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177B1 -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177B1
KR100451177B1 KR10-2001-0071908A KR20010071908A KR100451177B1 KR 100451177 B1 KR100451177 B1 KR 100451177B1 KR 20010071908 A KR20010071908 A KR 20010071908A KR 100451177 B1 KR100451177 B1 KR 10045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terminal
free
audio inpu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267A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1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는 자동차 내부의 일정장소에 고정되는 핸즈 프리 본체(100)의 하측에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를 설치하고, 상기 핸즈 프리 본체(1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103)의 하단부에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를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103)를 핸즈 프리 본체(100)에 장착함과 동시에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가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에 접속되어 별도의 오디오 연결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즉시 핸즈 프리를 편리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와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가 접속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됨과 아울러 얼라인되며 원할하게 접속이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TERMINAL STRUCTURE OF HAND FREE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연결선을 연결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핸즈 프리에 장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핸즈 프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은 유선전화의 개발이후로 근거리에서 쌍방간에 유선연결을 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는 무전기에서 부터 900MHz용 무선 전화기 및 고속주행하는 자동차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또한, 휴대폰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휴대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의 액세서리가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에 설치하여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며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하거나, 송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이다.
이러한 핸즈 프리를 자동차에 설치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중 전화통화로 인한 부주의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어서, 그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 휴대단말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핸즈 프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는 자동차 내부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도록 핸즈 프리 본체(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즈 프리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2)에 자력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3)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즈 프리 본체(1)의 상면 일측에는 마이크(4)와 작동스위치(5) 및 통화상태를 표시하는 수개의 엘이디(6)가 설치되어 있고, 후면에는 스피커(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즈 프리 본체(1)의 하면에는 시거 잭(CIGAR JACK)(8)에 연결되도록 전원선(9)이 연결되어 있어서, 자동차에서 전원선(9)을 통하여 핸즈 프리 본체(1)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즈 프리 본체(1)의 측면에는 단부에 수형연결잭(10)이 구비되는 오디오 연결선(11)이 구비되어 있어서, 핸즈 프리 본체(4)에 장착되어지는 휴대 단말기(3)의 상단부에 설치된 암형 연결잭(12)에 수형연결잭(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는 핸즈 프리는 사용자가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시거 잭(8)을 연결하여 핸즈 프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3)를 핸즈 프리 본체(1)의 안착부(2)에 안착시키면 자력에 의하여 단말기(3)가 핸즈 프리 본체(1)의 안착부(2)에 고정되어 진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핸즈 프리 본체(1)에 연결된 오디오 연결선(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형 연결잭(10)을 단말기(3)의 상단부에 형성된 암형연결잭(12)에 결합한 상태에서 운전중 핸즈 프리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즈 프리는 사용시 항상 오디오 연결선(11)으로 핸즈 프리 본체(1)와 단말기(3)를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고, 오디오 연결선(11)의 단부에 결합된 수형 연결잭(10)을 단말기(3)에 형성된 암형 연결잭(12)에 결합/해체하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마모로 잦은 고장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오디오 연결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를 핸즈 프리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간편하게 핸즈 프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를 핸즈 프리에 장착시 접속부위가 용이하고 원할하게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핸즈프리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핸즈프리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단자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충전기능이 부가된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핸즈 프리 본체 103:휴대 단말기
111,202: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 112: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21 : 단자캡 121a : 단자공122 : 접촉핀 123 : 스프링131 : 단자캡 132 : 접촉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핸즈 프리 본체의 하단부에는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즈 프리 본체에 결합되는 단말기의 하단부에는 상기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에 결합되는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핸즈 프리에 있어서,상기 핸즈 프리 본체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단자캡에 형성된 단자공들에 접촉핀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접촉핀들은 각각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지되도록 구성된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단자캡의 내측에 상기 단말기측 접촉핀이 삽탈되며 접속될 수 있도록 핸즈 프리측 접촉핀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핸즈프리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즈 프리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즉, 자동차 내부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도록 핸즈 프리 본체(10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즈 프리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102)에 자력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103)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핸즈 프리 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마이크(104)와 작동스위치(105) 및 통화상태를 표시하는 수개의 엘이디(106)가 설치되어 있고, 후면에는 스피커(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즈 프리 본체(100)의 하면에는 시거 잭(108)에 연결되도록 전원선(109)이 연결되어 있어서, 자동차에서 전원선(109)을 통하여 핸즈 프리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핸즈 프리 본체(100)의 하측에는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103)의 하단부에는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가 설치되어 있어서, 휴대 단말기(103)를 핸즈 프리 본체(100)에 장착함과 동시에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가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단자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1)는 핸즈 프리 본체(100)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단자캡(121)에 형성된 단자공(121a)들에 접촉핀(122)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접촉핀(122)들은 각각 스프링(123)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는 단말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단자캡(131)의 내측에 상기 접촉핀(122)이 삽탈되며 접속될 수 있도록 핸즈 프리측 접촉핀(132)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는 사용자가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시거 잭(108)을 연결하여 핸즈 프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3)를 핸즈 프리 본체(100)의 안착부(102)에 안착시키면 자력에 의하여 단말기(103)가 핸즈 프리 본체(100)의 안착부(102)에 고정됨과 아울러 단말기(103)의 하단부에 설치된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에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112)가 접속되어 진다.
