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421U -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421U
KR20000011421U KR2019980023852U KR19980023852U KR20000011421U KR 20000011421 U KR20000011421 U KR 20000011421U KR 2019980023852 U KR2019980023852 U KR 2019980023852U KR 19980023852 U KR19980023852 U KR 19980023852U KR 20000011421 U KR20000011421 U KR 20000011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nnector
phone
chargin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상
Original Assignee
유준상
주식회사 슈퍼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상, 주식회사 슈퍼네트 filed Critical 유준상
Priority to KR201998002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1421U/ko
Publication of KR20000011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21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충전 겸 폰 행거와 휴대폰이 별도의 케이블과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므로 휴대폰을 충전 겸 폰 행거에서 분리하더라도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커넥터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겸 폰 행거과 휴대폰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넥터 로커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충전 겸 폰 행거의 장착홈 저면벽에 항상 수직을 유지하는 커넥터를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을 컨트롤 유닛에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 휴대폰을 장착홈에 장착할 때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에 휴대폰측 커넥터가 자동적으로 연결되고, 휴대폰을 장착홈에서 분리하면 양측 커넥터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이 간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커넥터 로커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본 고안은 자동자용 휴대폰 핸즈프리(Hands Fre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의 착탈이 간편하게 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폰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운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을 운전할 경우 안전을 위하여 자동차 실내에 핸즈프리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도 6는 종래 핸즈프리 장치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1은 컨트롤 유닛, 2는 충전 겸 폰 행거, 3은 자동차의 시가 잭(cigar jack)(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지는 시가 잭 플러그, 4는 마이크, 5는 스피커이며, 6은 휴대폰이다.
상기 시가 잭 플러그(3), 마이크(4) 및 스피커(5)는 각각 케이블(3a,4a,5a)과 커넥터(3b,4b,5b)에 의하여 컨트롤 유닛(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 유닛(1)과 충전 겸 폰 행거(2)는 케이블(2a)과 커넥터(2b)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겸 폰 행거(2)와 휴대폰(6)은 케이블(6a)과 커넥터(6b,6c)(6d)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충전 겸 폰 행거(2)는 휴대폰(6)이 장착되는 장착홈(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2c)의 양측벽 내면에는 장착홈(2c)에 장착된 휴대폰(6)의 양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돌기(7)가, 외면에는 해제용 놉(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7) 및 해제용 놉(8)은 상시 탄력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 겸 폰 행거(2)의 장착홈(2c) 배면벽에는 휴대폰(6)을 장착하였을 때 '온'되어 마이크(4)와 스피커(5)에 의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6)을 분리하였을 때는 '오프'되어 휴대폰(6) 자체로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는 컨트롤 유닛(1)과 충전 겸 폰 행거(2)와 마이크(4), 스피커(5)를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하되, 각각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
마이크(4)는 운전자의 운전자세에서 운전자의 입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고, 스피커(5)는 수신음을 잘 들을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특히, 충전 겸 행거(2)는 자동차의 대시 보드(dash board)에 나사못 등으로 장착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폰(6)을 핸즈프리 장치에 장착함에 있어서, 충전 겸 폰 행거(2)의 장착홈(2c)에 끼워 넣으면 고정돌기(7)가 휴대폰(6)의 양측벽에 의하여 밀려들어가게 되면서 그 선단이 휴대폰(6)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눌러서 고정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충전 겸 폰 행거(2)에 연결된 케이블(6a)의 커넥터(6c)를 휴대폰(6)의 커넥터(6d)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휴대폰(6)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전환스위치(9)는 휴대폰(6)의 배면에 의하여 눌려서 '온'되면서 마이크(4)와 스피커(5)에 의하여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폰(6)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해제용 놉(8)을 눌르면 고정돌기(7)가 양측벽 내로 들어가면서 휴대폰(6)의 양측벽으로부터 이탈되어 휴대폰(6)이 고정이 해제되어 휴대폰(6)을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휴대폰(6)을 충전 겸 폰 행거(2)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는 전환스위치(9)가 '오프'되어 케이블(6a)이 연결되어 있더라도 충전을 계속되지만 마이크(4)와 스피커(5)에 의한 통화는 불가능하며, 휴대폰(6) 자체로서의 통화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폰(6)을 핸즈프리 장치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휴대폰(6)을 충전 겸 폰 행거(2)의 장착홈(2d)에 삽입함과 아울러 컨트롤 유닛(1)에서 인출된 케이블(6a)의 커넥터(6c)를 휴대폰(6)의 커넥터(6d)에 일일이 연결하여야 하며, 분리할 경우에도 휴대폰(6)을 충전 겸 폰 행거(2)의 장착홈(2d)에서 분리해 냄과 아울러 케이블(6a)의 커넥터(6c)를 휴대폰(6)의 커넥터(6d)로부터 일일이 분리해 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등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휴대폰(6)의 커넥터(6d)에 케이블(6a)의 커넥터(6c)를 연결하였을 때 케이블(6a)이 밑으로 처지는 상태로 되므로 커넥터(6c)와 커넥터(6d)가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6c)에는 로커(locker)(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커넥터(6c)와 커넥터(6d)를 분리하기 위하여는 로커 놉(도시되지 않음)을 누른 상태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더욱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장착하는 작업과 분리해 내는 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등 그 사용이 편리하게 되도록 한 자동차용 핸드폰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을 컨트롤 유닛에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 휴대폰을 충전 겸 폰 행거에 장착하는 것만으로써 휴대폰의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의 커넥터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휴대폰을 충전 겸 폰 행거에서 분리하는 것만으로써 휴대폰의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의 커넥터가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의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충전 겸 폰 행거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충전 겸 폰 행거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충전 겸 폰 행거에서 휴대폰을 분리하는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6은 종래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컨트롤 유닛 20 : 충전 겸 폰 행거
