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426A -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426A
KR20160037426A KR1020140129869A KR20140129869A KR20160037426A KR 20160037426 A KR20160037426 A KR 20160037426A KR 1020140129869 A KR1020140129869 A KR 1020140129869A KR 20140129869 A KR20140129869 A KR 20140129869A KR 20160037426 A KR20160037426 A KR 2016003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ver
bar
uni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879B1 (ko
Inventor
박권영
Original Assignee
박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영 filed Critical 박권영
Priority to KR102014012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0); 및 상기 바디(10)와 상기 커버(20)를 개폐하는 개폐유닛(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A 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든 현재, 현대인에게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익숙해지고,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학업 등 다른 일에 몰두해야 할 수험생의 경우에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경우 수험생의 집중도가 하향되어 학습능력이 저하되고, 학습 시간이 감소되며, 두뇌활동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0); 및 상기 바디(10)와 상기 커버(20)를 개폐하는 개폐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바디(1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상기 바디(1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 및
상기 커버(2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커버(20)에 구비된 커버 바(32); 및 상기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32)와 탈착되는 바디 바(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3)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3)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3) 중 어느 하나에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3)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3)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3)의 접촉상태에 관한 접촉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접촉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3)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접속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3)의 접촉을 해제되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접촉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즉시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를 닫으면,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의 락킹이 해제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예를 들어, 선생님, 부모 등)는 사용자(예를 들어, 학생, 자녀 등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이 많은 사람)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 여부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개폐 상태를 통하여 알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실시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장착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실시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0)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10)와,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0)와, 바디(10)와 커버(20)를 개폐하는 개폐유닛(30)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소형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한 재질로서는 강화유리, 아크릴, 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바디(10)와 커버(2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바디(10)와 커버(20)가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30)은 커버(20)와 바디(10)를 락킹(locking)하는 락킹유닛(30)이 될 수 있다. 락킹유닛(30)은 커버(20)와 바디(10)를 락킹하여, 커버(20)가 바디(10)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한다.
락킹유닛(30)은 금고, 도어 등에 사용되는 기계식(manual) 잠금장치 예를 들어, 키/실린더식 자물쇠, 다이얼/회전식 자물쇠 등이나, 디지털 잠금장치(locker)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락 등이 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락킹유닛(30)은 바디(1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과, 커버(20)에 구비되어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닛(31)은 바디(10)에 구비된다. 메인유닛(31)은 일부가 바디(10)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바디(10)의 수용공간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31)은 공지의 기계식 또는 디지털식 잠금장치로 실시될 수 있다.
서브유닛(32)은 커버(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커버(20)가 모바일 디바이스(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차폐하면, 서브유닛(32)은 메인유닛(31)에 락킹되어, 커버(20)가 바디(10)에 락킹되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유닛(31)이 바디(10)에 구비되고, 서브유닛(32)이 커버(20)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메인유닛(31)이 커버(20)에 구비되고, 서브유닛(32)이 바디(10)에 구비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락킹유닛(30)은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40)가 락킹유닛(3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어부(4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동작은 락킹유닛(30)의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또한, 락킹 상태정보는 락킹유닛(30)의 동작상태(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이 락킹 또는 락킹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락킹유닉(30)의 동작 시작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이 락킹된 시각) 및 락킹유닛(30)의 동작종료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락킹 상태정보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및 제어부(40)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시각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락킹 상태정보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고, 커버를 닫아 커버가 바디에 락킹되면,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야 락킹이 해제되어 커버를 열 수 있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하게 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40)가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부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지의 와이파이(WiFi), 근거리영역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단자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으나, 개인사정, 급한 용무 등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디바이스(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 마스터 키를 이용하여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개폐유닛(30)은 커버(20)에 구비된 커버 바(32)와, 바디(10)에 구비되어 커버 바(32)와 탈착되는 바디 바(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바(32) 또는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에는 커버 바(32)와 바디 바(31)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32) 또는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에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커버 바(32)와 바디 바(31)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커버 바(32) 또는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커버 바(32)와 바디 바(31)의 접촉상태에 관한 접촉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바(32) 또는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은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접촉 또는 접촉 해제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또한, 접촉 상태정보는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동작상태(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접촉 또는 접촉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동작 시작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접촉된 시각) 및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동작종료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접촉이 해제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접촉 상태정보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및 제어부(40)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시각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촉 상태정보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접촉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커버 바(32) 또는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가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접촉 상태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커버 바(32)와 바디 바(31) 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지의 와이파이(WiFi), 근거리영역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단자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 또는 커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락킹 상태정보 또는 접속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부는 접속 상태정보 또는 락킹 상태정보를 시각, 청각, 촉각 등으로 외부로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커버 바(32)와 바디 바(31)의 접촉을 해제되면 알림부를 통해 접촉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되면 알림부를 통해 락킹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경우 이 수용여부를 감지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여부 감지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에서 유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단자를 통하여 감지하거나, 둘째, 별도의 감지센서를 모바일 디바이스용케이스레 설치, 셋째, 그 외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또는 제스처 또는 조도 센서등을 활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수용여부 감지방법들과 함께 잠금시간 또는/및 학습시간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생이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를 장착한 모바일 디바이스(0)를 락킹을 해제하고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의 제어부(40)는 락킹 상태정보를 부모 또는 선생님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결과를 송신하며, 이를 통해 부모 또는 선생님 등은 학생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0)를 사용하고 있는 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모 또는 선생님등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동작시간의 설정이 가능함으로써, 학생의 모바일 디바이스(0)의 사용을 부모 또는 선생님이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 내에서 제한하게 되어 학생이 모바일 디바이스(0)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락킹시에는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버의 투명한 창부분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버튼을 사용하여 전화를 수신하거나 긴급통화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버튼은 물리적인 힘으로 눌러서 작용하는 버튼이 될 수도 있고 정전식 터치등의 방식과 같은 스위치 연결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이외에 외부의 별도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잠금시간 또는 학습시간을 관리하는 기능을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즉시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단자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에 모바일 디바이스 충전기능이 있어 케이스 자체 필요전력도 사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에도 사용할 수 있거나 상호 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경우 매우 적은 전력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20 : 커버
30 : 개폐유닛 31 : 바디 바, 메인유닛
32 : 커버 바, 서브유닛 40 : 제어부

