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145B1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145B1
KR102561145B1 KR1020210068931A KR20210068931A KR102561145B1 KR 102561145 B1 KR102561145 B1 KR 102561145B1 KR 1020210068931 A KR1020210068931 A KR 1020210068931A KR 20210068931 A KR20210068931 A KR 20210068931A KR 102561145 B1 KR102561145 B1 KR 10256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unit
touch
touch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619A (ko
Inventor
어석진
Original Assignee
(주)이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어텍 filed Critical (주)이어텍
Priority to KR102021006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1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05Y2400/614Batteries charg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개별 사물함과, 상기 복수의 개별 사물함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잠금하는 도어락과, 상기 각각의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방식으로 입력하여 개별 사물함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가 표시하고 비밀번호 키를 입력하여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 유닛으로 구성되고, 터치 스크린 유닛의 터치패널에 사물함의 이름이나 식별번호가 표시되고 비밀번호를 터치패널에 터치방식으로 입력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LOCKER MANAGEMENT HAVING TOUCHSCREEN}
본 발명은 개별 사물함마다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전자 명패 역할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방식, 고정위치 표시방식, 가변위치 표시방식 또는 패턴입력방식으로 비밀번호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등에는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사물함이 설치되어 있고, 일반 회사에서는 서류 또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사물함이 설치되어 있다.
학교 및 학원 등에서 사용되는 사물함은 사용자를 배정하고, 배정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회사의 경우 다수의 사람이 사물함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인된 사람만 사물함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물함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자 사물함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사물함은 일측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사물함의 도어가 열림된다. 그리고 각각의 개별 사물함에는 사용자의 이름이나 고유번호 또는 식별기호가 부착되어 개별 사물함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물함의 경우 개별 사물함에 각각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나 번호 등의 식별 표시부를 인쇄하여 붙이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식별 표시부를 교체해야되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개별 사물함의 도어를 열때 열쇠를 사용하거나 중앙에 있는 키 입력부에 개별 사물함 번호 및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비밀번호를 항상 입력해야되므로 근접 시야가 확보된 사용권한이 없는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키 보안에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15187(2016년 4월 19일)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38622(2010년 01월 18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사물함 사용자 이름 등을 표시하는 전자 명패역할을 하고 사물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터치버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사물함 도어의 담금을 해제하는 비밀번호를 고정위치 표시 비밀번호, 가변위치 표시 비밀번호 또는 패턴 형태 중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터치버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사물함 사용이력을 표시할 수 있고 사물함의 보관물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개별공지, 작업지시서, 사용자매뉴얼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물함 사용자가 비대면으로 표시된 내용을 전달받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탑재로 별도의 기구(예로 노트북, PC, 단말기 등)가 없어도 개별사물함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바로 숙지하고 이에 맞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물함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개별 사물함과, 상기 복수의 개별 사물함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잠금하는 도어락과, 상기 각각의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방식으로 입력하여 개별 사물함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가 표시하고 고정위치 표시 비밀번호, 가변위치 표시 비밀번호 또는 패턴키 형태의 비밀번호 키를 입력하여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유닛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정보를 터치방식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패널과,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의 입력 정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차단되면 터치 스크린 유닛 및 도어락에 전원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장착되고,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연결되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차단되면 외부 비상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비상전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전원 연결부는 외장 배터리를 연결하는 USB 포트 또는 건전지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제1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1입력부가 표시되고, 제1입력부로 입력하면 터치패널에 사용자 또는 사물함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를 표시되며, 상기 터치패널은 제2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키가 표시되고, 비밀번호 입력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제3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3입력부가 표시되고, 제3입력부로 사용물의 사용 내역을 입력하면 터치패널에 보관물, 사용기간, 사용현황 중 적어도 하나인 사물함 표시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함은 개별 사물함의 도어 전면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사용자 이름, 번호의 전자 명패역할을 하는 식별 표시부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변경될 때 마다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물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가변위치 비밀번호 키가 표시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물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비밀번호 노출에 안전하다.
