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81B1 -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881B1
KR102562881B1 KR1020220098896A KR20220098896A KR102562881B1 KR 102562881 B1 KR102562881 B1 KR 102562881B1 KR 1020220098896 A KR1020220098896 A KR 1020220098896A KR 20220098896 A KR20220098896 A KR 20220098896A KR 102562881 B1 KR102562881 B1 KR 10256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coco
weight
methyl methacryla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하
이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그린텍
Priority to KR102022009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4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6Carbon of particular shape, e.g.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5Cork; Ba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fibrous material, e.g. asbestos; with animal or vegetal admixtures, e.g. leath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섬유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상된 인장강도, 내구성, 항균성 및 내오염성을 가지며, 시공 후 코르크의 수축이 방지되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바닥 포장의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냄새 및 분진의 발생이 없고,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FLOOR MATERIAL USING C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강도, 항균성, 내오염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분진 또는 냄새의 발생이 없고, 친환경적인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 등은 주민들의 편의성 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조성한 것으로, 상기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 등은 조경물 및 수목의 사이 양측에 일정 폭으로 경계석을 설치하고, 자연토양, 보도블록, 콘크리트, 아스콘 등을 이용하여 바닥 표면을 포장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자연토양을 노출시키는 바닥 포장방법은 우천시에 흙이 빗물에 씻겨 산책로가 쉽게 망실되어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결점이 있고, 보도블록, 콘크리트, 아스콘 등을 이용하여 바닥을 포장하는 방법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나, 이용자가 과실로 넘어지거나 가벼운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신체에 큰 부상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등을 일정 크기로 분쇄한 고무칩과 규사를 혼합하여 포장재를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바닥을 포장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무칩으로 인해 분진 또는 냄새가 심하게 발생되며, 유해물질이 발산되고, 환경오염이 야기될 뿐 아니라, 자연 경관을 훼손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친환경 소재인 코르크를 이용한 탄성 바닥 포장재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8439호는 코르크 칩과 우레탄 수지의 혼합물을 경화시키고, 경화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다시 우레탄 수지와 교반한 뒤 이를 다시 분쇄함으로써 제조된 코르크 칩을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탄성 도로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445호는 코르크와 바인더를 교반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된 코르크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포장재로 이용하는 탄성 및 배수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도로 포장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들에 의해 제조된 코르크 도로 포장재는 천연 코르크의 특징인 저비중과 약한 내마모성으로 인해 인장강도가 낮으며, 먼지를 쉽게 흡착하여 그 표면이 쉽게 오염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058439 B1 KR 10-1018445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인장강도를 가지며, 시공 후 코르크의 수축이 방지되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분진 또는 냄새가 없고, 친환경적인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코르크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섬유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르크 바닥재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 상기 코코섬유층에 형성된 코르크 칩층을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층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는, 에폭시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 및 우레탄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나노탄소분말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이고,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추출한 것으로, 상기 불가사리는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상된 인장강도, 내구성, 항균성 및 내오염성을 가지며, 시공 후 코르크의 수축이 방지되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바닥 포장의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냄새 및 분진의 발생이 없고, 환경오염을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코코섬유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통해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며, 제올라이트, 나노탄소분말, 불가사리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우수한 항균성 및 내오염성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코르크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섬유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를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먼저,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코코섬유층은 바닥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코섬유(cocofiber)는 코코야자 열매의 섬유층으로, 친환경적이며, 이를 포설하더라도 우수한 배수성을 갖는다.
상기 코코섬유층의 두께는 제한하지 않으나, 0.1~10mm 정도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코코섬유층은 네트 형태로 형성되도록 코코섬유를 포설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코코섬유층의 형태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코코섬유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코코섬유층에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였다.
