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870B1 -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870B1
KR101753870B1 KR1020160097528A KR20160097528A KR101753870B1 KR 101753870 B1 KR101753870 B1 KR 101753870B1 KR 1020160097528 A KR1020160097528 A KR 1020160097528A KR 20160097528 A KR20160097528 A KR 20160097528A KR 101753870 B1 KR101753870 B1 KR 10175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noise
circuit
signal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현
Original Assignee
국도건설(주)
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도건설(주), 윤현 filed Critical 국도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09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절삭단계, 제2 절삭단계, 타설단계, 마감단계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보수공정 중 개질 초속경콘크리트, 물, 골재 및 지연재의 비율을 최적화하여 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MAINTENAN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DECK PAVEMENT SURFACE USING A TEMPO CONCRETE PATH}
본 발명은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절삭단계, 제2 절삭단계, 타설단계, 마감단계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보수공정 중 개질 초속경콘크리트, 물, 골재 및 지연재의 비율을 최적화하여 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용중인 도로의 교통차단을 전제로 하는 맨홀 및 도로의 보수공사는 도로정체와 더불어 이용자의 많은 불편을 야기하므로, 주로 교통량이 적은 야간이나 새벽 시간에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타설 후 3 ~ 4 시간 내에 교통을 개방해야 하는바 긴급보수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초속경 모르타르가 사용된다.
초속경 모르타르는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초속경 시멘트는 제클링커의 소성온도가 1,200~1,350℃로 낮아 제조가 용이하고, 포틀랜드 시멘트와 석고, 혼화제 등의 조합비율을 적정하게 맞출 경우에 초기강도 발현성이 우수하고 장기강도도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초속경 시멘트는 강도발현이 빠른 장점에 반해 초속경 시멘트의 구성광물들이 내수성, 내동해성, 장기내구성 등에 있어서,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취약하므로, 보수 후에도 재보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취약한 초속경 모르타르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943312호 같이 수성 폴리머의 일종인 아크릴 또는 SB에멀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배합된 폴리머 초속경 모르타르나 아윈계 클링커라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3CaOㅇ3Al2O3ㅇCaSO4)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한 초속경 모르타르가 보수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속경 모르타르들은 배합설계상 상당한 고가의 초속경 시멘트가 조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여러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재령 3~4시간이 경과했을 때 일반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180kgf/㎠ 이상의 압축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맨홀 및 도로 보수공사에 있어서, 통상 재령 4시간이 경과했을 때 240Kgf/㎠ 이상으로 과도한 압축강도가 발현되는 고가의 초속경 시멘트의 사용은 공사비용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교통의 정체를 최소화 함과 아울러 신속한 시공에 의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나 교량의 포장을 신속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한 공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 절삭단계, 제2 절삭단계, 타설단계, 마감단계, 양생단계를 거치면서 도로 및 교량의 보수를 하고, 보수 공정에 사용되는 포장도료를 초속경콘크리트, 물, 골재 및 지연재의 비율을 최적하하여 형성함에 따라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은
포장면부를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절삭하는 제1 절삭단계;
상기 1차 절삭이 완료된 포장면부를 분쇄 및 절삭하여 시공면을 준비하는 제2 절삭단계;
상기 제2 절삭단계에 의해 준비된 시공면에 포장도료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타설된 포장도료의 상면을 평편하게 마감하는 마감단계;
상기 마감된 포장재료를 양생하는 양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도료는
물, 초속경콘크리트, 골재, 아크릴라텍스 및 지연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은
제1 절삭단계, 제2 절삭단계, 타설단계, 마감단계, 양생단계를 거치면서 도로 및 교량의 보수를 하고, 보수 공정에 사용되는 포장도료를 초속경콘크리트, 물, 골재 및 지연재의 비율을 최적하하여 형성함에 따라 신속하게 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의 공정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절삭부재의 동작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절삭부재의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의 공정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바닥면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이하 설명의 편의상 보수시공방법이라 명명함)은 교량의 바닥면이나 포장도로의 노면을 보수하기 위한 수시공방법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보수시공방법은 제1 절삭단계(M1), 제2 절삭단계(M2), 타설단계(M3), 마감단계(M4), 양생단계(M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 절삭단계(M1)는 도로에 포장된 포장면부를 제거하도록 포장면부를 절삭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장면부는 도로면에 포장되는 통상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절삭단계(M1)에서 사용되는 장비로는 절삭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삭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포장면부를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절삭부는 종래의 기 공지된 절삭기, 또는 타설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제2 절삭단계(M2)는 상기 제1 절삭단계(M1)를 거친 포장면부를 분쇄,절삭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절삭단계(MM)에서는 상기 제1 절삭단계(M1) 후 절삭되거나 파쇄된 포장면부를 재차 워터제트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과 아울러 분쇄 및 절삭하게 된다.
