는 상기 유조(10) 하부에 사용 후의 튀김용 기름(2)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드레인부는, 상기 유조(10) 중앙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관(90), 상기 드레인관(90)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 온/오프 밸브(92), 상기 드레인 온/오프 밸브(9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연결봉(96) 및 이에 연결된 조작 핸들(94)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조작 핸들(94)은 상기 튀김기 본체(40)의 전면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팅봉(20)은 상기 튀김 공간(10a)의 하부 측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봉 구간(20a)이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일예로, 복수의 봉 구간(20a)은 직선형의 봉 구간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U"자형 히팅봉(20)은 병렬 배치된 2개의 직선형의 봉 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병렬 배치된 복수의 "U"자형 히팅봉(20)은 2개 보다 더 많은 개수의 직선형의 봉 구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히팅봉(20)은 "I" 자형 또는 그 이외의 배치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히팅봉(20)은 복수의 봉 구간(20a)이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튀김 공간(10a)의 하부 측 공간을 가로질러 평면 형태의 히팅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봉(20)은 전기 히팅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히팅봉(20)은 세라믹 발열체(22)를 가지며 상기 튀김 공간(10a)의 내부의 튀김용 기름(2)에 상기 세라믹 발열체(22)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금속 소재(24)로 밀봉 처리된 전기 히팅봉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기 히팅봉과 유사한 제어가 가능하다면 전기 히팅봉 이외의 히팅봉이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U"자형 히팅봉(20)이 설치되는 경우, 히팅봉(20)의 전극(26)은 유조(10)의 일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제어부(80)를 통해 유조(10) 외부의 전원 공급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열부(30)는 상기 히팅봉(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튀김 공간(10a)의 하부 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봉(20)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케이싱(31) 내부에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32)를 내장한 구조로 구성된다(도 6 참조).
상기 축열부(30)가 상기 히팅봉(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부분을 갖는다는 것은, 도 3과 같은 측면도의 시점에서 상기 히팅봉(20)의 상하 폭의 일부가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튀김기(F)는,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이 상기 히팅봉(20)의 상하 폭(직경)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봉(20)은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의 중간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상기 축열부(30)와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축열부(30)의 케이싱(31)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의 금속 판재로 제작되거나, 스틸 소재의 금속 판재로 제작되어 외부 코팅(31a)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도 6 참조). 일예로, 외부 코팅 처리는 플라즈마 용사 코팅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 소재(32)는 장석(長石)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일 수 있다. 장석(長石)은 화강암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칼륨, 나트륨, 칼슘을 함유한 알루미늄 망상 규산염 광물로 지각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조암 광물이다. 장석(長石)의 모스 굳기는 6이고, 비중은 2~2.7으로 토양 성분과 비슷한 수치를 보인다.
또다른 일예로서, 상기 축열 소재는 장석(長石) 성분을 포함하는 광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열 소재는 맥반석 및 반려암 중의 어느 하나에 기반한 축열 소재일 수 있다.
일예로서, 축열 소재(32)로 사용되는 장석(長石)은 장석을 반정으로 포함하는 맥반석(장석반암)일 수 있다. 반암(Porphyry)은 세립질 내지 유리질의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석기(groundmass)내에 육안으로 확실하게 식별되는 상대적으로 커다란 결정인 반정(phenocryst)이 들어 있는 화성암을 말한다. 장석반암은 맥반석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또다른 일예로서, 축열 소재(32)로 사용되는 장석(長石)은 장석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암일 수 있다. 반려암은 주로 휘석과 Ca-사장석 및 소량의 각섬석 내지는 감람석으로 구성된 녹흑색의 조립등립질 화성암이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장석(長石) 성분을 포함하는 광물이 본 실시예의 튀김기(F)의 축열 소재로서 적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부(30)의 상단부(30a)의 높이(a2)는, 상기 유조(10)의 바닥면(12a)을 기준으로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상하 폭(a1)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유조(10)의 바닥면(12a)을 기준으로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상하 폭(a1)이 30 cm 인 경우, 상기 축열부(30)의 상단부(30a)의 높이(a2)는 5 ~ 7.5 cm 가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도 6 및 도 9 참조). 상기 유조(10)의 바닥면(12a)이 평면이 아닌 경우(예, 중앙의 드레인관 측이 더 낮은 경우), 상기 유조(10)의 바닥면(12a)은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위치(예, 모서리 측)를 기준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a3) 및 좌우 폭(a4)은 각각,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상하 폭(a1)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상하 폭(a1)이 30 cm 인 경우,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a3) 및 좌우 폭(a4)은 각각 5 ~ 7.5 cm 가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도 6 및 도 9 참조).
