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965B1 -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 Google Patents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965B1
KR102563965B1 KR1020230024498A KR20230024498A KR102563965B1 KR 102563965 B1 KR102563965 B1 KR 102563965B1 KR 1020230024498 A KR1020230024498 A KR 1020230024498A KR 20230024498 A KR20230024498 A KR 20230024498A KR 102563965 B1 KR102563965 B1 KR 10256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spiral
concret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이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4Charge or discharge systems therefor
    • B28C5/4244Discharging; Concrete conveyor means, chutes or spou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4Supply means incorporated in, or mounted on,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 B28C7/162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by means of conveyors, other than those comprising skips or containers, e.g. endless belts, screws, air under pressure
    • B28C7/167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by means of conveyors, other than those comprising skips or containers, e.g. endless belts, screws, air under pressure by means of a screw convey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 물, 라텍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류의 강도와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로 포장을 위해 시멘트, 골재, 물, 라텍스 등을 섞어서 만든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둘레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궤적을 따라 나선부(21)가 이어지고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세워진 다수 개의 포스트(11)들에 의해 나선부(21)를 지지하는 스크류(20)와,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과 나선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스크류(20)의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공간부(3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에는 인접하는 나선부(21)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바(40)와, 이 고정바(40)의 중간에 위치 고정되며 양쪽 나선부(21)의 나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간날개(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AUGER SCREW FOR ROAD PAVING EQUIPMENT}
본 발명은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 물, 라텍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류의 강도와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전함과 더불어 차량의 이용률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안전을 위하여 많은 교량 및 도로의 건설과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도로건설 시 사용되는 교량 및 도로 포장방법으로서는 기초가 되는 노반 및 두께 2~10cm 정도의 표층을 가진 아스팔트 포장 또는 노반과 그 위의 콘크리트판으로 이루어지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교량이란 하천, 해안, 도로 등의 상부를 지나갈 수 있도록 가설된 고가 구조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교량의 표면에 차량 등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포장공사를 함으로써 교면(橋面) 포장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교면 포장은 교통 하중을 직접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이에 적합한 강도 및 균열 저항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물론, 빗물 등의 수분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방수 성능이 요구되며, 특히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의해 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염소이온 투수성이 요구된다.
보통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을 위한 시공 시에는 교통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시공을 위해 초속경 콘크리트를 시멘트를 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초속경 콘트리트 믹싱 플랜트를 트레일러(Trailer) 형태나 차량 탑재 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생산된 양질의 초속경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재 형태의 교량 도로 포장설비가 주로 이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도로 포장설비에는 시멘트, 골재(모래, 자갈), 물, 라텍스를 저장하기 위한 각각의 탱크, 이렇게 저장한 초속경 콘트리트를 신속하게 혼합하면서 교량 등의 도로에 포설하기 위한 오거 스크류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와 같은 시공 시에는 초속경 콘트리트는 빠르게 굳는 속성상 신속하게 혼합해야 하는 점, 또 뭉친 것 없이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해야 하는 점, 또 혼합할 때 사용하는 오거 스크류의 경우 골재와의 마찰 등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용이한 유지 보수성을 갖춰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4182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53870호 등록특허공보 제10-2221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87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량 도로 등의 도로 포장 시공을 위한 초속경 콘크리트의 혼합 시 콘크리트를 풀어 헤쳐주면서 혼합하는 믹싱구조와 콘크리트를 이송시켜주면서 혼합하는 스크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스크류 파트와 샤프트 파트 간에 공간 영역을 조성하여 믹싱 효과 및 압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류를 구현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동시에 압축 강도를 높여 콘크리트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소재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류의 강도와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도로 포장을 위해 시멘트, 골재, 물, 라텍스 등을 섞어서 만든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둘레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궤적을 따라 나선부(21)가 이어지고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세워진 다수 개의 포스트(11)들에 의해 나선부(21)를 지지하는 스크류(20)와,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과 나선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스크류(20)의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공간부(3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에는 인접하는 나선부(21)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바(40)와,
이 고정바(40)의 중간에 위치 고정되며 양쪽 나선부(21)의 나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간날개(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40)는 나선부(21)에 뚫어지는 구멍(23) 위치로 관통시키게 하고 나사부(41)에 너트(42)가 나사 체결되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중간날개(50)는 양단에 칼날부(51)가 형성되고 한쌍의 고정바(40)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된다.
