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82B1 -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82B1
KR102561182B1 KR1020210118887A KR20210118887A KR102561182B1 KR 102561182 B1 KR102561182 B1 KR 102561182B1 KR 1020210118887 A KR1020210118887 A KR 1020210118887A KR 20210118887 A KR20210118887 A KR 20210118887A KR 102561182 B1 KR102561182 B1 KR 10256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lamp block
pressing
shaft
mov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253A (ko
Inventor
양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11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4Flash butt welding
    • B23K11/046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73Butt welding of long articles advanced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선행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이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대측 가압유닛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행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이 상면에 구비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행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을 포함하는 이동대측 가압유닛과; 상기 이동대를 고정대 쪽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를 구비한 하부 업셋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가압축을 하측으로 수직 연장한 연장선과 만나도록 구성되어, 하부 클램프가 용접장치에 가하는 큰 압력에 의해서 용접장치가 비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래시버트 용접장치{Flash butt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장치가 비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버트 용접은 2개의 용접대상물에에 대전류를 인가시키고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면에 전기불꽃(flash)를 발생시켜 용접대상물을 가열한 후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압접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제철공정이나 파이프 제조공정, 철도 레일의 연결 등 산업계 전반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버트 용접을 위한 장치는 보통 선행 용접대상물의 안착되고 용접전극이 구비된 고정대와,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의 끝부분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후행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대 쪽으로 전진하거나 후진을 하여 선행 용접대상물과 후행 용접대상물을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고 용접전극이 구비된 이동대와, 고정대와 이동대의 상면에 배치된 선행 용접대상물과 후행 용접대상물을 강하게 가압하는 클램프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접전극에 용접전원을 인가하여 선행 용접대상물과 후행 용접대상물 사이에 아크를 플래싱(flashing) 시킨 채로 이동대를 고정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행 용접대상물과 후행 용접대상물을 붙였다 떨어뜨렸다를 반복하다가, 최후에 후행 용접대상물을 선행 용접대상물에 압착시킴으로써 용접을 완료한다.
이러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로 용접을 하는 과정 중에 클램프블록으로 용접대상물을 강하게 압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발생되는 강한 힘이 용접장치에 가해져서 용접장치가 비틀리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등록특허 10-168917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 클램프블록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을 하부 클램프블록이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발생되는 큰 압력에 의해서 장치가 비틀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선행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이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을 포함하는 고정대측 가압유닛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행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이 상면에 구비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행 용접대상물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을 포함하는 이동대측 가압유닛과; 상기 이동대를 고정대 쪽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를 구비한 하부 업셋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가압축을 하측으로 수직 연장한 연장선과 만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은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이 설치된 가압축과;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로드의 끝단과 상기 가압축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압실린더의 로드 진출시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압축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이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을 가압케 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측 가압유닛은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이 설치된 가압축과; 상기 이동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이동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로드 끝단과 상기 가압축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압실린더의 로드 진출시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압축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이 상기 후행 용접대상물을 가압케 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양측단이 상기 포스트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측 박스와 이동대측 박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측 박스와 이동대측 박스는 양측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부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대측 박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와 함께 작동하는 상부 업셋실린더가 설치되어, 하부 업셋실린더가 이동대를 고정대 쪽으로 이동시킬 때 상부 업셋실린더는 이동대측 박스를 고정대측 박스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대측 박스와 이동대측 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축이 통과하는 슬라이드 부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쉬와 가압축 사이에는 각각 더스트 커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과 이동대측 가압유닛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의 가압축과 이동대측 가압유닛의 가압축 다수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과 링크 결합되어 상부 클램프블록이 가압축의 하단에서 회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는 상기 이동대의 측면에 설치되고 로드가 이동대와 고정대를 관통하면서 끝단이 고정대에 체결되어, 하부 업셋실린더의 로드가 진입할 때 상기 이동대를 고정대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는 상기 이동대의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볼트의 머리는 고정대 쪽을 향해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클램프블록과 상부 클램프블록의 전방에는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고정대측 박스의 외측면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회전축에 상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패널이 위쪽으로 회동할 때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패널 