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449B1 - 위사 운반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위사 운반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449B1
KR102562449B1 KR1020210177344A KR20210177344A KR102562449B1 KR 102562449 B1 KR102562449 B1 KR 102562449B1 KR 1020210177344 A KR1020210177344 A KR 1020210177344A KR 20210177344 A KR20210177344 A KR 20210177344A KR 102562449 B1 KR102562449 B1 KR 10256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ip
triangular
wef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029A (ko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4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 D03D47/233Carrying gripp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위사 운반용 캐리어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위사 운반용 캐리어는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50) 결합되되 후방으로 인입되는 위사를 파지하는 클램프(200);
상기 힌지(150)의 후방에 상기 몸체(100)와 클램프(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사 운반용 캐리어{Carrier Carrying Weft Yarn}
본 발명은 위사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몸체와 클램프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를 상부팁과 하부팁에 의해 파지하여 후방으로 운반 가능하며,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동시에,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선접촉으로 위사를 파지하는 한편, 클램프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위사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정 폭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편평사(flat yarn) 또는 필름 사(flim yarn)를 위사(씨실)로 사용하는 직물(섬유)의 경우 강력한 힘으로 위사를 이송해야 하므로 위사를 직접 운반하는 래피어 직기로 제직하고 있다.
이러한 편평사용 래피어 직기는 크게 전후로 연속 배열되는 경사들을 소정 패턴으로 개구 운동시키는 바디부와, 경사들 사이로 위사를 운반하는 위입부로 구분된다.
여기서 위입부는 위사를 직접 파지하여 경사들 사이로 왕복 운동하는 운반유닛(캐리어)과, 공급되는 위사를 운반유닛에 전달하는 안내유닛으로 이루 어진다.
위사 운반용 캐리어는 인입되는 위사를 파지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력이 약하면 위사를 파지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가 지속되면 위사의 운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서로 수직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하여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힌지 결합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며 맞물리므로 파지부가 서로 정확하게 치합되지 않는다. 즉 치합시 슬립이 발생하므로 위사를 파지하는 그립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게다가, 파지부에 복수 개의 치형이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치형에 끼인 이물질로 인해 이웃하는 치형이 잘 치합되지 않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내구성과 기계가공성을 위해 강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강도가 높은 소재는 무게가 무거워 왕복 운동에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왕복 운동에 적합하도록 경량화하되,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의 내구성과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신속한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동시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436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몸체와 클램프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를 상부팁과 하부팁에 의해 파지하여 후방으로 운반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선접촉으로 위사를 파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되 후방으로 인입되는 위사를 파지하는 클램프;
상기 힌지의 후방에 상기 몸체와 클램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 전방에 클램프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와 몸체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상부면을 파지하는 상부팁;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팁과 대향하여 결합되되 상기 상부팁과 치합되어 상기 클램프와 몸체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하부면을 파지하는 하부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팁 또는 하부팁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돌출부로 형성되고, 또다른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삼각형 돌출부가 삽입되어 치합되도록 삼각형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삼각형 돌출부와 상기 삼각형 오목부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삼각형 돌출부와 상기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X)가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Y)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 및 클램프는 상기 상부팁과 하부팁 보다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캐리어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팁 및 하부팁은 상기 몸체와 클램프 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정밀가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의 후방에 상기 클램프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팁과 하부팁의 사이가 벌어질 때 상기 클램프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힌지의 후방에 상기 코일스프링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클램프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팁과 하부팁이 서로 맞물려 있도록 상기 클램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는 몸체와 클램프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를 상부팁과 하부팁에 의해 파지되어 후방으로 운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선접촉으로 위사를 파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위사 운반용 캐리어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사 운반용 캐리어는 몸체(100), 클램프(200), 탄성수단(30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몸체(100)는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클램프(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50) 결합되되 후방으로 인입되는 위사를 파지한다.
클램프(200)에는 상부팁(220)이 결합되고, 몸체(100)에는 하부팁(120)이 결합된다.
상부팁(220)은 힌지(150) 전방에 클램프(2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상부면을 파지한다.
하부팁(120)은 몸체(100)의 상부면에 상부팁(220)과 대향하여 결합된다.
하부팁(120)은 상부팁(220)과 치합되어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하부면을 파지한다.
즉 위사는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에 의해 파지되어 위사 운반용 캐리어가 왕복 운동하면서 운반된다.
탄성수단(300)은 힌지(150)의 후방에 몸체(100)와 클램프(200) 사이에 결합되어 클램프(2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수단(300)은 코일스프링(310)과 판스프링(320)으로 형성된다.