상기 고정바(40)에 위치 고정되는 중간날개(50)는 나선부(21)의 각 피치(pitch) 사이로 다수개 설치된다.
또, 콘크리트를 풀어헤쳐서 혼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축방향 믹싱바(14)와 원주방향 믹싱바(15)를 각각 더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량 도로 등의 도로 포장 시공 시 콘크리트를 풀어 헤쳐주면서 혼합하는 믹싱바와 고정바에 설치된 중간날개를 통해 콘크리트 소재들을 혼합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둘째, 도포포장의 시공성 향상과 포장 품질(예컨대, W/C가 줄어들어 포장 품질을 높일 수 있다)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크류 파트와 샤프트 파트 간에 공간 영역을 조성하고, 이렇게 조성한 공간 영역을 따라 콘크리트 혼합물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믹싱 효과 향상과 더불어 콘크리트 압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등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압축강도가 높고 재료 분리 현상, 즉 블리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재료(시멘트)의 양을 줄이면서도 동일한 품질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 스크류 대비 폭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 오거 스크류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고(기존 오거 스크류 대비 경량으로 탈부착이 쉽다), 따라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성이 좋고 취급이 쉬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기존 오거 스크류는 날개 안쪽에 시멘트가 뭉쳐 청소에 어려움이 있다).
여섯째, 오거 스크류가 경량이므로 이것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예를 들면 모터, 펌프, 엔진 등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등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오거 스크류의 날개부 사이를 고정바로 연결하고 그 중간에 중간날개를 더 설치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시멘트, 골재, 물, 라텍스 등을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도로에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신속하게 혼합하면서 이송 및 배출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오거 스크류를 이용하면 콘크리트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결국 공기 단축은 물론 우수한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둘레에서 샤프트 길이방향으로 나선형 궤적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샤프트(1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다수 개의 포스트(11)들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스크류(2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0)는 모터나 엔진 등과 같은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스크류(20)와 함께 회전하는 축이다.
상기 스크류(20)는 콘크리트를 이송시켜주면서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크류(20)는 소정 피치로 나선부(21)가 나선형을 이루면서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포스트(11)들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는 원형의 핀 형태로 되어 있는 포스트(11)가 용접에 의해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포스트(11)의 상단부에는 스크류(20)의 나선형태로 선회되는 나선부(21)가 용접으로 고정 설치 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1)는 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소정의 간격, 예를 들면 스크류(20)의 1피치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스크류(20)의 나선부(21) 중간 중간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며, 이때의 포스트(11)의 상단부가 스크류(20)의 후면을 받쳐줌으로써 전면으로 콘크리트를 밀어내면서 힘을 받는 스크류(20)는 뒷쪽에서 버티고 있는 포스트(11)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20)는 샤프트(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콘크리트를 섞어줌과 더불어 콘크리트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이송시켜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샤프트(10)가 회전하게 되면, 콘크리트는 스크류(20)에 의해 한쪽 방향, 즉 배출구(미도시)가 있는 쪽을 향해 밀려나면서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되는 과정 중에 콘크리트가 혼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과 스크류(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샤프트(10) 및 스크류(20)의 전체 길이구간에 걸쳐 나선부(21) 사이에서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크류(20)는 샤프트(10)와 동축 구조를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샤프트(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샤프트(10)의 외주면과 스크류(20)의 나선부(21) 내주면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 즉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공간부(13)는 샤프트(10) 및 스크류(20)의 전체 길이구간에 걸쳐 연통되면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0)의 회전 시 스크류(20)에 의해 콘크리트가 섞이면서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는 스크류(20)에 의해 앞쪽으로 밀림과 더불어 일부의 콘크리트는 공간부(13)를 통과하면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스크류(20)의 전면에 의해 밀려나는 콘크리트와 공간부(13)를 통과하는 콘트리트 간에 간섭이나 충돌이 일어나면서 콘크리트가 서로 부딪치며 눌려지게 되고, 그 결과 콘크리트가 압축되면서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스크류(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혼합 