상기한 제2 절삭단계(M2)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 절삭단계(M1)에 사용되는 절삭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2 절삭단계(M2) 이후에는 포장도료를 타설하는 타설단계(M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타설단계(M3) 전에 포장도료를 타설하기 위해 시공면을 깨끗하게 하는 단계들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이러한 단계로서, 절삭폐기물수거단계를 거칠 수 있는 데, 상기 절삭폐기물수거단계는 상기 제2 절삭단계(M2)를 거친 분쇄,절삭된 포장면부의 폐기물을 수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절삭단계(M2)를 거치면서 도로에 배치되는 폐기물을 수거하는 것으로, 상기 절삭폐기물수거단계에 사용되는 장비로는 진공청소트럭이 사용되어, 진동으로 폐기물 및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진공청소트럭에는 진공흡착부 이외에 한쌍의 블러쉬부가 마련되어 블러쉬부로 폐기물 및 이물질을 한곳으로 모은 후 진공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공준비마감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단계는 잔해물이 제거된 도로의 시공면의 이물질을 흡입함과 아울러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삭폐기물수거단계에서는 덩어리 형태의 폐기물을 수거하게 되며, 상기 시공준비마감단계에서는 워터제트 파쇄기로 고여 있는 물이나 부스러기 형태의 폐기물을 진공청소트럭으로 흡입한 후 포장면부가 제거된 도로를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포장도료를 준비하는 도료준비단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포장도료를 혼합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포장도료는 물, 초속경콘크리트, 골재, 아크릴라텍스 및 지연재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도료는 물, 초속경콘크리트, 골재, 아크릴라텍스, 크랙방지를 위한 식물성화이바, 작업성 향상을 위한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Me) 및 지연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잔골재의 직경이 10mm이하 굵은골재는 10mm ~ 19mm이며, 상기 골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잔골재는 55중량%와 상기 굵은골재 45중량%의 비율로 혼합시켜, 상기 포장도료를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속경콘크리트는 초속경시멘트 또는 제트시멘트로 불리우는 시멘트는 1~5종까지의 포틀랜드시멘트와는 다른 특수시멘트로 조강보통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콘크리트의 경우 타설후 실용강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1~2일정도 걸리는 반면에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는 타설 후 2~3시간이면 실용강도를 나타내므로 장기간에 걸쳐서도 안정된 강도발현이 지속된다. 이러한, 초속경콘크리트는 하절기 및 춘.추절기 시공에 적합한 일반용과 저온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동절기용으로 구분하여 생산된다. 또한, 칼슘 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다량으로 함유, 물과 반죽하면 '에트린자이트'라는 수화광물을 형성하여 급속한 강도 발현 및 수화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안정된 강도 발현을 할뿐 아니라 포틀랜트 시멘트의 주광물인 '알라이트'의 반응으로 강도가 초조강으로 발현된다. 상기한, 초속경콘크리트의 특성 및 용도는 응결시간 조절이 가능하고, 수축 및 블리딩이 거의 없
으며 지속적인 강도발현이 되며, 긴급을 요하는 시멘트 공사 (고속도로, 고가도로, 교량 등 긴급보수)에 사용된다.