일예로, 본 실시예의 상기 축열 소재(32)는 장석(長石)을 축열부(30)의 케이싱(31) 내부에 장입이 가능한 크기로 파쇄한 파쇄물(32a) 및/또는 입자(32b)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축열부(30)의 상하 폭(a3) 및 좌우 폭(a4)이 각각 5 cm, 5 cm 인 경우, 장석(長石)은 5 cm × 5 cm 의 단면적에 장입이 가능한 크기의 파쇄물(32a)과 그 사이 공간을 채우는 입자(32b)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입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파쇄물(32a) 또는 입자(32b)만을 축열부(30)의 케이싱(31) 내부에 장입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축열 기능의 효율성을 감안할 때, 파쇄물(32a)과 그 사이 공간을 채우는 입자(32b)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튀김기(F)의 유조(10)와 히팅봉(2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유조(10)는 적어도 4개의 내측면(11a)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30)는 상기 유조(10)의 내측면(11a) 중 적어도 3개의 내측면(11a)과 횡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구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히팅봉(20)을 적어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다른 일예로, 히팅봉(20)의 전극(26)의 설치 공간 및 위치가 확보된다면, 상기 축열부(30)는 상기 유조(10)의 내측면(11a) 중 4개 내측면(11a)과 횡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구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히팅봉(20)을 측면 4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히팅봉(20)의 전극(26)은 축열부(3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히팅봉(20)의 일부가 축열부(30)의 일측을 관통하고 히팅봉(20)의 전극(26)이 유조(10)의 일측면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예로, 상기 유조(10)는 4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4개의 내측면(11a)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30)는 "ㄷ" 자형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히팅봉(20)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4에 이러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열부(30)가 상기 히팅봉(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튀김 공간(10a)의 하부 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축열부(30)가 적어도 3개의 방향에서 상기 히팅봉(20)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2)의 가열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축열을 통한 온도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되어, 예를 들어, 오리고기의 튀김 조리 시에 오리고기의 살코기 부분이 골고루 익고 부분적으로 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튀김기(F)는 튀김망 거치대(50)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튀김망 거치대(50)는 상기 유조(10)의 일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 내부에 위치하는 튀김망(70)의 거치가 가능하고, 승강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구동부(60)는 상기 유조(10)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설치되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50)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부(8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튀김망 거치대(50)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구동부(60)는 다음과 같은 상세 구성을 갖는다.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구동모터(61)가 설치된다. 일예로, 구동모터(61)는 상기 유조(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높이 관점에서 유조(10)의 하부 측 위치 또는 상기 유조(10)보다 더 하부 위치에서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마련된 설치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구동모터(61)는 감속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체인(66)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켓(62)이 설치된다. 구동 스프로켓(62)은 상기 구동모터(61) 또는 감속기어의 출력 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켓(62)보다 더 상부 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체인(66)을 지지하는 피동 스프로켓(63)이 설치된다. 피동 스프로켓(63)은 구동 스프로켓(62)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조(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높이 관점에서 상기 유조(10)의 상부 측 위치에서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마련된 설치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체인(66)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66)의 상하 이동 시에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50)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부(64)가 설치된다. 일예로, 승강부(64)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의 부호 64b는 체인(66)의 일 지점을 승강부(64)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이다.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64)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64)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65)이 설치된다. 가이드봉(65)은 상기 체인(66)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튀김기 본체(40)에 마련된 설치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봉(65)은 좌우 양측으로 2 개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부호 64a는 가이드봉(65)이 상기 승강부(64)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 가이드부이다.