및 이송시키고, 이와 함께 공간부(13)를 통해 콘크리트를 압축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믹싱 효과가 향상되고 콘크리트 압축 강도 또한 증대되는 등 우수한 콘크리트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압축강도를 높일 수 있고, 재료분리(블리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재료(시멘트)의 양을 줄이면서도 동일한 품질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콘크리트를 뒤집어주고 풀어헤쳐서 혼합하는 수단으로서,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축방향 믹싱바(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축방향 믹싱바(14)와 분리된 위치에는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는 구조로 원주방향 믹싱바(1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축방향 믹싱바(14) 및 원주방향 믹싱바(15)는 콘크리트, 예를 들면 시멘트, 물, 라텍스, 골재(모래+자갈) 등이 혼합되어 있는 콘크리트를 풀어 헤쳐주면서 고르게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 축방향 믹싱바(14)는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원주방향 믹싱바(15)는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서 샤프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는 원호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축방향 믹싱바(14) 및 원주방향 믹싱바(15)는 도면에서와 같이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용접으로 견고히 고정 부착된 브라켓트에 육각볼트 또는 접시머리볼트에 의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0)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때, 축방향 믹싱바(14)와 원주방향 믹싱바(15)가 각각 샤프트(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콘크리트를 섞어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축방향 믹싱바(14) 및 원주방향 믹싱바(15)는 서로 엉켜있거나 뭉쳐있는 콘크리트를 타격하면서 풀어 헤쳐줄 수 있고, 또 나선형 형태의 궤적이나 지그재그 형태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배치 특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축방향 믹싱바(14)는 도면에서와 같이 "ㄱ"자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축방향 믹싱바(14)와 원주방향 믹싱바(15)는 2개의 부내들로 분할 성형한 후 단부 한쪽면에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축방향 믹싱바(14) 및 원주방향 믹싱바(15)는 콘크리트 이송방향을 기준할 때 샤프트(10)의 길이 전단 구간 및/또는 중간 구간 및/또는 후단 구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0)의 전단 구간으로 공급된 콘크리트는 스크류(20)와 축방향 믹싱바(14) 및 원주방향 믹싱바(15)들에 의해 풀어 헤쳐지면서 고르게 혼합됨과 더불어 배출측으로 이송된 후에 최종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는 콘크리트를 직접 가압하면서 밀어내는 수단으로 나선부(21)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별도의 보강편을 덧데어서 보강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 보강편들은 서로 연이어지면서 스크류(20)의 나선부(21) 궤적과 같이 전체적으로 나선형 궤적을 이루게 되며, 스크류(20)의 구조적인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보강편들은 장기간 사용에 따라 마모되거나 파손되면 볼트와 너트를 풀고 새것으로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스크류(20)의 나선부(21) 사이로 고정바(4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중간날개(50)를 더 설치하여 콘크리트가 보다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나선부(21)의 강도를 대폭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류(20)에는 인접하는 나선부(21)들 사이로 한쌍의 고정바(40)를 후술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하고, 이 고정바(40)의 중간에 위치로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된 중간날개(50)를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중간날개(50)는 양쪽에 위치되는 나선부(21)의 나선 곡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게 설치되며, 고정바(40)의 중간 위치로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류(20)와 함께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40)는 양단에 나사부(41)가 마련되는 봉 형상으로 스크류(20)의 나선부(21)에 뚫어지는 구멍(23) 위치로 관통시키게 하고 나사부(41)에 복수의 너트(42)들이 나사 체결되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중간날개(50)는 회전되는 방향 또는 양단에 각각 칼날부(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바(40)를 통해 위치 고정되는 중간날개(50)는 나선부(21)의 각 피치(pitch) 사이로 다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도로 포장 시공을 위한 초속경 콘크리트를 혼합하기 위해 샤프트(10)와 함께 스크류(20)를 구동시킬 때 중간날개(50) 및 고정바(40)들에 의해 뭉쳐져 있는 콘크리트를 풀어 헤쳐주면서 더 빠른 시간에 균일하고 고르게 혼합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중간날개(50)의 단부에 형성된 칼날부(51)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를 풀어 헤여주는 과정에서 저항을 줄이게 됨과 아울러, 나선부(21) 사이를 고정바(40)들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콘크리트의 혼합과정에서 큰 부하가 발생되더라도 나선부(21)의 변형이나 고장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오거 스크류(100)가 구비되어 있는 도로 포장설비(110)를 차량(120)에 탑재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차량(120)의 적재함 상에 시멘트 탱크(130), 물 탱크(140), 라텍스 탱크(150), 골재 탱크(160)가 설치되고, 차량 후단부에는 오거 스크류(100)가 수용되어 있는 스크류 케이싱(170)이 설치된다.