이때, 상기 도포란 코코섬유층의 상, 하면에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는 정도이면 족하며, 그 사용량은 코코섬유층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100:1~10 중량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우수한 내구성,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은 물론, 접착력이 우수하며, 빠른 경화 및 건조의 특성을 갖는다. 아울러, 우수한 항균 특성을 갖는 것으로, 코코섬유층에 적용시 그 물성을 높여주면서도 배수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0~99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분말경화촉진제인 과산화벤조일이 첨가됨으로써 제조되는 반응 수지로써, 탄소 이중결합(C=C)으로 이루어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과산화벤조일과의 반응과정(양생과정)에서, 상기 탄소 이중결합이 긴 단일결합(-C-C-C-) 고리화합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과산화벤조일과의 반응에서 최소 98%이상 반응하므로 유해가스 배출 및 시공 후 잔여물질에 의한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외부의 작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해성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코르크 칩층의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코코섬유층의 상, 하면 모두에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면에만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포설 후, 이에 압력을 가하여 바닥재를 성형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상기 코르크 칩층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층으로,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우수한 항균성, 내오염성 및 내마모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코르크 칩 입자는 코르크 굴참나무의 껍질 부분을 벗겨서 만들어지는 코르크를 파쇄기로 파쇄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며, 입자 모양은 불규칙하고 약 2mm~5mm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불규칙한 입자 모양에 의해 생성된 입자 사이의 공극은 투수를 용이하게 하며, 보다 향상된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코르크 칩은 생코르크 칩은 물론, 가열건조된 코르크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르크 칩은 우수한 탄성력, 충격 흡수력 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중금속 및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는 친환경 천연소재로, 인체에 무해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르크 칩은 내마모성, 내오염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코르크 칩 입자의 단점을 이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 코코섬유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코코야자 열매의 섬유층으로 코르크 칩과 혼합시 탄성력, 충격 흡수력 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친환경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코르크 칩의 인장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코코섬유를 천연 그대로 사용시에는 이러한 인장강도 등의 개선이 제한적이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상기 코코섬유에 코팅시키는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코코섬유 상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한 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와 상기 코코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과량 사용시 탄성력, 충격 흡수력 등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코코섬유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100:5~20 중량비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코르크 칩 층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올라이트는 물리적인 흡착 작용에 기인하여 암모니아, 질산염 등을 제거하고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박테리아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물 분해 작용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그 입자 크기는 제한하지 않으나, 0.1mm~1mm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는 코르크 칩 입자의 마모율을 낮추고, 탄성과 인장력을 개선하면서도, 코르크 칩 입자를 서로 결합시키고,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를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코르크용 바인더로는 에폭시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 우레탄 바인더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코르크 칩 입자 100~15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 20~50중량부, 제올라이트 10~2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바, 상기 코르크 칩 입자가 10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탄성력 및 충격 흡수력을 갖지 못하고,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결합력이 약해져 바닥재로부터 입자가 탈락할 수 있으며, 상기 코코섬유가 2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인장강도의 확복가 어렵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저하되고, 상기 제올라이트가 10중량부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가 없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르크 바닥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향상된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며, 시공 후 코르크의 수축이 방지되고, 항균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나노탄소분말 1~20중량부 및 불가사리 추출물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임이 바람직한데,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위한 것으로, 코르크 바닥재의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현저히 개선해준다.
상기 나노탄소분말의 입도는 1~100nm임이 바람직한바, 그 크기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탄성 및 충격 흡수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 처리하여 추출된 것으로, 우수한 항균효과를 갖는다. 이때, 상기 불가사리로는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아무르불가사리는 각종 어패류나 치어들까지 잡아먹는 수산자원을 황폐화시키는 주범으로 한 지역에 집단으로 서식하고, 왕성한 식욕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대형 이매패류(조개류)뿐만 아니라 고둥류, 게류, 따개비류를 포함해 먹을 수 있는 먹이는 모두 먹어 치우는 강력한 포식활동을 하므로, 이를 대량 폐기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불가사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1000중량부의 물, 0.2~2중량부의 가수분해효소, 구체적으로 프로테아제를 투입하고, 40~60℃에서 10~20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이를 원심분리시켜 상등액만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불가사리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하여 바닥재의 항균성을 좋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코르크 바닥재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 상기 코코섬유층에 형성된 코르크 칩층을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층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및 코르크용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코르크 칩층은, 나노탄소분말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이고,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추출한 것이며, 상기 불가사리는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재의 구성 및 배합비 등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제조방법에 있어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코코섬유를 준비하고, 이를 포설하여 0.3cm 두께의 코코섬유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코코섬유층의 상, 하면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100:5 중량비가 되도록 도포한 후, 실온에서 1시간 건조시켰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5중량%, 과산화벤조일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코코섬유층의 상면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고, 이를 가압하여 성형한 후 실온에서 1시간 경화시켜 코르크 칩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성형된 코르크 칩층의 두께는 1.2cm 였다.
