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020B1 -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020B1
KR101664020B1 KR1020140083508A KR20140083508A KR101664020B1 KR 101664020 B1 KR101664020 B1 KR 101664020B1 KR 1020140083508 A KR1020140083508 A KR 1020140083508A KR 20140083508 A KR20140083508 A KR 20140083508A KR 101664020 B1 KR101664020 B1 KR 10166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locking
case
unit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696A (ko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원
Priority to KR102014008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7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contracting, or fus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A safe for mobile device and a deposito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시간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든 현재, 현대인에게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익숙해지고,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학업 등 다른 일에 몰두해야 할 수험생의 경우에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경우 수험생의 집중도가 하향되어 학습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보관하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와,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838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정시간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 및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3);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충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입출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소정의 센서(Sensor)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감지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충전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락킹유닛(30)이 락킹되면,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또는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알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충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케이스(10)에 보관시키고 도어(20)를 닫아 도어(20)가 케이스(10)에 락킹되게 하면,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야 락킹이 해제되어 케이스(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꺼내 사용하게 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시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실시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 실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케이스(10)와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소형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관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이 투영되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에 포함되는 투명한 재질로서는 강화유리, 아크릴, 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케이스(10)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어(20)는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20)는 케이스(10)의 개구된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10)에서 회동되어 케이스(10)의 수용공간을 개폐한다.
락킹유닛(30)은 케이스(10)와 도어(20)를 락킹(locking)하여, 도어(20)가 케이스(10)의 수용공간을 차폐시키도록 한다. 락킹유닛(30)은 금고 등에 사용되는 기계식(manual) 또는 전자식 잠금장치(locker)로 실시될 수 있다.
락킹유닛(30)은 도어(20) 또는 케이스(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락킹유닛(30)은 도어(2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 및 케이스(10)에 구비되어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3)을 포함한다.
메인유닛(31)은 도어(20)에 결합된다. 메인유닛(31)은 일부가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도어(20)의 수용공간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유닛(31)은 공지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잠금장치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메인유닛(31)은 전자식 잠금장치로 실시되나 이에 메인유닛(31)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유닛(33)은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어(20)가 수용공간을 차폐하면, 서브유닛(33)은 메인유닛(31)에 락킹되어, 도어(20)가 케이스(10)에 락킹되게 한다.
제어부(40)는 도어(20), 케이스(10), 락킹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40)가 락킹유닛(3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어부(4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는 도어(20) 또는 케이스(10)에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락킹유닛(30)이 락킹되면 락킹 시그널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락킹 시그널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되면(unlocking), 락킹 해제 시그널을 외부 또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도어(20)가 케이스(10)에 락킹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하여(unlocking), 도어(20)가 케이스(10)로부터 열리도록 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시간이다.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케이스(10) 또는 도어(20) 등에 구비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전원케이블(60)로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케이스(10)에 보관시키고 도어(20)를 닫아 도어(20)가 케이스(10)에 락킹되게 하면,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야 락킹이 해제되어 케이스(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꺼내 사용하게 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을 일정 시간 제한하게 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키는 락킹유닛(30)의 실시예에 따라 기계식 마스터 키 또는 전자식 카드키로 실시될 수 있다. 마스터 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락킹유닛(30)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충전수단은 외부의 충전장치가 케이스(10)의 내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개구된 홈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된 홈으로 외부의 충전케이블이 수용공간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되고,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 외부의 충전케이블에 연결되어 보관 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충전수단은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탈착되는 충전케이블(80)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원공급부(70)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충전케이블(80)에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관 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충전케이블(80)은 이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케이블(80)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충전케이블(80)은 전원의 공급 및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충전케이블(80)의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에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입출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수단은 외부의 입출력기기의 케이블이 케이스(10)의 내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개구된 홈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된 홈으로 인입된 이어폰 잭, 마이크 기능이 포함된 이어셋 잭 등이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입출력수단은 케이스(10)에 구비된 단자박스(50)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수단은 단자박스(50)에 구비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이어폰 잭(51), 마이크 기능이 포함된 이에섯 잭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출력수단은, 케이스(10)에 구비된 단자박스(50)와, 단자박스(50)에 구비된 이어폰 잭(51)으로 실시되나, 이에 입출력수단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폰 잭(51)은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된다. 단자박스(50)에는 또 다른 이어폰이 결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케이스(10)의 외부에서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 기능이 포함된 이어셋 잭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 기능을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0)에 입출력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출력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을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공간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디바이스에 걸려온 전화를 이어폰, 이어셋 등을 사용하여 받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입력을 수신하여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며,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동작은 락킹유닛(30)의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락킹 상태정보는 락킹유닛(30)의 동작상태(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이 락킹 또는 락킹이 해제되었는지 여부), 락킹유닛(30)의 동작 시작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이 락킹된 시각) 및 락킹유닛(30)의 동작 종료시점(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락킹 상태정보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및 제어부(40)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시각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락킹 상태정보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를 통해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소정의 센서(Sensor)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케이스(10)에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외부에 존재하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감지 결과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센서는 케이스(10)에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센서는 수용공간의 일측면 설치될 수 있다. 소정의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소정의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를 송신하는 경우 공지의 와이파이(Wi-Fi), 근거리영역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등의 통신방식을 활용하여 송신될 수 있으나, 이에 통신방식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는,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가 충전수단에 연결되고 락킹유닛(30)이 락킹되면, 락킹 상태정보를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 중 하나 이상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 상태정보는 상술한 락킹 동작상태, 락킹유닛(30)의 동작 시작시점, 및, 락킹유닛(30)의 동작 종료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충전수단을 통한 유선통신방식 또는 제어부(40)에 구비된 무선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락킹 상태정보를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가 락킹 상태정보를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에 송신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I)는 송신 받은 락킹 상태정보를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로 송신할 수 있다.