이때의 오거 스크류(100)를 포함하는 스크류 케이싱(170) 전체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 시 오거 스크류(100) 및 스크류 케이싱(170)은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고, 미사용 시 오거 스크류(100) 및 스크류 케이싱(170)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일반 도로는 물론 교량 도로 등의 포장 시공 시 시멘트 탱크(130), 물 탱크(140), 라텍스 탱크(150), 골재 탱크(160)에서 일정량의 시멘트, 물, 라텍스,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콘크리트가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스크류 케이싱(170)의 내부로 공급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크류 케이싱(170)의 내부로 공급된 콘크리트는 샤프트(10)의 전단 구간에서 스크류(20) 및 믹싱바(14)에 의해 풀어 헤쳐지면서 혼합됨과 더불어 이송되고, 연이어 배치되는 샤프트(10)의 중간 구간 및 후단 구간에서도 스크류(20)와 믹싱바(14)에 의해 혼합되면서 이송된 후에 최종 배출되어 도로 상에 포설된다.
이때, 상기 오거 스크류(100)에 의해 혼합 및 이송되는 콘크리트는 믹싱바(14)와 스크류(20)에 의해 타격되거나 풀어 헤쳐지면서 혼합되므로,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신속한 혼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또 뭉침없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되는 한편, 특히 콘크리트가 스크류(20)와 샤프트(10) 사이의 공간부(13)를 통과하면서 충돌, 지체, 체류 등의 압력을 받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가 증대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우수한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교량 도로 등의 도로 포장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혼합 시 콘크리트를 풀어 헤쳐주면서 혼합하는 믹싱바 파트와 콘크리트를 이송시켜주면서 혼합하는 스크류 파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고정바와 중간날개에 의해 콘크리트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압축 강도를 높여 콘크리트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포장 도로의 우수한 내구성 및 용이한 유지관리는 물론, 시공성 향상과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샤프트
11 - 포스트
14 - 축방향 믹싱바
15 - 원주방향 믹싱바
20 - 스크류
21 - 나선부
23 - 구멍
30 - 공간부
40 - 고정바
41 - 나사부
50 - 중간날개
51 - 칼날부

Claims (5)

  1. 도로 포장을 위해 시멘트, 골재, 물, 라텍스 등을 섞어서 만든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둘레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궤적을 따라 나선부(21)가 이어지고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세워진 다수 개의 포스트(11)들에 의해 나선부(21)를 지지하는 스크류(20)와,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과 나선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스크류(20)의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공간부(3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에는 인접하는 나선부(21)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바(40)와,
    이 고정바(40)의 중간에 위치 고정되며 양쪽 나선부(21)의 나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간날개(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40)에 위치 고정되는 중간날개(50)는 나선부(21)의 각 피치(pitch) 사이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40)는 나선부(21)에 뚫어지는 구멍(23) 위치로 관통시키게 하고 나사부(41)에 너트(42)가 나사 체결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날개(50)는 양단에 칼날부(51)가 형성되고 한쌍의 고정바(40)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풀어헤쳐서 혼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축방향 믹싱바(14)와 원주방향 믹싱바(15)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20230024498A 2022-09-01 2023-02-23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2563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00 2022-09-01
KR20220110900 2022-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965B1 true KR102563965B1 (ko) 2023-08-09

Family

ID=8756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498A KR102563965B1 (ko) 2022-09-01 2023-02-23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6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32A (ja) * 1996-10-29 1998-05-19 Jidosha Seiko Kk 攪拌装置に於ける攪拌軸の軸受装置
KR200279879Y1 (ko) 2002-03-07 2002-07-02 인성산업 주식회사 경화제 분사기능을 구비한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기