22 : 장착홈 25 : 충전 겸 폰 행거 측 커넥터
25a : 커넥터 몸체 25b : 연결부
26 : 탄성부재 30 : 시가 잭 플러그
40 : 마이크 50 : 스피커
60 : 휴대폰 61 : 휴대폰측 커넥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컨트롤 유닛과, 이에 연결되는 시가 잭 플러그, 마이크, 스피커 및 휴대폰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충전 겸 폰 행거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저면벽에,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장착홈에 휴대폰을 장착할 때 휴대폰측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의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는 저면벽의 하측 내부에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넥터 몸체와, 이 커넥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시 수직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에 감겨지며 일측 암은 충전 겸 폰 행거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측 암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의 실시례를 도시하는
도 1에서 10은 컨트롤 유닛이고, 20은 충전 겸 폰 행거이며, 30은 시가 잭 플러그이고, 40은 마이크이며, 50은 스피커이고, 60은 휴대폰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10)과 시가 잭 플러그(30), 마이크(40) 및 스피커(50)은 각각 케이블(31,41,51) 및 커넥터(32,42,5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유닛(10)과 충전 겸 폰 행거(20)는 케이블(2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전 겸 폰 행거(20)에는 휴대폰(60)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22)은 양측벽(22a), 배면벽(22b) 및 저면벽(22c)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홈(22)의 저면벽(22c)에는 상기 휴대폰(60)의 커넥터(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5)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즉, 컨트롤 유닛(10)과 충전 겸 폰 행거(20)만 케이블(21)에 의하여 연결될 뿐, 휴대폰(60)은 컨트롤 유닛(10)에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고 휴대폰(60)을 충전 겸 폰 행거(20)에 장착할 때 이 충전 겸 폰 행거(20)에 설치된 커넥터(25)를 통해 컨트롤 유닛(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유닛(10)과 충전 겸 폰 행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케이블(21)은 충전 겸 폰 행거(20)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5)는 충전 겸 폰 행거(20)의 내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3)에 케이블(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25)는 충전 겸 폰 행거(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넥터 몸체(25a)와, 이 커넥터 몸체(25a)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60)의 커넥터(61)에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부(25b)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25a)는 장착홈(22)의 저면벽(22c) 하측 내부에 고정되는 힌지축(25c)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연결부(25b)는 상기 장착홈(22)의 저면벽(22c)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25a)는 탄성부재(26)에 의하여 상시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탄력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26)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힌지축(25c)에 감긴 상태에서 일측 암(26a)은 충전 겸 폰 행거(20)의 내부의 스프링 지지편(26c)에 지지되고, 타측 암(26b)은 상기 커넥터 몸체(25a)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돌기(26d)에 지지되어 그 토션력이 커넥터(25)를 상기 수직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면벽(22c)에는 상기 커넥터(25)의 연결부(25b)가 가동되는 절취홈(22d)이 형성되어 이 절취홈(22d)의 배면측 가장자리(22e)는 상기 커넥터 몸체(25a)가 수직 상태보다 배면측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22)의 양측벽(22a) 내측에는 휴대폰(60)을 장착하였을 때 휴대폰(60)의 양측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7)가 상시 탄력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벽(22a)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7)를 양측벽(22a) 내로 들어가게 작동시키는 해제용 놉(28)이 상시 탄력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22)의 배면벽(22b)에는 휴대폰(60)을 장착하였을 때 휴대폰(60)의 배면에 의하여 눌려서 '온'되고 휴대폰(60)을 분리하였을 때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전환스위치(2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돌기(27), 해제용 놉(28) 및 전환스위치(29)는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유닛(10)과 충전 겸 폰 행거(20)와 마이크(40)와 스피커(50)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시가 잭 플러그(30)를 자동차의 시가 잭(도시되지 않음)에 끼워 접속함으로써 핸즈프리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핸즈프리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휴대폰(60)을 충전 겸 폰 행거(20)의 장착홈(22)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휴대폰(60)의 커넥터(61)에 연결되는 충전 겸 폰 행거(20)측 커넥터(25)는 그 연결부(25b)가 상방에 위치하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커넥터(25)는 그 커넥터 몸체(26a)가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회동되려고 하지만 커넥터 몸체(25a)는 충전 겸 폰 행거(20)의 저면벽(22c)에 형성된 절취홈(22d)의 배면측 가장자리(22e)에 걸리게 되어 있으므로 결국 커넥터(25)는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수직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60)을 장착하기 위하여 충전 겸 폰 행거(20)의 장착홈(22)에 휴대폰(60)을 삽입하면서 휴대폰(60)을 하방으로 당기면 휴대폰(60)의 장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휴대폰(60)의 커넥터(61)가 충전 겸 폰 행거(20)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5)는 상시 연결부(25b)가 상방에 위치하는 자세에서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휴대폰(60)을 