이때,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용 바인더(우레탄 바인더) 100중량부, 2~5mm 크기의 가열, 건조된 코르크 칩 입자 10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 30중량부, 0.1~0.5mm 크기의 제올라이트 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는 코코섬유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100:10 중량비로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코르크 칩 입자는 비중이 0.30 이하이고, 함수율이 15%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이 7.0%이상, 비중이 0.98이상, 비휘발분이 97% 이상, 점도가 25000(cP, 23℃)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에 나노탄소분말 5중량부 및 불가사리 추출물 2중량부를 더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그 입자 크기가 1~100nm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아무르 불가사리를 세척한 후, 불가사리 중량을 기준으로 8배수 양의 증류수를 원료에 첨가하여 침지하였다. 가수분해를 위해 불가사리 100중량부에 대한 프로테아제 1중량부를 증류수에 녹여 처리하고, 50℃에서 15시간 동안 불가사리를 침지 추출 및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이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그 여액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불가사리 수득액을 원심 분리시켜 얻어진 상등액을 회수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르크용 바인더(우레탄 바인더) 100중량부, 2~5mm 크기의 가열, 건조된 코르크 칩 입자 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1.5cm 두께의 바닥재로 성형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물성측정은 KS F 8980에 준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인장 강도(Mpa) 1.02 1.25 0.74
신장률(%) 21.3 20.8 25.2
마모 감량(mg) 17 13 32
충격 흡수성(%) 32 31 3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는 비교예 1에 비해 인장 강도,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신장률과 충격 흡수성은 유사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을 균주로 하여 JIS Z 2801 : 2010, 필름밀착법에 준하여 항균성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 상태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접종직 후 균수 1.5×104 1.5×104 1.5×104
24h 후 균수 2.7×104 <0.63 <0.63
항균활성치 - 4.6(99.9%) 4.6(99.9%)
Escherichia coil
ATCC 8739
접종직 후 균수 1.7×104 1.7×104 1.7×104
24h 후 균수 9.1×106 <0.63 <0.63
항균활성치 - 6.1(99.9%) 6.1(99.9%)
시험방법: JIS Z 2801 : 2010, 필름밀착법
표준필름 : Stomacher®400POLY-BAG
시험조건 : 시험 균 액을 (35±1)℃에서 24h 정치 배양 후 균수 측정
항균효과 : 항균활성치 2.0 log 이상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2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코코섬유를 포설하여 코코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코섬유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를 도포하되, 코코섬유층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는 100:1~10 중량비인 단계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에 코르크 칩 조성물을 포설하여 코르크 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코르크용 바인더, 나노탄소분말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이고,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코르크 칩 입자 100~15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 20~50중량부, 제올라이트 10~20중량부, 나노탄소분말 1~20중량부 및 불가사리 추출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코르크 바닥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는,
    에폭시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 및 우레탄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 바닥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이고,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추출한 것으로, 상기 불가사리는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 바닥재의 제조방법.
  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도포된 코코섬유층,
    상기 코코섬유층에 형성된 코르크 칩층을 포함하되,
    상기 코르크 칩층은 코르크 칩 입자, 코코섬유, 제올라이트, 코르크용 바인더, 나노탄소분말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코르크 칩 조성물 내 코코섬유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것이고,
    상기 코르크용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코르크 칩 입자 100~15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 수지가 코팅된 코코섬유 20~50중량부, 제올라이트 10~20중량부, 나노탄소분말 1~20중량부 및 불가사리 추출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코르크 바닥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탄소분말은 나노그래파이트(nanographite)이고,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불가사리를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추출한 것이며,
    상기 불가사리는 아무르 불가사리(Asteri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 바닥재.