상기 타설단계(M3)는 상기 시공준비마감단계를 거친 도로의 시공면에 상기 포장도료를 타설하는 단계이고, 이렇게 타설단계(M3)를 마치면 마감단계(M4)를 통하여 타설된 상기 포장도료의 상면을 평편하게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한 마감단계(M4)에서 사용되는 장비로는 롤러가 사용되며, 평탄화 장비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양생단계(M5)는 상기 마감단계를 거친 상기 포장도료를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양생단계(M5)에는 상기 포장도료에 초속경콘크리트가 포함되어있어, 상기 마감단계를 거쳐 도로의 시공면에 포설된 상기 포장도료가 8시간의 양생 이후 경화되어 상기 완료단계가 종료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절삭단계 또는 제2 절삭단계 또는 이들 모두에는 포장면부를 절삭하기 위한 절삭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삭부재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절삭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1 : 제1 절삭단계 M2 : 제2 절삭단계
M3 : 타설단계 M4 : 마감단계
M5 : 양생단계

Claims (4)

  1. 포장면부를 절삭부재를 이용하여 절삭하는 제1 절삭단계(M1);
    상기 제1 절삭단계에서 절삭이 완료된 포장면부를 분쇄 및 절삭하여 시공면을 준비하는 제2 절삭단계(M2);
    상기 제2 절삭단계에 의해 준비된 시공면에 포장도료를 타설하는 타설단계(M3);
    타설된 포장도료의 상면을 평편하게 마감하는 마감단계(M4);
    상기 마감된 포장재료를 양생하는 양생단계(M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도료는
    물, 초속경콘크리트, 골재, 아크릴라텍스 및 지연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삭단계의 절삭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포장면부를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절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도료를 구성하는 혼합물에는 식물성화이바와 메틸셀룰로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도료의 골재는
    골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잔골재 55중량% 및 굵은골재 45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4. 삭제
KR1020160097528A 2016-07-29 2016-07-29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KR10175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28A KR101753870B1 (ko) 2016-07-29 2016-07-29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28A KR101753870B1 (ko) 2016-07-29 2016-07-29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870B1 true KR101753870B1 (ko) 2017-07-04

Family

ID=5935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528A KR101753870B1 (ko) 2016-07-29 2016-07-29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03B1 (ko) 2021-07-26 2021-12-06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교량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2563965B1 (ko) 2022-09-01 2023-08-09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14B1 (ko) * 2015-02-03 2015-05-04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성능 개선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637987B1 (ko) *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14B1 (ko) * 2015-02-03 2015-05-04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성능 개선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공법
KR101637987B1 (ko) *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진영섭, 식물섬유로 보강된 시멘트재질의 빌딜재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1.02.11. 검색일: 2017.04.07. <URL: http://koteri.re.kr/board/content.asp?board_id=koteri_tecinfo&ref=655&step=1&re_level=1&page=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03B1 (ko) 2021-07-26 2021-12-06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교량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KR102563965B1 (ko) 2022-09-01 2023-08-09 주식회사 부영테크원 도로 포장설비의 오거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70B1 (ko) 초속경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시공방법
KR100599492B1 (ko) 폐아스콘을 활용한 반강성포장용 조성물과 포장시공방법
KR101284685B1 (ko)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6497098B (zh) 一种改性乳化沥青、含有该乳化沥青的冷补料及其制备方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WO2014209000A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KR101552698B1 (ko) 도로용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1146B1 (ko) 보투수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투수성 포장 시공방법
Kever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pervious concrete pavements
CN109722077B (zh) 一种环保速干路面标识材料及施工方法
JP6875096B2 (ja) 舗装用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舗装用コンクリート硬化体
KR100324249B1 (ko) 밀립도 투수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KR20120034144A (ko) 무가열 재생 아스팔트
JP5812623B2 (ja) 高強度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高強度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硬化体
CN203066443U (zh) 地面抹光机
DK2462284T3 (en) Pervious paving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KR20180127562A (ko) 투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보도 블럭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보도 블럭의 제조방법
CN204528526U (zh) 一种破碎机传输带自动清洁装置
CN105256750A (zh) 一种落叶清理装置
KR101824981B1 (ko) 포장재의 조성물 및 표면처리기를 이용한 리폼식 포장재(미끄럼방지포장재, 도막형바닥포장재) 시공방법
CN111088117B (zh) 一种透水沥青路面清洗剂及其制备方法
EP0826735A3 (en) Pavement material
JP4204424B2 (ja) 多孔質弾性舗装材及びその多孔質弾性舗装材を用いた多孔質弾性舗装用パネルの作製方法
CN105347749A (zh) 基于垃圾焚烧炉渣作集料的透水路面砖
JP2934635B2 (ja) 目地砂固定化材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