또한,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패턴 입력키가 표시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물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비밀번호 노출에 안전하다.
또한, 사물함 사용 이력을 표시할 수 있고, 사물함의 보관물을 표시할 수 있어 사물함을 열어보지 않고 보관된 서류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개별 사물함마다 각각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사물함 사용자에게 공지사항, 작업지시서, 사용자매뉴얼을 표시할 수 있어 사물함을 열기에 앞서 개별 사물함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바로 숙지하고 이에 맞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사물함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사물함의 터치 스크린 유닛 및 도어락을 제어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사물함의 터치 스크린 유닛의 동작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사물함의 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은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갖는 개별 사물함(20)과, 개별 사물함(20)의 개방된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2)와,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도어를 잠금하는 도어락(24)과, 도어(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유닛(30)과, 터치 스크린 유닛(30)의 터치 조작에 따라 도어락(24)을 작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유닛(26)에 사물함 사용 이력을 표시하거나, 사용자 성명, 직급을 표시하는 전자 명패 역할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어락(24)를 작동시키는 터치 조작은 고정위치 비밀번호 입력방식, 가변위치 비밀번호 입력방식 또는 패턴 입력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물함 사용 이력을 표시 이외에도 보관 내용물, 공지사항, 작업 지시서, 사용자 메뉴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학교, 회사 또는 공공장소 등에 배치되어 개인 물품을 보관하거나 회사 서류 등을 키입력번호 노출없이 보관하는 용도와 사물함 사용자가 숙지하여야 할 내용을 비대면으로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기존의 개인 사물함의 경우 도어의 전면에 이름과 개인번호를 쓴 명패를 장착할 수 있는 명패 장착부를 설치하여 개인 사물함을 식별하고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용 사물함의 경우 사물함 번호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사물함 번호를 외우거나 사물함 키에 표시된 사물함 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중인 사물함을 식별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바뀔 때 마다 명패를 교체해야되는 불편함이 있고, 사물함 번호를 외워야 되거나 사물함 키를 분실할 경우 사용이 어려운 문제 그리고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방식으로 사용자 표시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사용자 표시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이 쉽고 편리하고, 고정위치 비밀번호, 가변위치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입력으로 비밀번호노출보안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개인 사물함의 경우 도어의 전면에 고정번호 터치 또는 압력 비밀번호 인식방식으로 도어락 기능 만 작동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자사물함 기능과 효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는 전면부 고정번호 터치 또는 압력 비밀번호 인식방식으로 사용 용도가 단순하고 기능의 확장성이 업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와 비밀번호노출 위험이 있어 보안에 문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 유닛이 설치되어 터치 스크린을 통해 비밀번호 입력표시부를 고정위치비밀번호, 가변위치 비밀번호, 패턴 입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하여 비밀번호 노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보관내용물 확인, 사용자매뉴얼 표시, 공지사항 알림, 작업지시서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이 쉽고 편리하다.
터치 스크린 유닛(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사물함의 도어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32)과, 하우징(32)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터치패널(34)과, 하우징(32) 내부에 장착되어 터치패널(34)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회로가 장착되는 PCB(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유닛(30) 및 도어락(24)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4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고, 전원 공급부(42)는 하나의 본체부(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사물함(20)에 설치되는 각각의 터치 스크린 유닛(30) 및 도어락(24)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체부(10)에는 정전이나 사고등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부(42)로부터 전원이 차단되면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44)가 설치되고, 에너지 저장장치(44)는 전원 공급부(42)의 전원이 다시 연결되면 전원 공급부(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유닛(34)의 하우징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부(42)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 비상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비상전원 연결부(46)가 설치된다.