상기 튀김망 거치대(50)는 다음과 같은 상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유조(10)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승강부(64)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봉(51)이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구동봉(51)은 가이드봉(65)의 좌우 외측 양측으로 2 개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봉(51)의 하단부는 상기 승강부(64)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64)와 함께 승강이동한다.
상기 구동봉(51)과 연결되며 튀김망(70)의 거치를 위해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 내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52)이 구비된다. 일예로, 연장봉은 "┐"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가 상기 구동봉(51)의 상단부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봉(51)이 좌우 양측으로 2 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연장봉(52)도 좌우 양측으로 2 개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장봉(52)과 연결되며 튀김망(70)의 걸고리(72)가 거치 결합 가능하도록 횡방향 배치된 거치봉(53)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봉(52)이 좌우 양측으로 2 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봉(53)은 좌측 연장봉(52)과 우측 연장봉(52)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횡방향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구동봉(51)이 상기 승강부(64)와 함께 승강이동 시에 튀김망(70)의 걸고리(72)가 거치 결합된 거치봉(53)이 승강이동하여, 튀김망(70)이 상기 유조(10)의 튀김 공간(10a) 내부에서 승강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4)의 승강 이동 시에, 상기 승강부(64) 및 튀김기 본체(40)에 각각 설치된 위치 센서(82)를 통해 승강부(64)의 위치가 감지되며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모터(61)의 회전 구동을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튀김기(F)는 다음과 같은 튀김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튀김용 기름(2)을 채우고 제어부(80)를 조작하여 히팅봉(20)을 온(on) 조작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히팅봉(20)은 상기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2)을 가열시키고, 히팅봉(20) 상측에서 가열된 튀김용 기름(2)은 상기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f1)한다. 본 실시예의 히팅봉(20)은 복수의 봉 구간(20a)이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튀김 공간(10a)의 하부 측 공간을 가로질러 평면 형태의 히팅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히팅 영역의 상측에서 가열된 튀김용 기름(2)은 상기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f1)한다.
히팅봉(20) 상측에서 상승 이동한 튀김용 기름(2)은 유조(10)의 상부 측에서 유조(10)의 내측면(11a)으로 이동(f2)하고, 유조(10)의 내측면(11a)을 따라 히팅봉(20)의 외측에 위치한 축열부(30) 측을 향해 하향 이동(f3)한다. 상기 축열부(30)는 상기 히팅봉(20)을 적어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히팅봉(20)이 이루는 히팅 영역의 상측에서 가열된 튀김용 기름(2)은 히팅봉(20)을 적어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 축열부(30) 측을 향해 분산하여 하향 이동(f3)한다.
축열부(30) 측을 향해 하향 이동(f3)한 튀김용 기름(2)은 축열부(30)에 열전달을 하며, 이를 통해 축열부(30) 내부의 축열 소재(32)는 전달된 열을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이 이뤄지는 동안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상한 온도(예, 170 ℃)로 가열되면 유조(1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값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히팅봉(20)을 오프(off) 조작한다.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상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가 제어부(8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온도 설정은 제어부(80)를 통해 할 수 있다.
이후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상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를 인지한 조리자는 제어부(80)의 시간 설정 기능을 통해 튀김 시간을 설정하거나, 튀김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설정된 튀김 시간의 시작 또는 입력된 튀김 조리 개시 명령에 의해 히팅봉(20)의 온(on)/오프(off) 조작이 제어되거나, 승강구동부(60)의 하강/상승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우선, 승강구동부(60)의 하강/상승 동작 없이 일반 모드로 튀김 조리를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모드 설정은 제어부(80)를 통해 할 수 있다.