쪽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하부패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는 하부 클램프블록이 설치된 가압축을 하측으로 수직 연장한 연장선과 하부 업셋실린더의 로드가 만나기 때문에, 하부 클램프가 용접장치에 가하는 큰 압력에 의해서 용접장치가 비틀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하부 업셋실린더의 로드와 가압축의 수직방향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았기 때문에 하부 클램프에 의한 큰 가압력 때문에 용접장치가 비틀리는 것을 줄이기 위해 하부 업셋실린더의 옆쪽에 보조실린더를 더 설치해야만 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보조실린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를 좀 더 단순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정대측 박스와 이동대측 박스를 포스트의 상단에 배치한 후 볼팅하는 방식을 취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포스트의 상하방향 길이를 더 연장한 후 포스트의 상부 측면에 고정대측 박스와 이동대측 박스를 볼팅이 아닌 용접의 방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포스트와 박스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업셋실린더가 볼트에 의해 이동대에 고정될 때 이 볼트의 머리부분은 고정대 쪽을 향해 위치되므로, 선행 용접대상물과 후행 용접대상물이 부딪힐 때 그 충격에 의해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고정대측 가압유닛과 이동대측 가압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을 측방에서 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를 전방에서 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이동대측 박스의 슬라이드 부쉬와 더스트 커버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이동대와 하부 업셋실린더의 체결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고정대측 가압유닛과 이동대측 가압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을 측방에서 본 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를 전방에서 본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이동대측 박스의 슬라이드 부쉬와 더스트 커버를 보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의 이동대와 하부 업셋실린더의 체결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버트 용접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대(20)와,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대측 가압유닛(3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이동대(40)와,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대측 가압유닛(50)과, 상기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키는 하부 업셋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20)는 베이스(10)의 상면 좌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대(20)의 상면에는 하부 클램프블록(2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클램프블록(21)의 상면에는 용접하려는 2개의 용접대상물 중에서 앞쪽에 있는 선행 용접대상물(M1)이 안착된다.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은 승강하는 가압축(31)의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 클램프블록(21)의 상면에 안착된 선행 용접대상물(M1)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35)을 포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은 가압축(31)과,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32)와,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33)와, 상기 포스트(32) 및 가압실린더(33)와 연결되는 연결링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축(31)은 상단이 연결링크(34)의 전방에 연결되어 승강(昇降)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35)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압축(31)이 하강할 때 상부 클램프블록(35)은 가압축(31)과 함께 하강하여 하부 클램프블록(2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선행 용접대상물(M1)을 가압한다.
상기 포스트(32)는 고정대(20)의 상면 중앙쯤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가압축(31)과 상부 클램프블록(35) 및 연결링크(34) 등을 지지한다.
상기 가압실린더(33)는 고정대(2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부분이 고정대(20)의 상면에 링크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부연하면, 포스트(32)를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축(31)과 상부 클램프블록(35)이 구비되고, 뒤쪽에는 가압실린더(33)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 끝단은 연결링크(34)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34)는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의 끝단과 가압축(31)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포스트(3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연결링크(34)의 중간 부분은 포스트(32)의 상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고, 연결링크(34)의 전방 끝부분은 가압축(31)의 상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연결링크(34)의 후방 끝부분은 가압축(31)의 후방 끝부분은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 끝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가 위쪽으로 진출하면 연결링크(34)는 포스트(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결링크(34)의 전방 부분이 아래쪽으로 내려감으로써 가압축(31)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가압축(31)이 하측으로 내려가면 상부 클램프블록(35)이 함께 하측으로 내려가서 선행 용접대상물(M1)을 가압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을 구성하는 가압축(31), 상부 클램프블록(35), 포스트(32), 가압실린더(33) 및 연결링크(34)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2개 이상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클램프블록(35)과 링크 결합되어 상부 클램프블록(35)이 가압축(31)의 하단에서 회동된다.
그리고,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포스트(32)에는 고정대측 박스(36)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측 박스(36)는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가압축(31)이 통과하는 관통홀(36a)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양측단이 포스트(32)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대측 박스(36)의 양측단은 포스트(32)의 상부 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즉 고정대측 박스(36)는 포스트(32)에 용접 결합되되 포스트(32)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위쪽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포스트(32)에 용접 결합되는 고정대측 박스(36) 내부에는 슬라이드 부쉬(36b)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쉬(36b)는 동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이 이곳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쉬(36b)가 가압축(31)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고정대측 박스(36)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쉬(36b)와 가압축(31) 사이에는 더스트 커버(36c)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부쉬(36b)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이동대(40)는 베이스(10)의 상면 우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대(40)의 상면에는 하부 클램프블록(41)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대(40)의 하부 클램프블록(41) 상면에는 용접하려는 2개의 용접대상물 중에서 뒤쪽에 있는 후행 용접대상물(M2)이 안착된다.