비상전원 연결부(46)는 하우징(32)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장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는 USB 단자가 사용되거나 건전지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단자가 사용될 수 있고, USB 단자와 외부 제어단말기(예로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등)를 연결하여 보수가 필요한 제어유닛을 본체를 해체하지 않고 초기화 및 제어기능을 복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에는 에너지 저장장치(44)가 구비되고 하우징(32)에는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비상전원 연결부(46)가 구비되어 정전이나 기타 사고으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 유닛(30) 및 도어락(24)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도어락(24) 및 터치 스크린 유닛(30)으로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어(20)에는 도어를 열기 위한 손잡이(26)가 장착되고, 손잡이(26)는 도어(20)에 형성되는 삽입부(28)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도어락(24)과 연동하여 도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손잡이(26)는 삽입부(28)에 삽입되어 외부로 인출되지 않을 상태로 되고 도어락(24)이 열림 동작되면 손잡이(26)가 삽입부(28)에서 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32)에는 본체 주요 탑제 운영기능에 오류가 생기면, 외부 단말기로 본체 운영기능 진단과 초기화 및 리셋을 할 수 있도록 USB 포트 또는 단말기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34)을 제1터치부(50)로 터치하면 제1입력부(60)가 표시된다. 제1입력부(60)는 한글, 영문, 기호 및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제1터치부(50)는 터치패널(34)을 터치하는 횟수나 패턴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입력부(60)를 터치하여 사용자 이름이나 식별번호 또는 식별기호 등 사물함을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사물함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70)를 입력한다. 그러면 터치패널(34)에 식별 표시부(70)가 표시되어 복수의 개별 사물함(20)의 각각의 사용자를 표시하는 전자 명패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개별 사물함(20)의 식별의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터치패널(34)은 제2터치부(52)로 터치하면 도어락(24)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2입력부(62)가 표시된다. 제2입력부(62)를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락(24)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제2터치부(52) 역시 제1터치부(50)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터치패널(34)은 식별 표시부(70) 이외에 사물함의 현황 및 사물함에 보관된 보관물을 확인한할 수 있는 사물함 표시부(7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물함 표시부(74)는 사용기간, 수납 내용물, 사물함 사용등급 등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고, 터치패널(34)을 제3터치부(54)로 터치하면 제3입력부(64)가 표시되고, 제3입력부(64)로 원하는 상태을 입력하면 사물함 표시부(74)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3터치부는 제1터치부 및 제2터치부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패널(34)에 개별 사물함(20) 마다 사용자 또는 사물함 고유식별표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사물함을 찾을 수 있고, 공용 사물함인 경우 현재 사물함에 보관된 서류나 물품 상황을 터치패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터치패널(34)을 제4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4입력부가 표시되되고, 제4입력부는 개별공지사항, 작업지시서, 사용자 매뉴얼 중 적어도 하나인 사물함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된다.
터치패널(20)에는 식별 표시부(70)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사물함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을 찾기 편리하고, 식별 표시부(70)는 터치패널(34)을 통해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쉽고 간편하다.
그리고 해당 사물함의 사물함 상황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터치패널(20)에 설정된 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터치패널에 사물함 상황이 표시되어 사물함을 열고 내부를 확인하지 않고 보관물을 확인할 수 있고 사물함의 각종 현황을 확인 가능하게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도어(22)를 닫으면 자동으로 도어락(24)이 잠금되고 터치패널(34)에는 식별 표시부(70)가 표시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각각의 개별 사물함은 각각의 개별 사물함으로 전원을 인가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개별 사물함과 컨트롤러는 병렬로 연결된다. 즉, 컨트롤러는 복수의 개별 사물함 중 어느 하나와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개별 사물함들 사이는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개별 사물함이 컨트롤러와 병렬로 연결되어 케이블 선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개별 사물함의 도어락에 부착된 딥 스위치로 개별 도어락 신호식별 선택적 신호 송수신회로가 구성되거나 개별 ID를 부여하여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래밍하여 개별 사물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개별 사물함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고 개별 사물함과 컨트롤러가 병렬로 연결되어 케이블 수를 줄일 수 있고 컨트롤러에 복수의 신호선 연결단자가 불필요하여 컨트롤러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사물함의 공간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개별 사물함
22: 도어 26: 손잡이
30: 터치 스크린 유닛 32: 하우징
34: 터치패널 24: 도어락
40: 제어유닛 42: 전원 공급부