Claims (18)

  1.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0); 및
    상기 바디(10)와 상기 커버(20)를 개폐하는 개폐유닛(30);
    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바디(1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상기 바디(1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 및
    상기 커버(2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2);
    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모바일 디바이스 수용시 수용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커버(20)에 구비된 커버 바(32); 및
    상기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32)와 탈착되는 바디 바(31);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1)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에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1)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모바일 디바이스 수용시 수용을 감지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1)의 접촉상태에 관한 접촉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접촉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5. 제3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 또는 상기 커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접속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상기 커버 바(32)와 상기 바디 바(31)의 접촉을 해제되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접촉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즉시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18. 제10항에 있어서,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커버 바(32) 또는 상기 바디 바(31)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1020140129869A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10164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69A KR101640879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69A KR101640879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26A true KR20160037426A (ko) 2016-04-06
KR101640879B1 KR101640879B1 (ko) 2016-07-26

Family

ID=5579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69A KR101640879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7596A (zh) * 2016-05-26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沉迷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210140981A (ko) * 2020-05-14 2021-11-23 정규진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KR102448477B1 (ko) * 2021-05-18 2022-09-28 정규진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01B1 (ko) 2001-05-18 2005-03-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압력감응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반도체 기판의 제조방법
KR20050029351A (ko) * 2003-09-22 2005-03-28 한정민 사용시간 제한 멀티콘센트
KR20080047938A (ko)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01B1 (ko) 2001-05-18 2005-03-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압력감응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반도체 기판의 제조방법
KR20050029351A (ko) * 2003-09-22 2005-03-28 한정민 사용시간 제한 멀티콘센트
KR20080047938A (ko)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7596A (zh) * 2016-05-26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沉迷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210140981A (ko) * 2020-05-14 2021-11-23 정규진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KR102448477B1 (ko) * 2021-05-18 2022-09-28 정규진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879B1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0267B2 (ja) 端末のロック解除処理方法、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S2895548T3 (es) Sistema y método de cerradura electrónica inalámbrica
US9470017B1 (e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faceplate and/or ring electrically isolated from circuit
EP3089062B1 (en) Portable key device and device control method
CA2988511C (en) Remote locking system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US893762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20180047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wireless security range
US9659420B2 (en) Security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curity control apparatus
KR20160046330A (ko) 사용자의 환경 내의 내장 장치들과의 상호작용
EP2879326B1 (en) Unlocking method, unlocking key, and unlocking device of electronic device
US20150261947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7193803A1 (zh) 智能行李箱及使用方法
KR1016408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CN108985034A (zh) 一种解锁方法及终端设备
KR10166402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CN104537741A (zh) 一种防偷窥通讯电子密码门锁
KR20150132991A (ko) 차량 스마트키
KR102138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94988A (ja) 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ウェアラブル端末の制御方法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N104200543A (zh) 具有移动通讯模块的锁具控制系统
TW201704610A (zh) 智慧型門禁裝置
JP2019044462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619899U (zh) 超音波門鎖
KR20170103305A (ko)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