튀김용 기름(2)이 가열된 상태에서 조리자가 튀김 대상물(예, 오리고기)을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있는 튀김용 기름(2)에 집어 넣는다. 일예로, 튀김 대상물(1)은 튀김망(70)의 내부에 담은 상태로 튀김용 기름(2)에 집어 넣을 수 있다.
이후 조리자는 제어부(80)를 통해 튀김 시간 설정 또는 튀김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한다.
조리 개시 조작(예, 시간 카운팅 시작 또는 제어부 조리 개시 입력) 이후, 히팅봉(20)은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2)을 가열하여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한다.
이 과정에서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온도(예, 165 ℃)보다 낮아지면 유조(1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값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히팅봉(20)을 온(on) 조작한다. 반대로,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상한 온도(예, 170 ℃)보다 높아지면 유조(1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값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히팅봉(20)을 오프(off) 조작한다.
튀김 조리 과정에서, 축열부(30)는 미리 축열된 상태이므로,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하고 유조(10)의 내측면(11a)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튀김용 기름(2)과 열전달을 하여, 튀김용 기름(2)의 급격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히팅봉(20)은 축열부(30)와 열전달을 하고 횡방향 이동한 튀김용 기름(2)을 다시 가열하여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한다.
조리 종료 조작(예, 시간 카운팅 종료 또는 제어부 조리 종료 입력)에 따라, 히팅봉(20)은 오프(off) 조작이 이뤄진다.
조리자는 튀김 조리된 튀김 대상물을 유조(10)의 튀김 공간(10a)으로부터 건져 낸다.
다음으로, 승강구동부(60)의 하강/상승 동작이 있는 승강 모드로 튀김 조리를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튀김용 기름(2)이 가열된 상태에서 조리자가 튀김 대상물(예, 오리고기)을 승강구동부(60)의 튀김망 거치대(50)에 거치된 튀김망(70)에 집어 넣는다. 이때, 튀김망(70)이 거치된 튀김망 거치대(50)는 유조(10) 내부의 튀김용 기름(2)에 침지된 하강 상태를 갖거나 튀김용 기름(2)에 침지되지 않은 상승 상태를 초기 상태로 가질 수 있다.
조리자는 제어부(80)를 통해 튀김 시간 설정 또는 튀김 조리 개시 명령을 입력한다.
조리 개시 조작(예, 시간 카운팅 시작 또는 제어부 조리 개시 입력) 이후, 히팅봉(20)은 튀김 공간(10a)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2)을 가열하여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한다.
일예로, 튀김망(70)이 거치된 튀김망 거치대(50)가 유조(10) 내부의 튀김용 기름(2)에 침지된 하강 상태를 초기 상태로 갖는 경우에는, 튀김망 거치대(50)의 하강 동작 없이 히팅봉(20)의 온 동작이 이뤄진다.
다른예로, 튀김망(70)이 거치된 튀김망 거치대(50)가 유조(10) 내부의 튀김용 기름(2)에 침지되지 않은 상승 상태를 초기 상태로 갖는 경우에는, 튀김망 거치대(50)의 하강 동작이 이뤄지고 나서 히팅봉(20)의 온 동작이 이뤄진다.
튀김 과정에서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온도(예, 165 ℃)보다 낮아지면 유조(1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값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히팅봉(20)을 온(on) 조작한다. 반대로, 튀김용 기름(2)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튀김 적정 상한 온도(예, 170 ℃)보다 높아지면 유조(1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8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값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80)는 히팅봉(20)을 오프(off) 조작한다.
튀김 조리 과정에서, 축열부(30)는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하고 유조(10)의 내측면(11a)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튀김용 기름(2)과 열전달을 하여, 튀김용 기름(2)의 급격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히팅봉(20)은 축열부(30)와 열전달을 하고 횡방향 이동한 튀김용 기름(2)을 다시 가열하여 튀김 공간(10a)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1)을 가열 조리한다.