즉, 종래와 같이 별도로 오디오 연결선(11)을 연결하지 않고도 핸즈 프리본체(100)에 휴대 단말기(103)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바로 핸즈 프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고 간편하게 핸즈 프리를 이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핸즈프리장치에 충전기능이 부가된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201)와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202)가 핸즈 프리 본체(200)의 안착부(203)에 설치되고, 본체(200)의 내부에 스피커(204)와 마이크(205)가 내장되어 충전과 동시에 핸즈 프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는 핸즈 프리 본체의 하측에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고,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에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핸즈 프리 본체에 장착함과 동시에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에 접촉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오디오 연결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즉시 핸즈 프리를 편리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상기 핸즈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에 접속시에 얼라인되며 탄력적으로 접속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핸즈 프리 본체의 하단부에는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즈 프리 본체에 결합되는 단말기의 하단부에는 상기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에 결합되는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핸즈 프리에 있어서,
    상기 핸즈 프리 본체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단자캡에 형성된 단자공들에 접촉핀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접촉핀들은 각각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지되도록 구성된 핸즈 프리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단자캡의 내측에 상기 단말기측 접촉핀이 삽탈되며 접속될 수 있도록 핸즈 프리측 접촉핀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측 오디오 입출력단자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2. 삭제
KR10-2001-0071908A 2001-11-19 2001-11-19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10045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08A KR100451177B1 (ko) 2001-11-19 2001-11-19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08A KR100451177B1 (ko) 2001-11-19 2001-11-19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67A KR20030041267A (ko) 2003-05-27
KR100451177B1 true KR100451177B1 (ko) 2004-10-02

Family

ID=2957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908A KR100451177B1 (ko) 2001-11-19 2001-11-19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696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고려원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203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핸즈프리 결합구조
CN101976573A (zh) * 2005-09-28 2011-02-16 歌乐株式会社 车载音响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974U (ko) * 1996-11-06 1998-08-05 구관영 핸드프리장치
WO1999011048A1 (en) * 1997-08-28 1999-03-04 Ericsson, Inc. A vehicle handsfree kit having voice recording playback capability
EP1014656A2 (en) * 1998-12-23 2000-06-28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phone accessory, particularly for hands-free function, and an arrangement
KR20000011421U (ko) * 1998-12-02 2000-07-05 유준상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KR20000044465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KR20010067541A (ko) * 2001-02-07 2001-07-13 조재환 원터치 핸즈프리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974U (ko) * 1996-11-06 1998-08-05 구관영 핸드프리장치
WO1999011048A1 (en) * 1997-08-28 1999-03-04 Ericsson, Inc. A vehicle handsfree kit having voice recording playback capability
KR20000011421U (ko) * 1998-12-02 2000-07-05 유준상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EP1014656A2 (en) * 1998-12-23 2000-06-28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phone accessory, particularly for hands-free function, and an arrangement
KR20000044465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KR20010067541A (ko) * 2001-02-07 2001-07-13 조재환 원터치 핸즈프리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696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고려원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KR101664020B1 (ko) * 2014-07-04 2016-10-14 주식회사 고려원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67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62481A (ko) 붐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스피커 유니트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US7012403B2 (en) Charger with replaceable signal line for a car
KR100451177B1 (ko)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156655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키트
KR20016541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CN209748763U (zh) 蓝牙耳机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KR200253382Y1 (ko) 핸즈프리 장치용 휴대폰
KR200214835Y1 (ko) 휴대폰 건전지 충전 방식을 이용한 핸드프리용 연결 단자
KR200214836Y1 (ko) 핸드폰의 외부단자에 연결이 필요 없는 차량용 핸드프리
KR200203039Y1 (ko) 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이 부가된 자동차용 콘솔 박스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KR200255937Y1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핸드폰 접속구조
KR200362203Y1 (ko) 스피커폰 겸용 자동차용 무선 핸즈프리
KR200255425Y1 (ko) 마이크로이어폰
KR200353232Y1 (ko) 에프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200287419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200252679Y1 (ko) 이어 마이크로폰의 스위치장치
KR200289435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KR200293078Y1 (ko) 핸즈프리용 연결장치
KR100433932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세트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