코일스프링(310)은 힌지(150)의 후방에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에 결합된다.
코일스프링(310)은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의 사이가 벌어질 때 클램프(200)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0)의 후방부를 가압하면 코일스프링(310)이 압축되고 힌지(150)를 중심으로 클램프(200)의 전방부가 회전하면서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의 사이가 벌어진다.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의 사이가 벌어진 후, 코일스프링(310)이 인장되면서 클램프(200)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판스프링(320)은 힌지(150)의 후방에 코일스프링(31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에 결합된다.
판스프링(320)은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이 서로 맞물려 있도록 클램프(2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판스프링(320)은 위사가 몸체(100)와 클램프(200) 사이에 인입되어 파지된 상태에서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이 서로 맞물려 있도록 클램프(200)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판스프링(320)에 의해 클램프(200)의 후방부를 들어올리면 클램프(200)의 전방부는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에 의해 위사를 계속해서 파지하고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부팁(220) 및 하부팁(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팁(220) 또는 하부팁(12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돌출부(230)로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돌출부(230)가 삽입되어 치합되도록 삼각형 오목부(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상부팁(220)의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돌출부(230)로 형성되고, 하부팁(120)의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오목부(130)로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종래의 경우 복수 개의 치형들이 서로 치합되면서 위사를 파지하였다.
그러나, 몸체(100)와 클램프(200)는 서로 수직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하여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힌지(150) 결합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며 맞물리므로 파지부에 슬립이 발생하여 그립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파지부에 복수 개의 치형이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치형에 끼인 이물질로 인해 이웃하는 치형이 잘 치합되지 않게 된다.
즉 면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위사를 파지하는 그립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부팁(220)의 삼각형 돌출부(230)와 하부팁(120)의 삼각형 오목부(130)를 각각 하나씩 형성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230)과 삼각형 오목부(130)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230)와 삼각형 오목부(130)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를 X라고 하고,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를 Y라고 하자.
삼각형 돌출부(230)와 삼각형 오목부(130)가 치합될 때,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X)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Y) 보다 작게 형성된다(X<Y).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X)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Y)보다 작아야 원호운동으로 회전하는 상부팁(220)의 삼각형 돌출부(230)가 삼각형 오목부(130)에 삽입되어 선접촉된다.
즉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의 치합시 선접촉에 의해 위사를 파지함으로써, 종래의 면접촉으로 인해 위사가 파지부 상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해소하였다.
만일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가 같다면, 치합되는 삼각형 돌출부(230)와 삼각형 오목부(130)는 면접촉하게 되어 일부 지점에서 들뜸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 위사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삼각형 돌출부(230)와 삼각형 오목부(130)가 선접촉으로 위사를 견고히 파지한다.
한편, 종래의 경우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내구성과 기계가공성을 위해 강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강도가 높은 소재는 무게가 무거워 왕복 운동에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왕복 운동에 적합하도록 경량화하되,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의 내구성과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0) 및 클램프(200)는 상부팁(220) 및 하부팁(120)과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몸체(100) 및 클램프(200)는 왕복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상부팁(220)과 하부팁(120) 보다 가벼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위사 운반용 캐리어의 신속한 왕복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00) 및 클램프(200)는 가볍고 경도가 강한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은 위사와 반복적으로 접촉되고 위사를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내마모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상부팁(220) 및 하부팁(120)은 몸체(100)와 클램프(200) 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하여 정밀가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부팁(220) 및 하부팁(120)의 정밀한 가공을 위해 방전 가공을 시행한다.
방전 가공은 경도, 강도, 인성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방전으로 발생하는 화학반응에 의해 소재가 깎여 나가기 때문에 공구의 힘으로 정밀하게 가공하기 어려운 열처리 금속들도 가공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은 몸체(100)와 클램프(200)에 압입하여 조립함으로써 마모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몸체(100) 및 클램프(200)를 경량화함으로써 신속한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동시에 강도가 강하고 내마모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 상부팁(220) 밑 하부팁(120)을 통해 위사를 파지한다.
본 발명은 위사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몸체와 클램프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를 상부팁과 하부팁에 의해 파지되어 후방으로 운반 가능하며,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치합될 때 발생하게 되는 이웃하는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동시에,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은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삼각형 돌출부와 삼각형 오목부가 선접촉으로 위사를 파지하는 한편, 클램프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위사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X : 삼각형 돌출부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
Y : 삼각형 오목부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
100 : 몸체
120 : 하부팁
130 : 삼각형 오목부
150 : 힌지
200 : 클램프
220 : 상부팁
230 : 삼각형 돌출부
300 : 탄성수단
310 : 코일스프링
320 : 판스프링
330 : 스프링핀

