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41B1 - 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41B1
KR102562341B1 KR1020210069823A KR20210069823A KR102562341B1 KR 102562341 B1 KR102562341 B1 KR 102562341B1 KR 1020210069823 A KR1020210069823 A KR 1020210069823A KR 20210069823 A KR20210069823 A KR 20210069823A KR 102562341 B1 KR102562341 B1 KR 10256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hole
intake hole
exhaust
pr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731A (ko
Inventor
김병수
노건우
최갑수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06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01L21/670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척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 시스템은, 피식각물과 맞닿은 채로 지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지는 흡기 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낙하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 시스템{CHUCK SYSTEM}
본 발명은 척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의 오염을 방지 가능한 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의 발달로, 표시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Micro LED display) 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더 얇고 더 가볍게 휴대성을 높이면서 대면적의 영상 구현을 필요로 한다. 표시 장치의 일 구성인 글라스의 박막화 및 중량 감소도 또 하나의 기술 과제이다. 이러한 글라스를 일정한 두께로 만들거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데 식각 공정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 방식의 식각 장치는, 피식각물을 척에 지지시킨 채로 식각제를 분사해 피식각물의 일면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식각 공정을 진행하였다. 식각액 처리 과정 상 박막인 피식각물의 배면으로 식각액이 침투되어 피식각물 하부에 놓이는 배관 등의 부품에 부식을 초래하고 잦은 교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식의 식각 시스템은, 피식각물 배면의 식각제 침투로 인한 피식각물의 오염, 불량을 초래하고 배면에 잔존하는 식각액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 공정을 추가로 필요로 해 식각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 방식의 식각 공정 상, 피식각물의 각 영역마다 동일한 지지 세기로 지지할 경우, 특히 피식각물의 가장자리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해 피식각물 영역별 식각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공보 제10-1914298호(공고일자: 2018.12.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피식각물 배면으로의 식각제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 시스템은, 피식각물과 맞닿은 채로 지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지는 흡기 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낙하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제1 흡기 홀이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제2 흡기 홀이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기 홀은 상기 제1 흡기 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진공 발생부와 상기 제1 흡기 홀, 상기 제2 흡기 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흡기 홀 및 상기 제2 흡기 홀과 연통된 흡기 유동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 유도부는, 배기 홀이 형성된 제1 경사 영역; 및 상기 제1 경사 영역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향 경사져 유체의 낙하를 유도하는 제2 경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 유도부는, 기체 공급부와 상기 배기 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배기 홀과 연통된 배기 유동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 유도부는, 상기 제1 경사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식각물의 들뜸을 방지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낙하 유도부를 구비하여 피식각물 배면의 식각제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피식각물의 불량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낙하 유도부를 구비하여 피식각물 배면의 식각제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피식각물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흡기 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흡기 홀에 의해 강한 흡입력으로 피식각물을 지지함으로써, 피식각물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흡기 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흡기 홀에 의해 강한 흡입력으로 피식각물을 지지함으로써, 피식각물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 유동로가 진공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흡기력을 제1 흡기 홀과 제2 흡기 홀에 일정하게 부여하고, 진공 흡기 방식에 따른 흡기력의 균일화(uniformity)를 구현하여 피식각물의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 영역에 배기 홀이 형성됨으로써, 식각 단계에서 식각제가 피식각물의 배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고, 건조 단계에서 건식 청정 공기(CDA, clean dry air)와 마주하도록 기체를 배기해 피식각물의 가장자리 배면에서 건조 청정 공기(CDA)에 의한 피식각물의 진동 등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단면 A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각 공정을, 도 4(b)는 건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b)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은 직교 좌표계의 X축을 지칭하고, 제2 방향은 직교 좌표계의 Y축을 지칭하며, 제3 방향은 직교 좌표계의 Z축을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방향은 제2 방향 및 제3 방향과 서로 직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단면 A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B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각 공정을, 도 4(b)는 건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a)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b)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 시스템(10)은, 일련의 공정 상에서 피식각물(S)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척 시스템(10)은, 식각 공정(P1)과 세정 공정(P2), 건조 공정(P3)을 위하여 피식각물(S)을 지지하여 각 공정 영역 간에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척 시스템(10)은, 지지부(100)와 낙하 유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식각물(S)은, 식각 처리를 필요로 하는 표시 장치용 글라스 등의 강성 기판이거나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2와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피식각물(S)과 맞닿은 채로 피식각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에는, 흡기 홀(111, 121)이 형성될 수 있다. 흡기 홀(111, 12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00)는, 피식각물(S)을 지지하기 위하여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정전 방식 또는 진공 흡기 방식에 의한 진공 방식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을 포함하고 나아가 흡기 유동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에서 서로 다른 흡입 세기로 피식각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영역(110)에는, 제1 흡기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1 흡기 홀(111)을 형성함으로써 피식각물(S)에 약한 지지력으로 피식각물(S)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흡기 홀(111)은, 피식각물(S)의 두께를 기준으로 4 내지 5배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식각물(S)이 70μm의 두께를 가질 때, 제1 흡기 홀(111)은 0.3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120)은, 제1 영역(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 영역(120)에는, 제2 흡기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기 홀(121)은, 제1 흡기 홀(111)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흡기 홀(121)은, 제1 흡기 홀(111)보다 5 내지 8배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흡기 홀(121)은, 피식각물(S)의 두께를 기준으로 280 내지 300배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식각물(S)이 7μm의 두께를 가질 때, 제2 흡기 홀(121)은 2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흡기 홀(121)이 제1 흡기 홀(111)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피식각물(S)을 지지함으로써, 낙하 유도부(200) 인접 영역인 피식각물(S)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들뜸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피식각물(S)에 제공할 수 있다.