KR1020220098896A 2022-08-08 2022-08-08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6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896A KR102562881B1 (ko) 2022-08-08 2022-08-08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896A KR102562881B1 (ko) 2022-08-08 2022-08-08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881B1 true KR102562881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896A KR102562881B1 (ko) 2022-08-08 2022-08-08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8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45B1 (ko) 2010-03-15 2011-03-04 김동현 도로 포장용 코르크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코르크칩을 이용한 배수 기능을 갖는 친환경 도로 포장 방법
KR101058439B1 (ko) 2008-09-29 2011-08-24 소재철 탄성 포장용 가공코르크 칩과 그 시공방법
KR101264627B1 (ko) * 2012-06-15 2013-05-27 김동현 음이온 방출 기능과 보호막을 갖는 인조잔디
KR101825170B1 (ko) * 2017-09-26 2018-02-02 아이디건설 주식회사 나노탄소 스테이플파이버 복합 바닥재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065896B1 (ko) *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155B1 (ko) * 2020-01-20 2020-05-14 이조달연구원 주식회사 항균 기능을 가지는 코르크 블록
KR102113446B1 (ko) * 2020-04-03 2020-05-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39B1 (ko) 2008-09-29 2011-08-24 소재철 탄성 포장용 가공코르크 칩과 그 시공방법
KR101018445B1 (ko) 2010-03-15 2011-03-04 김동현 도로 포장용 코르크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코르크칩을 이용한 배수 기능을 갖는 친환경 도로 포장 방법
KR101264627B1 (ko) * 2012-06-15 2013-05-27 김동현 음이온 방출 기능과 보호막을 갖는 인조잔디
KR101825170B1 (ko) * 2017-09-26 2018-02-02 아이디건설 주식회사 나노탄소 스테이플파이버 복합 바닥재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065896B1 (ko) *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155B1 (ko) * 2020-01-20 2020-05-14 이조달연구원 주식회사 항균 기능을 가지는 코르크 블록
KR102113446B1 (ko) * 2020-04-03 2020-05-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810B1 (ko) 강도가 향상된 친환경 황토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 포장재 시공방법
KR100708612B1 (ko) 왕겨 투수탄성 포장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US20080173212A1 (en) Novel mineral composition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62881B1 (ko) 코르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92602B1 (ko) 대나무 분말이 포함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317255B1 (ko) 도로보수재용 상온순환아스콘
CN1297620C (zh) 光滑砖石表面防滑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1592411B1 (ko) 해조류와 바이오수지를 이용한 상온 경화형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63253B1 (ko) 자연강우의 물을 보유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의 표면온도를 낮추는 열섬저감 보습증발형 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96674B1 (ko) 친환경 완충 황토 포장재 조성물
CN108569869A (zh) 一种建筑再生料制备的高保水性渗水砖及其制备方法
KR100996673B1 (ko) 친환경 완충 황토 포장재 조성물
KR101627843B1 (ko) 폐 중밀도섬유판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695587B (zh) 一种城乡园林防滑型透水砖
KR102592549B1 (ko) 항균력을 강화한 코르크 코팅방법 및 코르크를 이용한 노면 시공방법
KR102003975B1 (ko) 코르크칩 탄성포장재용 바인더
KR100496570B1 (ko) 기능성 탄성 포장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24663B1 (ko) 폐 파티클보드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80387B1 (ko) 친환경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시공방법
KR100869562B1 (ko) 목초액으로 처리된 고무칩 및 상기 고무칩과 황토를 함유한바이오칩
KR20100010170A (ko) 광석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 포장재
JP2537685B2 (ja) 木質舗装
KR100894081B1 (ko) 송이석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748574B1 (ko) 저분진 치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도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