Claims (8)

  1.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50) 결합되되 후방으로 인입되는 위사를 파지하는 클램프(200);
    상기 힌지(150)의 후방에 상기 몸체(100)와 클램프(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150) 전방에 클램프(2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상부면을 파지하는 상부팁(220);
    상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팁(220)과 대향하여 결합되되 상기 상부팁(220)과 치합되어 상기 클램프(200)와 몸체(100) 사이로 인입되는 위사의 하부면을 파지하는 하부팁(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팁(220) 또는 하부팁(12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 돌출부(230)로 형성되고, 또다른 하나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삼각형 돌출부(230)가 삽입되어 치합되도록 삼각형 오목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돌출부(230)와 상기 삼각형 오목부(130)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돌출부(230)와 상기 삼각형 오목부(130)가 치합될 때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 사이의 각도(X)가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각도(Y)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삼각형 돌출부(230)의 외측면은 상기 삼각형 오목부(13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및 클램프(200)는 상기 상부팁(220)과 하부팁(120) 보다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캐리어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팁(220) 및 하부팁(120)은 상기 몸체(100)와 클램프(200) 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정밀가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은 상기 클램프(200)와 몸체(100)에 각각 압입하여 조립됨으로써 마모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00)은,
    상기 힌지(150)의 후방에 상기 클램프(200)와 상기 몸체(1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의 사이가 벌어질 때 상기 클램프(200)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10); 및
    상기 힌지(150)의 후방에 상기 코일스프링(3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클램프(200)와 상기 몸체(1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팁(220)과 하부팁(120)이 서로 맞물려 있도록 상기 클램프(2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32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 운반용 캐리어

KR1020210177344A 2021-12-13 2021-12-13 위사 운반용 캐리어 KR10256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344A KR102562449B1 (ko) 2021-12-13 2021-12-13 위사 운반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344A KR102562449B1 (ko) 2021-12-13 2021-12-13 위사 운반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029A KR20230089029A (ko) 2023-06-20
KR102562449B1 true KR102562449B1 (ko) 2023-08-02

Family

ID=8699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344A KR102562449B1 (ko) 2021-12-13 2021-12-13 위사 운반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4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835A (ja) 2010-08-25 2012-03-08 Toyosu Machinery Corp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
KR102243145B1 (ko) * 2020-07-09 2021-04-2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래피어 직기용 위사 안내유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9700C2 (de) * 1994-06-04 1997-07-17 Moll Automatische Naehsystem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Werkstücken für Bearbeitungsvorgänge, insbesondere zum Nähen
DE29808997U1 (de) 1998-05-18 1998-07-30 Textilma Ag Greifer und eine Schusseintragvorrichtung für eine Greiferwebmaschine
JP4595187B2 (ja) * 2000-10-12 2010-1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
EP3916140B1 (en) * 2020-05-26 2023-10-18 STÄUBLI BAYREUTH GmbH Rapier, method for drawing in a weft yarn with such a rapier and weaving loom comprising such a rap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835A (ja) 2010-08-25 2012-03-08 Toyosu Machinery Corp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
KR102243145B1 (ko) * 2020-07-09 2021-04-2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래피어 직기용 위사 안내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029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449B1 (ko) 위사 운반용 캐리어
CH615956A5 (en) Thread for the manufacture of highly resistant articles
CN111615570A (zh) 斜纹齿织物和有齿的传动皮带
CN104342825B (zh) 引纬系统及包括该系统的纺织机
JPH01111044A (ja) グリッパ形織機
JP4754622B2 (ja) フック型嵌込部材を備えた受け側レピアおよびフック型嵌込部材の製造方法
US4846232A (en) Gripper projectile
TW498117B (en) Pair of weft carrying and drawing grippers for weaving looms
JP2003293248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キャリヤ糸グリッパのための糸クランプ
EP0894881A1 (en) Pulling clamp for rapier looms and application of the clamp
JP7291961B2 (ja) シャトルを使用せず織機に緯糸を挿入するグリッパーアセンブリ
CS335991A3 (en) Heald
JP2013014858A (ja) 炭素繊維扁平糸織物の製造方法
US20230027891A1 (en) Fabric, and cable cover for robot arm
JP3440851B2 (ja) 緯糸挿入方法および装置
KR102374784B1 (ko) 직물 공구, 직물 공구의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JP2914788B2 (ja) 耳部を補強したドライヤーカンバス
EP0822279B1 (en) Drawing gripper for weaving looms
JPH04209852A (ja) 緯糸の2本同時挿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溝付きインサートレピアならびに溝付きキヤリアレピア
JPH05140840A (ja) 直列型開口式織機
WO2021105890A1 (en) A circular loom fitted with shed forming warp end guide
CN210215722U (zh) 一种拼装式剑带导向装置
EP4101960A1 (en) Gripper for a rapier weaving machine
CN218754522U (zh) 扁平吊装带
KR102350460B1 (ko) 톱니벨트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