흡기 유동로(130)는, 제1 흡기 홀(111)과 제2 흡기 홀(121) 간, 진공압 세기의 불균일을 해소할 수 있다. 흡기 유동로(130)는, 진공 발생부(미도시)와 제1 흡기 홀(111), 제2 흡기 홀(1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흡기 유동로(130)는, 진공 발생부(미도시)에 의해 발생한 흡기력을 제1 흡기 홀(1110)과 제2 흡기 홀(121)에 일정하게 부여해, 흡기력의 균일화(uniformity)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 유동로(130)는, 제1 흡기 홀(111)과 제2 흡기 홀(121)을 연통시킬 수 있다. 흡기 유동로(130)는, 지지부(100)에 해당하는 영역의 저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낙하 유도부(200)는, 식각 공정(P1)과 세정 공정(P2), 건조 공정(P3) 중, 식각제(E)와 세정제, 건식 청정 공기(CDA)의 낙하 경로를 제공해 식각제(E)와 세정제, 건식 청정 공기(CDA)가 피식각물(S)의 특정 영역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 유도부(200)는, 지지 부(100)의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낙하 유도부(200)는, 제1 경사 영역(210)과 제2 경사 영역(220)을 포함하고, 배기 유동로(230)와 단턱(240, 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 영역(210)은, 제1 흡기 홀(111) 및 제2 흡기 홀(121)과 나란하나 반대 방향의 기체 흐름을 피식각물(E)에 제공해, 식각제(E)와 세정제, 건식 청정 공기(CDA)의 유동시 피식각물(E) 배면으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경사 영역(210)에는, 배기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 홀(211)은, 피식각물(S)을 향해 기체를 유입시킴으로써, 식각 공정(P1) 상 식각제(E)가 피식각물(S)의 배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배기 홀(211)은, 건조 공정(P3) 상 건식 청정 공기(CDA)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기체 흐름을 제공해, 제1 경사 영역(210)에서의 건식 청정 공기(CDA)의 세기를 상쇄해 피식각물의 가장자리 배면에서 건조 청정 공기(CDA)에 의한 피식각물의 진동 등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배기 홀(211)에서 배기되는 기체는, 건식 청정 공기(CDA)와 나란하되 반대 방향의 흐름을 가지고, 건식 청정 공기(CDA)의 유동 세기와 같거나 상응한 기체 유동 세기로 조절되어, 피식각물(S)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건식 청정 공기(CDA)에 의한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경사 영역(220)은,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식각제(E)와 세정제, 건식 청정 공기(CDA)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경사 영역(220)은, 제1 경사 영역(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 경사 영역(220)은, 하향 경사져 식각제(E) 또는 건조 청정 공기(CDA)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배기 유동로(230)는, 기체 공급부(미도시)와 배기 홀(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배기 유동로(230)는, 복수 개의 배기 홀(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량으로 기체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됨에 따라 배기 홀(210)마다 기체 흐름이 불균일을 최소화해, 서로 다른 배기 홀 간의 배기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배기되는 기체는, 기체 공급부(미도시)와 배기 유동로(230), 배기 홀(211)을 거쳐 피식각물(S)의 배면 가장자리 영역을 타고 흐를 수 있다.