상기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은 승강하는 가압축(51)의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 클램프블록(41)의 상면에 안착된 후행 용접대상물(M2)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55)을 포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은 가압축(51)과,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52)와,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53)와, 상기 포스트(2) 및 가압실린더(53)와 연결되는 연결링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축(51)은 상단이 연결링크(54)의 전방에 연결되어 승강(昇降)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55)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압축(51)이 하강할 때 상부 클램프블록(55)은 가압축(51)과 함께 하강하여 하부 클램프블록(4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후행 용접대상물(M2)을 가압한다.
상기 포스트(52)는 이동대(40)의 상면 중앙쯤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가압축(51)과 상부 클램프블록(55) 및 연결링크(54) 등을 지지한다.
상기 가압실린더(53)는 이동대(4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부분이 고정대(20)의 상면에 링크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부연하면, 포스트(52)를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축(51)과 상부 클램프블록(55)이 구비되고, 뒤쪽에는 가압실린더(53)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 끝단은 연결링크(54)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54)는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의 끝단과 가압축(51)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포스트(5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연결링크(54)의 중간 부분은 포스트(52)의 상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고, 연결링크(54)의 전방 끝부분은 가압축(51)의 상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연결링크(54)의 후방 끝부분은 가압축(51)의 후방 끝부분은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 끝단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가 위쪽으로 진출하면 연결링크(54)는 포스트(5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결링크(54)의 전방 부분이 아래쪽으로 내려감으로써 가압축(51)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가압축(51)이 하측으로 내려가면 상부 클램프블록(55)이 함께 하측으로 내려가서 후행 용접대상물(M2)을 가압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을 구성하는 가압축(51), 상부 클램프블록(55), 포스트(52), 가압실린더(53) 및 연결링크(54)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2개 이상 구비되는 다수의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클램프블록(55)과 링크 결합되어 상부 클램프블록(55)이 가압축(51)의 하단에서 회동된다.
그리고,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포스트(52)에는 이동대측 박스(56)가 고정된다.
상기 이동대측 박스(56)는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가압축(51)이 통과하는 관통홀(56a)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양측단이 포스트(52)에 고정된다. 이때 이동대측 박스(56)의 양측단은 포스트(52)의 상부 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즉 이동대측 박스(56)는 포스트(52)에 용접 결합되되 포스트(52)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위쪽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포스트(52)에 용접 결합되는 이동대측 박스(56) 내부에는 슬라이드 부쉬(56b)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쉬(56b)는 동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이 이곳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쉬(56b)가 가압축(51)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동대측 박스(56)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쉬(56b)와 가압축(51) 사이에는 더스트 커버(56c)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부쉬(56b)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이동대측 박스(56)의 외측면에는 하부 업셋실린더(60)와 함께 작동하는 상부 업셋실린더(7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업셋실린더(60)가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킬 때 상부 업셋실린더(70)는 이동대측 박스(56)를 고정대측 박스(36) 쪽으로 이동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몸체 부분은 이동대측 박스(56)의 우측면에 고정되고,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로드(71)는 샤프트(72)와 연결되어 샤프트(72)의 끝단이 고정대측 박스(36)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로드(71)가 몸체 부분 밖으로 나와 전진하면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몸체 부분이 이동대측 박스(56)를 우측으로 잡아당기고,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로드(71)가 몸체 안으로 들어가 후진하면 상부 업셋실린더(70)의 몸체 부분이 이동대측 박스(56)를 좌측으로 밀어서 고정대측 박스(36) 쪽으로 이동시킨다.
위와 같이 하부 업셋실린더(60)와 상부 업셋실린더(70)의 작동에 의해 이동대(40)와 이동대측 박스(56)가 고정대(20)와 고정대측 박스(36) 쪽으로 이동하면, 후행 용접대상물(M2)의 전방 끝부분은 선행 용접대상물(M1)의 후방 끝부분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부 클램프블록(35,55)과 하부 클램프블록(21,41)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에 의해 대전류가 선행 용접대상물(M1)과 후행 용접대상물에 인가되어 전기불꽃(flash)가 발생된다.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60)는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키는 로드(61)를 구비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 업셋실린더(60)는 이동대(40)의 우측면에 설치되고 로드(61)가 이동대(40)와 고정대(20)를 관통하면서 그 끝단이 고정대(20)에 체결되어,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로드(61)가 진입할 때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하부 업셋실린더(60)는 이동대(40)의 측면에 볼트(B)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로드(61)가 몸체 내부로 진입하면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몸체 부분이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밀고, 로드(61)가 몸체 외부로 진출하면 몸체 부분이 이동대(40)를 고정대(20)의 반대쪽으로 끌어당긴다.