조리 종료 조작(예, 시간 카운팅 종료 또는 제어부 조리 종료 입력)에 따라, 히팅봉(20)은 오프(off) 조작이 이뤄지고, 승강구동부(60)가 동작하여 튀김망(70)이 거치된 튀김망 거치대(50)가 유조(10) 내부의 튀김용 기름(2)의 상부로 상승한다.
조리자는 튀김 조리된 튀김 대상물이 담긴 튀김망(70)을 튀김망 거치대(50)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튀김기를 통해 튀김 조리된 오리고기의 외관 및 풍미 등을 관능평가를 통해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a)와 비교예의 튀김기(b)를 통해 오리고리를 튀김 조리하는 과정의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1)에 따른 튀김기(a)와 비교예(비교예1)의 튀김기(b)를 통해 튀긴 오리고기 튀김의 사진이다.
<실시예 1>
원료 오리고기, 튀김가루(백설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약 1 ℃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냉장 숙성하였다. 이후, 상기 냉장 숙성된 원료 오리고기를 165 ℃의 온도에서 본 실시예의 튀김기에 투입하여 8분 동안 튀긴 후 1분 튀김망에 거르고 자연 식힘 후 다시 3분 동안 튀김 조리하였다.
<실시예2>
원료 오리고기, 튀김가루(백설표) 및 잔량의 정제수를 실시예1과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약 1 ℃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냉장 숙성하였다. 이후, 상기 냉장 숙성된 원료 오리고기를 165 ℃의 온도에서 본 실시예의 튀김기에 투입하여 8분 동안 튀긴 후 1분 튀김망에 거르고 자연 식힘 후 다시 6분 동안 튀김 조리하였다.
<비교예 1>
원료 오리고기, 튀김가루(백설표) 및 잔량의 정제수를 실시예1과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약 1 ℃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냉장 숙성하였다. 이후, 상기 냉장 숙성된 원료 오리고기를 165 ℃의 온도에서 일반 가스튀김기(BBQ사 GENESIS 튀김기)에 투입하여 8분 동안 튀긴 후 1분 튀김망에 거르고 자연 식힘 후 다시 3분 동안 튀김 조리하였다. 일반 가스튀김기는 가스 연소열에 의해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와 같은 축열소재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다.
<비교예 2>
원료 오리고기, 튀김가루(백설표) 및 잔량의 정제수를 실시예1과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약 1 ℃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냉장 숙성하였다. 이후, 상기 냉장 숙성된 원료 오리고기를 165 ℃의 온도에서 일반 가스튀김기(BBQ사 GENESIS 튀김기)에 투입하여 8분 동안 튀긴 후 1분 튀김망에 거르고 자연 식힘 후 다시 6분 동안 튀김 조리하였다.
상기 실시예1,2 및 비교예1,2를 통해 튀김 조리된 오리고기의 각각에 대해 외관(appearance), 풍미(flavor), 연도(tenderness), 육즙(gravy), 잡냄새(smells) 및 이들 항목을 종합한 전반적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 대해 9점 척도법(1점: 매우 나쁨 ~ 9점: 매우 좋음)에 따라 9점을 만점으로 하여 10명의 평가자가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실시예1), 표 2(실시예2), 표 3(비교예1), 표 4(비교예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 내지 표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튀김기를 이용하여 조리된 실시예1,2의 오리고기 튀김은 일반 가스튀김기를 이용하여 조리된 비교예1,2의 오리고기 튀김과 비교하여, 외관(appearance), 풍미(flavor), 연도(tenderness), 육즙(gravy), 잡냄새(smells) 및 이들 항목을 종합한 전반적 기호도(overall acceptance)의 항목에서 모두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2: 튀김용 기름
10: 유조
10a: 튀김 공간
11: 측벽부
12: 바닥부
20: 히팅봉
30: 축열부
31: 케이싱
32: 축열 소재
40: 튀김기 본체
50: 튀김망 거치대
51: 구동봉
52: 연장봉
53: 거치봉
60: 승강구동부
61: 구동모터
66: 체인
62: 구동 스프로켓
63: 피동 스프로켓
64: 승강부
65: 가이드봉
70: 튀김망
80: 제어부
F: 튀김기

Claims (13)

  1. 측벽부와 바닥부로 둘러싸이고 상부 측이 개방된 튀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에 튀김용 기름을 저장하는 유조;
    상기 튀김 공간의 하부 측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봉 구간이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 히팅봉; 및
    상기 히팅봉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튀김 공간의 하부 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하 폭의 일부가 상기 히팅봉의 상하 폭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히팅봉을 측면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 광물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를 내장한 구조로 구성된 축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튀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봉은, 세라믹 발열체를 가지며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의 튀김용 기름에 상기 세라믹 발열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밀봉 처리된 전기 히팅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소재는 장석(長石) 성분에 기반한 축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조는 적어도 4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는 상기 유조의 내측면 중 적어도 3개의 내측면과 횡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구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히팅봉을 적어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조는 4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4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는 "ㄷ" 자형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히팅봉을 측면 3개 방향에서 횡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봉은 상기 튀김 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여 상기 튀김 공간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도록 하며,