단턱(240, 250)이 구비되어, 배기 홀(210)과 제2 경사 영역(220), 피식각물(S) 사이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단턱(240, 250)은, 피식각물(E)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단턱(240)은, 제1 경사 영역(210)과 제2 영역(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단턱(250)은, 제1 경사 영역(210)과 제2 경사 영역(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식각 공정(P1)에서의 식각제(E)와 건조 공정(P3)에서 건식 청정 공기(CDA)는, 피식각물(S)의 일면에 분사된 후, 피식각물(S)의 가장자리와 제2 경사 영역(220)을 따라 낙하 유도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척 시스템
100 : 지지부 110 : 제1 영역
111 : 제1 흡기 홀 120 : 제2 영역
121 : 제2 흡기 홀 130 : 흡기 유동로
200 : 낙하 유도부 210 : 제1 경사 영역
211 : 배기 홀 220 : 제2 경사 영역
230 : 배기 유동로 240 : 단턱
S : 피식각물
E : 식각제
CDA : 건식 청정 공기

Claims (6)

  1. 피식각물과 맞닿은 채로 지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지는 흡기 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낙하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제1 흡기 홀이 형성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제2 흡기 홀이 형성된 제2 영역; 및
    진공 발생부와 상기 제1 흡기 홀, 상기 제2 흡기 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흡기 홀 및 상기 제2 흡기 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흡기 홀의 흡기력을 상기 제2 흡기 홀과 균일화시키는 흡기 유동로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유도부는,
    복수개의 배기 홀이 형성된 제1 경사 영역; 및
    상기 제1 경사 영역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향 경사져 유체의 낙하를 유도하는 제2 경사 영역; 및
    기체 공급부와 상기 배기 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배기 홀과 연통된 배기
    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홀은 상기 배기 유동로로부터 수직 상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흡기 홀은 상기 제1 흡기 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배기 홀은 상기 제1 흡기 홀에 비해 크고 상기 제2 흡기 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배기 홀은 상기 제2 흡기 홀 보다 개수가 작은 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유도부는,
    상기 제1 경사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식각물의 들뜸을 방지하는 단턱을 더 포함하는, 척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69823A 2021-05-31 2021-05-31 척 시스템 KR10256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23A KR102562341B1 (ko) 2021-05-31 2021-05-31 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23A KR102562341B1 (ko) 2021-05-31 2021-05-31 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31A KR20220161731A (ko) 2022-12-07
KR102562341B1 true KR102562341B1 (ko) 2023-08-01

Family

ID=8444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23A KR102562341B1 (ko) 2021-05-31 2021-05-31 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207B1 (ko) * 1998-11-12 2001-11-30 윤종용 반도체현상설비의나이프에지링과이너컵및웨이퍼오염방지장치
KR101914298B1 (ko) 2011-11-04 2018-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윈도우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2440148B1 (ko) * 2019-10-25 2022-09-05 (주)에스티아이 기판 지지 기구와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31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2827B2 (ja) 基板処理装置
KR102562341B1 (ko) 척 시스템
JP2013098569A (ja) ノズルユニット、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TWI320201B (en) Spin chuck
KR101628813B1 (ko) 쉐도우 프레임
KR101689841B1 (ko) 기판 지지 장치
KR20140071039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2473692B1 (ko) 기판 식각 시스템
KR20050109259A (ko) 복수의 토출로를 가지는 노즐 및 이를 사용하여 기판을세정하는 장치
KR101377996B1 (ko) 플라즈마 에칭 장치 및 마스크 장치
KR20070120763A (ko) 기판 처리 장치
KR20220021631A (ko) 기판의 국소부위를 세정하는 버텀 업 방식의 플라즈마 처리 시스템
KR101555611B1 (ko) 기판 처리장치
KR20230135493A (ko) 초임계 처리 장치
KR101099725B1 (ko) 포토레지스터 도포 장치
KR100828118B1 (ko) 평판 패널 지지 장치 및 평판 패널 처리 장치
KR20100068510A (ko) 기판 이송장치
KR101317333B1 (ko) 기판 변형 방지용 보트
KR101629471B1 (ko) 기판세정장치
KR20140071040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232361B1 (ko) 캐리어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표면 개질 처리방법
KR10209694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130126267A (ko) 기판홀딩어셈블리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TWI509319B (zh) 用以處理基板之裝置及方法
JPH10110891A (ja) ガラス基板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