부연하면,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몸체 부분은 회동링크(11)에 의해 베이스(10)와 연결되고, 이동대(40)는 다른 회동링크(11)에 의해 베이스(10)와 연결된다. 즉 회동링크(11)의 상단은 하부 업셋실린더(6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은 베이스(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회동링크(11)의 상단은 이동대(4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은 베이스(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더불어 회동링크(11)의 하단은 편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하부 업셋실린더(60)와 이동대(40)가 베이스(1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부 업셋실린더(60)가 볼트(B)에 의해 이동대(40)에 고정될 때 이 볼트(B)의 머리(B1)부분은 고정대(20) 쪽을 향해 위치된다. 하부 업셋실린더(60)에 의해 이동대(40)가 고정대(20) 쪽으로 밀려 선행 용접대상물(M1) 후행 용접대상물(M2)에 부딪힐 때 그 충격이 왼쪽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볼트(B)의 머리(B1)가 고정대(20) 쪽을 향해 위치되므로 볼트(B)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앞서 기재한 것처럼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몸체 부분은 이동대(40)의 우측면에 고정되고 로드(61) 끝단은 고정대(20)의 좌측면에 결합 고정되는데,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로드(61) 위쪽에 있는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과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을 하측으로 수직 연장하면 그 연장선은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로드(61)와 만나게 된다. 즉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로드(61)의 수직방향 위쪽에서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과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한편, 하부 클램프블록(21,41)과 상부 클램프블록(35,55)의 전방에는 도어(8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80)는 스파크와 용접시 발생되는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대측 박스(36)의 외측면에 구비된 모터(81)와, 상기 모터(81)에 회전축에 상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패널(82)과, 상기 상부패널(8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패널(83)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81)가 작동하여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부패널(82)이 위쪽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하부패널(83)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패널(82) 쪽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패널(82)과 하부패널(83)이 접히기 때문에 작업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베이스 11: 회동링크
20: 고정대 21: 하부 클램프블록
30: 고정대측 가압유닛 31: 가압축
32: 포스트 33: 가압실린더
33a: 로드 34: 연결링크
35: 상부 클램프블록 36: 고정대측 박스
36a: 관통홀 36b: 슬라이드 부쉬
36c: 더스트 커버 40: 이동대
41: 하부 클램프블록 50: 이동대측 가압유닛
51: 가압축 52: 포스트
53: 가압실린더 53a: 로드
54: 연결링크 55: 상부 클램프블록
56: 이동대측 박스 56a: 관통홀
56b: 슬라이드 부쉬 56c: 더스트 커버
60: 하부 업셋실린더 61: 로드
70: 상부 업셋실린더 71: 로드
72: 샤프트 80: 도어
81: 모터 82: 상부패널
83: 하부패널 B: 볼트
M1: 선행 용접대상물 M2: 후행 용접대상물

Claims (10)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선행 용접대상물(M1)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21)이 상면에 구비된 고정대(20)와;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M1)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35)을 포함하는 고정대측 가압유닛(3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행 용접대상물(M2)이 안착되는 하부 클램프블록(41)이 상면에 구비된 이동대(40)와;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고, 승강하는 가압축(5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행 용접대상물(M2)을 가압하는 상부 클램프블록(55)을 포함하는 이동대측 가압유닛(50)과; 상기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축(31,51)을 하측으로 수직 연장한 연장선과 만나는 로드(61)를 구비한 하부 업셋실린더(6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60)는 상기 이동대(40)의 측면에 설치되고 로드(61)가 이동대(40)와 고정대(20)를 관통하면서 끝단이 고정대(20)에 체결되어, 하부 업셋실린더(60)의 로드(61)가 진입할 때 상기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은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35)이 설치된 가압축(31)과;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32)와;
    상기 고정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33)와;
    상기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의 끝단과 상기 가압축(31)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상기 포스트(3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압실린더(33)의 로드(33a) 진출시 포스트(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압축(31)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35)이 상기 선행 용접대상물(M1)을 가압케 하는 연결링크(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은 하단에 상부 클램프블록(55)이 설치된 가압축(51)과;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포스트(52)와;