44: 에너지 저장장치 46: 비상전원 연결부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개별 사물함; 상기 복수의 개별 사물함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잠금하는 도어락; 및 상기 각각의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방식으로 입력하여 개별 사물함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가 표시되고 비밀번호 키를 입력하여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유닛은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정보를 터치방식으로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패널; 및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의 입력 정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은 제1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1입력부가 표시되고, 제1입력부로 입력하면 터치패널에 사용자 또는 사물함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표시부를 표시되며,
    제2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키가 표시되고, 비밀번호 입력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고,
    제3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3입력부가 표시되고, 제3입력부로 사용물의 사용 내역을 입력하면 터치패널에 보관물, 사용기간, 사용현황 중 적어도 하나인 사물함 표시부가 표시되며,
    제4터치방식으로 터치하면 제4입력부가 표시되되고, 제4입력부는 개별공지사항, 작업지시서, 사용자 매뉴얼 중 적어도 하나인 사물함 표시부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차단되면 터치 스크린 유닛 및 도어락에 전원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장착되고,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연결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전원 연결부의 전원이 차단되면 외부 비상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비상전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전원 연결부는 외장 배터리를 연결하는 USB 포트 또는 건전지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단자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본체부의 운영기능에 오류가 생기면, 외부 단말기로 본체 운영기능 진단과 초기화 및 리셋을 할 수 있도록 USB 포트 또는 단말기를 연결하는 전원 연결단자가 장착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68931A 2021-05-28 2021-05-28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KR10256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31A KR102561145B1 (ko) 2021-05-28 2021-05-28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31A KR102561145B1 (ko) 2021-05-28 2021-05-28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19A KR20220161619A (ko) 2022-12-07
KR102561145B1 true KR102561145B1 (ko) 2023-07-31

Family

ID=8444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31A KR102561145B1 (ko) 2021-05-28 2021-05-28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914A (ja) * 2008-11-25 2010-06-10 Alpha Corp ロッカ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165925A (ja) * 2012-02-17 2013-08-29 Japan Delivery System Corp 物品収受装置
KR101774157B1 (ko) * 2016-05-10 2017-09-01 최경찬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22B1 (ko) 2009-04-14 2010-01-27 이의철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KR20160045308A (ko) * 2014-10-17 2016-04-27 박용기 Iot기반의 비콘을 활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운영방법
KR101615187B1 (ko) 2015-02-17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인증키를 이용한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7687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스마트박스 전달코드를 이용한 물품전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914A (ja) * 2008-11-25 2010-06-10 Alpha Corp ロッカ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165925A (ja) * 2012-02-17 2013-08-29 Japan Delivery System Corp 物品収受装置
KR101774157B1 (ko) * 2016-05-10 2017-09-01 최경찬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19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477B2 (ja) 鍵付保管庫及び電子キー
KR100232703B1 (ko) 전자식 기밀 보호 시스템
US9424700B2 (en) Electronic lock having usage and wear leveling of a touch surface through randomized code entry
CN104847180A (zh) 触摸屏电子密码锁
CN107143214A (zh) 一种应用于电子锁的智能触屏密码生成装置
WO2016023081A1 (en) Storage device and item management system
CN211961409U (zh) 一种密钥专用智能管理箱
US20070290790A1 (en) Lock Programming Device
US20120256724A1 (en) Four-way electronic lock
CN105389874A (zh) 一种用于智能锁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561145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CN201242684Y (zh) 一种电子操作票手持机
KR10166402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JP4845376B2 (ja) 可搬型端末装置の保管・管理方法およびその保管・管理装置
CN101230769B (zh) 一种电脑锁及保安箱
KR20160037426A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US20220207945A1 (en) Machine or device lock enclosure
CN207851931U (zh) 用于解锁保险箱的手持设备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WO2007046804A1 (en) Lock programming device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KR100818343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보안관리사물함 시스템
CN210828727U (zh) 一种u型指纹锁
CN204627161U (zh) 钥匙保管装置
US11257310B2 (en) Function module for an electronic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