JP2008006256A (ja) * 2006-06-29 2008-01-17 Terada Tekkosho:Kk バイオトイレの撹拌装置形状
KR101541825B1 (ko) 2014-10-24 2015-08-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형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753870B1 (ko) 2016-07-29 2017-07-04 국도건설(주)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KR20180033220A (ko) * 2015-07-17 2018-04-02 이비르컴 에스. 아. 유기 및 무기 고체 도시 폐기물을 골재로 변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21474B1 (ko) 2020-09-18 2021-03-02 윤현 초조강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 시공방법
KR102270569B1 (ko) * 2020-07-06 2021-06-28 구성현 이종 이상의 투입물 혼합 효율을 향상시킨 혼합기
KR102292963B1 (ko) * 2020-11-20 2021-08-23 윤일중 폐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회수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35603B1 (ko) * 2021-07-26 2021-12-06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교량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32A (ja) * 1996-10-29 1998-05-19 Jidosha Seiko Kk 攪拌装置に於ける攪拌軸の軸受装置
KR200279879Y1 (ko) 2002-03-07 2002-07-02 인성산업 주식회사 경화제 분사기능을 구비한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기
JP2008006256A (ja) * 2006-06-29 2008-01-17 Terada Tekkosho:Kk バイオトイレの撹拌装置形状
KR101541825B1 (ko) 2014-10-24 2015-08-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형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20180033220A (ko) * 2015-07-17 2018-04-02 이비르컴 에스. 아. 유기 및 무기 고체 도시 폐기물을 골재로 변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53870B1 (ko) 2016-07-29 2017-07-04 국도건설(주)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KR102270569B1 (ko) * 2020-07-06 2021-06-28 구성현 이종 이상의 투입물 혼합 효율을 향상시킨 혼합기
KR102221474B1 (ko) 2020-09-18 2021-03-02 윤현 초조강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 시공방법
KR102292963B1 (ko) * 2020-11-20 2021-08-23 윤일중 폐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회수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35603B1 (ko) * 2021-07-26 2021-12-06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교량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426B2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US9422681B2 (en) Interlocking highway barrier structure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US8069519B2 (en) Bridge decking panel with fastening systems and method for casting the decking panel
JP6839530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製造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
KR102563965B1 (ko)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2335603B1 (ko) 교량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1788581B1 (ko)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EP2491182B1 (de) Fahrzeugrückhaltesystem mit beschwerungskörper
EP2172594A2 (de) Anschluss für eine Verkehrsleitwand
CN208604499U (zh) 限制局部开裂的内置式混凝土梁桥钢混锚固件
KR200481162Y1 (ko) 믹서 트럭의 믹서 드럼용 가변형 고정구조
JP2003034912A (ja) 防護柵
KR101077780B1 (ko) 초속경 콘크리트 및 폴리머개질 콘크리트용 토출 겸용 혼합기
KR101843979B1 (ko) 기존도로 또는 도로진입 토공과의 접속을 위한 가설교량의 범용적 가변 거더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EP2236675A2 (en) Barrier comprising barrier element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arrier elements to and from each other
KR100393269B1 (ko) 교량 상판 가설용 튜브 구조체
US20110254192A1 (en) Structural Components fabricated from waste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60096285A1 (en) Bucket Mixing System
EP2505721B1 (de) Straßenaufsatz
CN206143930U (zh) 一种可拆卸装配式钢筋混凝土柱与钢梁连接节点
KR200291501Y1 (ko) 비탈면 점검로
CN220813277U (zh) 车辆通过装置
CN206205768U (zh) 组合式悬挂爬梯
JP2003268735A (ja) 道路の防護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