장착홈(22)에 삽입하고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것만으로써 충전 겸 폰 행거(20)의 커넥터(25)의 연결부(25b)가 휴대폰(60)의 커넥터(61)에 끼워지게 되어 원터치식으로 정확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27)가 휴대폰(60)의 양측면에 의하여 밀려들어가지만 고정돌기(27)는 상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돌기(27)의 선단부가 휴대폰(60)의 양측면을 눌러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장착홈(22)의 배면벽(22b)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스위치(29)가 휴대폰(60)의 배면에 의하여 눌리면서 '온'으로 되어 마이크(40)와 스피커(50)에 의한 통화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휴대폰(60)을 충전 겸 폰 행거(20)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충전 겸 폰 행거(20)의 양측벽(22a) 외측에 설치된 해제용 놉(28)을 누르면 그 선단이 휴대폰(60)의 양측면을 눌러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돌기(27)가 양측벽(22a)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휴대폰(60)을 충전 겸 폰 행거(20)의 장착홈(22)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휴대폰(60)을 장착홈(22)로부터 분리할 때 휴대폰(60)을 약간 앞으로 당기면서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커넥터(25)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도 5와 같이 앞쪽으로 회동되어 커넥터(25)의 연결부(25b)가 커넥터(61)로부터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충전 겸 폰 행거만을 컨트롤 유닛에 케이블로 연결하고, 휴대폰은 컨트롤 유닛에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 휴대폰을 충전 겸 폰 행거에 장착할 때 휴대폰이 충전 겸 폰 행거의 장착홈에 장착되는 동작과 동시에 휴대폰의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의 커넥터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휴대폰의 장착이 간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충전 겸 폰 행거의 장착홈에서 분리하는 동작과 동시에 휴대폰의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의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휴대폰의 분리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충전 겸 폰 행거에 설치되어 있어 휴대폰의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의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될 염려가 없게 되므로 커넥터에 별도의 로커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가 간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컨트롤 유닛과, 이에 연결되는 시가 잭 플러그, 마이크, 스피커 및 휴대폰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충전 겸 폰 행거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저면벽에,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장착홈에 휴대폰을 장착할 때 휴대폰측 커넥터와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의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는 저면벽의 하측 내부에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넥터 몸체와, 이 커넥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겸 폰 행거측 커넥터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시 수직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에 감겨지며 일측 암은 충전 겸 폰 행거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측 암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KR2019980023852U 1998-12-02 1998-12-02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KR200000114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52U KR20000011421U (ko) 1998-12-02 1998-12-02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52U KR20000011421U (ko) 1998-12-02 1998-12-02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21U true KR20000011421U (ko) 2000-07-05

Family

ID=6950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852U KR20000011421U (ko) 1998-12-02 1998-12-02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142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674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립 싱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KR100451177B1 (ko) * 2001-11-1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CN107404555A (zh) * 2016-05-21 2017-11-28 麦广树 具有宽度自适应机构的手机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177B1 (ko) * 2001-11-1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30041674A (ko) * 2001-11-21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립 싱크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CN107404555A (zh) * 2016-05-21 2017-11-28 麦广树 具有宽度自适应机构的手机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756B2 (en) Navigation apparatus
JPH0434608Y2 (ko)
US6208734B1 (en) Hold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s unit
US6058184A (en) Speaker unit with boom microphone
US20100090870A1 (en) Navigation apparatus
US7672701B2 (en) Telephone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lephone
EP0617535A2 (en) Mounting assembly for a radio telephone
JPH10126478A (ja) 携帯型電子装置用ホルダ
KR101048549B1 (ko)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KR20000011421U (ko) 자동차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KR20040074817A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EP1119160A2 (en) Universal hands-free kit for cellular phone
KR200289435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JP2003312375A (ja) ドライバーシートの携帯電話接続構造
KR20031420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0465517B1 (ko) 차량의 센터 패널에 내장되는 핸즈프리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2005289365A (ja) マイクロホン用の取付位置を備えた自動車
KR200199755Y1 (ko) 핸즈 프리 카 키트용 거치대의 인터페이스콘넥터용 로킹장치
KR200226243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JP2002087177A (ja) 車載用電子機器取付構造
KR200184941Y1 (ko) 차량용 휴대폰 접속장치
JPH10324197A (ja) 車載用モニタの取付け構造
KR200255937Y1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핸드폰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