    상기 축열부는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하고 상기 유조의 내측면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튀김용 기름과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봉은 상기 축열부와 열전달을 하고 횡방향 이동한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여 상기 튀김 공간의 상부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튀김 대상물을 가열 조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유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의 상하 폭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부의 상하 폭 및 좌우 폭은 각각,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의 상하 폭의 1/4 ~ 1/6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조가 내설되는 튀김기 본체;
    상기 유조의 일측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튀김망의 거치가 가능하고,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이 가능한 튀김망 거치대; 및
    상기 유조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기 튀김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튀김망 거치대를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튀김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체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보다 더 상부 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체인을 지지하는 피동 스프로켓;
    상기 튀김기 본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상하 이동 시에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튀김망 거치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튀김기 본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망 거치대는,
    상기 유조의 외부의 일측 위치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승강부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봉;
    상기 구동봉과 연결되며 튀김망의 거치를 위해 상기 유조의 튀김 공간 내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과 연결되며 튀김망의 걸고리가 거치 결합 가능하도록 횡방향 배치된 거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소재는 장석(長石), 맥반석 및 반려암 중의 어느 하나에 기반한 축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KR1020230018900A 2023-02-13 2023-02-13 튀김기 KR10256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900A KR102564486B1 (ko) 2023-02-13 2023-02-13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900A KR102564486B1 (ko) 2023-02-13 2023-02-13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486B1 true KR102564486B1 (ko) 2023-08-07

Family

ID=8756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900A KR102564486B1 (ko) 2023-02-13 2023-02-13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JP2013039229A (ja) 2011-08-16 2013-02-28 Nasakoa Kk フライヤ
KR102374607B1 (ko) 2021-07-20 2022-03-16 주식회사 바른피티에스 튀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JP2013039229A (ja) 2011-08-16 2013-02-28 Nasakoa Kk フライヤ
KR102374607B1 (ko) 2021-07-20 2022-03-16 주식회사 바른피티에스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39219U (zh) 炸锅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3432642A (en) Cooking pan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of dietetic and nondietetic foods
KR102564486B1 (ko) 튀김기
CN102325486A (zh) 内加热式电烧烤炉
KR20060128428A (ko) 고기구이테이블
KR102083784B1 (ko) 시간 조절이 가능한 튀김망 상하 이송장치
KR102154970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101315389B1 (ko)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CN206777233U (zh) 一种自动化烧烤机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2261778B1 (ko) 확장 사용이 가능한 가열장치
CN105557786B (zh) 一种煎包机
KR101304222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보온조리용기
CN204047755U (zh) 油炸机
KR100993106B1 (ko) 튀김기
CN105662177B (zh) 一种简易煎包机及内煎包的制作方法
CN205357957U (zh) 一种节能型食品油炸装置
KR101432685B1 (ko) 오리진흙구이장치
KR101953255B1 (ko)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US4920872A (en) Apparatus for cooking corn on the cob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RU2230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