    상기 이동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압실린더(53)와;
    상기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 끝단과 상기 가압축(51)의 상단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중간부분이 상기 포스트(5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압실린더(53)의 로드(53a) 진출시 포스트(5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압축(51)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55)이 상기 후행 용접대상물(M2)을 가압케 하는 연결링크(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축(31,51)이 통과하는 관통홀(36a,56a)이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양측단이 상기 포스트(32,52)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측 박스(36)와 이동대측 박스(56);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측 박스(36)와 이동대측 박스(56)는 양측단이 상기 포스트(32,52)의 상부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측 박스(56)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60)와 함께 작동하는 상부 업셋실린더(70)가 설치되어,
    하부 업셋실린더(60)가 이동대(40)를 고정대(20) 쪽으로 이동시킬 때 상부 업셋실린더(70)는 이동대측 박스(56)를 고정대측 박스(36)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측 박스(36)와 이동대측 박스(56)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축(31,51)이 통과하는 슬라이드 부쉬(36b,56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쉬(36b,56b)와 가압축(31,51) 사이에는 각각 더스트 커버(36c,56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30)과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은 각각 다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대측 가압유닛(30)의 가압축(31)과 이동대측 가압유닛(50)의 가압축(51) 다수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 클램프블록(35,55)과 링크 결합되어 상부 클램프블록(35,55)이 가압축(31,51)의 하단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업셋실린더(60)는 상기 이동대(40)의 측면에 볼트(B)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볼트(B)의 머리(B1)는 고정대(20) 쪽을 향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프블록(21,41)과 상부 클램프블록(35,55)의 전방에는 도어(80)가 설치되되,
    상기 도어(80)는 상기 고정대측 박스(36)의 외측면에 구비된 모터(81)와;
    상기 모터(81)에 회전축에 상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부패널(82)과;
    상기 상부패널(8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패널(82)이 위쪽으로 회동할 때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패널(82) 쪽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하부패널(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KR1020210118887A 2021-09-07 2021-09-07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KR10256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87A KR102561182B1 (ko) 2021-09-07 2021-09-07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87A KR102561182B1 (ko) 2021-09-07 2021-09-07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53A KR20230036253A (ko) 2023-03-14
KR102561182B1 true KR102561182B1 (ko) 2023-07-28

Family

ID=8550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887A KR102561182B1 (ko) 2021-09-07 2021-09-07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363A (ja) * 1974-09-30 1976-03-31 Naotoshi Okamura Koonayochakuki
JPH10235494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クランプ治具
KR100719209B1 (ko) * 2004-10-27 2007-05-16 제이에프이 코켄 가부시키가이샤 용접장치와 용접방법 및 전단보강근의 제작방법
KR101689172B1 (ko) 2016-05-12 2016-12-26 (주)신화웰텍 용접 모재의 온도 측정과 온도 제어를 통해 용접품질 모니터링이 개선된 인버터 제어식 플래시 버트 용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53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61856U (zh) 一种汽车门框下边梁加强板用定位夹具
CN104889691A (zh) 冲压焊接生产线
CN1034403C (zh) 闪光对焊机
CN212823866U (zh) 一种工字钢焊接加工系统
CN111890057B (zh) 一种工字钢焊接加工系统
CN204673232U (zh) 冲压焊接生产线
KR102561182B1 (ko) 플래시버트 용접장치
CN108326480A (zh) 贝雷杆双工位自动焊接装置
CN210147214U (zh) 一种t型工件用直缝焊机
CN102513672A (zh) 用于电阻焊的连杆座自动上料焊接装置
KR19990065940A (ko) 자동차 부품 스폿용접기에 있어 회전식 하부전극 자동교환장치
CN214978387U (zh) 板单元组装机
CN211052805U (zh) 一种平面上多个螺母自动焊接机
CN107520561B (zh) 一种任意角度的焊接机
DE19945563C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s mittels eines Schweißroboters
CN218503642U (zh) 铝合金枕梁自动化焊接工装
JP2002079430A (ja) パンチ切断複合機
CN215509768U (zh) 一种新型的360度旋转焊接工装
CN219817840U (zh) 一种焊条校直机
CN220592083U (zh) 一种收割机驾驶室组合式焊接用自动夹紧设备
CN219213055U (zh) 门板装配用模具装置
CN111922565B (zh) 一种扶手电梯主驱动焊接机
CN219925073U (zh) 收割机后壁焊接用全轮廓定位夹持机构
CN217516174U (zh) 一种刮板专用下料夹具
CN218362908U (zh) 一种便于对波纹片限位的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