케이스(10) 또는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알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알림부는 시각, 청각, 촉각 등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되면 알림부를 통해 시각, 청각, 촉각 등으로 락킹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생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I)를 금고 내에 수납하는 경우 금고 내 제어부(40)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압력 센서를 통해 학생의 모바일 디바이스(I)가 수납되었는지 확인하고, 학생의 모바일 디바이스(I)가 수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O)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결과를 송신하며, 이를 통해 부모는 학생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I)를 금고에 수납하였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모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O)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락킹유닛(30)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동작시간의 설정이 가능함으로써, 학생의 모바일 디바이스(I)의 사용을 부모가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 내에서 제한하게 되어 학생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중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100)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적층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락킹유닛(3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전자식 또는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전자식 락킹유닛(30)으로 실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는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에 구비된 제어부(40)가 상술한 것과 같이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I),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O) 또는 컴퓨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20 : 도어
30 : 락킹유닛 40 : 제어부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메인유닛(31); 및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유닛(31)에 락킹되는 서브유닛(33);
    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충전수단이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입출력수단이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소정의 센서(Sensor)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으로 감지 결과를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충전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락킹유닛(30)이 락킹되면,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컴퓨터 중 하나 이상에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또는 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상기 락킹유닛(30)의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외부로 알림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15.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도어(20)를 락킹하는 락킹유닛(30); 및
    상기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락킹유닛(30)의 동작여부에 관한 락킹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상기 락킹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을 입력 받아 락킹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30)은 락킹을 해제하는 마스터 키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충전수단이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를 이용한 보관소.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83508A 2014-07-04 2014-07-04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KR10166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08A KR101664020B1 (ko) 2014-07-04 2014-07-04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08A KR101664020B1 (ko) 2014-07-04 2014-07-04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96A KR20160004696A (ko) 2016-01-13
KR101664020B1 true KR101664020B1 (ko) 2016-10-14

Family

ID=5517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08A KR101664020B1 (ko) 2014-07-04 2014-07-04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30B1 (ko) * 2016-04-18 2018-06-19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44953A1 (en) * 2019-05-09 2022-10-27 Chargersafe Llc ChargerSafe
KR102261916B1 (ko) * 2019-11-01 2021-06-07 강성경 자녀관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충전기
KR102244598B1 (ko) * 2020-07-10 2021-04-23 이숙자 헤어드레서 디바이스를 살균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GB2598905A (en) * 2020-09-16 2022-03-23 Abp Tech Limited Time-locked cabinet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76B1 (ko) * 2000-06-21 2003-08-09 (주)신종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KR100451177B1 (ko) * 2001-11-1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447789Y1 (ko) * 2009-08-18 2010-02-22 김종범 휴대폰 보관함
KR200469980Y1 (ko) * 2013-07-02 2013-11-18 백상한 가정용 모바일기기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540B1 (ko) 2010-04-23 2012-07-06 주식회사 폰텔 복수 개의 모바일폰 수납 및 살균기능을 갖는 모바일폰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76B1 (ko) * 2000-06-21 2003-08-09 (주)신종 자동 개폐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KR100451177B1 (ko) * 2001-11-1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447789Y1 (ko) * 2009-08-18 2010-02-22 김종범 휴대폰 보관함
KR200469980Y1 (ko) * 2013-07-02 2013-11-18 백상한 가정용 모바일기기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96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02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JP5809386B2 (ja) 制御可能なデータ転送能力を有する金庫
AU2019275528B2 (en) Remote locking system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ES2908097T3 (es) Sistema de cierre electrónico y procedimiento para habilitar una autorización de acceso
JP6806564B2 (ja) ロッキング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ロ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管状金庫
CN103858154A (zh) 接近度标签
US9725925B1 (en) Door lock using a power supply of a mobile device as a power source
TWI621764B (zh) 對電子鎖無線充電及解鎖的方法
KR20160075967A (ko) 분실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구박스
CN103353998A (zh) 一种电子遥控智能门锁
CN115604707A (zh) 自然语言用户界面
KR20210019213A (ko) 스마트 도어
KR101627777B1 (ko)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6408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20130001749U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KR101620285B1 (ko) 서랍장 잠금수단 원격 관리 시스템
US8963985B2 (en) Automatically ringing electronic door lock
CN204782374U (zh) 便携式蓝牙锁
US20210058105A1 (en) Privacy apparatus for electronics and related methods
KR101486323B1 (ko) 교정시설용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CN106948672A (zh) 互锁门
KR101984249B1 (ko) 은닉 보관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결합 시스템
CN106548424B (zh) 一种灯具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KR20130136230A (ko) 공공장소에 비치되어진 사설 충전 시스템
TW201704610A (zh) 智慧型門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